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737B1 -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과 이것의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과 이것의 평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95737B1 KR100595737B1 KR1019990041118A KR19990041118A KR100595737B1 KR 100595737 B1 KR100595737 B1 KR 100595737B1 KR 1019990041118 A KR1019990041118 A KR 1019990041118A KR 19990041118 A KR19990041118 A KR 19990041118A KR 100595737 B1 KR100595737 B1 KR 1005957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barrier
- barrier function
- recovery
- skin
- fragr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7—Perfumes having both deodor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 향료를 적용하지 않은 계에서 모델 실험 동물에게 소정의 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동물의 피부 보호막 기능을 저하시키는 단계, 이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에 관한 데이타를 지표로 사용하는 단계, 및 이 데이타와 시험 향료를 적용한 계에서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에 관한 데이타 간의 차이에 의해 그 시험 향료의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를 통해 평가했을 때 효과적인 향료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 1은 낯선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가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예시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2는 향료(단일 화합물)를 사용함으로써 피부 보호막 기능의 저하를 회복시키고 그 회복 성능을 더 향상시킨 결과를 예시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향료(조성물)를 사용함으로써 피부 보호막 기능의 저하를 회복시키고 그 회복 성능을 더 향상시킨 결과를 예시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인공 스위트 바이올렛 향료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관한 차트이다.
도 5는 스트레스를 전혀 가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스트레스를 전혀 가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가 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스트레스를 가한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스트레스를 가한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가 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과 이것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효 성분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로마요법(aromatherapy)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부작용이 비교적 적은 치료법으로서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이러한 요법은 규명되지 않은 기후 증후군, 자율신경 불균형 및 스트레스 원인으로 인한 기타 심신 질환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서 주목 받고 있다. 다양한 증상을 경감시키는 아로마요법 제제로는 각종 향료가 알려져 있다. 이들 중, 피부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여겨지는 향료가 존재한다.
그러나, 그것의 효과는 대부분 경험상 판단된 것이므로 불분명하다. 따라서, 분명하고 특이적인 약리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향료는 소수에 불과하다. 특히, 이들향료는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또는 향상에 특히 효과적인 의약품 또는 제제로서 제안된 적이 없었다.
또한, 향료의 생리학적 작용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자주 수행되고 있지만, 향료의 향을 흡입함으로써 피부 기능을 개선시킨다는 점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고, 그런 향료의 유효성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 방법도 마찬가지로 전혀 없었다. 따라서, 향료가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또는 향상 제제로서 유효하다라고 밝히는 것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향료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과 이것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i) 테르피닐 아세테이트, 펜에틸 알콜 및 디메톡시메틸벤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 0.01 중량% 이상(이 중량%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및 (ii) 이들의 화장학적으로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i) 발레리안(valerian) 향료(fragrance), 스위트 바이올렛 향료 및 장미 향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 0.01 중량% 이상(이 중량%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임) 및 (ii) 이들의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열거한 단계를 포함하여 피부 보호막 기능을 회복시키는 시험 향료의 성능에 관한 유효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 향료를 적용하지 않은 계에서 모델 실험 동물에게 소정의 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동물의 피부 보호막 기능을 저하시키는 단계,
- 이 저하된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를 측정하고 그 데이타를 평가의 지표로 사용하는 단계,
- 향료를 적용한 계에서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에 관한 데이타를 측정하는 단계, 및
- 상기 2가지 유형의 계내에서 측정한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에 관한 데이타 간의 차이로 향료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단계.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연구자들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강도 높은 연구에 몰두한 결과, 모델 실험 동물에게 특정 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동물의 피부 보호막 기능의 저하를 유발시킨 경우, 향료를 흡입시키지 않은 대조 동물과 특정한 향료를 흡입시킨 시험 동물 간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성능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들 특정한 향료가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로서 우수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동물"이란 용어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전형적인 예로는 마우스, 래트, 기니아 피그 등을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은 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테르피닐 아세테이트 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0 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은 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펜에틸 알콜 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0 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은 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디메톡시메틸벤젠 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0 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은 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발레리안 향료 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0 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은 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스위트 바이올렛 향료 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0 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은 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장미 향료 0.01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내지 100 중량%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막 기능을 회복시키는 향료의 성능에 관한 유효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시험 향료를 적용하지 않은 계에서 모델 실험 동물에게 소정의 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동물의 피부 보호막 기능의 저하를 유발시키는 단계, 이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에 관한 데이타를 평가의 지표로 사용하는 단계, 및 이 데이타와 시험 향료를 적용한 계에서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에 관한 데이타와의 차이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막 기능을 회복시키는 향료의 성능에 관한 유효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하기 (A) 단계 내지 (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지연이 유의적으로 인식될 정도의 스트레스를 마우스, 래트 또는 기니아 피그에게 가함으로써 그 스트레스를 가한 동물에게서 소정의 피부 보호막 기능의 저하를 유발시키는 단계,
(B) 이 기능 저하가 일어난 부위에서의 경표피 수분 손실량(TEWL)을 일정한 시점에서 측정하는 단계, 및
(C) 시험 향료를 적용하지 않은 동물(대조 동물)에 대하여 (B) 단계에서 얻은 데이타를, 시험 향료를 적용한 동물의 데이타와 비교하고, 그 차이를 피부 보호막 기능을 회복시키는 성능에 있어 시험 향료의 유효성으로 평가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막 기능을 회복시키는 향료의 성능에 관한 유효성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험 향료를 적용하는 방법은 흡입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는 상기 평가 방법에 의해 유효한 것으로 평가되는 향료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과 이것의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과 이것의 평가 방법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
본 발명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는, 피부 보호막 기능의 저하로 인해 유발되는 불량한 피부 상태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에 효과적인 특정한 향료를 냄새 수용체를 자극시키거나 호흡관을 통해 체내로 흡입시키기에 유효한 양으로 함유한다. 특정한 향료로서 단일 화합물의 예로는, 테르피닐 아세테이트, 펜에틸 알콜 및 디메톡시메틸벤젠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함께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기타 향료와 배합하여 다성분 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성분 향료 조성물의 예로서는, 발레리안 향료, 스위트 바이올렛 향료 및 장미 향료를 들 수 있다. 이들 향료는 천연 조성물 형태 또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들을 재연한 인공 조성물 형태로 본 발명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의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레리안 향료로서는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Valeriana officinalis) 또는 이와 밀접하게 연관된 종들인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 엘. 바르 라티폴리아 미끄[Valeriana officinalis L. var latifolia Miq.(V. japonica Makino)], 발레리아나 파우리에이 포르마 예조엔시스(Valeriana fauriei forma yezoensis), 발레리아나 왈리치 디. 씨.(Valeriana wallichii D.C.) 등의 뿌리와 줄기를 공지된 방법(예, 증기 증류법 또는 용매 추출법)에 의해 얻어지는 정유(精油; essential oil)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레리아나 오피시날리스 및 이와 밀접하게 연관된 종들로부터 추출한 정유는 발레리안 오일 및 케쏘(kesso) 뿌리 오일(일본산 발레리안 오일)로서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향료는 이들 향료의 원산지가 일본, 중국, 유럽 등인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미심사) 공개 제1-254628호에 개시되어 있는 천연 조성물로부터 진공 증류법에 의해 얻어지는 발레리안 오일 분획도 본 발명에 따른 발레리안 향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기 설명된 바와 같이,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는 지방산 및 기타 산성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개질된 발레리안 오일도 본 발명에 따른 발레리안 향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개질된 발레리안 오일은 발레리안 오일로부터 알칼리 처리에 의해 지방산을 비롯한 산성 성분들을 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 발레리안 오일은 1종 이상의 유형, 일반적으로는 여러가지 유형의 지방산을 함유한다. 특히, 아세트산 및 이소발레르산을 포함한다.
개질된 발레리안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먼저 지방산을 함유하는 발레리안 오일을 유기 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테르 중에 용해시킨다. 이어서, 여기에 알칼리 수용액을 첨가하고 추출 조작을 통해 지방산을 함유하는 산성 성분들을 추출하여 회수한다. 알칼리 수용액으로서는 무기 염기인지 또는 유기 염기인지의 여부와는 상관 없이 일반 추출 조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더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유기 용매 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등으로 건조시킨 후, 유기 용매를 진공 중에서 증류시켜 제거함으로써 지방산을 제거하여 개질시킨 발레리안 오일을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개질된 발레리안 오일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효과는 알칼리 처리에 의해 손상되지 않으며 처리 전의 발레리안 오일의 효과보다 더 크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발레리안 오일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효과를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그와 같이 개질된 발레리안 오일을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매우 유용한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트 바이올렛 향료로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비올라 오도라타 엘.(Viola odorata L.)의 잎 또는 꽃으로부터 증기 증류법 또는 용매 추출법에 의해, 또는 그것의 생화 또는 생엽으로부터 헤드 스페이스에서의 트래핑에 의해 얻어지는 정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위트 바이올렛은 그 원산지가 프랑스, 일본 등 인지와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천연 스위트 바이올렛 정유 또는 그것의 생화 또는 생엽의 헤드 스페이스에서의 트래핑으로부터 분석한 성분을 토대로 하여 인공적으로 재연한 스위트 바이올렛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미 향료로서는 공지된 정유, 즉 표준 상품 등급의 정유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류법, 추출법 또는 기타의 방법에 의해 천연 장미로부터 얻어지는 정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천연 장미꽃에서 얻은 정유로부터 분석한 성분을 토대로 하여 인공적으로 재연한 장미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향료를 포함하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는 부형제, 희석제 또는 향료 제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유효 성분을 혼입시킴으로써 제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향수(perfume), 화장수(cologne), 실내 정화제(room freshener)와 같은 향료 제품, 로션, 크림, 비누, 치약, 에어로졸 제품과 같은 화장품, 또는 향료와 같은 기타 일반 의약품에 통상 사용되는 기타 다른 임의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흡입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 내에 존재하는 특정 향료의 함량은 흡입을 통해 피부 보호막 기능을 회복 또는 향상시키기에 충분한 효과를 부여하는 양이어야 한다. 이것은 사용 형태 및 의약품(향료)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0.01 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함량보다 적으면, 경우에 따라서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그러한 향료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전술한 바를 토대로 피부 보호막 기능의 저하 또는 피부 질환 등을 치료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는 부작용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은 화장학적으로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예, 벤질알콜과 같은 알콜,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등) 및 임의의 통상적인 첨가제(예, 보습제, 계면활성제, UV 흡수제, 항산화제, 보조제 항진균제, 착색 안료, 증량 안료 등)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에 관한 유효성은 다음과 같은 평가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
평가 방법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델 실험 동물은 사람을 제외한 각종 시험용 실험 동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동물들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는 한 어 떠한 동물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래트, 기니아 피그, 토끼 등을 사용한다.
이들 동물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효과적인 수단에 의해 제공되어지는 스트레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속에 의한 스트레스, 과밀도에 의한 스트레스 및 새로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를 포함한다. 구속에 의한 스트레스를 가하는 방법은, 예컨대 문헌[Pare,
W.P. Glavin, G.B., (1986), Neurosci. Biobehav-Rev. 10, pp. 339∼370]에 기재된 방법을 기본으로 할 수 있다. 래트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방법을 요약하면, 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동물을 한 마리씩 가요성 와이어 메쉬 등으로 포장한 후, 소정의 기간 동안 움직이지 않게 하고, 이와 동시에 그 기간 동안 피부에 손상을 입히지 않도록 주의함으로써 가할 수 있다.
한편, 마우스에 과밀도에 의한 스트레스를 가하는 경우에는 보통 마우스를 하나의 우리(17 ×28 cm2)에 5 마리씩 사육시킨다. 스트레스는 이와 동일한 크기의 우리에 사육시키는 동물의 수를, 특히 최대 10 마리까지 증가시킴으로써 가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경우에는 동물을 익숙한 환경에서 낯선 환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우스의 경우에 있어서는 하나의 우리(17 ×28 cm2)에서 정상적인 4 마리의 다른 마우스와 함께 사육시킨 마우스를 하나의 우리에 한 마리씩 사육하는 환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동물에게서 스트레스 상태를 유발시키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가해야 한다. 그러나, 스트레스가 불충분하게 가해질 때, 경우에 따라서는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에 관한 성능이 대조군 동물의 성능과 크게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가한 동물은 스트레스 상태에 도달한 후(즉, 스트레스의 영향을 알 수 있는 상태), 피부 보호막 기능을 저하시키는 수단에 의해 처리한다. 그 수단은 피부 보호막 기능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의 형식은 중요하지 않다. 이러한 기능 저하를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테이프 스트리핑법에 의한 표피 각막 층을 제거하거나 또는 계면활성제(예, 황산도데실나트륨(SDS)) 또는 유기 용매(예, 아세톤)로 처리함으로써 각막 층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 래트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처리를 수행하기에 적절한 시점은 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을 완료한 지 약 12 시간이 경과한 후 실험 동물이 충분한 스트레스 상태에 도달하였다고 확신하는 때가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 보호막 기능을 저하시킨 부위에서의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는 경시적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감지한다. 기능 저하가 유발되는 부위는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한 실험 동물의 어떠한 부위라도 가능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귀의 돌출하는 바깥 부분인 이개(耳介)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하는 방법은 경표피 수분 손실량 또는 경피 무감감 발한량(이하에서는 "TEWL(transdermal insensible perspiration)"로 칭함)을 측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피부 보호막 기능의 지표로서 고려되지만, 또한 지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기타 다른 요소들도 사용할 수 있다. TEWL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시판용 장비로 측정할 수 있다. 전형적인 장비로서는, 증발계, 테바미터(Tevameter), 미코모이스춰 측정기(Micomoisture measurer)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작은,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실험 동물에게 반복하여 수행하고, 유사한 방식으로 얻은 TEWL 수치는 스트레스를 가한 실험 동물의 TEWL 수치와 비교한다. 예를 들어, 실험 동물로서 레트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 보호막 기능을 저하시키 전에는 스트레스를 가한 실험 동물과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실험 동물의 TEWL 및 표피 온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전혀 관찰될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험 동물의 TEWL 수치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전혀 관찰할 수 없다.
즉, 실험 동물의 스트레스와 TEWL 수치 사이에는 어떠한 상관 관계도 전혀 관찰될 수 없다. 구체적으로, 상기 TEWL 수치의 회복 정도는 대조군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스를 가한 동물에서 현저히 지연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막 기능을 회복시키는 성능은 회복 정도의 지연 현상을 기본으로 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평가 방법과 함께 향료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향료로 인한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를 평가함으로써 향료가 피부 보호막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그 기능의 회복을 향상시키는 데 얼마만큼 도움이 되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마우스에 시험 향료를 적용하는 방법은 일정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충분한 양을 충분한 시간 동안 흡입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낯선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경우에서는, 향료를 페트리 접시 내에 놓인 여과지 상에 적하시킨 후, 이것을 와이어 메쉬로 포장하여 마우스 우리에 넣는다. 마우스를 낯선 환경으로 이동시키기 전과 후에 그 향료를 24 시간 동안 흡입시킨다. 필요한 경우에는 더 많은 향료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평가 방법에 따르면, 특정한 향료가 스트레스에 의해 저하된 피부 보호막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그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작용을 하는지, 그리고 그 향료가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데 유용한지를 평가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예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먼저 본 발명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의 평가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 새로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를 가한 실험
5 마리의 무모 마우스를 1개의 우리(17 ×28 cm2)에서 10 일 동안 사육시켰다. 9 일째 되는 날 아침, 스테인레스 강 메쉬로 덮힌 우리 안에 향료에 함침시킨 여과지를 넣었다. 다음날 아침, 각각의 마우스를 별도로 동일한 크기의 새로운 우리에 옮겨 넣었다. 이 새로운 우리에는 동일한 향료를 동일한 방식으로 미리 넣어 두었다.
실시예 2 : 피부 보호막의 저하 및 회복율
새로운 우리로 옮긴 후 1일이 지난 다음, 마취시킨 마우스의 측면부(또는 심이부)의 TEWL 수치를 증발계 EP-1(ServoMed Co. 제품)로 측정하였다(즉, 이 시점에서 측정한 수치를 "A"라고 표시함). 다음, 피부 보호막 기능을 테이프 스트립핑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즉, 피부 보호막 기능의 저하를 유발시키기 위해, 접착 테이프 조작을 동물의 측면부(또는 심이부)에 부착시키고[귀의 경우에는 1 ×1 cm2로 부착시키고, 측면부(또는 체부)의 경우에는 2 ×3 cm2 로 부착시킴], 표피에 손상을 일으키는 일이 없이 그 테이프 조각을 조심스럽게 박리시켰다(즉, 테이프 스트립핑법). 이 시점에서 TEWL 수치를 한 번 더 측정하였다(즉, 이 시점에서 측정한 수치를 "B"라고 표시함). 3 시간이 지난 후, TEWL 수치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수치를 "C"라고 표시하였다. 이어서, 차단의 회복율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A : 피부 보호막 기능의 저하 처리(즉, 테이프 스트립핑법) 직전에 측정한 TWEL 수치
B : 피부 보호막 기능의 저하 처리(즉, 테이프 스트립핑법) 직후에 측정한 TWEL 수치
C : 피부 보호막 기능의 저하 처리(즉, 테이프 스트립핑법)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측정한 TEWL 수치
다음, 낯선 환경에 의해 가해진 스트레스가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전술한 방법 1과 2에 따라 검사하였다. 우리에 1 마리로서 계속 사육시킬 동물(즉, 대조 동물), 우리에 5 마리로 계속 사육시킬 동물(대조 동물), 및 5마리 우리에서 1마리 우리로 옮길 동물(즉, 스트레스를 가한 동물)을 처리하여 이들 동물의 피부 보호막 기능을 저하시켰다. 처리하고 3 시간이 경과한 후 전환된 차단 회복율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실험은 향료를 함유하지 않은 계에서 수행하였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로부터, 스트레스를 가한 동물의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는 대조 동물의 회복 정도보다 현저하게 더 느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 향료가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에 미치는 영향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및 향상에 미치는 향료의 유효성은, 실시예 1의 스트레스를 시험 향료의 존재 하에서 무모 마우스에 가하고 실시예 2의 피부 보호막의 회복율로 평가하였다.
다음, 테이프를 제거하고 3 시간이 경과한 후의 차단 회복율을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 검토하였다.
대조군 실험과 같이, 차단 회복율은 향료를 전혀 함유하지 않은 계에서 우리에 5 마리로서 계속 사육시키고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정상 마우스와 스트레스를 가했지만 이후에 향료를 흡입시키지 않은 미처리된 마우스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평가 방법에 의해 유효성을 가지고 있다고 확신되는 향료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일 화합물(단일 화학 물질)
실시예 3의 평가 방법에 의해 얻어진 단일 화합물의 피부 보호막 회복율을 도 2에 도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 대조 실험과 같이, 동일한 절차를 주성분으로서 쟈스민 향료인 피톨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마우스에 의한 향료의 흡입량은 페트리 접시내의 여과지 상에 각각의 단일 화합물 200 ㎕씩을 도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하였다.
향료(단일 화합물) |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의 효과 |
테르피닐 아세테이트 | 유 |
펜에틸 알콜 | 유 |
디메톡시메틸벤젠 | 유 |
피톨 | 무 |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미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테르피닐 아세테이트, 펜에틸 알콜, 및 디메톡시메틸벤젠에서는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및 향상의 효과가 얻어졌다. 또한,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의 효과를 주성분인 쟈스민 향료, 즉 피톨에 대해서는 전혀 얻을 수 없었다.
그러므로, 테르피닐 아세테이트, 펜에틸 알콜, 및 디메톡시메틸벤젠이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로서 유효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향료 조성물(향료 화합물)
다음, 실시예 3의 평가 방법에 의해 얻은 다성분계 조성물의 피부 보호막 회복율을 도 3에 도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마우스에 의한 향료 조성물의 흡입량은 페트리 접시 내의 여과지 상에 단일 화합물 200 ㎕씩을 도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하였다. 비교 대조 실험에서와 같이, 주성분(14% 내지 15%)으로서 피톨를 함유하는 쟈스민에 대하여 동일한 절차를 수행하였다.
향료(조성물) |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의 효과 |
천연 발레리안 | 유 |
개질된 발레리안 | 유 |
천연 스위트 바이올렛 | 유 |
인공 스위트 바이올렛 | 유 |
천연 장미 | 유 |
인공 장미 | 유 |
천연 쟈스민 | 무 |
상기 표 2에 있어서, 발레리안 향료로서는 천연 정유와 상기 설명한 개질된 발레리안을 사용하였다.
또한, 사용된 천연 스위트 바이올렛 향료는 꽃으로부터 유도된 스위트 바이올렛 정유였다. 사용된 인공 스위트 바이올렛 향료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 스펙트로스코피(GC-MS)에 의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천연 정유를 재연하는데 함유된 단일 화합물들을 배합한 조성물이었다. 도 4는 재연된 향료 조성물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관한 차트이다. 도 3은 그 결과로서 얻어진 조성물을 나타낸 것이다. GC-MS 측정 조건을 다음과 같이 하였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GC-MS 분석 조건
모델 : G1800A GCD(휴렛 팩커드 컴파니, 리미티드 제품)
칼럼 : HP-INNOWAX(60 m ×0.25 mm)(휴렛 팩커드 컴파니, 리미티드 제품)
칼럼 온도 : 70℃ →245℃(4℃/분씩 상승)
담체 기체 : He(1.0 ㎖/분)
화합물의 명칭 | GC 함량(%) |
리모넨 | 0.16 |
트랜스-2-헥센알 | 0.18 |
1-헥실 아세테이트 | 0.23 |
시스-3-헥세닐 아세테이트 | 3.09 |
트랜스-2-헥세닐 아세테이트 | 0.11 |
1-헥산올 | 0.28 |
p-시멘 | 0.16 |
시스-3-헥센올 | 0.78 |
1-옥텐-3-올 | 4.36 |
2-에틸헥산올 | 0.34 |
리날롤 | 0.21 |
트랜스, 시스-2,6-노나딜 | 0.21 |
1,4-디메톡시벤젠 | 23.01 |
네릴 아세톤 | 0.12 |
디히드로-β-이오논 | 0.87 |
α-이오논 | 13.29 |
2-페닐에탄올 | 0.67 |
β-이오논 | 22.23 |
시스-쟈스몬 | 3.73 |
메틸 쟈스모네이트 | 2.09 |
벤질 벤조에이트 | 4.56 |
총량 | 80.70 |
또한, 사용된 천연 장미 향료는 일반 시판용인 장미 정유였다. 사용된 인공 장미 향료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효과를 갖는 것으로 인지된 화합물, 즉 디메톡시메틸벤젠과 펜에틸 알콜을 함유한 향료 조성물이었다. 인공 장미 향료는 하기 표 4에 제시된 성분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 양은 단위가 중량%임을 유의해야 한다.
인공 장미 향료 | 중량% |
디메톡시메틸벤젠 | 5 |
펜에틸 알콜 | 200 |
시스-3-헥센올 | 1 |
시스-3-헥세닐 아세테이트 | 2 |
벤질 알콜 | 15 |
시트로넬롤 | 100 |
네롤 | 25 |
게라니올 | 600 |
세라닐 아세테이트 | 20 |
시트로넬릴 아세테이트 | 4 |
시트랄 | 3 |
유게놀 | 5 |
파네솔 | 40 |
총량 | 1020 |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레리안, 스위트 바이올렛 및 추가의 장미로 구성된 향료 조성물의 피부 보호막 회복율은, 향료를 흡입하지 않은 미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보다 높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스위트 바이올렛 및 장미 향료의 결과를 참조할 경우, 피부 보호막 회복율은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에 유효한 향료 조성물이 천연물인지 또는 인공물인지의 여부와는 관계 없이 얻어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발레리안의 경우, 개질된 발레리안은 정상 마우스의 회복율과 동일한 정도로 높은 피부 보호막 회복율을 부여하고, 그 회복율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아로마요법에서 뿐만 아니라 피부 질환에 대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쟈스민은 피부 보호막 기능 효과를 갖지 못하였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발레리안, 스위트 바이올렛, 및 장미 향료 조성물은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로서 우수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그러한 효과는 스위트 바이올렛 및 장미 향료에서와 같이, 향료가 천연물인지 또는 인공물인지의 여부와 관계 없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반대로, 쟈스민의 경우에는, 향료가 아로마요법에서 피부에 대하여 유효함을 나타낸다고 할지라도 반드시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효과를 반드시 부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사람에게 미치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의 영향을 연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세가지 부류, 즉 기타 향료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정상 조건인 경우, 또 다른 향료를 첨가한 정상 조건인 경우, 및 또 다른 향료를 첨가하고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율을 저하시킨 경우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기타 향료를 전혀 첨가하지 않은 정상 조건인 경우(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경우)
6명(비흡연가)을 시험 피검자로 이용하였다. 측정은 이들을 2개의 군(1군 당 3명)으로 나누어 각각 "향료" 군과 "비향료" 군으로 구별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일단 전체 샘플을 측정한 후, "향료"에 대한 시험 피검자 군과 "비향료"에 대한 시험 피검자 군을 서로 교체하면서, 동일한 측정을 수행하였다. 향료의 적용 방법으로는 하기 표 5에 제시된 샘플 1의 용액 80 ㎕를 함유하는 코튼 단편을 코 아래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비(非)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의 경우에는 코튼 단편만을 코 아래에 부착시켰다.
샘플 1 | |
디메톡시메틸벤젠(DMMB) | 2.0 중량% |
에탄올(브루신 개질된 95% 에탄올) | 98.0 중량% |
총 | 100.0 중량% |
측정 절차
"향료" 군을 측정하는 절차는, 먼저 향료를 부착하고, 22℃의 환경 및 습도 50% 하에 1 시간이 경과한 후 테이프를 제거하여 피부 보호막 기능을 파괴시키고, 이어서 실시예 2에 따라 1.5 시간이 지난 후와 3 시간이 지난 후의 피부 보호막 회복율을 측정하였다.
"비향료" 군을 측정하는 절차는, 향료를 적용시키는 일 없이 "향료" 군의 측정 절차에 따라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군의 구별 | 0 시간 후 | 1.5 시간이 경과한 후 | 3.0 시간이 경과한 후 | ||
평균 | 표준 편차 | 평균(n=6) | 표준 편차 | ||
비향료 군 | 0% | 50.8% | 8.00% | 61.3% | 11.09% |
향료 군 | 0% | 63.1% | 8.63% | 74.5% | 8.78% |
상기 표 6의 결과로부터, DMMB 향료를 사용한 피부 보호막 회복율은 피부 보호막기능을 파괴시킨 후, 1.5 시간 지난 후와 3 시간이 지난 후의 양쪽 경우 모두 다 보다 높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DMMB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 다른 향료를 첨가한 정상 조건인 경우(스트레스를 전혀 가하지 않은 경우)
연령이 20∼22세인 건강한 여성(비흡연가, 월경 주기가 확인됨)을 시험 피검자로서 이용하였다. 측정은 이들을 2개의 군(1군 당 5명)으로 나누어 각각 "향료" 군과 "비향료" 군으로 구별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일단 전체 샘플을 측정한 후, "향료"에 대한 시험 피검자 군과 "비향료"에 대한 시험 피검자 군을 서로 교체하면서, 동일한 측정을 수행하였다. 향료의 적용 방법으로는 하기 표 7에 제시된 샘플 2의 용액 80 ㎕를 함유하는 코튼 단편을 코 아래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전혀 향료가 없는 경우에는 코튼 단편만을 코 아래에 부착시켰다.
샘플 2 | |
시트로넬롤 | 5.4 중량% |
리날롤 | 4.0 |
리날릴 아세테이트 | 4.0 |
디메톡시메틸벤젠(DMMB) | 2.0 |
게라닐 아세테이트 | 1.0 |
디히드로메틸 자스모네이트 | 35.0 |
후로랄계 향료 | 49.0 |
총량 | 100.0 |
측정 절차
"향료" 군을 측정하는 절차는, 먼저 향료를 적용하고, 22℃의 환경 및 습도 50% 하에 1 시간이 경과한 후 테이프를 제거하여 피부 보호막 기능을 파괴시키고, 이어서 실시예 2에 따라 1.5 시간이 지난 후와 3 시간이 지난 후의 피부 보호막 회복율을 측정하였다.
"비향료" 군을 측정하는 절차는, 향료를 적용시키는 일 없이 "향료" 군의 측정 절차에 따라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과 도 5에 나타내었다.
군의 구별 | 0 시간 후 | 1.5 시간이 경과한 후 | 3.0 시간이 경과한 후 | ||
평균 | 표준 편차 | 평균(n=6) | 표준 편차 | ||
비향료 군 | 0% | 58.1% | 14.6% | 67.4% | 14.7% |
향료 군 | 0% | 63.1% | 10.9% | 78.3% | 11.2% |
상기 표 8과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MMB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에 의해 제공되는 "향료" 군은 "비향료" 군과 비교했을 때, 개선된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율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음, 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DMMB를 함유한 향료 조성물의 영향은 피검체 스트레스(일반적인 활성 검사 목록)의 정도에 의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향료" 군에서는 "비향료" 군과 점수 면에서 비교하였을 때 스트레스가 전혀 저하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및 향상 제제는 피검체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크게 미치는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율을 저하시킨 경우(스트레스를 가한 경우)
연령이 20∼22세인 8명의 건강한 여성(비흡연가, 월경 주기가 확인됨)을 시험 피검자로서 이용하였다. 측정은 하기 표 9에 기재한 바와 같이, 이들을 (A) 대조군, (B) 스트레스 군 및 (C) 향료 + 스트레스 군으로 이루어진 3개의 군으로 구별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일단 전체 샘플을 측정한 후, 각각의 시험 피검체를 서로 교체하면서, 최종적으로 시험 피검체를 (A) 군, (B) 군 및 (C) 군에 대하여 모두 측정하였다.
군의 구별 | 스트레스 | 향료 |
(A) 대조군 | 무 | 무 |
(B) 스트레스 군 | 유 | 무 |
(C) 향료 + 스트레스 군 | 유 | 유(샘플 2 : DMMB 2%) |
향료를 상기 "기타 향료를 첨가한 정상적 조건인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시켰다. 모든 시험은 22℃와 50% 습도의 환경하에 수행하였다.
측정 절차
(A) 군의 측정 절차는 상기 언급한 "기타 향료를 첨가하지 않은 정상 조건인 경우"에서 "비향료" 군에 대한 절차를 기본으로 하였다.
(B) 군의 측정 절차는 상기 언급한 "기타 향료를 첨가하지 않은 정상 조건인 경우"에서 "비향료" 군에 대한 절차를 기본으로 하였지만, 테이프 제거에 의해 피부 보호막 기능을 파괴시킨 후 1.5 시간이 경과하여 피부 보호막 회복율을 측정하기 이전인 1 시간 전부터 시작하여 스트루프 시험(Stroop test)을 1 시간 동안 수행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가한 후 피부 보호막 회복율을 측정하였다.
(C) 군의 측정 절차는 상기 언급한 "기타 향료를 첨가한 정상 조건인 경우"에서 "비향료" 군에 대한 절차를 기본으로 하였지만, 테이프 제거에 의해 피부 보호막 기능을 파괴시킨 후 1.5 시간이 경과하여 피부 보호막 회복율을 측정하기 이전인 1 시간 전부터 시작하여 스트루프 시험을 1 시간 동안 수행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가한 후 피부 보호막 회복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0과 도 7에 나타내었다.
군의 구별 | 0 시간 후 | 1.5 시간이 경과한 후 | 3.0 시간이 경과한 후 | ||
평균(n=8) | 표준 편차 | 평균(n=8) | 표준 편차 | ||
(A) 대조군 | 0% | 73.6% | 8.89% | 81.6% | 8.80% |
(B) 스트레스 군 | 0% | 60.2% | 17.05% | 70.9% | 11.55% |
(C) 향료 + 스트레스 군 | 0% | 78.2% | 15.95% | 88.5% | 14.28% |
상기 표 10과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트레스를 가하고 DMMB를 함유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C) 향료 + 스트레스" 군은 "(B) 스트레스" 군과 비교했을 때, 개선된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율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C) 향료 + 스트레스" 군은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은 "(A) 대조군" 보다 훨씬 더 높은 피부 보호막 회복율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DMMB를 함유한 향료 조성물이 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피검체 스트레스(일반적인 활성 검사 목록)의 정도에 의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 향료 + 스트레스" 군에서는 "(B) 스트레스" 군과 점수 면에서 비교하였을 때 스트레스가 전혀 저하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는 피검체 스트레스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는 특정한 향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및 향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평가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향료가 피부 보호막 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단한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평가 방법은 피부 상태 개선 향료를 개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평가 방법에 의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는 향료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로서 유효하며, 피부 보호막 기능의 저하로 인한 피부 질환을 개선시킨다.
Claims (8)
- (i) 테르피닐 아세테이트, 펜에틸 알콜, 및 디메톡시메틸벤젠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 0.01 중량% 이상(이것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함)과,(ii) 이들의 임의의 화장학적으로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의 양이 0.5 중량% 내지 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
- (i) 발레리안 향료, 바이올렛 향료 및 장미 향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 0.01 중량% 이상(이것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함)과,(ii) 이들의 임의의 화장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제제의 양이 0.5 중량% 내지 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
- - 향료를 적용하지 않은 계에서 모델 실험 동물에게 소정의 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동물의 피부 보호막 기능을 저하시키는 단계,- 이 저하된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를 측정하고 그 데이타를 평가 지표로 사용하는 단계,- 향료를 적용한 계에서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에 관한 데이타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2가지 유형의 계에서 측정한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정도에 관한 데이타 간의 차이로부터 그 유효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막 기능을 회복시키는 시험 향료의 성능에 관한 유효성을 평가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A) 피부 보호막 기능의 회복 지연이 유의적으로 인식될 정도의 스트레스를 마우스, 래트 또는 기니아 피그에게 가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가한 동물의 소정의 피부 보호막 기능을 저하시키는 단계,(B) 이 저하된 부분에서의 경피 수분 손실량(TEWL)을 일정한 시점에서 측정하는 단계,(C) 시험 향료를 전혀 적용하지 않은 대조 동물에 대하여 (B) 단계에서 얻은 시험 데이타를, 시험 향료를 적용한 동물의 것과 비교하는 단계, 및(D) 그 차이를, 피부 보호막 기능을 회복시키는 성능 면에서의 시험 향료의 유효성으로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그 유효성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향료를 적용하는 방법이 흡입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5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평가된 피부 보호막 기능을 회복시키는 성능의 유효성을 갖는 향료를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7169298 | 1998-09-25 | ||
JP98-271692 | 1998-09-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23421A KR20000023421A (ko) | 2000-04-25 |
KR100595737B1 true KR100595737B1 (ko) | 2006-07-03 |
Family
ID=1750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41118A KR100595737B1 (ko) | 1998-09-25 | 1999-09-22 |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과 이것의 평가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315980B1 (ko) |
EP (1) | EP0988856B1 (ko) |
KR (1) | KR100595737B1 (ko) |
CN (1) | CN1160087C (ko) |
DE (1) | DE69930603T2 (ko) |
HK (1) | HK1029049A1 (ko) |
TW (1) | TW55008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06237A (ja) * | 1999-10-08 | 2003-07-22 | Shiseido Co Ltd | 皮膚免疫機能調節剤 |
US20050008663A1 (en) * | 2003-07-11 | 2005-01-13 | Lerma Shelah M. | Topical cream and method of making same |
DE10348680A1 (de) * | 2003-10-15 | 2005-05-12 | Hans Schwarzkopf & Henkel Gmbh | Mittel enthaltend Baldrian |
FR2874009B1 (fr) * | 2004-08-06 | 2006-12-01 | Tagasako Internat Corp | Utilisation d'alcoxybenzenes comme agent stimulateur sanguin |
JP4754860B2 (ja) * | 2005-04-13 | 2011-08-24 | 株式会社 資生堂 | 気化吸引用鎮静効果付与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気化吸引用鎮静剤組成物 |
US8962028B2 (en) | 2012-10-18 | 2015-02-24 | MiCal Pharmaceuticals LLC—H Series, a Series of MiCal Pharmaceuticals LLC, a Multi-Division Limited Liability Company | Topical steroid composition and method |
EP3288534B1 (en) | 2015-04-28 | 2020-09-23 | Symrise AG | Compositions comprising valerian extracts |
CN115554197A (zh) * | 2021-12-24 | 2023-01-03 | 宁波久瑞生物工程有限公司 | 一种舒缓修复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
CN118415897A (zh) * | 2023-01-31 | 2024-08-02 | 株式会社资生堂 | 一种外用皮肤屏障功能修护剂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505821A (en) * | 1975-04-01 | 1978-03-30 | Bush Boake Allen Ltd | Isolongifole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perfumery compositions |
EP0183436B1 (en) * | 1984-11-14 | 1991-07-03 |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 Method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for reduction of stress |
JP2652552B2 (ja) | 1988-04-05 | 1997-09-10 | 株式会社資生堂 | 意識水準を鎮静させる吸入投与用組成物 |
FR2658076B1 (fr) * | 1990-02-12 | 1992-06-12 | Sanofi Sa |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des copolymeres d'aminoacides, utile comme agent hydratant. |
DE4240674C2 (de) * | 1992-11-26 | 1999-06-24 | Schuelke & Mayr Gmbh | Desodorierende Wirkstoffe |
-
1999
- 1999-09-21 US US09/400,534 patent/US631598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9-22 KR KR1019990041118A patent/KR1005957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1999-09-23 TW TW088116393A patent/TW550085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9-09-24 CN CNB991224116A patent/CN1160087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9-24 DE DE69930603T patent/DE69930603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9-24 EP EP99402342A patent/EP098885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
- 2000-11-29 HK HK00107636A patent/HK1029049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60087C (zh) | 2004-08-04 |
EP0988856A3 (en) | 2001-11-14 |
US6315980B1 (en) | 2001-11-13 |
KR20000023421A (ko) | 2000-04-25 |
DE69930603D1 (de) | 2006-05-18 |
TW550085B (en) | 2003-09-01 |
HK1029049A1 (en) | 2001-03-23 |
CN1255367A (zh) | 2000-06-07 |
EP0988856B1 (en) | 2006-03-29 |
EP0988856A2 (en) | 2000-03-29 |
DE69930603T2 (de) | 2006-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cognamiglio et al. | Fragrance material review on phenylethyl alcohol | |
JP5067529B2 (ja) | 口腔用組成物 | |
EP1763373A1 (de) | Verwendung von 3-mercapto-3-methyl-hexan-1-ol als malodor-standard | |
KR100595737B1 (ko) | 피부 보호막 기능 회복 및 향상 조성물과 이것의 평가 방법 | |
JP4723738B2 (ja) | デオドラント剤 | |
BRPI0616826A2 (pt) | composições e métodos para neutralizar mau odor oral | |
JP3884808B2 (ja) | 口腔用組成物 | |
JP2013203701A (ja) | ジケトン作用抑制剤 | |
JP4071402B2 (ja) | 皮膚バリアー機能回復促進剤、およびその評価方法 | |
Tuetun et al. | Celery-based topical repellents as a potential natural alternative for personal protection against mosquitoes | |
JP6025442B2 (ja) | ジケトン作用抑制剤 | |
JP2007161660A5 (ko) | ||
JP3706614B2 (ja) | 口臭抑制用口腔組成物 | |
KR100797974B1 (ko) | 체취 감소용 소취제 조성물 | |
JP2007161662A5 (ko) | ||
KR102274838B1 (ko) | 비타민 f 함유 천연오일을 활용한 peg 및 인공방부제 프리 보습크림 | |
KR100797975B1 (ko) | 구취 억제 효능이 뛰어난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 |
JPH0640868A (ja) | 口腔用組成物 | |
JPH11189519A (ja) | エチケット消臭剤および体臭の消臭方法 | |
US8367049B2 (en) | Method and composition for reducing malodor in permanently waved hair | |
US20240284918A1 (en) | Insect repellent composition and a method of repelling insects | |
KR101033814B1 (ko) | 비누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랙헤드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
JP3001996B2 (ja) |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用消臭組成物 | |
JP2514916B2 (ja) | カリオフィラジエン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 |
Opdyke | Lavender oi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