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222B1 -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222B1
KR101593222B1 KR1020150048160A KR20150048160A KR101593222B1 KR 101593222 B1 KR101593222 B1 KR 101593222B1 KR 1020150048160 A KR1020150048160 A KR 1020150048160A KR 20150048160 A KR20150048160 A KR 20150048160A KR 101593222 B1 KR101593222 B1 KR 101593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support
blade
wind turbin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연
Original Assignee
김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연 filed Critical 김병연
Priority to KR1020150048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4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long loads, e.g. with separate wheeled load suppor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길이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효과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는 상기 지지로울러(33)를 이용하여 블레이드(2)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함으로, 상기 고정수단(F)에 블레이드(2)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를 이용하여 후방지지지대와, 블레이드(2)가 전후진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trailer for transporting inversely wind generator blade}
본 발명은 다양한 길이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효과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늘어감에 따라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설치가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지주의 상단에 설치된 발전기의 구동축에 방사방향으로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바람이 불어오면 상기 블레이드가 발전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발전기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발전을 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풍력발전기가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블레이드의 길이가 60m 이상으로 길게 제작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공장에서 풍력발전기가 설치되는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트레일러에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이송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운반용 트레일러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후단부에는 복수개의 후륜(11)이 구비되며 선단부가 트럭(1)에 방향전환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본체(10)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선단부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2)의 기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F)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F)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2)의 기단부를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후방지지대(20)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2)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대(30)로 구성된다.
따라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블레이드(2)를 들어올린 후, 상기 블레이드(2)의 선단부 하측면이 상기 전방지지대(30)에 올려지고 후단부가 상기 후방지지대(2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상면에 배치한 후, 상기 블레이드(2)의 기단부를 상기 후방지지대(20)에 볼트고정함으로써, 블레이드(2)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운반용 트레일러는 상기 후방지지대(20)와 전방지지대(30)의 간격이 정해져 있음으로, 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길이의 블레이드(2)를 운반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도 1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블레이드(2)를 운반할 경우, 블레이드(2)의 선단부가 상기 트럭(1)의 전방으로 과도하게 길게 연장되어, 운전중에 블레이드(2)가 주변의 장애물에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044014호, 등록특허 10-148194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길이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효과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후단부에는 복수개의 후륜(11)이 구비되며 선단부가 트럭(1)에 방향전환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본체(10)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선단부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2)의 기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F)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F)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2)의 기단부를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후방지지대(20)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2)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대(30)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대(20)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에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방지지대(20)에 연결되어 후방지지대(20)를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2)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지지대(30)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선단부 상면에 측방향으로 방향조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후방지지대(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패널(21); 상기 지지패널(21)의 후단부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조가이드레일(22); 상기 보조가이드레일(2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2)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후방지지대본체(23); 및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에 연결되어 후방지지대본체(23)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기구(24);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후륜(11)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후륜(11)에 구비되어 후륜(1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수단(13)과, 상기 압력측정수단(1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고정수단(F)에 블레이드(2)가 고정되면 상기 압력측정수단(13)의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좌륜(11a)과 우륜(11b)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고, 상기 좌륜(11a)과 우륜(11b)에 가해지는 하중이 서로 다를 경우,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를 제어하여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함으로써, 양측의 후륜(11)에 균일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방지지대(30)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에 측방향으로 방향조절가능하게 구비된 전방지지대본체(32)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방지지대본체(3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2)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로울러(33)와, 상기 지지로울러(33)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3)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는 상기 지지로울러(33)를 이용하여 블레이드(2)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함으로, 상기 고정수단(F)에 블레이드(2)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를 이용하여 후방지지지대와, 블레이드(2)가 전후진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를 도시한 후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를 도시한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의 제2 실시예의 전방지지대를 도시한 후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후단부에는 복수개의 후륜(11)이 구비되며 선단부가 트럭(1)에 방향전환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본체(10)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선단부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2)의 기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F)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후륜(11)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좌측에 구비된 좌륜(11a)과, 트레일러본체(10)의 우측에 구비된 우륜(11b)으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수단(F)에 고정된 블레이드(2)의 하중이 좌륜(11a)과 우륜(11b)으로 분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F)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2)의 기단부를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후방지지대(20)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2)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대(30)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후방지지대(20)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에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방지지대(20)에 연결된 위치조절수단(4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방지지대(30)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선단부 상면에 측방향으로 방향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전방지지대(30)의 하측면에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1)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2)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에 고정되며 피스톤로드가 상기 후방지지대(20)에 연결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신축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지지대(2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기 후방지지대(20)와 전방지지대(30)의 간격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후방지지대(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패널(21)과, 상기 지지패널(21)의 후단부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조가이드레일(22)과, 상기 보조가이드레일(2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2)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후방지지대본체(23)와,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에 연결되어 후방지지대본체(23)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기구(24)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가이드레일(22)은 상기 지지패널(21)의 상면에 상기 전방지지대(30)를 중심으로 하는 호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가이드레일(22)은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가 결합되는 기어부가 일측에 형성된 랙기어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는 상기 보조가이드레일(22)의 상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수평부(23a)와, 상기 수평부(23a)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블레이드(2)의 기단부가 볼트로 결합되는 수직부(23b)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는 상기 보조가이드레일(22)의 기어부에 결합된 피니언기어(24a)와,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의 수평부(23a)에 결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24a)에 연결된 구동모터(24b)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24b)로 피니언기어(24a)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가 상기 보조가이드레일(22)을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이때, 상기 후륜(11)에는 후륜(1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수단(13)이 구비되며, 상기 압력측정수단(13)에는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0)에 연결된다.
상기 압력측정수단(13)은 상기 후륜(11), 즉, 좌륜(11a)과 우륜(11b)의 내부에 구비되어 좌륜(11a)과 우륜(11b) 내부의 기압변화를 측정하는 기압센서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압력측정센서는 상기 후륜(11)의 타이어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타이어의 내부에 저장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바퀴에 구비되어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수단(13)의 구조는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고정수단(F)에 블레이드(2)가 고정되면 상기 압력측정수단(13)의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좌륜(11a)과 우륜(11b)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고, 상기 좌륜(11a)과 우륜(11b)에 가해지는 하중이 서로 다를 경우,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를 제어하여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함으로써, 양측의 후륜(11)에 균일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좌륜(11a)과 오륜의 타이어 내부의 기압이 일정하게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F)에 블레이드(2)를 고정하면, 블레이드(2)의 하중이 좌륜(11a)과 우륜(11b)으로 분산되어 전달되며, 이때, 좌륜(11a)과 우륜(11b)의 타이어가 가압변형되면서 상기 압력측정수단(1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 상승된다.
이때, 상기 좌륜(11a)과 우륜(11b)에 가해지는 하중이 서로 다를 경우, 좌륜(11a)과 우륜(11b)이 가압되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좌륜(11a)과 우륜(11b)에 구비된 압력측정수단(1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우륜(11b)보다 좌륜(11a)에 더 많은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좌륜(11a)에 구비된 압력측정수단(1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 우륜(11b)에 구비된 압력측정수단(13)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좌륜(11a)에 구비된 압력측정수단(13)에, 우륜(11b)에 구비된 압력측정수단(13)에 비해 높은 압력이 측정될 경우,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를 제어하여 도 8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가 우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가 우측으로 슬라이드되면, 상기 전방지지대(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블레이드(2)의 기단부가 후측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는 선단부에 비해 후단부의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됨으로, 이와 같이 블레이드(2)의 기단부가 우측으로 위치조절되면 상기 좌륜(11a)에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들고 우륜(11b)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되어, 좌륜(11a)과 우륜(11b)에 균일한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압력측정수단(13)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좌륜(11a)과 우륜(11b)에 작용되는 하중이 동일해지면,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반대로 우륜(11b)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되면, 상기 제어유닛(50)은 도 8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를 좌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함으로써, 좌륜(11a)과 우륜(11b)에 동일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는 후방지지대(20)가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에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방지지대(20)에는 후방지지대(20)를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40)이 연결되어, 고정수단(F)에 고정되는 블레이드(2)의 길이에 따라, 상기 후방지지대(2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전방지지대(30)와 후방지지대(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가 긴 블레이드(2)를 운반할 경우, 상기 후방지지대(20)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전방지지대(30)와 후방지지대(20)의 간격을 넓게 함으로써, 고정수단(F)에 고정된 블레이드(2)의 선단부가 상기 트럭(1)의 전방으로 과도하게 길게 연장되어, 운전중에 블레이드(2)가 주변의 장애물에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2)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지지대(30)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선단부 상면에 측방향으로 방향조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후방지지대(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패널(21)과, 상기 지지패널(21)의 후단부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조가이드레일(22)과, 상기 보조가이드레일(2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2)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후방지지대본체(23)와,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에 연결되어 후방지지대본체(23)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기구(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후륜(11)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후륜(11)에는 후륜(1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수단(13)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수단에는 압력측정수단(1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0)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F)에 블레이드(2)를 고정한 후, 후륜(11) 즉, 좌륜(11a)과 우륜(11b)에 서로 다른 하중이 가해질 경우, 상기 제어유닛(50)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를 제어하여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서, 좌륜(11a)과 우륜(11b)에 동일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2)는 길이가 길고 무게가 많이 나갈 뿐 아니라, 일정하지 않은 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으로, 블레이드(2)를 상기 고정수단(F)에 고정하면, 블레이드(2)의 형태에 따라 상기 좌륜(11a)과 우륜(11b)중의 어느 하나에 과도한 편하중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좌륜(11a)이나 우륜(11b)이 파손되거나, 운반중에 트레일러가 전복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좌륜(11a)과 우륜(11b)에 편하중이 가해질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좌륜(11a)과 우륜(11b)에 동일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서, 좌륜(11a)이나 우륜(11b)이 파손되거나 트레일러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전방지지대(30)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에 측방향으로 방향조절가능하게 구비된 전방지지대본체(32)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방지지대본체(3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2)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로울러(33)와, 상기 지지로울러(33)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3)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구(34)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전방지지대본체(32)는 하측에 상기 회전축(31)이 구비된 지지판(32a)과, 지지판(32a)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바(32b)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로울러(33)는 상기 수직바(32b)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블록(33a)이 양단에 구비된다.
상기 승강구동기구(34)는 상기 승강블록(33a)에 연결되어 신축에 의해 상기 승강블록(33a)과 지지로울러(33)가 승강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는 상기 지지로울러(33)를 이용하여 블레이드(2)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함으로, 상기 고정수단(F)에 블레이드(2)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를 이용하여 후방지지지대와, 블레이드(2)가 전후진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고정수단(F)에 블레이드(2)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후방지지대(20)를 적절한 위치로 전후진시켜, 후방지지대(20)와 전방지지대(30)의 간격을 조절한 후, 상기 블레이드(2)가 후방지지대(20)와 전방지지대(3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기 후방지지대(20)의 위치를 잘못 설정할 경우, 블레이드(2)의 선단부가 상기 전방지지대(30)에 충분히 지지되지 못하거나, 블레이드(2)의 선단부가 상기 트럭(1)의 전방으로 과도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2)를 다시 분리하여 들어올린 후, 상기 후방지지대(20)를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하여야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블레이드(2)가 상기 지지로울러(33)에 의해 지지됨으로, 상기 후방지지대(20)에 블레이드(2)가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지지대(20)와 블레이드(2)를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하면, 상기 지지로울러(33)가 회전되면서 블레이드(2)의 하측면을 지지하여, 블레이드(2)의 하측면이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와 함께 상기 승강구동기구(34)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로울러(33)를 승강시킴으로서, 상기 블레이드(2)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블레이드(2)는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됨으로, 상기 후방지지대(20)에 블레이드(2)가 고정된 상태에서 후방지지대(20)와 블레이드(2)를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하면, 상기 전방지지대(30) 위치에서의 블레이드(2)의 하측면의 높이가 변동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구동기구(34)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로울러(33)를 승강시켜, 지지로울러(33)가 블레이드(2)의 하측면에 지속적으로 밀착되어 블레이드(2)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블레이드(2)의 하측면의 높이와 지지로울러(33)의 위치가 서로 맞지 않아서, 블레이드(2)에 불필요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트레일러본체, F : 고정수단,
20 : 후방지지대, 30 : 전방지지대,
40 : 위치조절수단, 50 : 제어유닛.

Claims (4)

  1.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후단부에는 복수개의 후륜(11)이 구비되며 선단부가 트럭(1)에 방향전환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본체(10)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선단부 상면에 구비되며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2)의 기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F)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F)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2)의 기단부를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후방지지대(20)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전단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블레이드(2)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하는 전방지지대(30)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후방지지대(20)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에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방지지대(20)에 연결되어 후방지지대(20)를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2)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지지대(30)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선단부 상면에 측방향으로 방향조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후방지지대(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패널(21);
    상기 지지패널(21)의 후단부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조가이드레일(22);
    상기 보조가이드레일(2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블레이드(2)의 후단부가 고정되는 후방지지대본체(23); 및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에 연결되어 후방지지대본체(23)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기구(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11)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후륜(11)에 구비되어 후륜(11)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수단(13)과,
    상기 압력측정수단(13)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를 제어하는 제어유닛(5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고정수단(F)에 블레이드(2)가 고정되면 상기 압력측정수단(13)의 신호를 측정하여 좌륜(11a)과 우륜(11b)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고, 좌륜(11a)과 우륜(11b)에 가해지는 하중이 서로 다를 경우, 상기 슬라이드구동기구(24)를 제어하여 상기 후방지지대본체(23)가 측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함으로써, 양측의 후륜(11)에 균일한 하중이 가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지지대(30)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에 측방향으로 방향조절가능하게 구비된 전방지지대본체(32)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방지지대본체(3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2)의 선단부 하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로울러(33)와,
    상기 지지로울러(33)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로울러(33)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기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KR1020150048160A 2015-04-06 2015-04-06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KR101593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60A KR101593222B1 (ko) 2015-04-06 2015-04-06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160A KR101593222B1 (ko) 2015-04-06 2015-04-06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222B1 true KR101593222B1 (ko) 2016-02-18

Family

ID=55458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160A KR101593222B1 (ko) 2015-04-06 2015-04-06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2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468B1 (ko) * 2016-03-15 2017-09-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WO2017159985A1 (ko) * 2016-03-15 2017-09-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블레이드 운송차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14B1 (ko) 2008-04-28 2011-06-27 임재형 풍력발전기날개 운반장치
US20110187083A1 (en) * 2008-09-29 2011-08-04 Vestas Wind Systems A/S Telescopic vehicl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long object
KR101481946B1 (ko) 2014-09-29 2015-01-15 임재형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한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14B1 (ko) 2008-04-28 2011-06-27 임재형 풍력발전기날개 운반장치
US20110187083A1 (en) * 2008-09-29 2011-08-04 Vestas Wind Systems A/S Telescopic vehicl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long object
KR101481946B1 (ko) 2014-09-29 2015-01-15 임재형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한 트레일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468B1 (ko) * 2016-03-15 2017-09-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WO2017159985A1 (ko) * 2016-03-15 2017-09-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블레이드 운송차량
US10961983B2 (en) 2016-03-15 2021-03-30 DOOSAN Heavy Industries Construction Co., LTD Blade transport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9298B1 (en) Travelling mechanism for bridge detection vehicle, and bridge detection vehicle
JP6136081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及びその運用方法
CN210620174U (zh) 一种可倾斜式移动升降机
KR101229993B1 (ko) 벙 받침용 벙카
KR101593222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US20170369295A1 (en) Load manipulator
CN107150986B (zh) 一种缝纫机举升转运设备
EP2477931A1 (en) A linkage system for a forklift truck
CN112299326A (zh) 一种纵横移动液压升降车
US11370343B2 (en) Hydraulic drop frame trailer
US3840210A (en) Skid jack for mobile homes
KR20140145756A (ko) 리치 타입 지게차의 레그 구조
US7963506B1 (en) Vehicle leveling apparatus
CN110092321A (zh) 物料处理车辆
KR20100133161A (ko) 포크의 폭이 조절되는 핸드 전동식 파렛트 이송장치
JP2009024465A (ja) 送出し工法
KR200450909Y1 (ko) 견인차량의 크레인 이동장치
KR102078130B1 (ko) 확장형 워터젯 어태치먼트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칩핑 공법
EP2412589A1 (en) Drive system for manoeuvring a trailer, trailer provided with such a drive system and method for manoeuvring such a trailer.
KR20120011383A (ko) 견인차량용 차량 승강장치
CN208616080U (zh) 一种简易高位轮胎快速安装工装
CN111572281A (zh) 双轴弧形伸缩调长式车桥及调轮距的方法
KR101614493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
CN114408810B (zh) 一种生产线用自动快换电式移动搬运装置
CN221092897U (zh) 一种用于斜坡的自动装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