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4438A -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4438A
KR20090104438A KR1020080029859A KR20080029859A KR20090104438A KR 20090104438 A KR20090104438 A KR 20090104438A KR 1020080029859 A KR1020080029859 A KR 1020080029859A KR 20080029859 A KR20080029859 A KR 20080029859A KR 20090104438 A KR20090104438 A KR 20090104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er
side glass
manual
pump unit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원
김용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9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4438A/ko
Publication of KR2009010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2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e.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6Actuation means comprising rotatable or articulated levers
    • B05B11/1057Triggers, i.e. actuation means consisting of a single lever having one end rotating or pivoting around an axis or a hinge fixedly attached to the container, and another end directly actuat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2Manually-actuated controlling means, e.g. push buttons, levers or trig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는, ⅰ)에어 모터, 하부 펌프, 인덕트 플레이트 및 램으로서 구성되어 실러 드럼 내부의 실러를 압송하기 위한 실러 펌프유닛과, ⅱ)상기 실러 펌프유닛의 작동으로서 실러 배관 및 실러 호스를 통하여 압송되는 상기 실러를 작업자에 의한 레버의 수조작으로서 차체로 도포하는 수동건과, ⅲ)상기 실러 펌프유닛과, 상기 실러 호스와, 상기 수동건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실러를 히팅시켜 주는 히팅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버스,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 실러 펌프유닛, 수동건, 히팅유닛

Description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 {SIDE GLASS SEALER SPRAY DEVICE FOR BUS BODY}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실러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버스의 의장 라인에서 사이드 글라스 실러를 중앙 공급 방식으로 공급하고 그 실러를 가온하여 버스 차체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버스의 의장 라인에서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버스 차체에 사이드 글라스를 부착하고, 그 사이드 글라스의 수밀력을 확보하기 위해 실러 도포장치를 통하여 버스 차체의 사이드 글라스 부착 부위에 실러를 도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실러 도포장치는 에어의 압력을 이용하여 실러를 도포하는 건 타입의 수동 도포건을 구비하는 바, 낱개로 포장된 실러 팩을 수동 도포건에 장착하여 그 수동 도포건으로 제공되는 에어의 압력으로서 실러 팩 내부의 실러를 차체에 도포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즉, 종래 기술에 의한 실러 도포장치는 실러의 점도가 높으면 작업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실러 팩을 전기 히터로 간접 가열한 상태에서 그 실러 팩을 수동 도포건에 장착하여 상기한 에어의 압력으로서 실러를 도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동 도포건을 통한 실러의 도포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와 기능 정도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에어 압력의 개폐 정도에 따라 실러의 토출량이 결정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전기 히터에 의한 실러 팩의 간접 가열이 적으면 실러가 빨리 응고되고, 실러 팩을 과도하게 가열하였을 경우에는 실러의 점도가 급격히 낮아지므로, 실러 도포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수동 도포건을 통해 실러를 차체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실러의 응고가 시작되므로, 작업자의 빠른 작업과 높은 숙련도의 작업을 요구하게 되며, 응고된 실러를 폐기하는데 따른 환경 오염과 원가 낭비의 요소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수동 도포건을 통한 에어 압력의 개폐 정도에 따라 실러를 도포하게 되므로, 실러의 토출이 정지된 상태에서 에어의 잔압이 수동 도포건에 잔류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미량의 실러가 도포건을 통해 계속적으로 토출되어 토출구를 세정해야 하는 등 수동 도포건의 세정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종래 기술에서는 실러 팩을 수동 도포건에 장착한 상태로 실러의 도포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실러 팩의 무게를 유지하는 자세를 취하면 서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되고, 작업자의 근골격 질환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대형 버스의 의장 라인에서 실러를 중앙 공급 방식으로 공급하고 그 실러의 공급 경로에서 실러를 가온하여 차체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는, ⅰ)에어 모터, 하부 펌프, 인덕트 플레이트 및 램으로서 구성되어 실러 드럼 내부의 실러를 압송하기 위한 실러 펌프유닛과, ⅱ)상기 실러 펌프유닛의 작동으로서 실러 배관 및 실러 호스를 통하여 압송되는 상기 실러를 작업자에 의한 레버의 수조작으로서 차체로 도포하는 수동건과, ⅲ)상기 실러 펌프유닛과, 상기 실러 호스와, 상기 수동건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실러를 히팅시켜 주는 히팅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러 펌프유닛은 상기 에어 모터의 공급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실러의 토출량을 실질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에어 레귤레이터와, 상기 실러 배관 상에 설치되어 그 실러 배관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를 제거하기 위한 실러 드레인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팅유닛은 상기 하부 펌프의 몸체와, 상기 하부 펌프의 토출부와,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와, 상기 실러 호스와, 및 상기 수동건에 각각 설치되어 전기적인 저항으로서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발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동건은 상기 레버의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실러 펌프유닛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에 의하면, 대형 버스의 의장 라인에서 실러를 중앙 공급 방식으로 공급하고 그 실러의 공급 경로에서 실러를 가온하여 차체에 도포할 수 있으므로, 사이드 글라스의 실링 작업 능력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는 사이드 글라스의 실링 품질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러 펌프유닛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실러 도포장치(100)는 대형 버스 차체로 실러를 도포하고, 사이드 글라스를 부착하기 위한 대형 버스의 의장 라인에 적용된다.
이러한 실러 도포장치(100)는 사이드 글라스의 실링 작업시 작업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이드 글라스의 실링 품질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100)는 크게 실러 펌프유닛(10)과, 수동건(30)과, 히팅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러 펌프유닛(10)은 실러 드럼(1)에 들어있는 실러를 압송하기 위한 보조 기구로서, 수평을 이루는 바닥에 장착된다.
이러한 실러 펌프유닛(10)은 양측에 두개의 램 실린더(3, 5)를 가지고 있고, 두개의 램 실린더(3, 5) 사이에는 두개의 가이드(7, 9)가 형성되어 있으며, 램 실린더(3, 5)와 가이드(7, 9)의 상부에는 상판부(11)가 연결된다.
상기 상판부(11)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가이드(7, 9)사이에는 에어 모터(13)가 설치되고, 에어 모터(13)의 동작에 따라 상하 운동을 하도록 그 에어 모터(13)의 하측에는 에어모터 샤프트(15)가 연결된다.
상기 에어모터 샤프트(15)의 하단에는 하부 펌프(17)가 설치되며, 높은 실러유압을 얻기 위하여 그 하부 펌프(17)의 하단에는 인덕트 플레이트(19)가 설치되고, 우측의 램 실린더(5)에는 공압유닛(18)이 설치된다.
따라서 공압유닛(18)을 통해 램 실린더(3, 5)를 작동시켜 상판부(11)를 상승 시키게 되면, 상판부(11)와 연결되어 있는 인덕트 플레이트(19)도 함께 상승한다.
이 경우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9)의 상승 높이가 실러 드럼(1)의 높이 만큼 되면 공압유닛(18)을 조작하여 램 실린더(3, 5)의 작동을 멈추게 한다.
그리고 상기 램 실린더(3, 5)의 작동이 멈추면 실러 드럼(1)을 램 실린더(3, 5) 사이에 셋팅하고, 공압유닛(18)을 조작하게 되면 상판부(11)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9)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상기 상판부(11)가 하강함에 따라 인덕트 플레이트(19)는 실러가 담겨있는 실러 드럼(1) 내부로 삽입되며, 이때 실러 드럼(1) 내부의 실러와 인덕트 플레이트(19)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압축된다.
상기 공기의 압축으로 인해 인덕트 플레이트(19)의 하강이 잠시 멈춰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압축 공기를 제거하면 인덕트 플레이트(19)는 계속해서 하강하게 된다.
이에,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9)가 계속해서 하강함에 따라 실러는 상기 인덕트 플레이트(19)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하부 펌프(17)로 유입된다.
상기 실러 드럼(1) 내부의 실러가 하부 펌프(17)으로 유입될 때, 공압유닛(18)을 통해 유입된 압축 공기에 의해 에어 모터(13)는 작동하게 되고, 상기 에어 모터(13)가 작동하게 됨에 따라 에어모터 샤프트(15)는 상하 운동을 하게된다.
상기 에어모터 샤프트(15)의 상하운동으로 실러 드럼(1) 내부의 실러가 하부 펌프(17)로 유입됨은 물론, 유입된 실러는 실러 배관(L1) 및 실러 호스(L2)를 통해 배출된다.
도면에서 미설명된 참조 부호 61은 에어 모터(13)로 제공되는 에어를 차단하기 위한 통상적인 구조의 에어 볼밸브를 나타내며, 63은 하부 펌프(17)로부터 토출되는 실러를 차단하기 위한 통상적인 구조의 고압 볼밸브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실러 펌프유닛(10)은 에어 모터(13)의 공급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실러의 토출량을 실질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에어 레귤레이터(21)와, 실러 배관(L1) 상에 설치되어 그 실러 배관(L1)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를 제거하기 위한 실러 드레인 밸브(23)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동건(30)은 실러 호스(L2)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실러 펌프유닛(10)의 작동으로서 실러 배관(L1) 및 실러 호스(L2)를 통해 압송되는 실러를 작업자에 의한 수조작으로서 차체로 도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동건(30)은 기본적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실러 호스(L2)와 연결되는 건 몸체(31)와, 작업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건 몸체(31)에 형성되는 핸들(33)과, 건 몸체(31)의 단부에 설치되어 실러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35)과, 건 몸체(31)에 회동 가능하게 탄성 지지되는 레버(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수동건(30)은 작업자가 핸들(33)을 파지한 상태로 레버(37)를 잡아 당기면 분사 노즐(35)을 통해 실러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레버(37)를 놓으면 실러의 토출이 중단되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에서와 같은 수동건(30)에는 레버(37)의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유닛(41)이 구비되는 바, 이 감지유닛(41)은 건 몸체(31)에 설치되는 감지 도그(43)와, 감지 도그(43)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미도시)로 출력하는 감지 센서(45)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어기(미도시)는 본 장치(100)의 전반적인 운용을 제어하게 되는 바, 레버(37)의 조작에 따른 감지 센서(45)의 감지 신호를 제공받아 그 감지 신호에 따라 실러 펌프유닛(1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팅유닛(50)은 실러 드럼(1)에 들어 있는 고점도의 실러 및 실러 펌프유닛(10)을 통해 수동건(30)으로 공급되는 실러에 열을 가하여 그 실러의 점도를 낮추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히팅유닛(50)은 하부 펌프(17)의 펌프 몸체(17a), 그 펌프 몸체(17a)의 실러 토출부(17b), 인덕트 플레이트(19), 실러 호스(L2) 및 수동건(30)의 건 몸체(31)에 각각 구성되는 전기 발열체(51)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 발열체(51)는 전기적인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게 된다.
이 경우 펌프 몸체(17a)에 설치되는 전기 발열체(51)는 밴드 히터로서 구비되고, 펌프 몸체(17a)의 실러 토출부(17b) 및 인덕트 플레이트(19)에 설치되는 전기 발열체(51)는 파이프 히터로서 구비되며, 실러 호스(l2)에 설치되는 전기 발열체(51)는 실리콘 히터로서 구비되고, 수동건(30)의 건 몸체(31)에 설치되는 전기 발열체(51)는 막대 히터로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에 의하면, 상기한 전기 발열체(51)가 기설정된 온도 범위로 예열된 상태에서, 실러 드럼(1)에 들어 있는 실러는 실러 펌프유닛(10)의 작동으로서 실러 배관(L1) 및 실러 호스(L2)를 통해 수동건(30)까지 압송된다.
이 상태에서 실러 드레인 밸브(23)를 조작하여 실러 배관(L1) 내부의 에어를 제거하고 수동건(30)의 레버(37)를 당기게 되면, 감지 센서(45)는 이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미도시)로 출력한다.
그러면, 실러 펌프유닛(10)은 제어기(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펌핑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실러는 실러 펌프유닛(10)의 펌핑 작동으로서 수동건(30)의 분사 노즐(35)을 통해 차체로 분사된다.
이 경우 수동건(30)을 통한 실러의 토출량은 에어 레귤레이터(21)을 조작하여 에어 모터(13)의 공급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제어된다.
그리고 실러 드럼(1)에 들어 있는 고점도의 실러 및, 그 실러 드럼(1)으로부터 수동건(30)으로 압송되는 실러는 전기 발열체(51)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그 점도가 낮아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차체에 대한 실러의 도포 작업을 완료한 후, 수동건(30)의 레버(37)를 놓게 되면 그 레버(37)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되고, 감지 센서(45)는 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미도시)로 출력한다.
그러면, 실러 펌프유닛(10)은 제어기(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펌핑 작동을 멈추게 되고, 실러는 수동건(30)의 분사 노즐(35)을 통해 더 이상 분사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실러 펌프유닛(10)을 통해 압송되는 실러를 히팅유 닛(50)으로서 가온한 상태로 수동건(30)을 통해 차체로 도포할 수 있으므로, 실러가 담긴 실러 팩을 간접 가열하고 에어를 통해 그 실러를 차체로 도포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사이드 글라스의 실링 작업 능력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는 사이드 글라스의 실링 품질 및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러 펌프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동건을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Claims (4)

  1. 에어 모터, 하부 펌프, 인덕트 플레이트 및 램으로서 구성되어 실러 드럼 내부의 실러를 압송하기 위한 실러 펌프유닛;
    상기 실러 펌프유닛의 작동으로서 실러 배관 및 실러 호스를 통하여 압송되는 상기 실러를 작업자에 의한 레버의 수조작으로서 차체로 도포하는 수동건; 및
    상기 실러 펌프유닛과, 상기 실러 호스와, 상기 수동건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실러를 히팅시켜 주는 히팅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러 펌프유닛은,
    상기 에어 모터의 공급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실러의 토출량을 실질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에어 레귤레이터와, 상기 실러 배관 상에 설치되어 그 실러 배관의 내부로 유입된 에어를 제거하기 위한 실러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유닛은,
    상기 하부 펌프의 몸체와, 상기 하부 펌프의 토출부와, 상기 인덕트 플레이 트와, 상기 실러 호스와, 및 상기 수동건에 각각 설치되어 전기적인 저항으로서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 발열체를 포함하는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건은 상기 레버의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실러 펌프유닛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그 작동이 제어되는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
KR1020080029859A 2008-03-31 2008-03-31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 KR20090104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859A KR20090104438A (ko) 2008-03-31 2008-03-31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859A KR20090104438A (ko) 2008-03-31 2008-03-31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438A true KR20090104438A (ko) 2009-10-06

Family

ID=41534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859A KR20090104438A (ko) 2008-03-31 2008-03-31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44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351A (ko) 2014-06-13 2017-02-21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감광성 수지 조성물, 레지스트 적층체 및 이들의 경화물 (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351A (ko) 2014-06-13 2017-02-21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감광성 수지 조성물, 레지스트 적층체 및 이들의 경화물 (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07578B (zh) 一种木材表面纹路成型喷漆自动化设备
CN106345645A (zh) 船舶外板爬壁拖涂式机器人及其作业方法
CN206158123U (zh) 一种砂浆喷抹机器人
CN106409717B (zh) 一种晶圆撕金去胶清洗装置
CN104138879B (zh) 一种冲压件拉延塑料薄膜碎屑自动清理装置
CN204826565U (zh) 一种压力负载反馈墙壁喷涂装置
CN113235383A (zh) 一种道路桥梁划线装置
CN107081238A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静电粉末喷涂机
WO2002078926A1 (fr) Procede de moulage d'element en resine et dispositif de moulage par injection
KR20090104438A (ko) 대형 버스용 사이드 글라스 실러 도포장치
CN106000732A (zh) 丝扣油自动涂抹装置
CN104989080A (zh) 一种压力负载反馈墙壁喷涂装置
CN208303107U (zh) 一种喷涂机
KR20110135017A (ko) 실러 공급 장치
KR20080088055A (ko) 멤브레인 가스선 화물창의 스트립 반자동 접착장치 및제어방법
KR100969380B1 (ko) 실러 도포장치
KR101379295B1 (ko) 실러 도포 제어장치 및 방법
JP6655887B2 (ja) 格納装置に流体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対象物を駆動または移動するための組立体、タイヤ用の昇降装置、格納装置に流体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車輪またはタイヤを昇降するための方法
CN206408506U (zh) 一种灌缝枪
CN103225400B (zh) 沥青喷涂及油毡覆盖一体车及其喷涂覆盖方法
WO2004082847A1 (ja) 静電塗装方法および静電塗装装置
CN206154123U (zh) 靶材喷涂、修复表面增粗辅助治具
CN213859776U (zh) 一种胶合板生产用均匀涂胶装置
KR20020096029A (ko) 바디 판넬을 보강하기 위한 수동 씰러 도포 장치
KR101375096B1 (ko) 실러 도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