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822B1 -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 - Google Patents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822B1
KR100284822B1 KR1019980044135A KR19980044135A KR100284822B1 KR 100284822 B1 KR100284822 B1 KR 100284822B1 KR 1019980044135 A KR1019980044135 A KR 1019980044135A KR 19980044135 A KR19980044135 A KR 19980044135A KR 100284822 B1 KR100284822 B1 KR 100284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er
unit
hose
reinforcing
bod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4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683A (ko
Inventor
현 규 곽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 규 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 규 곽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80044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4822B1/ko
Publication of KR1999000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822B1/ko

Links

Landscapes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후드, 프론트, 펜더, 루프, 트렁크리드등 가벼운 충격만으로도 찌그러지기 쉬운 강판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약한 충격에도 쉽게 찌그러지기 쉬운 강판부위에 씰러 작업을 할때 작업하고자 하는 물체위에 씰러를 정해진 두께와 넓이 만큼 자동으로 도포하는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실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드럼통에 담겨있는 씰러를 펌핑하여 씰러호스를 통해 배출하는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으로부터 배출되어 씰러호스를 통해 유입된 씰러에 대해 이물질등을 걸러낸 후 씰러호스를 통해 배출하는 필터유닛과; 상기 필터유닛에서 배출된 후 씰러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씰러의 압력을 조절하여 다시 씰러호스를 통해 배출하는 정량토출유닛과; 상기 정량토출유닛으로부터 씰러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씰러를 작업하고자하는 물체위에 뿌려주는 스프레이유닛과; 씰러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부위에서 씰러의 경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열을 가해주는 히팅유닛과; 상기 펌프유닛과 정량토출유닛의 공기압력을 포함하여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
본 발명은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도어(Door), 후드(Hood), 프론트(Front), 펜더(Fender), 루프(Roof), 트렁크리드(Trunk Lid)등 가변운 충격만으로도 찌그러지기 쉬운 강판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후드, 프론트, 펜더, 루프, 트렁크리드등은 가벼운 충격만으로도 쉽게 찌그러진다. 자동차의 도어를 살펴보면 윈도우가 하강했을때 그 윈도우가 들어갈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강판과 외부강판 사이에 빈 공간을 두었다.이로인해 도어의 외부강판은 가벼운 충격만으로도 쉽게 찌그러지며 특히 사람손이 많이 가는 손잡이 부분의 찌그러짐 현상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찌그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씰러를 바르고 오븐에서 강판을 경화하는 과정을 거쳐 도어, 후드, 펜더, 루프, 트렁크리드등의 강판을 보강하는 공정이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씰러를 바르는 공정이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다보니 씰러의 두께가 서로 달라 품질유지가 어렵고, 또한 수작업으로 인해 인건비가 많이들어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약한 충격에도 쉽게 찌그러지기 쉬운 강판부위에 씰러 작업을 할때 작업하고자하는 물체위에 씰러를 정해진 두께와 넓비 만큼 자동으로 도포하는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는 드럼통에 담겨있는 씰러를 펌핑하여 씰러호스를 통해 배출하는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으로부터 배출되어 씰러호스를 통해 유입된 씰러에 대해 이물질등을 걸러낸 후 씰러호스를 통해 배출하는 필터유닛과; 상기 필터유닛에서 배출된 후 씰러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씰러의 압력을 조절하여 다시 씰러호스를 통해 배출하는 정량토출유닛과; 상기 정량토출유닛으로부터 씰러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씰러를 작업하고자하는 물체위에 뿌려주는 스프레이유닛과; 씰러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부위에서 씰러의 경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열을 가해주는 히팅유닛과; 상기 펌프유닛과 정량토출유닛의 공기압력을 포함하여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의 펌프유닛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의 필터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의 정량토출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의 스프레이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펌프유닛 101 : 램
103 : 에어모터 105 : 에어모터샤프트
107 : 로우펌프유닛 109 : 인덕터플래이트
111 : 압력강압조절밸브 113,115 : 램실린더
117,119 : 가이드 200 : 필터유닛
201 : 필터프레임 203 : 제 1씰러유입관
204 : 분기관 205 : 제 1씰러배출관
207 : 필터 209 : 고압볼밸브
300 : 정량토출유닛 301 : 지지프레임
303 : 제 2씰러유입관 305 : 씰러정량조절기
307 : 공기조절기 309 : 제 2씰러배출관
311 : 씰러체크밸브유닛 400 : 스프레이유닛
401 : 정치대 403 : 스프레이노즐
405 : 에어블로워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로써, 본 발명은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는 펌프유닛(100)과, 필터유닛(200)과, 정량토출유닛(300)과, 스프레이유닛(400)과, 히팅유닛(500)과, 제어유닛(600)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의 펌프유닛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펌프유닛(100)은, 드럼통에 들어있는 씰러를 압송하기 위한 보조기구로 수평을 이루는 바닥에 장착되어지며 양측에 두개의 램실린더(113,115)를 가지고 있고, 두개의 램실린더(113,115) 사이에는 두개의 가이드(117,1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램실린더와 가이드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상판부(102)가 형성되어 있는 램과(101); 상기 상판부(102)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117,119)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모터(103)와; 상기 에어모터(103)의 동작에 따라 상하운동을 하며 에어모터(103)의 하측에 연결된 에어모터샤프트(105)와; 상기 에어모터샤프트(105)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로우펌프유닛(107)과; 높은 씰러유압을 얻기위하여 상기 로우펌프유닛(107)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인덕터플래이트(109)와; 상기 두개의 가이드중 좌측가이드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강압조절밸브(111)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의 필터유닛(200)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필터유닛(200)은 직사각형 모양의 지지기반인 필터프레임(201)과, 상기 필터프레임(201)에 고정되며 씰러가 유입되는 제 1씰러유입관(203)과, 상기 제 1씰러유입관(203)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된 다수의 분기관(204)과, 상기 분기관(204)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 1씰러배출관(205) 및 다수의 분기관(204)에 각각 설치되며 또한 고압볼밸브(209)를 포함하는 필터(20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씰러배출관(205)를 살펴보면 내부에는 씰러가 이송되는 씰러호스가 위치하고, 상기 씰러호스를 둘러싼 외부에는 온수가 흐르는 워터호스가 위치하고 있어, 상기 제 1씰러배출관(205)를 통해 씰러가 배출될때, 히팅유닛(500)에서 워터호스를 통해 온수를 공급하여 씰러 배출부분을 통과하는 씰러가 소정온도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의 정량토출유닛(300)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정량토출유닛(300)은, 직사각형 모양의 지지기반인 지지프레임(301)과, 상기 지지프레임(301)의 우측 상단에 설치되며 안쪽에는 씰러호스(302)가 있고, 씰러호스의 바깥쪽에 히팅호스(304)가 있는 제 2씰러유입관(303)과, 상기 제 2씰러유입관(303)과 연결되며 씰러호스의 중앙상부 즉 지지프레임(301)의 중앙상부에 위치하는 씰러정량조절기(305)와, 상기 씰러정량조절기(305)의 상부에 위치하는 공기조절기(307)와, 상기 씰러정량조절기(305)의 좌측에 위치하고 지지프레임(301)의 좌측 상부에 설치되는 제 2씰러배출관(309)과, 상기 제 1씰러유입관(303)과 씰러정량조절기(305)의 사이에 위치하며 T자모양을 가지는 씰러체크밸브유닛(311)과, 과; 상기 지지프레임(301)의 좌측중앙에 위치하는 공기솔레노이드밸브유닛(313)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씰러의 이상적인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 2씰러유입관(303)과 제 2씰러배출관(309)는 상기 필터유닛(200)의 제 1씰러배출관(205)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구조를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의 스프레이유닛(400)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스프레이유닛(400)은, 관련부품을 지지해주는 정치대(401)와, 상기 정치대(401)에 설치되어 씰러를 뿌려주는 스프레이노즐(403)과, 상기 스프레이노즐(403)의 양측에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기울여 설치된 에어블로워(405)로 이루어진다.
다음에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펌프유닛(100)의 작용을 살펴보면, 램(101)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쓰리웨이방향전환핸드밸브(120)를 조작하여 램(101)의 상판부(102)를 상승시키면 상기 상판부(102)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모터(103) 및 에어모터(103)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로우펌프유닛(107)도 함께 상승한다. 이때 인덕터플래이트(109)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다시말해, 램(101)의 상판부(102)와 에어모터(103)와 로우펌프유닛(107) 및 인덕터플래이트(109)는 연동하게 된다.
상기 인덕터플래이트(109)의 상승 높이가 드럼통의 높이만큼되면 쓰리웨이방향전환핸드밸브(120)를 조작하여 램(101)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씰러가 담겨있는 드럼통을 램실린더와 램실린더 사이에 셋팅한다. 드럼통의 셋팅을 마치고 상기 쓰리웨이방향전환핸드밸브(120)를 조작하게 되면 상판부(102)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모터(103) 및 인덕터플래이트(109)도 상판부(102)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상판부(102)가 하강함에 따라 인덕터플래이트(109)는 씰러가 담겨있는 드럼통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인덕터플래이트(109)가 드럼통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드럼통 내부의 씰러와 인덕터플래이트(109)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압축이 되어진다. 상기 드럼통 내부의 씰러와 인덕터플래이트(109)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압축됨에 따라 인덕터플래이트(109)는 더이상 하강을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인덕터플래이트(109)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배출밸브(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압축된 공기를 제거하면 상기 인덕터플래이트(109)는 계속해서 하강하게 된다. 한편, 씰러의 압력이 인덕터플래이트(109)의 하강압력보다 크기 때문에 씰러는 상기 인덕터플래이트(109) 상부에 접속되어 있는 로우펌프유닛(107)으로 유입된다.
상기 드럼통 내부의 씰러가 로우펌프유닛(107)으로 유입될때 압축공기공급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에어모터(103)는 작동하게 된다. 상기 에어모터(103)가 작동하게 됨에따라 에어모터샤프트(105)는 상하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에어모터샤프트(105)의 상하운동으로 드럼통 내부의 씰러가 로우펌프유닛(107)으로 유입됨은 물론 유입된 씰러는 씰러호스를 통해 필터유닛(200) 방향으로 배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펌프유닛(100)은 두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두대의 펌프유닛(100)은 동시 동작으로 씰러를 배출하게 되고 각각의 펌프유닛(100)으로부터 배출된 씰러는 하나의 호스를 통해 필터유닛(200) 방향으로 배출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필터유닛(200)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펌프유닛(100)으로부터 배출된 씰러는 씰러호스를 통해 필터유닛(200)의 제 1씰러유입관(203)로 유입되고, 상기 제 1씰러유입관(203)로 유입된 씰러는 씰러호스를 통해 필터(207)로 유입된다. 상기 필터(207)로 유입된 씰러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제 1씰러배출관(205)를 통해 다음단인 정량토출유닛(300)으로 배출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터유닛(200)은 필터프레임(201)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하나씩 동일한 필터(207)를 장착하고 있으나 두개의 필터(207)를 통시에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하나만을 사용하게 된다. 이는 필터의 청소 및 점검 또는 교체시 다른쪽의 필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정량토출유닛(300)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필터유닛(200)의 제 1씰러배출관(205)를 통해 배출된 씰러는 정량토출유닛(300)의 제 2씰러유입관(303)로 유입되고, 상기 제 2씰러유입관(303)로 유입된 씰러는 씰러호스를 통해 씰러정량조절기(305)로 유입된다.
상기 씰러정량조절기(305)는 유입된 씰러의 압력을 조절하는 유닛으로 씰러의 압력이 기준압력 보다 높을경우 이를 제어하여 배출하게 된다.
상기 씰러정량조절기(305)에서 조절된 씰러는 제 2씰러배출관(309)과 씰러체크밸브유닛(311) 방향으로 배출되며, 상기 씰러체크밸브유닛(311)는 씰러정량조절기(305)에서 배출되는 씰러의 압력을 체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씰러정량조절기(305)에서 배출되는 씰러는 제 2씰러배출관(309)으로 배출되어 씰러호스를 통해 스프레이유닛(400)으로 유입되며,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은 공기솔레노이드밸브유닛(313)에서 제어하여 스프레이유닛(400)으로 배출한다.
이때 씰러의 원활한 압송을 위하여 정량토출유닛(300)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조절기(307)에서 조절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스프레이유닛(400)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정량토출유닛(300)의 제 2씰러배출관(309)으로부터 배출된 씰러는 씰러호스를 통해 스프레이유닛(400)의 스프레이노즐(403)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솔레노이드밸브유닛(313)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에어블로워(405)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스프레이노즐(403)로 유입된 씰러는 작업하고자하는 물체에 뿌려지며 이때 에어블로워(405)에서는 공기를 배출하여 스프레이노즐(403)에서 뿌려지는 씰러의양과 그 씰러의 양에따른 굴곡(패턴)을 결정하거나 조절하게 된다.
도 1,2,3,4,5를 참조하여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의 전체적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램(101)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쓰리웨이방향전환핸드밸브(120)를 조작하여 램(101)의 상판부(102)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상판부(102)와 연결되어 있는 인덕터플래이트(109)도 함께 상승한다. 상기 인덕터플래이트(109)의 상승 높이가 드럼통의 높이만큼되면 쓰리웨이방향전환핸드밸브(120)를 조작하여 램(101)의 작동을 멈추게한다.
상기 램(101)의 작동이 멈추면 씰러가 담겨있는 드럼통을 램실린더(113)와 램실린더(115) 사이에 셋팅한다. 드럼통의 셋팅을 마치고 상기 쓰리웨이방향전환핸드밸브(120)를 조작하게 되면 상판부(102)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덕터플래이트(109)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상판부(102)가 하강함에 따라 인덕터플래이트(109)는 씰러가 담겨있는 드럼통 내부로 삽입되며 이때 드럼통 내부의 씰러와 인덕터플래이트(109)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압축이 되어진다. 상기 공기의 압축으로 인해 인덕터플래이트(109)의 하강이 잠시 멈춰지게 되는데 이때 인덕터플래이트(109)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배출밸브(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압축된 공기를 제거하면 상기 인덕터플래이트(109)는 계속해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인덕터플래이트(109)가 계속해서 하강함에 따라 씰러는 상기 인덕터플래이트(109)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로우펌프유닛(107)으로 유입된다.
상기 드럼통 내부의 씰러가 로우펌프유닛(107)으로 유입될때 압축공기공급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에어모터(103)는 작동하게 되고, 상기 에어모터(103)가 작동하게 됨에따라 에어모터샤프트(105)는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에어모터샤프트(105)의 상하운동으로 드럼통 내부의 씰러가 로우펌프유닛(107)으로 유입됨은 물론 유입된 씰러는 씰러호스를 통해 필터유닛(200) 방향으로 배출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펌프유닛(100)으로부터 배출된 씰러는 씰러호스를 통해 필터유닛(200)의 제 1씰러유입관(203)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 1씰러유입관(203)로 이송된 씰러는 씰러호스를 통해 필터(207)로 유입된다. 상기 필터(207)로 유입된 씰러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제 1씰러배출관(205)를 통해 다음단인 정량토출유닛(300)으로 배출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필터유닛(200)의 제 1씰러배출관(205)를 통해 배출된 씰러는 정량토출유닛(300)의 제 2씰러유입관(303)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 2씰러유입관(303)으로 유입된 씰러는 씰러호스를 통해 씰러정량조절기(305)로 이송된다.
상기 씰러정량조절기(305)에서는 이송된 씰러의 압력을 조절하여 제 2씰러배출관(309)과 씰러체크밸브유닛(311) 방향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배출된 씰러는 씰러호스를 통해 씰러체크밸브유닛(311)와 스프레이유닛(400)으로 이송된다. 씰러가 배출될때의 씰러압은 상기 씰러체크밸브유닛(311)에서 체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공기공급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공기솔레노이드밸브유닛(313)에서 제어하여 스프레이유닛(400)으로 배출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정량토출유닛(300)의 제 2씰러배출관(309)으로부터 배출된 씰러는 씰러호스를 통해 스프레이유닛(400)의 스프레이노즐(403)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솔레노이드밸브유닛(313)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에어블로워(405)로 유입된다.
상기 정량토출유닛(300)에서 씰러호스를 통해 상기 스프레이노즐(403)로 유입된 씰러는 작업하고자하는 물체에 뿌려지며 이때 에어블로워(405)에서는 공기를 배출하여 스프레이노즐(403)에서 뿌려지는 씰러의양과 그 씰러의 양에따른 굴곡(패턴)을 결정하거나 조절하게 된다.
상기 필터유닛(200)과 정량토출유닛(300) 그리고 정량토출유닛(300)과 스프레이유닛(400) 사이에서 씰러호스를 통해 씰러가 이송될때 씰러의 경화를 방지하기 위해 히팅유닛(500)에서는 물을 매체로하여 씰러가 유입되는 부분과 씰러가 배출되는 부분을 히팅한다. 그리고 제어유닛(600)에서는 정량토출유닛(300)의 정량조절기(305) 및 각 유닛의 공기조절기와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는, 도어, 후드, 프론트, 펜더, 루프, 트렁크리드등의 강판을 보강하는 씰러공정을 펌프유닛, 필터유닛, 정량토출유닛, 스프레이유닛, 히팅유닛, 제어유닛등을 이용하여 씰러도포 작업을 완전 자동화 함으로써 품질유지와 인건비 절감으로 인한 원가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드럼통에 담겨있는 씰러를 펌핑하여 씰러호스를 통해 배출하는 펌프유닛과; 상기 펌프유닛으로부터 배출되어 씰러호스를 통해 유입된 씰러에 대해 이물질등을 걸러낸 후 씰러호스를 통해 배출하는 필터유닛과; 상기 필터유닛에서 배출된 후 씰러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씰러의 압력을 조절하여 다시 씰러호스를 통해 배출하는 정량토출유닛과; 상기 정량토출유닛으로부터 씰러호스를 통해 배출되는 씰러를 작업하고자하는 물체위에 뿌려주는 스프레이유닛과; 씰러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부위에서 씰러의 경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열을 가해주는 히팅유닛과; 상기 펌프유닛과 정량토출유닛의 공기압력를 포함하여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은, 램과 에어모터와, 에어모터샤프트와, 로우펌프유닛과, 인덕터플래이트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로우펌프유닛은 작업하고자 하는 환경조건에 따라 압축비를 달리하여 설계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씰러가 유입되는 제 1씰러유입관과, 상기 제 1씰러유입관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된 다수의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연결된 제 1씰러배출관 및 다수의 분기관에 각각 설치되며 또한 고압볼밸브를 포함하는 필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유닛은, 관련부품을 지지하는 정치대와, 상기 정치대에 설치되어 씰러를 뿌려주는 스프레이노즐과, 상기 스프레이노즐 양측에 위치이동이 가능토록 기울여 설치된 에어블로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
KR1019980044135A 1998-10-21 1998-10-21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 KR100284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135A KR100284822B1 (ko) 1998-10-21 1998-10-21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4135A KR100284822B1 (ko) 1998-10-21 1998-10-21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683A KR19990007683A (ko) 1999-01-25
KR100284822B1 true KR100284822B1 (ko) 2001-08-07

Family

ID=6589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4135A KR100284822B1 (ko) 1998-10-21 1998-10-21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4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012B1 (ko) * 2002-10-23 2005-04-15 현 규 곽 바디 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수동 씰러 도포 장치
KR100621726B1 (ko) * 2004-12-17 2006-09-13 곽 현 규 서보 정량식 비피알 도포장치
KR101020883B1 (ko) * 2009-02-05 2011-03-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실러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683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809B1 (ko) 특장차용 샌드위치 패널 접착제 도포장치
DE1427605A1 (de) Vorrichtung zum Spritzauftrag von Farben,Lacken u.dgl. auf Flaechen einer Folge vonFahrzeugkoerpern unterschiedlicher Groesse und Gestalt
CN207172386U (zh) 一种预制混凝土构件自动化成型装置
KR100284822B1 (ko) 바디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씰러장치
CN104476928A (zh) 一种数码印花机喷液装置及其控制方法
CN110241537B (zh) 换向往复砂洗机
CN208960237U (zh) 一种能够快速烘干的挂车喷涂室
US4564348A (en) Machine bas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0598850B1 (ko) 차체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US3089207A (en) Blow-squeeze molding machine
AT411158B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werkstoffplatten
DE60022074T2 (de) Abkantpresse und bewegungsverfahren des kolbens einer abkantpresse
DE1557556B2 (de)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bierfaessern od dgl behaeltern
EP1749178B1 (de)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lackierten fahrzeugkarosserien
KR20010093928A (ko) 바디 패널 보강용 실러 도포 장치 및 실러 도포 방법
KR100483012B1 (ko) 바디 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수동 씰러 도포 장치
US7284296B2 (en) Car wash blower control
KR100969380B1 (ko) 실러 도포장치
CN104785576B (zh) 汽车背门装饰板校型工装
CN109351539A (zh) 一种挂车喷涂室
CN202238817U (zh) 反应炉清洗和烘干系统
JPH06344197A (ja) プレス機のプレス油塗布装置
JP6883537B2 (ja) 付着防止剤散布装置
CN112844900A (zh) 一种阀门喷漆装置
KR100482606B1 (ko) 실러 도포 시스템용 히팅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