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785B1 - 대형 롤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롤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785B1
KR100591785B1 KR1020040090516A KR20040090516A KR100591785B1 KR 100591785 B1 KR100591785 B1 KR 100591785B1 KR 1020040090516 A KR1020040090516 A KR 1020040090516A KR 20040090516 A KR20040090516 A KR 20040090516A KR 100591785 B1 KR100591785 B1 KR 100591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large roll
loading device
cylinder
oper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431A (ko
Inventor
전재형
Original Assignee
전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재형 filed Critical 전재형
Priority to KR1020040090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785B1/ko
Priority to PCT/KR2005/003742 priority patent/WO2006049469A1/en
Publication of KR2006004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Landscapes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지면의 아래에 설치되어 대형 롤(roll)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작업라인에 탑재하기 위한 대형 롤 로딩(loading)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장치의 상부에 접철 가능한 제1 작동판과, 상기 제1 작동판과 링크로 연결된 제2 작동판과, 상기 제2 작동판을 지지하여 상승시켜 상기 제1 작동판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함으로써 원통형 물체를 구를 수 있게 하는 상승유닛을 구비하는 대형 롤 자동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대형 롤 자동로딩장치는 다른 별도의 장비 없이 대형 롤 등의 원통형 물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있는 작업라인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의 로딩장치를 통하여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롤, 원지롤, 대형 롤, 로딩, 탑재, 실린더, 구름장치, 피스톤

Description

대형 롤 로딩장치{Loading Apparatus for Roll}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원지롤 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한 원지롤 이송장치의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롤 자동 로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대형 롤 자동로딩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한 대형 롤 자동 로딩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대형 롤 자동 로딩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프레임 110 : 걸림턱
120 : 상판 130, 140 : 실린더 지지판
200 : 작동유닛 210 : 제1 작동판
220 : 제2 작동판 230 : 링크
240, 250, 260 : 회전축 300 : 상승유닛
310 : 피스톤 320 : 실린더 고정바
330 : 실린더 지지판 340 : 실린더
350 : 실린더 바닥판 360 : 실린더 기울임 돌기
500 : 대형 롤
본 발명은 기중기나 지게차 등의 별도의 장비 없이 원지롤 등 웨브가 감긴 원통형태의 대형 롤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있는 원하는 작업라인에 탑재하기 위한 자동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지롤 등의 원통형 롤을 컨베이어 벨트 등의 이송장치에 올려놓기 위해서는 그 무게 때문에 기중기 등의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들어 올려 탑재하게 된다.
그러나 지면으로부터 조금만 높게 작업라인이 설치되면 이를 상승시켜 이동하기 위한 기중기나 지게차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한 공간이 따로 필요하게 되고,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롤 직진 굴림 이송장치가 국내 특허공개 제 2004-11833호에 개시된 바 있으며, 이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통형의 대형 롤(R)을 직진으로 굴려서 이송시키는 이송부(20)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10) 내에 균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된 롤 직진 굴림장치로서, 상기 케이스(10)의 하부에는 레일(11)이 길이 방향 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부(20)는 각각의 선단과 후단이 서로 이격 가능하면서 맞닿도록 연결된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21)와 제2 몸체(22)는 각각 동일 수평선 상에 설치되는 제1 축(26)과 제2 축(27)에 의해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제1 브래킷(23)과 한 쌍의 제2 브래킷(24)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브래킷(23)과 제2 브래킷(24)의 각각의 내측의 제 1축(26)과 제 2축(27)에는 동일 직경의 제1 휘일(29)과 제2 휘일(30)이 각각 제 1축(26)과 제2 축(2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휘일(29)과 제2 휘일(30)의 외주면이 레일(11) 상에 맞닿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브래킷(24)의 외측의 제2 축(27)에는 한 쌍의 회동 브래킷(25)의 일단이 제2 축(27)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회동 브래킷(25)의 타단에는 회동축(28)이 연결되며, 상기 회동축(28)에는 이송롤러(31)가 회동축(28)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축(26)과 상기 제2 축(27)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휘일(29)의 외주면까지의 수평거리보다 크고, 상기 한 쌍의 제2 브래킷(24)의 각각의 외측 면에는 상기 이송롤러(31)가 상기 제1 축(26)과 제2 축(27)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했을 때 상방으로 예각 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하는 회동 제한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이송부(20)는 상기 회동 브래킷(25) 및 이송롤러(31)가 회동하여 위로 돌출 가능하게 하는 크기의 장방형 개구가 형성된 복수 개의 덮개(40)들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이송부(20)들 중 하나의 제1 몸체(21)의 후단에는 케이스(10)의 레일(11) 저부에 설치된 실린더(40) 및 피스톤(41) 의 말단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에 개시되고 설명된 롤 직진굴림 이송장치 역시, 그 장치가 복잡하고, 부품수도 많아서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 아니라, 이송되어 온 대형 롤을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므로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작업라인에 상기 내형 롤을 탑재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단지 작업라인에 대형 롤 등의 물체를 탑재하기만 하면 그 후의 공정에 따라 작업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적절치 않고, 상기 장치를 제조하여 설치하는 데 있어 그 시간과 경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른 별도의 장비 없이 대형 롤 등의 원통형 물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있는 작업라인에 탑재하기 위한 자동 로딩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로딩장치를 통하여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로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게차나 기중기 등의 별도의 설비 및 장비가 필요 없게 됨으로써, 이에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게차나 기중기 등의 장비가 작업장 내를 돌아다니게 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하는 효과를 제 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의 아래에 설치되어 대형 롤(roll)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작업라인에 탑재하기 위한 대형 롤 로딩(loading)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장치의 상부에 접철 가능한 제1 작동판과, 상기 제1 작동판과 링크로 연결된 제2 작동판과, 상기 제2 작동판을 지지하여 상승시켜 상기 제1 작동판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함으로써 원통형 물체를 구를 수 있게 하는 상승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대형 롤이 이송되어 왔을 때 상기 대형 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승유닛은, 상기 제2 작동판을 밀어 올리기 위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피스톤을 회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에 압력을 가하거나 빼 주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승유닛의 실린더와 피스톤은 공압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유압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롤 자동로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롤 자동 로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에 도시한 대형 롤 자동로딩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면의 아래에 설치되어 대형 롤(50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작업라인에 탑재하기 위한 대형 롤 자동로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로딩장치의 상부에 접철 가능한 제1 작동판(210)과, 상기 제1 작동판(210)과 링크(230)로 연결된 제2 작동판(220)과, 상기 제2 작동판(220)을 지지하여 상승시켜 상기 제1 작동판(210)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함으로써 대형 롤(500) 등의 원통형 물체를 구를 수 있게 하는 상승유닛(300)을 구비한다.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있는 작업라인에 대형 롤(500)을 탑재하기 위해 먼저 지면을 파서 프레임(100)을 설치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상판(220)이 지면의 높이에 맞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는 상판(220)과 상기 상판(220)의 중앙에는 링크(230)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작동판(220)과 제1 작동판(210)이 설치되며, 상기 제2 작동판(220)의 아래에는 상기 제2 작동판(220)을 밀어 올리기 위한 상승유닛(3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승유닛(300)은, 상기 제2 작동판(220)을 밀어 올리기 위한 피스톤(310)과, 상기 피스톤(31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피스톤(310)을 회동시키는 실린더(340)와, 상기 피스톤(310) 및 실린더(340)에 압력을 가하거나 빼 주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미도시)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상승유닛(300)의 실린더(340)와 피스톤(310)은 공압으로 작동될 수도 있고, 유압으로 작동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340)에 유압을 가하거나 빼 주는 일반적인 유압기기(미 도시)가 설치되거나,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 주는 공압기기(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대형 롤(5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110)이 상기 상판(120)의 일측 끝에 더 구비되어, 이송되어 온 대형 롤(500)이 본 발명의 자동 로딩장치에 도달하였을 때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340)는 그 하부에 실린더 바닥판(35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실린더 바닥판(350)의 하부에는 실린더 기울임 돌기(360)가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가(340) 로딩장치의 작동에 따라 기울어질 때, 이를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실린더(340)는 상기 프레임(100) 내부에 형성된 한 쌍의 실린더 지지판(130, 140)의 사이에 상기 실린더 기울임 돌기(360)가 위치하여 상기 실린더(340)의 일 측면에 별도로 설치되는 실린더 지지판(330)과 실린더 고정바(bar, 320)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실린더(340)가 상기 실린더 고정바(320)를 축으로 전후로 회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 대형 롤 자동로딩장치의 작동을 자세히 살펴본다.
도 3a는 도 2a에 도시한 대형 롤 자동 로딩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대형 롤 자동 로딩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하여 실린더(340) 내를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310)에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피스톤(310)이 상승하여 상기 제2 작동판(220)이 제1 작동판(210)과 결합되는 링크(230)를 축으로 일정한 각도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작동판(210) 및 제2 작동판(220)의 위에 올려진 대형 롤(500)이 구르며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작동판(210)은 그 아래의 프레임(100)과 연결된 회전축(240, 250, 260)에 따라 회동하며 상기 걸림턱(110)의 높이에 맞게 상승하게 되며, 상기 대형 롤(500)이 상기 걸림턱(110)을 지나 원하는 높이의 작업라인으로 탑재되는 것이다.
작업라인이 지면으로부터 어느 높이에 있는가에 따라 상기 제1 작동판(210)이 상승하는 높이 및 걸림턱(11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작업라인의 높이는 수 센티미터에서 수십 센티미터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에 맞추어 상기 걸림턱(110)의 높이를 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딩장치의 상부에 접철 가능한 제1 작동판과, 상기 제1 작동판과 링크로 연결된 제2 작동판과, 상기 제2 작동판을 지지하여 상승시켜 상기 제1 작동판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함으로써 원통형 물체를 구를 수 있게 하는 상승유닛을 구비하는 대형 롤 자동 로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다른 별도의 장비 없이 대형 롤 등의 원통형 물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있는 작업라인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간단한 구조의 로딩장치를 통하여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지게차나 기중기 등의 별도의 설비 및 장비가 필요 없게 됨으로써, 이에 필요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이에 따른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지게차나 기중기 등의 장비가 작업장 내를 돌아다니게 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 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5)

  1. 지면의 아래에 설치되어 대형 롤(roll)을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는 작업라인에 탑재하기 위한 대형 롤 로딩(loading)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장치의 상부에 접철 가능한 제1 작동판과;
    상기 제1 작동판과 링크로 연결된 제2 작동판과;
    상기 제2 작동판을 지지하여 상승시켜 상기 제1 작동판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함으로써 원통형 물체를 구를 수 있게 하는 상승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롤 자동로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대형 롤이 이송되어 왔을 때 상기 대형 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롤 자동로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유닛은,
    상기 제2 작동판을 밀어 올리기 위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피스톤을 회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에 압력을 가하거나 빼 주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롤 자동로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유닛의 실린더와 피스톤은 공압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롤 자동 로딩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유닛의 실린더와 피스톤은 유압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롤 자동 로딩장치.
KR1020040090516A 2004-11-08 2004-11-08 대형 롤 로딩장치 KR100591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516A KR100591785B1 (ko) 2004-11-08 2004-11-08 대형 롤 로딩장치
PCT/KR2005/003742 WO2006049469A1 (en) 2004-11-08 2005-11-07 Loading apparatus for ro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516A KR100591785B1 (ko) 2004-11-08 2004-11-08 대형 롤 로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568U Division KR200373852Y1 (ko) 2004-11-08 2004-11-08 대형 롤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431A KR20060041431A (ko) 2006-05-12
KR100591785B1 true KR100591785B1 (ko) 2006-06-26

Family

ID=3631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516A KR100591785B1 (ko) 2004-11-08 2004-11-08 대형 롤 로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91785B1 (ko)
WO (1) WO2006049469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023U (ko) * 1988-07-09 1990-01-26
JPH083365Y2 (ja) * 1990-07-18 1996-01-3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円筒状物取扱設備
JP2000044024A (ja) * 1998-07-31 2000-02-15 Sakaguchi Seisakusho:Kk ロール原紙移送装置
KR100502702B1 (ko) * 2002-07-31 2005-07-25 태림포장공업 주식회사 롤 직진굴림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49469A1 (en) 2006-05-11
KR20060041431A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0406A (ko) 직선붐 공중작업 플랫폼용 수축가능한 평형추
KR101249510B1 (ko) 리프트형 상차 컨베이어장치
JP5254895B2 (ja) タイヤとホイールの位相合わ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90054849A1 (en) Vehicle maintenance method using mobile vehicle maintenance station
KR20170000845A (ko) 다방향 작업이 가능한 작업설비
KR20090040189A (ko) 경계석 승강이송장치
KR100591785B1 (ko) 대형 롤 로딩장치
KR101244121B1 (ko) 이송베드의 이송방향 전환장치
KR200373852Y1 (ko) 대형 롤 로딩장치
JPH11171347A (ja) 物品搬送装置
KR101101761B1 (ko) 접이식 이송수단을 구비한 리프트 테이블
US7228798B2 (en) Printing machine
FI127067B (fi) Siirtolaite
EP2338696B1 (en) Wheel lift
KR20140116246A (ko) 타이어 적재장치
CN114454599B (zh) 凹版印刷机新型版辊装卸小车
KR19980077305A (ko) 원통형 중량물 틸팅(tilting)장치
KR102185523B1 (ko) 저장탱크 제조방법
JPH06206613A (ja) 搬送装置
JP5092486B2 (ja) 移載装置
KR20100133161A (ko)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KR101897556B1 (ko) 세탁기 수리용 운반 장치
JP6587876B2 (ja) 荷役装置
US6105934A (en) Transportable service lift assembly
CN217779739U (zh) 一种装配式建筑用外挂墙板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