KR100598850B1 -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850B1
KR100598850B1 KR1020040050647A KR20040050647A KR100598850B1 KR 100598850 B1 KR100598850 B1 KR 100598850B1 KR 1020040050647 A KR1020040050647 A KR 1020040050647A KR 20040050647 A KR20040050647 A KR 20040050647A KR 100598850 B1 KR100598850 B1 KR 100598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er
hose
pressure valve
pump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1513A (ko
Inventor
황치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0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850B1/ko
Publication of KR2006000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89Dispensing tubes
    • B05B11/0091Dispensing tubes movable, e.g. articulated on the sprayer
    • B05B11/0094Dispensing tubes movable, e.g. articulated on the sprayer movement of the dispensing tube controllin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부품의 크기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도록 이동식으로 구성하여 생산 유연성을 높이며, 실러의 도포 두께를 노즐에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외판의 굴곡 등 품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부에 롤러가 구성되는 카트; 상기 카트 상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실러드럼 내의 실러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실러펌프; 상기 실러펌프의 일측방에서, 상기 카트 상에 설치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실러펌프와 실러호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고압밸브; 상기 장착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고압밸브와 실러호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필터; 상기 장착 프레임의 중앙에 장착되며, 상기 필터와 실러호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정압밸브; 상기 정압밸브와 실러호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실러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실러를 도포하는 노즐유닛; 상기 정압밸브와 노즐유닛을 연결하는 실러호스의 일측을 걸어 이동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카트의 후방 일측에 구성되는 행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차체 패널, 실러 도포 장치, 노즐, 보강 실러, BPR

Description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SEALER COATING DEVICE FOR BODY PANEL REINFORCEM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의 전체 구성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실러 도포 장치용 노즐유닛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도어(Door), 후드(Hood), 프론트(Front), 휀더(Fender), 루프(Roof), 트렁크리드(Trunk Lid)등 가벼운 충격만으로도 찌그러지기 쉬운 강판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후드, 프론트, 휀더, 루프, 트렁크리드 등은 가벼운 충격만으로도 쉽게 찌그러지는 패널부재들로 이루어진다.
특히, 자동차의 도어를 살펴보면, 윈도우가 하강했을 때, 그 윈도우가 들어 갈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강판과 외부강판 사이에 빈 공간을 두게 되는데, 이로 인해 도어의 외부강판은 가벼운 충격만으로도 쉽게 찌그러지며, 사람의 손이 많이 가는 손잡이 부분의 찌그러짐 현상이 특히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실러를 바르고 오븐에서 강판을 경화하는 과정을 거쳐 도어, 후드, 휀더, 루프, 트렁크리드 등의 강판을 보강하는 공정이 적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써, 종래 차체 보강을 위한 실러 도포 장치는 펌프유닛(100)과, 필터유닛(200)과, 정량토출유닛(300)과, 스프레이유닛(400)과, 히팅유닛(500)과, 제어유닛(60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펌프유닛(100)은, 드럼통(101)에 들어있는 실러를 압송하기 위한 보조기구로 수평을 이루는 바닥에 장착되어지며 양측에 두개의 램 실린더(113,115)를 가지고 있고, 두개의 램 실린더(113,115) 사이에는 두개의 가이드(117,1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램 실린더(113,115)와 가이드(117,119)의 상부에 상판부(102)가 연결된다.
상기 상판부(102)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117,119)사이에는 에어모터(103)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모터(103)의 동작에 따라 상하운동을 하도록 에어모터(103)의 하측에는 에어모터 샤프트(105)가 연결된다.
상기 에어모터 샤프트(105)의 하단에는 로우펌프유닛(107)이 설치되며, 높은 실러유압을 얻기 위하여 상기 로우펌프유닛(107)의 하단에는 인덕터 플래이트(109) 가 설치되며, 상기 두개의 가이드 중, 좌측가이드(117)에는 압력강압 조절밸브(111)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유닛(200)은 직사각형 모양의 지지기반인 필터프레임(201)에 실러가 유입되는 제1실러 유입관(203)이 고정되고, 상기 제1실러 유입관(203)에는 다수의 분기관(204)이 각각 그 일단부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분기관(204)의 타단부에는 일단부가 연결된 제1실러 배출관(205) 및 다수의 분기관(204)에 고압 볼밸브(209)를 포함하는 필터(207)가 설치된다.
상기 제1실러 배출관(205)은 그 내부에 실러가 이송되는 실러호스가 위치하고, 상기 실러호스를 둘러싼 외부에는 온수가 흐르는 워터호스가 위치하고 있어, 상기 제1실러 배출관(205)를 통해 실러가 배출될 때, 히팅유닛(500)에서 워터호스를 통해 온수를 공급하여 실러 배출부분을 통과하는 실러가 소정온도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정량토출유닛(300)은 제2실러 유입관(303)이 직사각형 모양의 지지기반인 지지프레임(301)의 우측 상단에 설치되며 안쪽에는 실러호스(미도시)가 있고, 실러호스의 바깥쪽에는 히팅호스(미도시)가 구성된다.
상기 제2실러 유입관(303)과 연결되는 실러 정량조절기(305)는 실러호스의 중앙상부 즉, 지지프레임(301)의 중앙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실러 정량조절기(305)의 상부에는 공기조절기(307)가 구성되고, 상기 실러 정량조절기(305)의 좌측에서 지지프레임(301)의 좌측 상부에 제2실러 배출관(309)이 설치된다.
상기 제1실러 유입관(303)과 실러 정량조절기(305)의 사이에는 T자모양을 가 지는 실러 체크밸브유닛(311)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1)의 좌측중앙에는 공기 솔레노이드 밸브유닛(313)이 위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실러의 이상적인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2실러 유입관(303)과 제2실러 배출관(309)은 상기 필터유닛(200)의 제1실러 배출관(20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프레이유닛(400)은 관련부품을 지지해주는 정치대(401)에 실러를 뿌려주는 노즐(403)이 설치되며, 상기 노즐(403)의 양측에는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에어블로워(405)가 기울어져 설치된다.
상기 노즐(403)은,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부재에 실러를 스트림(Stream) 타입으로 뿌려주도록 원형부재(407)의 내부에 일단이 개구되어 중공부(409)를 가지고, 타단은 라운드면(413)을 가지며, 상기 라운드면(413) 상에는 상기 내부 중공부(409)와 연결하여 외측으로 간격이 넓어지는 실러 분출구(41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의 작용에 의한 실러 도포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서 램(101)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쓰리웨이 방향전환 핸드밸브(121)를 조작하여 램의 상판부(102)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상판부(102)와 연결되어 있는 인덕터 플래이트(109)도 함께 상승한다. 상기 인덕터 플래이트(109)의 상승 높이가 드럼통의 높이만큼 되면 쓰리웨이 방향전환 핸드밸브(121)를 조작하여 램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상기 램의 작동이 멈추면 실러가 담겨있는 드럼통(101)을 램실린더(113,115) 사이에 셋팅하고, 상기 쓰리웨이 방향전환 핸드밸브(121)를 조작하게 되면 상판부(102)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덕터 플래이트(109)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상판부(102)가 하강함에 따라 인덕터 플래이트(109)는 실러가 담겨있는 드럼통(101) 내부로 삽입되며, 이때 드럼통(101) 내부의 실러와 인덕터 플래이트(109)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압축된다.
상기 공기의 압축으로 인해 인덕터 플래이트(109)의 하강이 잠시 멈춰지게 되는데, 이때 인덕터 플래이트(109)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배출밸브(미도시)를 이용하여 압축된 공기를 제거하면, 상기 인덕터 플래이트(109)는 계속해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인덕터 플래이트(109)가 계속해서 하강함에 따라 실러는 상기 인덕터 플래이트(109)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로우펌프유닛(107)으로 유입된다.
상기 드럼통(101) 내부의 실러가 로우펌프유닛(107)으로 유입될 때, 압축공기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에어모터(103)는 작동하게 되고, 상기 에어모터(103)가 작동하게 됨에 따라 에어모터 샤프트(105)는 상하운동을 하게된다.
상기 에어모터 샤프트(105)의 상하운동으로 드럼통(101) 내부의 실러가 로우펌프유닛(107)으로 유입됨은 물론, 유입된 실러는 실러호스를 통해 필터유닛(200) 방향으로 배출된다.
상기 실러는 필터유닛(200)의 제1실러 유입관(203)으로 유입되어 실러호스를 통해 필터(207)로 다시 유입된다. 상기 필터(207)로 유입된 실러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제1실러 배출관(205)를 통해 다음단인 정량토출유닛(300)으로 배출된다.
상기 실러는 정량토출유닛(300)의 제2실러 유입관(303)으로 유입되어 실러호스를 통해 실러 정량조절기(305)로 이송되며, 여기서 압력이 조절되어 제2실러 배출관(309)과 실러 체크밸브유닛(311)방향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실러는 다시 실러호스를 통해 실러 체크밸브유닛(311)과 스프레이유닛(400)으로 이송되며, 실러가 배출될 때의 실러압은 상기 실러 체크밸브유닛(311)에서 체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은 공기 솔레노이드 밸브유닛(313)에서 제어되어 스프레이유닛(400)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정량토출유닛(300)의 제2실러 배출관(309)으로부터 배출된 실러는 실러호스를 통해 스프레이유닛(400)의 노즐(403)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 솔레노이드 밸브유닛(313)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에어블로워(405)로 유입된다.
이로써,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량토출유닛(300)에서 실러호스를 통해 상기 노즐(403)로 유입된 실러(S)는 작업하고자하는 강판(P)에 뿌려지는데, 상기 노즐(403)의 실러 분출구(411)를 통하여 스트림(Stream) 타입으로 분사하여 도포하게 된다.
이때, 에어블로워(405)에서는 공기를 배출하여 노즐(403)에서 뿌려지는 실러의 양과, 그 실러의 양에 따른 굴곡(패턴)을 결정하거나 조절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의 작용에 의한 실러 도포는 펌프유닛(100)에서 드럼통(101) 내부의 실러를 가압하여 실러압을 형성한 후, 필터유닛(200)에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정량토출유닛(300)에서 실러압을 조절하여 패널부재에 스프레이유닛(400)의 노즐(411)을 통하여 스트림(STREAM) 타입으로 도포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는 100bar 이상의 고압으로 실러를 도포하는 방식, 즉 실러 도포시 실러가 토출되는 노즐 부위를 고정하고 부품을 움직여서 실링하는 방식으로 고압 발생에 따라 장비가 복잡하고 투자비가 과다 소요되며, 상기 실러가 도포되는 노즐 부위가 고정되어 있어 부품을 움직여 도포해야 하므로 실링 품질 확보가 어렵고, 대물 부품은 도포 불가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특정한 장소에 고정 설치해야 하므로 생산 유연성이 없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장비 설치가 불가한 곳에서는 차체 보강용 실러의 도포가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의 크기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도록 이동식으로 구성하여 생산 유연성을 높이며, 실러의 도포 두께를 노즐에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외판의 굴곡 등 품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체 보강용 실러 장치는 하부에 롤러가 구성되는 카트; 상기 카트 상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실러드럼 내의 실러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실러펌프; 상기 실러펌프의 일측방에서, 상기 카트 상에 설치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실러펌프와 실러호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고압밸브; 상기 장착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고압밸브와 실러호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필터; 상기 장착 프레임의 중앙에 장착되며, 상기 필터와 실러호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정압밸브; 상기 정압밸브와 실러호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실러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실러를 도포하는 노즐유닛; 상기 정압밸브와 노즐유닛을 연결하는 실러호스의 일측을 걸어 이동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카트의 후방 일측에 구성되는 행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 보강을 위한 실러 도포 장치의 구성은, 상기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전후 좌우측으로 롤러(1)가 장착되는 카트(3)가 구비된다.
상기 카트(3)의 상부 외측 가장자리에는 안전 가이드(5)가 설치된다.
상기 카트(3) 상의 전방 일측에는 실러드럼(미도시) 내의 실러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실러펌프(5)가 구비되는데, 상기 실러펌프(5)의 구성은 종래 기술의 펌프 유닛(100, 도 1참조)의 구성과 동일하며, 그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실러펌프(5)의 일측방에는 상기 카트(3) 상에 장착프레임(7)이 설치되는데, 상기 장착프레임(7)은 장착판(9)과 이 장착판(9)을 카트(3) 상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빔(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 프레임(7)의 장착판(9) 일측에는 상기 실러펌프(5)와 실러호스(H)를 통하여 연결되는 고압밸브(13)가 장착되고, 상기 고압밸브(13)의 일측으로 장착판(9)에는 상기 고압밸브(13)와 실러호스(H)를 통하여 연결되는 필터(15)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판(9)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15)와 실러호스(H)를 통하여 연결되는 정압밸브(17)가 장착되는데, 상기 정압밸브(17)는 종래 기술의 정량토출유닛(300, 도 1참조)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다이어프램 밸브로 그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정압밸브(17)와 실러호스(H)를 연결되어 실러펌프(5)로부터 공급되는 실러를 패널부품에 도포하기 위한 노즐유닛(19)이 구비된다.
상기 노즐유닛(19)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부품(10)에 실러를 스트림(Stream) 타입으로 뿌려주도록 삼각형상의 노즐 몸체(23; 이하, 노즐이라 칭함)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23)의 내부에는 실러가 퍼지기 위한 중공부(25)가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23)의 일측으로는 상기 중공부(25)와 연결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실러 분출구(27)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23)은 실러차단밸브(29)를 통하여 상기 실러호스(H)와 연결되는데, 상기 실러차단밸브(29)는 실러펌프(5)로부터 펌핑된 실러를 상기 노즐(23)에 공급 혹은 차단할 수 있도록 그 유로를 단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러차단밸브(29)의 그 하우징(31) 일측에는 작업자가 노즐(23)을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33)가 부착되며, 상기 손잡이(33)의 일측에는 상기 실러차단밸브(29)를 온 오프 제어하는 스위치(35)가 구성된다.
즉, 상기 실러차단밸브(29)는 상기 스위치(35)에 의해 작동되도록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노즐(23)에는 그 실러 분출구(27)의 길이방향 양측에 실러의 도포 두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롤러(37)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정압밸브(17)와 노즐유닛(19)을 연결하는 실러호스(H)는 상기 카트(3)의 후방 일측에 구성되는 행거(21)에 의해 그 일측이 걸려서 장비의 전체적인 이동성을 확보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의 작용은 상기 실러펌프(5)의 구동에 따라 펌핑된 실러는 실러호스(H)를 통하여 고압밸브(13)를 거친 후, 필터(15)로 유입된다.
상기 필터(15)로 유입된 실러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다시 실러호스(H)를 통하여 정압밸브(17)에서 일정압력으로 조정된 후, 다시 실러호스(H)를 통하여 노즐유닛(19)에 공급된다.
즉, 작업자가 노즐유닛(19)의 손잡이(33)를 잡고, 실러를 도포할 패널부품(10)의 일측까지 직접 노즐(23)을 움직여 위치시킨 상태에서, 손잡이(33) 일측의 스위치(35)를 작동시키면, 상기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실러차단밸브(29)가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실러펌프(5)로부터 펌핑되어 압력이 조정된 실러가 상기 노즐(23)을 통하여 패널부품(10)에 스트림(STREAM) 타입으로 도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는 카트에 의해 이동식으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직접 노즐을 움직여 패널부품의 크기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도 도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생산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에 의하면, 부품의 크기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도록 이동식으로 구성하여 생산 유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정 롤러를 통하여 실러의 도포 두께를 노즐에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외판의 굴곡 등 품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하부에 롤러가 구성되는 카트; 상기 카트 상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실러드럼 내의 실러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실러펌프; 상기 실러펌프의 일측방에서, 상기 카트 상에 설치되는 장착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실러펌프와 실러호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고압밸브; 상기 장착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고압밸브와 실러호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필터; 상기 장착 프레임의 중앙에 장착되며, 상기 필터와 실러호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정압밸브; 상기 정압밸브와 실러호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실러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실러를 패널부품에 스트림(Stream) 타입으로 뿌려주도록 삼각형상의 노즐 몸체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며, 일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실러 분출구가 형성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과 상기 실러호스 사이에서 상호 연결하여 실러공급을 단속하는 실러차단밸브, 및 상기 실러차단밸브의 하우징 일측에 장착되는 손잡이,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실러차단밸브를 온 오프제어하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노즐유닛; 상기 정압밸브와 노즐유닛을 연결하는 실러호스의 일측을 걸어 이동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카트의 후방 일측에 구성되는 행거로 구성되는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은 상기 고압밸브와 필터 및 정압밸브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판;
    상기 장착판을 카트 상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빔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 몸체에는
    그 실러 분출구의 길이방향 양측에 실러의 도포 두께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롤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러차단밸브는
    공압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KR1020040050647A 2004-06-30 2004-06-30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KR10059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647A KR100598850B1 (ko) 2004-06-30 2004-06-30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647A KR100598850B1 (ko) 2004-06-30 2004-06-30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513A KR20060001513A (ko) 2006-01-06
KR100598850B1 true KR100598850B1 (ko) 2006-07-11

Family

ID=3710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647A KR100598850B1 (ko) 2004-06-30 2004-06-30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47B1 (ko) * 2011-03-17 2012-01-04 두림로보틱스(주) 정량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908B1 (ko) * 2016-10-18 2018-06-08 주식회사 에스피엘코리아 진공포장용 실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811A (ko) * 1997-03-26 1998-11-16 김지환 페인트입자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페인트안전분사장치
KR20020096029A (ko) * 2002-10-23 2002-12-28 현 규 곽 바디 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수동 씰러 도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811A (ko) * 1997-03-26 1998-11-16 김지환 페인트입자가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페인트안전분사장치
KR20020096029A (ko) * 2002-10-23 2002-12-28 현 규 곽 바디 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수동 씰러 도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47B1 (ko) * 2011-03-17 2012-01-04 두림로보틱스(주) 정량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513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2745A (en) Spray coating process and apparatus
KR101443857B1 (ko) 이액형 차선 도색 장치 및 이액형 물질을 이용한 시공방법
JP4923055B2 (ja) スラブ、薄スラブ、型鋼のクリーニングを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2248597A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pplication liquid
CN101460648B (zh) 气体擦拭装置
KR100598850B1 (ko)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KR101477750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용 도료 조성물
CN104138879B (zh) 一种冲压件拉延塑料薄膜碎屑自动清理装置
KR101742809B1 (ko) 특장차용 샌드위치 패널 접착제 도포장치
CN208960237U (zh) 一种能够快速烘干的挂车喷涂室
KR100284822B1 (ko)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
JP3689119B2 (ja) 自動車の塗装面の保護膜形成方法
KR100483012B1 (ko) 바디 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수동 씰러 도포 장치
KR20010093928A (ko) 바디 패널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및 실러 도포 방법
KR101252657B1 (ko) 돌출형 차선 시공장치
CN109351539A (zh) 一种挂车喷涂室
KR20140038752A (ko) 자동차 예비세척장치
KR102356714B1 (ko) 차선 도색용 이액형 도료 분사장치
KR100482606B1 (ko) 실러 도포 시스템용 히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69380B1 (ko) 실러 도포장치
CN102319750A (zh) 冷轧湿平整生产中的水雾平整方法
JPH06344197A (ja) プレス機のプレス油塗布装置
KR100418791B1 (ko) 고속 시일링 도포시스템
KR20090104438A (ko)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
KR101231005B1 (ko) 안티 스패터 오일 도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