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493B1 -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493B1
KR101614493B1 KR1020150082890A KR20150082890A KR101614493B1 KR 101614493 B1 KR101614493 B1 KR 101614493B1 KR 1020150082890 A KR1020150082890 A KR 1020150082890A KR 20150082890 A KR20150082890 A KR 20150082890A KR 101614493 B1 KR101614493 B1 KR 10161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rear wheel
blade
coupled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연
Original Assignee
김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연 filed Critical 김병연
Priority to KR102015008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4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long loads, e.g. with separate wheeled load suppor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F03D1/00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2)를 효과적으로 운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후륜(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30)이 구비되며, 위치조절수단(30)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31)과, 상기 가이드레일(3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대(32)와, 상기 이송대(32)에 연결되어 이송대(32)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33)과, 상기 이송대(32)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륜(20)이 결합된 지지대(34)와, 상기 지지대(34)에 연결되어 지지대(34)를 측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방향전환수단(35)이 구비되어, 상기 후륜(20)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하여, 트레일러의 주행시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코너를 통과할 때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Trailer to move the front and the rear axis of wind generator blade}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가 전후축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늘어감에 따라 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기의 설치가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풍력발전기는 지주의 상단에 설치된 발전기의 구동축에 방사방향으로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바람이 불어오면 상기 블레이드가 발전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발전기의 구동축을 회전시켜 발전을 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풍력발전기가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블레이드의 길이가 60m 이상으로 길게 제작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공장에서 풍력발전기가 설치되는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트레일러에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이송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운반용 트레일러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면에 블레이드(2)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선단부가 트럭(1)에 방향전환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본체(10)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방하측에 구비되어 트레일러본체(10)를 지지하는 후륜(2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전단부 상면에는 상기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2)의 기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11)이 구비되고,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 상면에는 상기 고정수단(11)에 고정된 블레이드(2)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보조고정수단(12)이 구비된다.
따라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블레이드(2)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2)의 기단부를 상기 고정수단(11)에 고정하면, 상기 블레이드(2)가 상기 고정수단(11)과 보조고정수단(12)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된다.
그런데, 상기 트레일러본체(10)에 의해 운반되는 블레이드(2)는 매우 길고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됨으로, 상기 트럭(1)의 후륜(2)과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륜(20)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트레일러의 전진시 안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하여, 상기 트럭(1)의 후륜(2)과 트레일러의 후륜(20)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경우, 방향전환을 할 때 발생되는 트레일러본체(10)의 내륜차가 급격히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이와 같이 트럭(1)의 후륜(2)과 트레일러의 후륜(20)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 급한 코너를 통과할 때, 트레일러의 후륜(20)이 도로를 따라 회전되지 못하고, 도로를 벗어나게 되며, 심할 경우, 트레일러가 도로 양측에 있는 장애물에 충돌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전진시에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방향전환시 내륜차가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상기 트레일러본체(10)를 제작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전진시의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방향전환시에 발생되는 내륜차를 충분히 줄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044014호, 등록특허 10-129229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2)가 전후축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면에 블레이드(2)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선단부가 트럭(1)에 방향전환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본체(10)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방하측에 구비되어 트레일러본체(10)를 지지하는 후륜(20)을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후륜(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30)이 구비되는데, 상기 위치조절수단(30)은,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31)과,
상기 가이드레일(31)에 결합되어, 슬라이드구동수단(33)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성된 이송대(32)와,
상면에 구비된 회전축(34a) 및 상기 회전축(34a)을 정역회전시키는 방향전환수단(35)에 의해 상기 이송대(32)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방향전환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에 상기 후륜(20)이 결합되어,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이 상기 회전축(34a)을 정역회전시킬 때 측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상기 후륜(20)의 방향을 조절하는 지지대(34)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측면 양측에 구비되어 트레일러본체(10)의 측면 양측으로 근접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40)과,
상기 트레일러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대(32)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50)과,
상기 근접감지수단(40) 및 상기 위치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이송대(32)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지지대(34)와 후륜(2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트럭(1)의 후륜(2)과 트레일러의 후륜(20) 사이의 간격을 줄여, 트레일러가 코너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내륜차를 줄일 수 있게 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위치감지수단(5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이송대(32)가 전방에 위치한다고 감지되면, 상기 근접감지수단(40)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지대(34)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후륜(20)의 방향을 조절하여 트레일러가 장애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후륜(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30)이 구비되며, 위치조절수단(30)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31)과, 상기 가이드레일(3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대(32)와, 상기 이송대(32)에 연결되어 이송대(32)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33)과, 상기 이송대(32)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륜(20)이 결합된 지지대(34)와, 상기 지지대(34)에 연결되어 지지대(34)를 측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방향전환수단(35)이 구비되어, 상기 후륜(20)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하여, 트레일러의 주행시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코너를 통과할 때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운반용 트레일러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운반용 트레일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를 도시한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면에 블레이드(2)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선단부가 트럭(1)에 방향전환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본체(10)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방하측에 구비되어 트레일러본체(10)를 지지하는 후륜(20)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전단부 상면에는 상기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2)의 기단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고정수단(11)이 구비되고,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 상면에는 상기 고정수단(11)에 고정된 블레이드(2)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보조고정수단(12)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후륜(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30)이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위치조절수단(30)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31)과, 상기 가이드레일(3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대(32)와, 상기 이송대(32)에 연결되어 이송대(32)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33)과, 상기 이송대(32)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륜(20)이 결합된 지지대(34)와, 상기 지지대(34)에 연결되어 지지대(34)를 측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방향전환수단(35)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레일(31)은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면 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송대(32)는 넓은 패널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33)은 상기 트레일러의 본체의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전단부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면에 고정되고, 후단부는 상기 이송대(32)에 고정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신축에 의해 상기 이송대(32)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34)는 상면에 구비된 회전축(34a)에 의해 상기 이송대(32)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방향전환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양측에 상기 후륜(20)이 결합되어, 지지대(34)를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후륜(2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은 상기 이송대(32)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34a)의 둘레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4a)을 정역회전시키는 유압모터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유압모터를 이용하여 지지대(34)의 방향을 전환하는 구조는 포크레인 등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트럭(1)의 운전석에는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33)과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조작스위치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33)과 방향전환수단(35)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는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후륜(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30)이 구비되며, 위치조절수단(30)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31)과, 상기 가이드레일(3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이송대(32)와, 상기 이송대(32)에 연결되어 이송대(32)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구동수단(33)과, 상기 이송대(32)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후륜(20)이 결합된 지지대(34)와, 상기 지지대(34)에 연결되어 지지대(34)를 측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방향전환수단(35)이 구비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주행상황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33)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대(32)가 최대한 후방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트럭(1)의 후륜(2)과 트레일러의 후륜(20) 사이의 간격을 최대한 확보하여, 트레일러의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급한 코너를 통과할 때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33)을 이용하여 상기 이송대(32)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지지대(34)와 후륜(2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트럭(1)의 후륜(2)과 트레일러의 후륜(20) 사이의 간격을 줄여, 트레일러가 코너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내륜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이송대(32)가 전진된 상태에서 코너를 통과할 때, 후륜(20)이 도로를 벗어나거나 트레일러가 도로 주변의 장애물에 충돌할 위험이 있을 경우, 운전자가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을 조작하여 상기 지지대(34)를 회전시키면 상기 후륜(20)의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전환되어, 상기 트레일러의 후륜(20)이 도로를 벗어나거나, 트레일러본체(10)가 장애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일러가 좌측으로 구부러진 코너를 통과할 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4)를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대(34)에 구비된 후륜(20)이 우측으로 방향전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34)가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었을 때보다 상기 트레일러의 후단부, 즉, 상기 후륜(20)이 더욱 큰 회전반경을 그리면서 전진되어, 트레일러의 후륜(20)이 도로를 벗어나거나 코너의 내측에 있는 장애물에 트레일러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일러의 주행시 주행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코너를 통과할 때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양측에 구비되어 트레일러본체(10)의 양측으로 근접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40)과, 상기 트레일러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대(32)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50)과,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근접감지수단(40)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출력된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근접되는 물체가 있는지를 감지하는 초음파 근접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트럭(1)에 의해 트레일러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할 때 트레일러본체(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근접되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위치감지수단(50)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에 구비된 터치스위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대(32)가 최대한 후퇴되면 이를 감지하여 on되고, 운전자가 상기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대(32)가 전진되도록 하면 off된다.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근접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트럭(1)에 의해 트레일러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할 때, 상기 트레일러본체(10)가 좌측 또는 우측에 있는 장애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트럭(1)과 트레일러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으로 구부러진 코너를 통과할 때,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근접감지수단(40)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좌측에 근접되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대(34)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후륜(20)이 우측으로 방향전환되도록하며, 이와 같이 상기 후륜(20)이 우측으로 방향전환되면,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가 회전방향의 외측, 즉, 우측으로 밀려나가서, 트레일러본체(10)의 후단부가 장애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위치감지수단(50)의 신호를 감지하여,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대(32)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되었을 때만, 상기 근접감지수단(40)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을 작동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는 상기 제어유닛(60)이 상기 근접감지수단(40)의 신호를 수신하여, 트레일러가 도로의 양측에 있는 장애물에 충돌할 위험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여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을 제어하여 트레일러가 장애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함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위치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대(32)가 전방으로 전진되었을 때만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됨으로, 트럭(1)과 트레일러가 직선의 도로를 따라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의도하지 않게 상기 지지대(34)가 방향전환되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대(32)가 후퇴되었다는 것은 트럭(1)과 트레일러가 상기 이송대(32)를 전진시킬 필요가 없는 상황, 즉, 직선의 도로를 따라 주행하거나 완만한 코너를 통과하는 것을 의미하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대(32)가 전진되었다는 것은 트럭(1)과 트레일러가 매우 급한 코너를 천천히 통과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대(32)가 후퇴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유닛(60)에 의해 상기 지지대(34)가 방향전환될 경우, 트레일러의 후단부가 측방향으로 밀려나와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이송대(32)가 전진된 상태, 즉, 상기 트럭(1)과 트레일러가 매우 급한 코너를 천천히 통과하는 상황에서만 상기 지지대(34)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트럭(1)과 트레일러가 일반적으로 주행하는 상황에서 상기 지지대(34)가 방향전환되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 트레일러본체 20. 후륜
30. 위치조절수단

Claims (3)

  1.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면에 블레이드(2)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선단부가 트럭(1)에 방향전환가능하게 연결되는 트레일러본체(10)와,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후방하측에 구비되어 트레일러본체(10)를 지지하는 후륜(20)을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후륜(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수단(30)이 구비되는데, 상기 위치조절수단(30)은,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하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31)과,
    상기 가이드레일(31)에 결합되어, 슬라이드구동수단(33)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성된 이송대(32)와,
    상면에 구비된 회전축(34a) 및 상기 회전축(34a)을 정역회전시키는 방향전환수단(35)에 의해 상기 이송대(32)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방향전환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에 상기 후륜(20)이 결합되어,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이 상기 회전축(34a)을 정역회전시킬 때 측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상기 후륜(20)의 방향을 조절하는 지지대(34)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일러본체(10)의 측면 양측에 구비되어 트레일러본체(10)의 측면 양측으로 근접되는 장애물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40)과,
    상기 트레일러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대(32)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수단(50)과,
    상기 근접감지수단(40) 및 상기 위치감지수단(50)의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6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이송대(32)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지지대(34)와 후륜(20)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트럭(1)의 후륜(2)과 트레일러의 후륜(20) 사이의 간격을 줄여, 트레일러가 코너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내륜차를 줄일 수 있게 되며,
    상기 제어유닛(60)은 상기 위치감지수단(5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이송대(32)가 전방에 위치한다고 감지되면, 상기 근접감지수단(40)의 신호를 근거로 상기 방향전환수단(35)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지지대(34)를 측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후륜(20)의 방향을 조절하여 트레일러가 장애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
  2. 삭제
  3. 삭제
KR1020150082890A 2015-06-11 2015-06-11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 KR10161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890A KR101614493B1 (ko) 2015-06-11 2015-06-11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890A KR101614493B1 (ko) 2015-06-11 2015-06-11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493B1 true KR101614493B1 (ko) 2016-04-21

Family

ID=5591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890A KR101614493B1 (ko) 2015-06-11 2015-06-11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1992A1 (de) * 2019-05-21 2020-11-25 Nordex Energy GmbH Transportsystem für ein windenergieanlagenrotorblat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9099A (ja) * 2007-02-02 2008-08-2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長尺物の陸上輸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9099A (ja) * 2007-02-02 2008-08-21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長尺物の陸上輸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41992A1 (de) * 2019-05-21 2020-11-25 Nordex Energy GmbH Transportsystem für ein windenergieanlagenrotorblat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3523B2 (en) Telescopic vehicl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long object
CN101891119B (zh) 一种轮胎式集装箱门式起重机的自动纠偏方法
US7971918B2 (en) Extendable sleeper and method of operation
WO2008038029A3 (en) Amphibious vehicle
CN211202013U (zh) 一种适应于大坡度可快速转运的管片运输装置
WO2013086769A1 (zh) 一种大型风力发电机叶片运输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614493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전후축 이동 트레일러
CN107200071B (zh) 主动导流板
CN100542937C (zh) 一种在“井”字交叉轨道上移动的车辆装置
CN110077433A (zh) 无轨电车
US11524584B2 (en) Current collector arrangement for a vehicle and a vehicle therefore
JP2019108742A (ja) 衝突防止補助装置
CN204624994U (zh) 一种轮胎式门式起重机及其门架
CN112622740A (zh) 运输车
CN103352453A (zh) 一种两栖式破冰车
EP1338495B1 (en) A track laying wood chipper, shredder or combined chipper and shredder
JP2011236586A (ja) 軌道用除雪車両
KR101593222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CN203739854U (zh) 一种车辆防倾斜支撑装置
KR101371938B1 (ko) 대형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길이 조절 장치
EP2336011B1 (en) Auxiliary drive unit for a trailer
CN214929277U (zh) 运输车
CN114104129B (zh) 车辆过坑机构及汽车
CN217622981U (zh) 一种行走机构
KR101776468B1 (ko)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