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468B1 -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468B1
KR101776468B1 KR1020160030986A KR20160030986A KR101776468B1 KR 101776468 B1 KR101776468 B1 KR 101776468B1 KR 1020160030986 A KR1020160030986 A KR 1020160030986A KR 20160030986 A KR20160030986 A KR 20160030986A KR 101776468 B1 KR101776468 B1 KR 101776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disposed
mov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래
이기학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0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468B1/ko
Priority to US15/417,103 priority patent/US10961983B2/en
Priority to PCT/KR2017/001240 priority patent/WO2017159985A1/ko
Priority to EP17157041.9A priority patent/EP32199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4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long loads, e.g. with separate wheeled load suppor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fluids, e.g. having direct contact between fluid and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전후, 좌우 위치를 변경하여 블레이드가 운송차량 위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balance of a blade transport vehicle}
본 발명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로에서 블레이드의 전후, 좌우 위치를 변경하여 블레이드가 운송차량 위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풍력터빈과 같은 풍력설비는 바람에 의한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친환경적 발전시설로서, 지구환경 보호의 필요성이 부각되는 요즘 시대에 각광받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일환이다.
이러한 풍력설비는 크게 나셀(nacelle)과 타워(tower)로 나눌 수 있다. 이중 나셀에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blade)가 허브(hub)에 소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장착되고, 허브의 중심은 로터의 구동샤프트에 연결된다. 풍력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에너지가 로터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나셀의 내부에는 로터와 연결된 발전기(generator)가 내장되어 있다. 로터의 회전에 따라 발전기는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렇듯 풍력발전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역할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를 풍력터빈이 설치된 지역까지 운송하기 위해서 도 1a와 같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이 사용된다.
종래 블레이드 운송차량은 크게 하부트레일러(8), 유압실린더(3), 고정프레임(4), 선회베어링유닛(5), 블레이드 어댑터(6)를 포함한다.
먼저 하부트레일러(8)는 메인바디에 복수의 바퀴가 여러 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블레이드(7)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것과 블레이드(7)를 안정적으로 운송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트레일러(8)의 양측에는 지지빔(2)이 배치된다. 지지빔(2)은 운송차량이 정차 후 블레이드(7)를 움직이기 위해 유압장치에 의해 하부트레일러(8)의 폭 방향 양측으로 신장되어 지면에 닿아 블레이드(7) 하중에 따라 운송차량에 걸리는 부하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물론 운행 중에는 유압장치에 의해 지면에서 분리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하부트레일러(8)의 상단에는 고정프레임(4)이 배치된다. 고정프레임(4)은 한 쌍의 기둥이 하부트레일러(8)의 상단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유압실린더(3)가 힌지 연결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3)의 로드 단부는 선회베어링유닛(5)의 베어링블록(5b) 하단에 힌지연결된다.
유압실린더(3)가 작동되어 유압실린더(3)의 로드가 신장되면, 베어링블록(5b)의 각도는 변경된다. 이에 따라 베어링블록(5b)에 장착된 선회베어링(5a)과 선회베어링(5a)에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된 블레이드 어댑터(6)가 함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도 1a를 참고하면, 도 1b와 비교하여 유압실린더(3)의 작동에 따라 블레이드(7)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여기서 선회베어링(5a)은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블록(5b)에 장착되는데, 이는 베어링블록(5b)상에 배치된 선회드라이브(5c)에 의해 이뤄지게 된다. 사용자가 블레이드(7)를 회전시키기 위해 선회드라이브(5c)를 작동시키면 기어로 맞물려 있는 선회베어링(5a)이 회전함에 따라 선회베어링(5a)과 볼트체결되어 있는 블레이드 어댑터(6)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블레이드(7)의 회전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경우 정차 중 지면이 경사져 있거나, 운행 중 커브길이나 경사로를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수십톤에 이르는 블레이드(7) 무게로 인하여 차량이 전복될 위험이 항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래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경우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것은 유압실린더(3)에 의해 블레이드(7)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것이어서,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국내특허 등록번호: 제 10-1564849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로에서 블레이드의 전후, 좌우 위치를 변경하여 블레이드가 운송차량 위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운송차량에 관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하부트레일러의 상단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1 이동부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베이스 상단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구동유닛은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구동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측의 양면에 형성된 제1 랙기어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상기 제1 랙기어를 마주보게 배치된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랙기어에 맞물려 배치되는 제1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구동유닛은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구동유닛은, 상기 제2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측의 양면에 형성된 제2 랙기어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상기 제2 랙기어를 마주보게 배치된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랙기어에 맞물려 배치되는 제2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 지지프레임과 소정간격이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밸런스블록과 상기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밸런스블록을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밸런스블록을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4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이동부는, 상기 베이스 상단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3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3 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3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구동유닛은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구동유닛은, 상기 제3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측의 양면에 형성된 제3 랙기어와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상기 제3 랙기어를 마주보게 배치된 제3 모터 및 상기 제3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랙기어에 맞물려 배치되는 제3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 이동부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4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4 가이드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밸런스블록을 지지하는 제4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4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 구동유닛은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 구동유닛은, 상기 제4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측의 양면에 형성된 제4 랙기어와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상기 제4 랙기어를 마주보게 배치된 제4 모터 및 상기 제4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랙기어에 맞물려 배치되는 제4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실린더 또는 랙/피니언 기어체를 이용하여 블레이드 어댑터의 위치를 전후, 좌우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경사로에서 블레이드 무게로 인해 운송차량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운송차량의 무게중심을 잡아줄 수 있는 밸런스블록을 배치하여, 블레이드 어댑터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밸런스블록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경사로에서 운송차량의 특정방향에 인가되는 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블레이드 운송차량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블레이드 어댑터 또는 밸런스블록의 위치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블레이드 어댑터의 위치 변경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밸런스 블록의 위치 변경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
도 6a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블레이드 어댑터의 위치 변경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발명에서 랙/피니언 기어체를 나타낸 도면.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밸런스 블록의 위치 변경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발명에서 랙/피니언 기어체를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블레이드 어댑터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블레이드 어댑터 또는 밸런스블록의 위치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블레이드 어댑터의 위치 변경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밸런스 블록의 위치 변경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이며, 도 6a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블레이드 어댑터의 위치 변경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발명에서 랙/피니언 기어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a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밸런스 블록의 위치 변경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발명에서 랙/피니언 기어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a 및 도 8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블레이드 어댑터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8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베이스(110), 고정프레임(120), 제1 이동부(200) 및 제2 이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110)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하부트레일러(16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트레일러(160)는 블레이드 운송이 가능하도록, 그 본체에 복수의 바퀴가 여러 열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상단은 평평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는 평평한 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강도를 위해 스틸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하부트레일러(160)의 상단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베이스(11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한 쌍의 스틸 재질의 기둥 형태로 베이스(11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상단부에는 선회베어링유닛(155) 및 블레이드 어댑터(151)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스틸 재질의 기둥 사이에는 각도조절 실린더(140)가 선회베어링유닛(155)과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선회베어링유닛(155)은 선회베어링(152)과 베어링블록(153)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회베어링(152)은 베어링블록(15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베어링블록(153)의 일단부에는 선회드라이브(154)가 장착되어 선회베어링(152)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1)는 선회베어링(152)의 일측에 장착되어 선회베어링(152)이 선회드라이브(154)에 의해 회전할 때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이러한 블레이드 어댑터(151)는 풍력터빈에 장착되는 고중량의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선회베어링(152)을 회전시켜 블레이드 어댑터(151)상 장착된 블레이드의 원주방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각도조절 실린더(140)를 조작하여 블레이드 어댑터(151)상 장착된 블레이드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이동부(200)는 상기 베이스(110)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120)을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이동부(200)는 제1 가이드레일(210), 제1 플레이트(220) 및 제1 구동유닛(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가이드레일(210)은 상기 베이스(110) 상단에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 가이드레일(210)이 상기 베이스(110)의 차량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배치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가이드레일(210)의 배치 갯수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레일(210)의 양단부에는 제1 플레이트(220)의 이동 제한을 위해 각각 스토퍼(211)가 장착되어 있다. 제1 가이드레일(210) 상단을 따라 이동하는 제1 플레이트(220)는 상기 스토퍼(211)에 의해 제1 가이드레일(210)을 벗어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제1 플레이트(220)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210)에 안착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2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이드레일(2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안착홈(도 8a 참조;228)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가이드레일(210)의 상단을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인 볼베어링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구동유닛(230)은 상기 베이스(110) 상단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22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220)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220)를 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베이스(110)상에 제1 구동유닛(230)이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구동유닛(230)은 유압실린더(231)일 수 있다.
즉 유압실린더(231)의 몸체는 베이스(110) 상단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231)의 로드는 상기 제1 플레이트(220)의 일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구동유닛(230)을 구동하면 유압실린더(231)의 로드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제1 플레이트(220)를 제1 가이드레일(210)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이동부(300)는 상기 제1 이동부(200)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120)을 상기 베이스(1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이동부(300)는 제2 가이드레일(310), 제2 플레이트(320) 및 제2 구동유닛(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2 가이드레일(310)은 상기 제1 플레이트(220)의 상단에 상기 베이스(1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역시 상기 제1 플레이트(2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2 가이드레일(310)의 양단부에는 스토퍼(31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플레이트(320)는 상기 제2 가이드레일(310)에 안착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120)을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2 플레이트(320) 상단에 한 쌍의 기둥 형태로 구현된 블레이드 고정프레임(120)이 배치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제2 플레이트(320)의 하단에는 상기 제2 가이드레일(310)에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도 2 참조;3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착홈 내부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부드러운 이동을 위한 일반적인 볼베어링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유닛(330)은 상기 제2 플레이트(320)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320)를 이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구동유닛(330)은 유압실린더(331)일 수 있으며, 도 4를 참고하면, 유압실린더(331)는 제2 플레이트(320) 상단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331)의 몸체는 제2 플레이트(320) 상단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331)의 로드는 제1 플레이트(220) 상단에 배치된 지지블록(332)과 결합되며, 그 로드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제2 플레이트(320)를 밀거나 당기며 이동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구동유닛(230)은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제1 랙기어(233), 제1 모터(234) 및 제1 피니언기어(2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랙기어(233)는 상기 제1 플레이트(220)상에서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측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모터(234)는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에서 상기 제1 랙기어(233)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모터(234)는 도 6b에서와 같이 고정브라켓(236)에 볼트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그 샤프트가 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터(234)의 샤프트에는 상기 제1 피니언기어(235)가 상기 제1 랙기어(233)에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모터(234)를 구동하면, 제1 모터(234)의 샤프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플레이트(220)는 제1 랙기어(233)와 제1 피니언기어(235)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타고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구동유닛(330)은 제2 랙기어(333), 제2 모터(334) 및 제2 피니언기어(3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2 랙기어(333)는 상기 제2 플레이트(320)상에서 상기 베이스(110)의 폭방향측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모터(334)는 상기 제1 플레이트(220)의 양측에서 상기 제2 랙기어(333)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모터(334)는 고정브라켓에 볼트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그 샤프트가 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터(334)의 샤프트에는 상기 제2 피니언기어(335)가 상기 제2 랙기어(333)에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모터(334)를 구동하면, 제2 모터(334)의 샤프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플레이트(320)는 제2 랙기어(333)와 제2 피니언기어(335)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베이스(110)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밸런스블록(130), 제3 이동부(400) 및 제4 이동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밸런스블록(130)은 블레이드의 무게에 대응하여 차량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균형 유지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블레이드 지지프레임과 소정간격이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블레이드 지지프레임의 차량 후단 방향측에 밸런스블록(130)이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밸런스블록(130)은 무게추, 기타 설비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3 이동부(400)는 상기 베이스(110)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밸런스블록(130)을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3 이동부(400)는 제3 가이드레일(410), 제3 플레이트(420) 및 제3 구동유닛(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3 가이드레일(410)은 상기 베이스(110) 상단에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3 가이드레일(410)이 상기 베이스(110)의 차량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배치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 가이드레일(410)의 배치 갯수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상기 제3 가이드레일(410)의 양단부에는 제3 플레이트(420)의 이동 제한을 위해 각각 스토퍼(411)가 장착되어 있다. 제3 가이드레일(410) 상단을 따라 이동하는 제3 플레이트(420)는 상기 스토퍼(411)에 의해 제3 가이드레일(410)을 벗어나는 문제는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제3 플레이트(420)는 상기 제3 가이드레일(410)에 안착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제3 가이드레일(4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3 가이드레일(41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안착홈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3 가이드레일(410)의 상단을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일반적인 볼베어링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구동유닛(430)은 상기 베이스(110) 상단에서 상기 제3 플레이트(42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3 플레이트(420)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3 플레이트(420)를 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베이스(110)상에 제3 구동유닛(430)이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3 구동유닛(430)은 유압실린더(431)일 수 있다.
즉 유압실린더(431)의 몸체는 베이스(110) 상단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431)의 로드는 상기 제3 플레이트(420)의 일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3 구동유닛(430)을 구동하면 유압실린더(431)의 로드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제3 플레이트(420)를 제3 가이드레일(410)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4 이동부(500)는 상기 제3 이동부(400)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밸런스블록(130)을 상기 베이스(11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4 이동부(500)는 제4 가이드레일(510), 제4 플레이트(520) 및 제4 구동유닛(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4 가이드레일(510)은 상기 제3 플레이트(420)의 상단에 상기 베이스(1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역시 상기 제4 플레이트(5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4 가이드레일(510)의 양단부에는 스토퍼(511)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플레이트(520)는 상기 제4 가이드레일(510)에 안착되고 상기 밸런스블록(130)을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4 플레이트(520) 상단에 밸런스블록(130)이 배치된 것을 볼 수 있으며, 제4 플레이트(520)의 하단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4 가이드레일(510)에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안착홈 내부에는 부드러운 이동을 위한 일반적인 볼베어링유닛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4 구동유닛(530)은 상기 제4 플레이트(520)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4 플레이트(520)를 이동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4 구동유닛(530)은 유압실린더(531)일 수 있으며, 도 5를 참고하면, 유압실린더(531)는 제4 플레이트(520) 상단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531)의 몸체는 제4 플레이트(520) 상단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531)의 로드는 제3 플레이트(420) 상단에 배치된 지지블록(532)과 결합되며, 그 로드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제4 플레이트(520)를 밀거나 당기며 이동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 구동유닛(430)은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제3 랙기어(433), 제3 모터(434) 및 제3 피니언기어(4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3 랙기어(433)는 상기 제3 플레이트(420)상에서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측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모터(434)는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에서 상기 제3 랙기어(433)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모터(434)는 도 7b에서와 같이 고정브라켓(436)에 볼트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그 샤프트가 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모터(434)의 샤프트에는 상기 제3 피니언기어(435)가 상기 제3 랙기어(433)에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3 모터(434)를 구동하면, 제3 모터(434)의 샤프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3 플레이트(420)는 제3 랙기어(433)와 제3 피니언기어(435)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4 구동유닛(530)은 제4 랙기어(533), 제4 모터(534) 및 제4 피니언기어(5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4 랙기어(533)는 상기 제4 플레이트(520)상에서 상기 베이스(110)의 폭방향측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모터(534)는 상기 제3 플레이트(420)의 양측에서 상기 제4 랙기어(533)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4 모터(534)는 고정브라켓(미도시)에 볼트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그 샤프트가 하측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모터(534)의 샤프트에는 상기 제4 피니언기어(535)가 상기 제4 랙기어(533)에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4 모터(534)를 구동하면, 제4 모터(534)의 샤프트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4 플레이트(520)는 제4 랙기어(533)와 제4 피니언기어(535)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베이스(110)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도 2 및 도 3, 도 8a 및 도 8b와 같은 작동구조를 가지게 된다.
블레이드 운송차량이 정차된 지면이 경사져 있거나, 블레이드 운송차량이 운행 중 커브길을 돌거나 경사로를 올라가거나 또는 내려갈 때, 운송 중인 대형 블레이드의 무게로 인해 차량이 기울어져 전복될 위험이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 구동유닛(230)을 구동하여 블레이드 어댑터(151) 및 선회베어링유닛(155)이 장착된 고정프레임(1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유압실린더(231)로 구현된 상기 제1 구동유닛(230)을 작동시키면, 유압실린더(231)의 로드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제1 플레이트(220)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제1 플레이트(220)는 제1 가이드레일(210)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므로,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블레이드 고정프레임(120)의 이동에 대응하여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해 상기 밸런스블록(1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에도 사용자는 상기 제3 구동유닛(430)을 구동하여 밸런스블록(130)을 이동시키게 된다. 즉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유압실린더(431)로 구현된 제3 구동유닛(430)을 작동시키면, 유압실린더(431)의 로드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상기 밸런스블록(130)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제3 플레이트(420)는 제3 가이드레일(410)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므로,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a와 같은 평지를 운행할 때는 상기 제2 이동부(300)를 구동할 필요는 없다. 고정프레임(120) 또는 밸런스블록(130)에 대한 위치조정이 없더라도 운송차량의 전복 위험은 적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약 운송 중 도 8b에서와 같이 도로가 일방향으로 경사져 있거나, 잠시 정차 중에 정차한 지면이 경사져 있는 경우에는 수십톤에 이르는 블레이드의 무게 때문에 차량이 경사방향으로 전복될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도 8b에서는 유압실린더(331)로 구현된 상기 제2 구동유닛(330)을 작동시켜 경사 반대 방향으로 제2 플레이트(320)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유압실린더(331)의 로드는 고정판(332)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작동함에 따라 제2 플레이트(320)는 경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함께 제2 플레이트(320) 상단에 배치된 블레이드 고정프레임(120)도 경사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에 의한 무게 중심은 경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전복 위험은 낮아지게 된다.
도 8a 및 도 8b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밸런스블록(130)을 지지하는 제3 플레이트(420) 및 제4 플레이트(520)도 같은 작동방법으로 경사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레이드 하중에 의해 차량에 인가되는 무게중심은 조정되게 된다.
이로써, 블레이드는 도로 또는 지면 상황에 따라 적절히 위치가 변경되어 무게 중심이 유지됨으로써, 풍력발전설비지역까지 안전하게 운송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블레이드 운송차량 B:블레이드
110:베이스 120:고정프레임
130:밸런스블록 140:각도조절 실린더
151:블레이드 어댑터 152:선회베어링
153:베어링블록 155:선회베어링유닛
160:하부트레일러
200:제1 이동부 210:제1 가이드레일
211:스토퍼 220:제1 플레이트
230:제1 구동유닛 231:유압실린더
233:제1 랙기어 234:제1 모터
235:제1 피니언기어
300:제2 이동부 310:제2 가이드레일
311:스토퍼 320:제2 플레이트
330:제2 구동유닛 331:유압실린더
332:지지판 333:제2 랙기어
334:제2 모터 335:제2 피니언기어
400:제3 이동부 410:제3 가이드레일
411:스토퍼 420:제3 플레이트
430:제3 구동유닛 431:유압실린더
433:제3 랙기어 434:제3 모터
435:제3 피니언기어
500:제4 이동부 510:제4 가이드레일
511:스토퍼 520:제4 플레이트
530:제4 구동유닛 531:유압실린더
533:제4 랙기어 534:제4 모터
535:제4 피니언기어

Claims (14)

  1.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하부트레일러의 상단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고정프레임;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과 소정간격이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밸런스블록;
    상기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을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
    상기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밸런스블록을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이동부; 및
    상기 제3 이동부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밸런스블록을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4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이동부는,
    상기 베이스 상단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3 가이드레일;
    상기 제3 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3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이동부는,
    상기 제3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4 가이드레일;
    상기 제4 가이드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밸런스블록을 지지하는 제4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4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4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는,
    상기 베이스 상단에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가이드레일;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안착되는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일측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1 구동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유닛은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유닛은,
    상기 제1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측의 양면에 형성된 제1 랙기어;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상기 제1 랙기어를 마주보게 배치된 제1 모터; 및
    상기 제1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랙기어에 맞물려 배치되는 제1 피니언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부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단에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가이드레일;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안착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을 지지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제2 구동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유닛은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유닛은,
    상기 제2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측의 양면에 형성된 제2 랙기어;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상기 제2 랙기어를 마주보게 배치된 제2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랙기어에 맞물려 배치되는 제2 피니언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유닛은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유닛은,
    상기 제3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측의 양면에 형성된 제3 랙기어;
    상기 베이스의 양측에서 상기 제3 랙기어를 마주보게 배치된 제3 모터; 및
    상기 제3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랙기어에 맞물려 배치되는 제3 피니언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구동유닛은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구동유닛은,
    상기 제4 플레이트상에서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측의 양면에 형성된 제4 랙기어;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상기 제4 랙기어를 마주보게 배치된 제4 모터; 및
    상기 제4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4 랙기어에 맞물려 배치되는 제4 피니언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KR1020160030986A 2016-03-15 2016-03-15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KR101776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986A KR101776468B1 (ko) 2016-03-15 2016-03-15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US15/417,103 US10961983B2 (en) 2016-03-15 2017-01-26 Blade transport vehicle
PCT/KR2017/001240 WO2017159985A1 (ko) 2016-03-15 2017-02-05 블레이드 운송차량
EP17157041.9A EP3219983B1 (en) 2016-03-15 2017-02-21 Blade transport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986A KR101776468B1 (ko) 2016-03-15 2016-03-15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468B1 true KR101776468B1 (ko) 2017-09-07

Family

ID=5992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986A KR101776468B1 (ko) 2016-03-15 2016-03-15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7339A (zh) * 2018-07-04 2018-11-06 武汉神骏专用汽车制造股份有限公司 带举升旋转装置的可伸缩式风机叶片运输工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8540B2 (ja) * 2003-02-12 2008-02-20 日本通運株式会社 異形長尺物運搬用装置
KR101292293B1 (ko) * 2011-09-01 2013-08-01 대명지이씨(주) 풍력 발전 기자재 등의 대형 구조체 운송 장치 및 이를 갖는 운송 차량
KR101593222B1 (ko) * 2015-04-06 2016-02-18 김병연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8540B2 (ja) * 2003-02-12 2008-02-20 日本通運株式会社 異形長尺物運搬用装置
KR101292293B1 (ko) * 2011-09-01 2013-08-01 대명지이씨(주) 풍력 발전 기자재 등의 대형 구조체 운송 장치 및 이를 갖는 운송 차량
KR101593222B1 (ko) * 2015-04-06 2016-02-18 김병연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역방향 운반용 트레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57339A (zh) * 2018-07-04 2018-11-06 武汉神骏专用汽车制造股份有限公司 带举升旋转装置的可伸缩式风机叶片运输工装
CN108757339B (zh) * 2018-07-04 2024-01-09 武汉神骏专用汽车制造股份有限公司 带举升旋转装置的可伸缩式风机叶片运输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946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한 트레일러
RU2558410C2 (ru)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роторных лопастей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их установок и/или башенных сегментов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ая стой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ого средства
WO2013086769A1 (zh) 一种大型风力发电机叶片运输装置及其使用方法
EP3219983B1 (en) Blade transport vehicle
KR101046488B1 (ko) 차량탑재용 크레인
KR101835075B1 (ko) 태양광 발전용 추적장치
JP7167275B2 (ja) 自走クレーン
CN102490643B (zh) 一种大型风电叶片运输装置
KR101621658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운송을 위한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블레이드 기립장치
ES2763955T3 (es) Procedimiento y medios para establecer el acceso a las piezas principales de la góndola en una turbina eólica
ES2704041T3 (es) Grúa móvil y método para el montaje temporal de dicha grúa móvil
JPWO2014129066A1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及びその運用方法
KR101875826B1 (ko) 가로등용 태양광 발전용 추적장치
CN102627085A (zh) 用于风轮机部件的运输设备及其使用方法
US20120300487A1 (en) Mobile Lighting Apparatus
KR200463113Y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운반용 트레일러
JP2014190313A (ja) 吊り上げ装置、風力発電装置および風力発電装置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101776468B1 (ko)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KR101629099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운송을 위한 트레일러
JP2013071511A (ja) 長尺物運搬装置
US2012002372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Large Photovoltaic Modules
KR101564849B1 (ko) 적재물의 선회 반경이 가변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한 트레일러
KR101776469B1 (ko)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CN202448812U (zh) 一种混凝土泵车
KR101776470B1 (ko)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