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161A -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161A
KR20100133161A KR1020090051906A KR20090051906A KR20100133161A KR 20100133161 A KR20100133161 A KR 20100133161A KR 1020090051906 A KR1020090051906 A KR 1020090051906A KR 20090051906 A KR20090051906 A KR 20090051906A KR 20100133161 A KR20100133161 A KR 20100133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hand
pallet
transfer devic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진
Original Assignee
수성정밀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성정밀기계(주) filed Critical 수성정밀기계(주)
Priority to KR102009005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3161A/ko
Publication of KR2010013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1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pow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2Movements of forks either individually or relative to each other
    • B66F9/143Movements of forks relative to each other - symme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4Electrical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에 의해 작동되며, 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 가능한 1쌍의 포크를 이용하여 파렛트를 이송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크 사이에 형성되어, 포크의 좌우폭을 조절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를 작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레버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모터에 동력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좌우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다양한 규격의 파렛트를 이송할 수 있으므로 파렛트 이송장치가 적용되는 범위가 확대되고, 큰 하중이 발생되는 파렛트를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으므로 안전 불감증을 해소시킬 수 있다.
Figure P1020090051906
파렛트 포크 슬라이드부 스크류

Description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APPARATUS FOR PALATE MOVING FOR CONSTRUCTION OF HAND }
본 발명은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크의 좌우폭을 조절하도록 스크류로 작동하는 슬라이드부를 포크 사이에 형성하여 다양한 파렛트 규격에도 적용할 수 있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렛트 전동장치는 화물이 적재된 파렛트의 저면을 들어 파렛트와 함께 화물을 소정의 장소로 이동시키는 장치에 대하여는 한국실용신안등록 제 25840호 및 일본 실용신안공보 평 3-2559등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장치에 있어서는 포크의 상승과 함께 연결간이 기복레버의 일측 상단부를 밀어 포크내의 롤러를 돌출시켜 지면과 접지되도록 하여 롤러가 포크를 지지하면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번호 1994-0012609에서는 파렛트 트럭의 포크의 수평상태를 교정하여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한 것을 공개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파렛트 전동장치 및 트럭은 일정한 파렛트 규격에 만 적용이 되며, 포크가 지지할 수 있는 범위의 파렛트만 이송이 가능하다.
특히, 중량이 나가는 파렛트는 포크의 폭이 정확해야만 안정하게 이송할 수 있다.
그래서, 종래의 파렛트 전동장치 및 트럭은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파렛트 이송장치의 포크폭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버에 의해 작동되며, 프레임에 설치되어 승강 가능한 1쌍의 포크를 이용하여 파렛트를 이송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크 사이에 형성되어, 포크의 좌우폭을 조절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를 작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레버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모터에 동력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좌우조절이 가능한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포크 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포크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블록과 일측은 상기 블록과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모터와 결합하는 스크류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후측에 상기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의 이동을 보조하는 지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규격의 파렛트를 이송할 수 있으므로 파렛트 이송장치가 적용되는 범위가 확대되고, 큰 하중이 발생되는 파렛트를 안전하 게 이송할 수 있으므로 안전 불감증을 해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0)의 의해 작동되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승강 가능한 1쌍의 포크(40)가 작동되어 파렛트를 이송하는 핸드 파렛트 이송장치에서, 본 발명은 상기 포크(40) 사이에 형성되어, 포크(40)의 좌우폭을 조절하는 슬라이드부(100)와, 상기 슬라이드부(100)를 작동시키는 모터(200)와, 상기 레버(10)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모터(200)에 동력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파렛트 이송장치의 구성 및 포크(40)의 승강 방법은 종래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레버(10)는 포크(40)를 승강시키는 수단으로 레버(10)에 설치된 스위치를 작동시켜 상기 포크(40)를 승강시킨다. 상기 포크(40)를 승강시키는 이유는 파렛트를 이동시키기 위함으로 파렛트에 형성된 홈에 포크(40)를 삽입하여 승강시킨 뒤 작업자는 바퀴(30)를 작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프레임(20)은 파렛트 이송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부품들을 내장하거나 부작되 부분으로 본 고안의 상기 슬라이드부(100) 및 상기 모터(200)가 장착된다. 즉, 상기 프레임(20) 내부에 상기 바퀴(30)를 이동시키거나, 포크(40)를 승강시키기 위한 각종 모터(200), 밧데리등의 동력부등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파렛트 이송장치는 지게차와는 구성이나 형상은 비슷하나 많은 차이점이 있다. 지게차는 바퀴와 몸체로 지면을 지지하고 포크는 단지 승강수단으로 사용되나 상기 파렛트 이송장치는 포크에 의해 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는, 지게차는 사람이 탑승하여 작동시키는 것으로 대형이며, 상기 파렛트 이송장치 후측에서 사람이 핸드링하여 작동시키며 소형 기계장치이다.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100)는 상기 프레임(20) 전측 및 상기 포크(40) 사이에 형성되어, 파렛트의 규격에 따라 상기 포크(40)의 좌우폭을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크(40)의 좌우폭의 인장량이 일정해야 하므로, 상기 포크(40)를 스크류(130)를 이용하는 것이 유압 및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는 것보다 정밀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포크(40) 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포크(40)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블록(120)과 일측은 상기 블록(120)과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모터(200)와 결합하는 스크류(130)로 구성되게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10)은 상기 블록(120)이 직선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포크(40) 상측으로 'ㄷ'자 홈을 가진 레일이다.
그리고, 상기 블록(120)과 마찰이 많이 발생하므로 강도와 경도가 강한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블록(120)은 상기 가이드레일(110)에서 움직이며, 일측은 상기 스크류(130)에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포크(40)의 상측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130)가 후술하는 모터(200)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블록(120)이 상기 가이드레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이동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포크(40)가 연동되어, 폭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130)는 후술하는 모터(200) 좌우에 형성되어, 모터(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포크(40)의 좌우폭을 정밀하게 이동시키게 된다. 이는, 유압 및 공압 실린더와는 달리 상기 스크류(130)는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모터(200)의 회전수에 따라 좌우폭이 일정하게 변화게 된다. 즉 유압 및 공압실린더는 일측에 미세하게 공기압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포크(40)의 폭이 다르게 이동되게 되면, 큰 하중이 적재된 파렛트를 안전하게 이송시키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200)는 일반적인 D.C모터(200)를 사용하며, 좌우에 상기 스크류(130)가 연동되게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미도시)는 상기 레버(10)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모터(200)에 동력신호를 전달하여 모터(20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100)는 당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LM가이드를 사용했으며, 상기 LM가이드는 상기 포크(40) 상측에 설치되는 LM가이드레일(미도시)과, 상기 포크(40)와 결합하여 상기 LM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하는 LM블록(미도시)과, 일측은 상기 LM블록(미도시)과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모터(200)와 결합하는 LM스크류(미도시)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내용과 하는 역할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드부(100)는 후측에 상기 블록(120)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130)의 이동을 보조하는 지지부(300)가 더 형성된다. 이는, 상기 스크류(130)에 의해 상기 블록(120)이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하여 포크(40)를 이동시킬 때 변형 및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록(120)에 연동되는 상기 지지부(300)를 형성하여 충분한 강성을 유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게차와는 달리 소형 기계장치로, 큰 하중의 적재화물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포크의 폭을 조절하는 것이 절대적이라고 하겠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핸드 파렛트 이송장치의 포크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레버 20: 프레임
40: 포크 100: 슬라이드부
200: 모터

Claims (5)

  1. 레버(10)에 의해 작동되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승강 가능한 1쌍의 포크(40)를 이용하여 파렛트를 이송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크(40) 사이에 형성되어, 포크(40)의 좌우폭을 조절하는 슬라이드부(100)와;
    상기 슬라이드부(100)를 작동시키는 모터(200)와;
    상기 레버(10)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모터(200)에 동력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100)는,
    상기 포크(40) 상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10)과;
    상기 포크(40)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블록(120)과;
    일측은 상기 블록(120)과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모터(200)와 결합하는 스크류(130);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100)는,
    후측에 상기 블록(120)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130)의 이동을 보조하는 지지부(3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100)은.
    LM가이드(미도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LM가이드(미도시)는,
    상기 포크(40) 상측에 설치되는 LM가이드레일(미도시)과;
    상기 포크(40)와 결합하여 상기 LM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하는 LM블록(미도시)과;
    일측은 상기 LM블록(미도시)과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모터(200)와 결합하는 LM스크류(미도시)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KR1020090051906A 2009-06-11 2009-06-11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KR20100133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906A KR20100133161A (ko) 2009-06-11 2009-06-11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906A KR20100133161A (ko) 2009-06-11 2009-06-11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161A true KR20100133161A (ko) 2010-12-21

Family

ID=43508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906A KR20100133161A (ko) 2009-06-11 2009-06-11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316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278B1 (ko) * 2012-12-03 2014-08-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파렛트 트럭
KR20180107526A (ko) * 2017-03-22 2018-10-02 박정헌 핸드 유압 카트
KR20220108957A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에이피씨소프트 인공지능 스태커 크레인용 포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278B1 (ko) * 2012-12-03 2014-08-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파렛트 트럭
KR20180107526A (ko) * 2017-03-22 2018-10-02 박정헌 핸드 유압 카트
KR20220108957A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에이피씨소프트 인공지능 스태커 크레인용 포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347B1 (ko) 롤 운반용 무인운반차
US10059539B2 (en) Conveyance system for object to be conveyed and conveyance method
WO2017008544A1 (zh) 一种轻型双向堆垛车
KR101707202B1 (ko) 자동 이송대차
US20080121749A1 (en) Reel Handler
KR100811764B1 (ko) 차량용 타이어 적재장치
WO2010008326A1 (en) Fork pallet truck
CN105236168A (zh) 一种建材板料提升输送装置
KR20100133161A (ko)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KR20120003917U (ko) 케이블 드럼 이송 장치
KR20150098508A (ko) 무인 자동 운반장치
KR20090040189A (ko) 경계석 승강이송장치
JPH07157155A (ja) 巻取りウエブの運搬装置
KR101447185B1 (ko) 포크의 폭 조절이 용이하도록 좌우 회전이 가능한 지게차
KR20140145756A (ko) 리치 타입 지게차의 레그 구조
CN218967864U (zh) 对接设备
CN107934850B (zh) 一种双向调节货叉
KR101593222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KR101643004B1 (ko)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KR101626934B1 (ko) 승강식 운반 대차
KR200473493Y1 (ko) 전도방지용 핸드파레트 트럭
KR200386100Y1 (ko) 물품 운반구
CN105858549A (zh) 一种搬运机构
KR101829588B1 (ko)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
EP3927646A1 (en) Electrically operated lifting unit for a working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