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334B1 - 투명 주조 필름에 적합한 프로필렌 폴리머 - Google Patents

투명 주조 필름에 적합한 프로필렌 폴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334B1
KR100595334B1 KR1020007001087A KR20007001087A KR100595334B1 KR 100595334 B1 KR100595334 B1 KR 100595334B1 KR 1020007001087 A KR1020007001087 A KR 1020007001087A KR 20007001087 A KR20007001087 A KR 20007001087A KR 100595334 B1 KR100595334 B1 KR 10059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laminate
range
polydispersity index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2501A (ko
Inventor
베카리니엔리코
파키지오르지오
사르토리프랑코
Original Assignee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22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3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3/00Sausage casings
    • A22C13/0013Chemical composition of synthetic sausage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78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 B29C48/80Thermal treatment of the extrusion moulding material or of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by heating or cooling at the plasticising zone, e.g. by heating cylinders
    • B29C48/83Heating or cooling the cylinders
    • B29C48/832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29C48/914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cool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50Partial depolyme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10/0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 C08F2810/1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including a reactive processing step which leads, inter alia, to morphological and/or rheological modifications, e.g. visbre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5 내지 15 g/10 분 범위의 MFR, 4.5 내지 9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 대 수 평균 분자량의 비율, 0.9020 g/cm3 이상의 밀도, 및 실온에서 2.5 중량% 이하의 자일렌 중 용해도를 갖는 고결정성 프로필렌 폴리머로부터 제조되는 주조 적층물.

Description

투명 주조 필름에 적합한 프로필렌 폴리머 {PROPYLENE POLYMERS SUITABLE FOR TRANSPARENT CAST FILM}
본 발명은 고결정성 프로필렌 폴리머,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주조 적층물 (cast laminate)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머로부터 상기 적층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머는, 이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적층물이 상승된 온도에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의 전형적 성질인 강성(stiffness)과 같은 고도의 기계적 성질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광학적 성질, 특히 투명성 및 광택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특성과 사용되는 폴리머의 고결정성에서 기인하는 자일렌 중에서의 낮은 용해도로 인해, 본 발명의 적층물은 음식물 포장에 특히 적합하다.
우수한 투명성 및 고도의 기계적 성질을 갖는 필름의 제조를 위한 프로필렌 폴리머들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상기 필름들은, 예를 들면, 유럽 특허 EP 497590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상기한 특성은, 1 내지 10 dg/분 범위의 용융유속 (melt flow rate; MFR) 및, 2.5 내지 4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 (
Figure 112004022515564-pct00001
)과 수평균 분자량 (
Figure 112004022515564-pct00002
)의 비율, 즉,
Figure 112004022515564-pct00003
을 갖는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제 놀랍게도 상기한 특허에서 나타낸 범위 밖의 파라미터를 갖는 프로필렌 폴리머를 사용해도 우수한 투명성 및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모두 갖는 주조 적층물을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폴리머로 인하여, 공지기술의 폴리머를 사용하여 수득된 적층물과 비교할 경우, 동일 두께에서 우수한 기계적 성질과 더욱 더 높은 투명성을 갖는 적층물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적층물은 또한 탁월한 광택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를 갖는 프로필렌 결정성 폴리머로서:
(a) 5 내지 15 g/10 분,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3, 더욱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2 범위의 MFR;
(b) 4.5 내지 9,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 (
Figure 112004022515564-pct00004
)과 수평균 분자량 (
Figure 112004022515564-pct00005
)의 비율, 즉,
Figure 112004022515564-pct00006
;
(c) 2 내지 6,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범위의, 하기에 개시되는 방법으로 측정되는 다분산 지수 (PI; polydispersity index);
(d) 0.9020 g/cm3 이상의 밀도; 및
(e) 상온, 즉, 약 25℃에서 2.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하의 자일렌 중 용해도;
5 내지 8, 바람직하게는 6 내지 7 범위의 다분산 지수를 갖는 폴리머의 화학적 비스브레이킹 (visbreaking)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는 폴리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머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homopolymer) (이것이 바람직함), 및 에틸렌 또는 C4-C8의 α-올레핀과 프로필렌의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며; 호모폴리프로필렌과 상기 코폴리머의 혼합물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α-올레핀은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부텐, 1-헥센, 및 3-메틸-1-펜텐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코폴리머 중 에틸렌의 양은 1 몰% 를 초과하지 않는 반면, C4-C8 α-올레핀의 양은, 예를 들면, 0.2 내지 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 몰%로 가변적이다.
본 발명의 폴리머는 공지된 지글러-나타 촉매 중에서 매우 입체특이적인 것을 사용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반응 단계로 제조된다. 특히, 사용되는 촉매계는 (a) 티탄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체 촉매 성분, 및 전자-공여 화합물 (양자는 모두 염화마그네슘 상에 지지됨), 및 (b) Al-트리알킬 화합물 및 전자-공여 화합물을 함유한다.
사용가능한 촉매 및 중합 공정의 예들이,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 EP-A-45977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중합 공정에서 생성되는 폴리머는 1 내지 4.5 g/10 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 범위의 MFR을 갖는다. 그 다음, 생성된 폴리머가 공지된 방법에 따라 폴리머 사슬의 비스브레이킹을 거치도록 하여 요구되는 MFR, PI,
Figure 112004022515564-pct00013
값들을 얻도록 하는데; 예를 들면, 폴리머의 화학적 비스브레이킹은 퍼옥사이드와 같은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수행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라디칼 개시제의 예로는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사이드)-헥산 및 디큐밀-퍼옥사이드가 있다. 비스브레이킹은 적절한 양의 자유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되며, 질소와 같은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바람직하게 진행된다. 선행 기술에서 공지된 방법, 장치, 조작 조건들이 상기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안정제, 안료 (pigment)와 같은 통상적 첨가제들이 본 발명의 폴리머에 첨가될 수 있다. 적층물의 제조에 있어서, 첨가되는 통상적 첨가제는 상기 영역(sector)에 특정적인 것, 즉, 블로킹 방지제 (실리카와 같은 것), 및 에루크아미드(erucamide)와 같은 슬립제 (slip agent)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광학적 및 기계적 성질을 갖는, 상기 폴리머로부터 제조되는 주조 적층물이다. 상기 적층물 {이 용어는 필름과 시이트 (sheet)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됨}은 0.01 mm 내지 0.5 mm, 전형적으로는 0.01 내지 0.4 mm 범위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적층물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한 층이상이 본 발명의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본 발명의 적층물은, 하기에 개시되는 방법으로 결정되는 값으로서, 1.5 mm를 초과하는 치수의 피쉬 아이 (fish eyes)를 나타내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0.7 mm 내지 1.5 mm 범위의 치수를 갖는 피쉬 아이의 평방미터 당 수는 3 이하이고, 0.2 내지 0.7 mm 이하의 범위의 치수를 갖는 피쉬 아이는 평방미터 당 300 이하이다.
상기 특성을 갖는 적층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폴리머는 금형(die)의 출구에서, 방금 제조되어 아직 뜨거운 적층물을 실온 이하, 예를 들면,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미만까지 급속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적층화 공정을 거친다. 상기 냉각은 2 초 이하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1.9 초 내에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적층화 공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1) 상기 프로필렌 폴리머를 압출 및 적층화하는 단계; 및 순차적으로
2) 상기 적층물의 표면이 2 초 이하의 시간 내에 70℃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될 때까지 압출기의 금형으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적층물을 급속 냉각 (quenching: 급냉)시키는 단계 .
적층물에 대한 급냉은 여러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층물을, 2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온도로 유지되고 있는 회전 롤러의 표면과 접촉시키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로서, 0.05 mm 두께 필름의 급냉은 상기 필름이 금형으로부터 방출된 후 0.07 - 0.13 초에 시작한다.
상기 폴리머의 압출성형은 통상의 조작 조건들뿐만 아니라 압출성형 기술 및장치 (예를 들면, Bandera 압출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압출기의 금형으로부터 방출되는 적층물은, 그 표면 온도가 상기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롤러로 이송된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폴리머 및 필름에 대하여 시험을 수행하여 상기의 특성 및 성질을 평가하였다; 상기 시험의 수행에 사용된 방법론은 하기에 개시된다.
용해도: 하기 방법에 따라 25℃에서 자일렌 중에 가용성인 잔류물(residue)의 백분율로서 측정됨: 135℃에서 한 시간 동안 자일렌 중 시료를 교반하여 1 중량% 농도로 자일렌 중 시료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용액을 계속 교반하면서, 95℃까지 냉각되도록 한 후, 25℃ 배스(bath) 내로 주입하여 교반하지 않고 20 분동안 방치한 후, 추가로 10 분 동안 다시 교반한다. 그 다음, 상기 용액을 여과하고, 그 여과액의 일부분에 아세톤을 첨가하여, 용해된 폴리머의 침전을 수득한다. 이렇게 수득된 폴리머는 회수, 세척, 건조, 및 최종적으로 칭량하여 자일렌 중에 가용성인 백분율을 측정한다.
용융유속 (MFR): 방법 ASTM-D 1238, 조건 L에 따름.
다분산 지수 (PI): RMS-800 유동도 측정 기계 분광계 (rheometric mechanical spectrometer)를 사용하여 동적(dynamic) 시험 방법에 의해 계산됨. PI는 식 PI = 105/Gc로 정의되는데, 여기서 Gc (교차 탄성률) 값은 G' (저장 탄성률)가 G" (손실 탄성률)와 일치할 때의 값이다. 시료는 폴리머 1 그램으로 제조되는데, 상기 시료는 두께 3 mm 및 지름 25 mm를 갖는다; 그 다음, 이것을 상기의 장치 내로 도입하고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켜 90 분 후에 200℃에 도달되도록 한다. 상기 온도에서 주파수의 함수로 G'와 G"를 측정하는 시험을 수행한다.
굴곡 탄성률 (Flexural modulus of elasticity): ASTM D-790
젤 함량: 두께 0.05 mm 필름의 평방미터 당 피쉬 아이의 수는 Sistemi Intelligenti 시파 (sipar) 장치를 사용하는 광학 계수기 (optic counter)로 자동집계함으로써 측정된다.
탁도 (Haze): ASTM D-1003
광택도 (Gloss): ASTM D-2457
마찰계수: ASTM D-1894, 조건 D. 시험은 압출성형 후 적층물 상에서 24 시간, 23℃에서 수행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마찰계수(FC)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적층물이 DIN 4768 방법에 따라 제조된 금속성 가이드 (guide) 상에서 미끄러지도록 한다.
실시예 1
하기 화합물들(중량부)은 Bandera 압출기에서 압출되었다 (L/D = 30):
- (a) 상온에서 자일렌 중 용해도 1.7 % , MFR 3.5 g/10 분, 및 PI 7.2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99.642 부;
- (b) 실리카 50 중량% 및 등록상표 Syloblock 250H
Figure 112004022515564-pct00014
하의 Grace 사 시판 에루크아미드 50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물 0.34 부;
- (c)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10 부 및 폴리프로필렌 박편 90 부를 함유하는 조성물 0.018 부.
압출기의 조작 조건은 하기와 같다:
- 구역 1의 온도: 190 - 250℃;
- 용융 온도: 248℃;
- 유속: 600 kg/h;
- 축(screw) rpm: 150 rpm;
- 압축비율 (compression ratio): 3.5.
250℃의 온도에서 압출기의 금형 (그 치수는 150x03 mm)으로부터 방출되는 용융된 폴리머는, 금형으로부터 15 mm의 거리에 있는, 지름 15.4 cm 롤러 (냉각-롤: chill-roll)로 이송되었다. 상기 롤러의 온도는 10℃이고, 이는 7 m/분의 속도로 이동하였다. 상기 필름의 표면은 상기 롤러와 2 초 동안 접촉하는 방법에 의해 68℃까지 냉각되었다. 이렇게 생성된 필름은 0.05 mm의 두께를 갖는다.
비교예 1c
사용되는 폴리머가 표 1에 나타낸 특성을 갖는다는 차이점 하에서 상기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화학적 비스브레이킹 전에, 폴리머는 1.8 g/10 분의 MFR 을 갖는다.
비교예 2c
사용되는 폴리머가 하기 표 1에 나타낸 특성을 갖는다는 차이점 하에서 상기 실시예 1을 반복하였지만, 비스브레이킹은 거치지 않았다.
비교예 3c
필름화 공정 중에 필름 표면을 68℃까지 냉각하는 것이 2 초 초과하여 진행된다는 차이점 하에서 상기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2
필름이 0.025 mm의 두께를 갖는다는 차이점 하에서 상기 실시예 1을 반복하였다. 하기 표 1 및 2는 압출성형된 필름의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 뿐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폴리머의 특성을 나타낸다.
Figure 112004022515564-pct00015
Figure 112004022515564-pct00016

Claims (9)

  1. 하기를 갖는 결정성 프로필렌 폴리머로서:
    (a) 5 내지 15 g/10 분 범위의 MFR;
    (b) 4.5 내지 9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 (
    Figure 112006004873170-pct00010
    ) 대 수평균 분자량 (
    Figure 112006004873170-pct00011
    )의 비율, 즉,
    Figure 112006004873170-pct00012
    ;
    (c) 2 내지 6 범위의 다분산 지수(PI)로서, 상기 다분산 지수는 식 PI = 105/Gc으로 정의되며, 상기 식 중, Gc (교차 탄성률) 값은 G' (저장 탄성률)가 G" (손실 탄성률)와 일치할 때의 값임;
    (d) 0.9020 g/cm3 이상의 밀도; 및
    (e) 실온, 즉, 25℃에서 2.5 중량% 이하의, 자일렌 중 용해도;
    5 내지 8 범위의 다분산 지수를 갖는 폴리머의 화학적 비스브레이킹 (visbreaking)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는 폴리머.
  2.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적 비스브레이킹이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수행되는 폴리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호모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머.
  4.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에서, 5 내지 8 범위의 다분산 지수를 갖는 폴리머의 중합반응, 및 이로써 수득된 폴리머의 화학적 비스브레이킹을 포함하는, 제 1 항의 폴리머의 제조 방법.
  5. 적층물 제조를 위한 제 1 항의 폴리머의 사용 방법.
  6.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주조 적층물의 제조 방법:
    1)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프로필렌 폴리머를 압출 및 적층화하는 단계; 및 연속적으로
    2) 상기 적층물의 표면이 2 초 이하의 시간 내에 70℃ 이하의 온도에 도달될 때까지 압출기의 금형으로부터 방출되는 적층물을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
  7. 제 6 항의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 적층물.
  8. 제 7 항에 있어서, 0.01 mm 내지 0.5 mm 범위의 두께를 갖는 적층물.
  9. 식품 포장을 위한 제 8 항의 적층물의 사용 방법.
KR1020007001087A 1998-06-01 1999-05-27 투명 주조 필름에 적합한 프로필렌 폴리머 KR1005953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8A001213 1998-06-01
IT98MI001213A ITMI981213A1 (it) 1998-06-01 1998-06-01 Polimeri propilenici adatti per film cast trasparenti
PCT/EP1999/003661 WO1999062966A1 (en) 1998-06-01 1999-05-27 Propylene polymers suitable for transparent cast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501A KR20010022501A (ko) 2001-03-15
KR100595334B1 true KR100595334B1 (ko) 2006-07-03

Family

ID=1138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087A KR100595334B1 (ko) 1998-06-01 1999-05-27 투명 주조 필름에 적합한 프로필렌 폴리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440577B1 (ko)
EP (1) EP1000095B1 (ko)
JP (1) JP2002517525A (ko)
KR (1) KR100595334B1 (ko)
CN (1) CN1151181C (ko)
AR (1) AR018421A1 (ko)
AT (1) ATE259383T1 (ko)
BR (1) BR9911038B1 (ko)
CA (1) CA2297665A1 (ko)
DE (1) DE69914701T2 (ko)
ES (1) ES2214033T3 (ko)
IT (1) ITMI981213A1 (ko)
WO (1) WO1999062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26602A1 (en) 2005-05-27 2006-11-29 Borealis Technology Oy Propylene polymer with high crystallinity
EP1964873A1 (en) * 2007-02-21 2008-09-03 Borealis Technology Oy Polypropylene films having improved optical properti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2076A (en) * 1979-09-17 1981-08-04 Hercules Incorporated Method of visbreaking polypropylene
JPS587329A (ja) * 1981-07-07 1983-01-17 Chisso Corp ポリオレフインフイルムの製造方法
US4567089A (en) * 1984-07-23 1986-01-28 Mitsubishi Petrochemical Co., Ltd. Thermoforming propylene polymer laminated sheet
CA1280543C (en) 1985-01-31 1991-02-19 B. Joseph Scheve Polypropylene with free-end long chain branching, process for making it, and use thereof
JP3016880B2 (ja) 1991-02-01 2000-03-06 三菱化学株式会社 フィルム成形用高結晶性ポリプロピレン
DE4142579A1 (de) * 1991-12-21 1993-06-24 Basf Ag Erdoelemulsionsspalter auf der basis eines alkoxylat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s alkoxylats
AT403581B (de) 1993-06-07 1998-03-25 Danubia Petrochem Polymer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euen polypropylenen durch chemische degradierung
JP2819996B2 (ja) * 1993-07-08 1998-11-05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積層フィルム
JP3258830B2 (ja) * 1994-09-29 2002-02-18 株式会社興人 ポリオレフィン系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
JPH08176234A (ja) * 1994-12-26 1996-07-09 Tonen Chem Corp 無延伸フィルム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
JPH08198913A (ja) 1995-01-26 1996-08-06 Sumitomo Chem Co Ltd 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
US5820981A (en) 1996-04-02 1998-10-13 Montell North America Inc. Radiation visbroken polypropylene and fibers made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501A (ko) 2001-03-15
EP1000095B1 (en) 2004-02-11
CA2297665A1 (en) 1999-12-09
ES2214033T3 (es) 2004-09-01
ATE259383T1 (de) 2004-02-15
CN1151181C (zh) 2004-05-26
DE69914701T2 (de) 2004-10-07
BR9911038A (pt) 2001-01-16
CN1274366A (zh) 2000-11-22
BR9911038B1 (pt) 2009-01-13
AR018421A1 (es) 2001-11-14
US6440577B1 (en) 2002-08-27
DE69914701D1 (de) 2004-03-18
JP2002517525A (ja) 2002-06-18
ITMI981213A1 (it) 1999-12-01
EP1000095A1 (en) 2000-05-17
WO1999062966A1 (en) 199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8839A (en) Polymer compositions and cast films
DE69909689T2 (de) Propylenharzzusammensetzungen,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EP0083521B1 (fr) Copolymères modifiés de l'éthylène et d'au moins une alpha-oléfine et procédé pour leur préparation
JPH04283252A (ja) オレフィンポリマーフィルム
EP0679686B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for laminated and oriented film and laminated and oriented film thereof
EP0293187B1 (en) Laminated film having poly(4-methyl-1-pentene) base layer
EP0577407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propylene random copolymer
RU2186798C2 (ru) Полимерная смесь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полых изделий заливкой и медленным вращением формы
KR100595334B1 (ko) 투명 주조 필름에 적합한 프로필렌 폴리머
JPH08198913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
JP4204676B2 (ja) プロピレン系樹脂並びに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及び積層体
US6489426B1 (en) Propylene base polymer and a polypropylene film using the same
JP4246290B2 (ja) プロピレン系共重合体及びその組成物並びにそれらからなるフィルム及び積層体
MXPA00001096A (en) Propylene polymers suitable for transparent cast film
JP3289447B2 (ja) 多層フィルム
EP1608506B1 (en) Multilayer films
JP2818252B2 (ja) シンジオタクチックポリプロピレンの延伸方法
JPH10212361A (ja) 自己粘着性包装用フィルム
FR2819815A1 (fr) Composition a base de copolymeres statistique du propylene, procede pour leur fabrication et feuilles multicouches thermoscellables les contenant
JP3511305B2 (ja) ポリオレフィン延伸フィルム
JP4047962B2 (ja) プロピレン系ランダム共重合体及びその組成物並びにそれらからなる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2004323542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二軸延伸フィルム
CN115991908A (zh) 一种聚丙烯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991909A (zh) 一种聚丙烯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991035A (zh) 一种聚丙烯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