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469B1 -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469B1
KR101776469B1 KR1020160030992A KR20160030992A KR101776469B1 KR 101776469 B1 KR101776469 B1 KR 101776469B1 KR 1020160030992 A KR1020160030992 A KR 1020160030992A KR 20160030992 A KR20160030992 A KR 20160030992A KR 101776469 B1 KR101776469 B1 KR 101776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base
disposed
blade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래
이기학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469B1/ko
Priority to US15/417,103 priority patent/US10961983B2/en
Priority to PCT/KR2017/001240 priority patent/WO2017159985A1/ko
Priority to EP17157041.9A priority patent/EP32199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4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long loads, e.g. with separate wheeled load suppor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fluids, e.g. having direct contact between fluid and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4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을 지지하는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의 양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에 연결되는 내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배치각도를 조정하여 차량에 인가되는 부하를 균형되게 함으로써, 차량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angle of a blade transport vehicle}
본 발명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로에서 블레이드의 배치각도를 조정하여 차량에 인가되는 부하를 균형되게 함으로써, 차량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풍력터빈과 같은 풍력설비는 바람에 의한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친환경적 발전시설로서, 지구환경 보호의 필요성이 부각되는 요즘 시대에 각광받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의 일환이다.
이러한 풍력설비는 크게 나셀(nacelle)과 타워(tower)로 나눌 수 있다. 이중 나셀에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블레이드(blade)가 허브(hub)에 소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장착되고, 허브의 중심은 로터의 구동샤프트에 연결된다. 풍력에 의해 블레이드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에너지가 로터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나셀의 내부에는 로터와 연결된 발전기(generator)가 내장되어 있다. 로터의 회전에 따라 발전기는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게 된다.
이렇듯 풍력발전에 있어서 블레이드의 역할은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를 풍력터빈이 설치된 지역까지 운송하기 위해서 도 1a와 같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이 사용된다.
종래 블레이드 운송차량은 크게 하부트레일러(8), 유압실린더(3), 고정프레임(4), 선회베어링유닛(5), 블레이드 어댑터(6)를 포함한다.
먼저 하부트레일러(8)는 메인바디에 복수의 바퀴가 여러 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블레이드(7)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것과 블레이드(7)를 안정적으로 운송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트레일러(8)의 양측에는 지지빔(2)이 배치된다. 지지빔(2)은 운송차량이 정차 후 블레이드(7)를 움직이기 위해 유압장치에 의해 하부트레일러(8)의 폭 방향 양측으로 신장되어 지면에 닿아 블레이드(7) 하중에 따라 운송차량에 걸리는 부하를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물론 운행 중에는 유압장치에 의해 지면에서 분리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하부트레일러(8)의 상단에는 고정프레임(4)이 배치된다. 고정프레임(4)은 한 쌍의 기둥이 하부트레일러(8)의 상단에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유압실린더(3)가 힌지 연결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3)의 로드 단부는 선회베어링유닛(5)의 베어링블록(5b) 하단에 힌지연결된다.
유압실린더(3)가 작동되어 유압실린더(3)의 로드가 신장되면, 베어링블록(5b)의 각도는 변경된다. 이에 따라 베어링블록(5b)에 장착된 선회베어링(5a)과 선회베어링(5a)에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된 블레이드 어댑터(6)가 함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도 1a를 참고하면, 도 1b와 비교하여 유압실린더(3)의 작동에 따라 블레이드(7)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여기서 선회베어링(5a)은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블록(5b)에 장착되는데, 이는 베어링블록(5b)상에 배치된 선회드라이브(5c)에 의해 이뤄지게 된다. 사용자가 블레이드(7)를 회전시키기 위해 선회드라이브(5c)를 작동시키면 기어로 맞물려 있는 선회베어링(5a)이 회전함에 따라 선회베어링(5a)과 볼트체결되어 있는 블레이드 어댑터(6)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블레이드(7)의 회전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경우 정차 중 지면이 경사져 있거나, 운행 중 커브길이나 경사로를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수십톤에 이르는 블레이드(7) 무게로 인하여 차량이 전복될 위험이 항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종래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경우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는 것은 유압실린더(3)에 의해 블레이드(7)의 상하각도를 조절하는 것이어서, 운송차량의 진행 방향의 경사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대응할 수는 있으나, 운송차량의 폭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도로를 주행하거나 정차시에는 적절히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국내특허 등록번호: 제 10-1564849 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레이드의 배치각도를 조정하여 차량에 인가되는 부하를 균형되게 함으로써, 차량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송차량의 하부트레일러 상단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을 지지하는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의 양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에 연결되는 내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승강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안착홈에 배치되는 제1 유압실린더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힌지 연결되는 제1 지지브라켓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승강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제2 안착홈과 몸체는 상기 제2 안착홈에 배치되고 로드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2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2 안착홈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의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제2 지지브라켓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토록, 상기 승강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자이로 수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이로 수평센서와 연동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콘트롤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부는, 상기 자이로 수평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의 기울어진 각도를 송신받는 각도측정부와 상기 각도측정부로부터 각도값을 송신받아 유압량으로 환산하는 각도환산부 및 상기 각도환산부로부터 유압량을 송신받아 상기 제1 유압실린더 또는 상기 제2 유압실린더를 조정하는 유압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운송차량의 하부트레일러 상단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고정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을 지지하는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의 양측 외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에 연결되는 외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승강부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3 지지브라켓 및 몸체는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 양측 외단부에 배치되고, 로드는 상기 제3 지지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는 제3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의 양측 외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되, 상기 외승강부는, 상기 베이스의 테이퍼부의 양측 외단부에 배치되는 제4 지지브라켓과 몸체는 상기 제4 지지브라켓에 힌지 연결되고, 로드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4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토록, 상기 승강플레이트상에 배치되는 자이로 수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이로 수평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의 기울어진 각도를 송신받는 각도측정부와 상기 각도측정부로부터 각도값을 송신받아 유압량으로 환산하는 각도환산부 및 상기 각도환산부로부터 유압량을 송신받아 상기 제3 유압실린더 또는 상기 제4 유압실린더를 조정하는 유압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하부트레일러 상단에 배치되는 베이스 부분에 유압실린더를 배치함으로써, 도로 기울기에 따라 블레이드 어댑터의 배치 각도를 조정하여 대형 블레이드 무게로 인해 차량에 편파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하중을 적절히 균형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블레이드 운송차량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작동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내승강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내승강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작동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a에 도시된 발명에서 외승강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도 6a에 도시된 발명에서 외승강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제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내승강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내승강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의 제1 실시예는 베이스(110), 고정프레임(120), 승강플레이트(200) 및 내승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110)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하부트레일러(16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트레일러(160)는 블레이드 운송이 가능하도록, 그 본체에 복수의 바퀴가 여러 열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상단은 평평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는 평평한 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강도를 위해 스틸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하부트레일러(160)의 상단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 접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베이스(11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20)은 한 쌍의 스틸 재질의 기둥 형태로 베이스(11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20)의 상단부에는 선회베어링유닛(155) 및 블레이드 어댑터(151)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스틸 재질의 기둥 사이에는 각도조절 실린더(140)가 선회베어링유닛(155)과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선회베어링유닛(155)은 선회베어링(152)과 베어링블록(153)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회베어링(152)은 베어링블록(15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베어링블록(153)의 일단부에는 선회드라이브(154)가 장착되어 선회베어링(152)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 어댑터(151)는 선회베어링(152)의 일측에 장착되어 선회베어링(152)이 선회드라이브(154)에 의해 회전할 때 함께 회전되게 된다. 이러한 블레이드 어댑터(151)는 풍력터빈에 장착되는 고중량의 블레이드를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선회베어링(152)을 회전시켜 블레이드 어댑터(151)상 장착된 블레이드의 원주방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각도조절 실린더(140)를 조작하여 블레이드 어댑터(151)상 장착된 블레이드의 상하방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승강플레이트(20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120)을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평판 형태의 스틸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승강부(300)는 상기 베이스(110)의 폭방향의 양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200)의 하단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승강부(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유압실린더(310) 및 제1 지지브라켓(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먼저 상기 제1 유압실린더(310)는 상기 베이스(11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안착홈(119)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지브라켓(320)은 상기 승강플레이트(2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유압실린더(310)의 로드는 상기 제1 지지브라켓(320)에 힌지(330)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안착홈(119)은 상기 베이스(110) 내부에서 사각형을 이루며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안착홈(119)에 배치되는 제1 유압실린더(310)의 개수도 4개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승강플레이트(200)의 각 모서리를 지탱하기 위함이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승강플레이트(200)의 각 모서리 이외에 중간 부분을 지탱하기 위해서 6개, 8개 등 다양한 개수로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경사로에서 블레이드의 배치위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제1 유압실린더(310)를 작동시키면, 도 4b에서와 같이 일측의 제1 유압실린더(310)의 로드가 상승하여 승강플레이트(200)에 경사각도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승강플레이트(200)의 하단은 제1 유압실린더(310)의 로드와 힌지(330)로 제1 지지브라켓(32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승강플레이트(200)에 경사가 발생하더라도 제1 유압실린더(310)의 로드는 비틀림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승강부(300)는 제2 안착홈(340), 제2 유압실린더(370) 및 제2 지지브라켓(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제2 안착홈(340)은 상기 베이스(1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370)의 몸체는 상기 제2 안착홈(34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유압실린더(370)의 로드는 상기 승강플레이트(200)의 하단과 볼트체결 또는 용접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지브라켓(350)은 상기 제2 안착홈(340)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370)의 몸체에 힌지(360)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경사로에서 블레이드의 배치위치를 안정화하기 위해 승강플레이트(200)의 각도를 조절하려면, 제2 유압실린더(37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2 유압실린더(370)의 몸체는 제2 지지브라켓(350)에 힌지(360) 연결되어 있으므로, 승강플레이트(200)의 각도변화에 따른 비틀림 부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 안착홈(340)은 양측이 테이퍼져 있으므로, 제2 유압실린더(370)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물론 도 5a 및 도 5b는 측단면도로 표시되어 있으나, 제2 안착홈(340)은 승강플레이트(200)의 각 모서리를 지탱하기 위해 4개가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압실린더(370)도 4개가 배치되어 사각 평판 형태의 승강플레이트(200)를 지지하게 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강플레이트(200)의 중간 부분을 지탱하기 위해 6개, 8개 등 다양한 개수로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120)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토록, 상기 승강플레이트(200)상에 배치되는 자이로 수평센서(5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를 참고하면, 이러한 자이로 수평센서(550)와 연동되며, 운송차량상의 승강플레이트(200)의 배치 각도를 작동으로 조절하는 콘트롤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콘트롤부(500)는 각도측정부(510), 각도환산부(520) 및 유압구동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상기 승강플레이트(200) 부분에 장착된 제1 수평센서(551)(551)와 상기 베이스(110) 부분에 장착된 제2 수평센서(553)(553)를 볼 수 있다. 만약 블레이드 운송차량이 경사로에 주차되거나 또는 경사로를 운행할 때, 수십톤의 고중량 블레이드 무게로 인하여 차량은 경사방향으로 쏠림 현상을 받아 전복의 위험이 있게 된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도측정부(510)는 상기 자이로 수평센서(550)와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120)의 기울어진 각도를 수신받아 실시간 경사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수평센서(551)(551)로부터 승강플레이트(200)의 경사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 수평센서(553)(553)으로부터 베이스(110)의 경사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각도측정부(510)는 이 정보를 상기 각도환산부(520)로 송신하고, 각도환산부(520)에선느 각도측정부(510)에서 측정한 각도값을 송신받아 유압량으로 환산하게 된다. 환산된 유압값을 상기 유압구동부(530)로 송신하면 유압구동부(530)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310) 또는 제2 유압실린더(370)를 구동하게 된다.
도 3b를 참고하면, 경사로에서 베이스(110) 일측에 배치된 제1 유압실린더(310)가 구동하여 승강플레이트(200)가 다시 수평하게 위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승강플레이트(200)의 각도 조절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다시 제1 수평센서(551)와 제2 수평센서(553)의 각도값 비교를 통해 이뤄지게 된다. 즉 상기 각도측정부(510)에서 실시간으로 제1 수평센서(551)와 제2 수평센서(553)의 각도값을 비교하여 제1 수평센서(551)에서 입력되는 각도값이 0이 되면 승강플레이트(200)가 수평하게 위치된 것이므로, 이를 통해 유압구동부(530)에 신호를 주어 제1 유압실린더(31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해당하는 제2 유압실린더(370)의 작동도 마찬가지로 이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는 수평하게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경사로에서 블레이드 하중에 의한 운송차량 전복 사고의 위험은 방지되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a에 도시된 발명에서 외승강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a 및 도 8b는 도 6a에 도시된 발명에서 외승강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8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의 제1 실시예는 베이스(110), 고정프레임(120), 승강플레이트(200) 및 외승강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 및 고정프레임(120)을 포함하여 하부트레일러(160), 선회베어링유닛(155), 각도조절 실린더(140) 및 블레이드 어댑터(151)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승강플레이트(200)는 상기 베이스(110)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120)을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평판 형태의 스틸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승강부(400)는 상기 베이스(110)의 폭방향의 양측 외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200)의 하단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외승강부(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3 유압실린더(410) 및 제3 지지브라켓(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면 먼저 상기 제3 유압실린더(410)의 몸체는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 외단부에 볼트체결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지지브라켓(420)은 상기 승강플레이트(2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유압실린더(410)의 로드는 상기 제3 지지브라켓(420)에 힌지(430)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유압실린더(410)는 상기 베이스(110) 양측 외단부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승강플레이트(200)의 각 모서리를 지탱하기 위함이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승강플레이트(200)의 각 모서리 이외에 중간 부분을 지탱하기 위해서 6개, 8개 등 다양한 개수로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경사로에서 블레이드의 배치위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제3 유압실린더(410)를 작동시키면, 도 7b에서와 같이 일측의 제3 유압실린더(410)의 로드가 상승하여 승강플레이트(200)에 경사각도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승강플레이트(200)의 하단은 제3 유압실린더(410)의 로드와 힌지(430)로 제3 지지브라켓(42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승강플레이트(200)에 경사가 발생하더라도 제3 유압실린더(410)의 로드는 비틀림 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승강부(400)는 제4 유압실린더(460) 및 제4 지지브라켓(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 외단부는 상기 베이스(110)의 폴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테이퍼부(115)가 형성되도, 상기 제4 지지브라켓(440)은 상기 베이스(110)의 테이퍼부(115)의 양측 외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유압실린더(460)의 몸체는 상기 제4 지지브라켓(440)에 힌지(450) 연결되고, 제4 유압실린더(460)의 로드는 상기 승강플레이트(200)의 하단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경사로에서 블레이드의 배치위치를 안정화하기 위해 승강플레이트(200)의 각도를 조절하려면, 제4 유압실린더(46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4 유압실린더(460)의 몸체는 제4 지지브라켓(440)에 힌지(450) 연결되어 있으므로, 승강플레이트(200)의 각도변화에 따른 비틀림 부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0)의 양측이 테이퍼져 있으므로, 제4 유압실린더(460)의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4 지지브라켓(440)은 승강플레이트(200)의 각 모서리를 지탱하기 위해 도 8a에서와 같이 4개가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유압실린더(460)도 4개가 배치되어 사각 평판 형태의 승강플레이트(200)를 지지하게 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강플레이트(200)의 중간 부분을 지탱하기 위해 6개, 8개 등 다양한 개수로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120)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토록, 상기 승강플레이트(200)상에 배치되는 자이로 수평센서(5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를 참고하면, 이러한 자이로 수평센서(550)와 연동되며, 운송차량상의 승강플레이트(200)의 배치 각도를 작동으로 조절하는 콘트롤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콘트롤부(500)는 각도측정부(510), 각도환산부(520) 및 유압구동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a를 참고하면, 상기 승강플레이트(200) 부분에 장착된 제1 수평센서(551)(551)와 상기 베이스(110) 부분에 장착된 제2 수평센서(553)(553)를 볼 수 있다. 만약 블레이드 운송차량이 경사로에 주차되거나 또는 경사로를 운행할 때, 수십톤의 고중량 블레이드 무게로 인하여 차량은 경사방향으로 쏠림 현상을 받아 전복의 위험이 있게 된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도측정부(510)는 상기 자이로 수평센서(550)와 연결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120)의 기울어진 각도를 수신받아 실시간 경사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수평센서(551)(551)로부터 승강플레이트(200)의 경사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 수평센서(553)(553)으로부터 베이스(110)의 경사도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각도측정부(510)는 이 정보를 상기 각도환산부(520)로 송신하고, 각도환산부(520)에선느 각도측정부(510)에서 측정한 각도값을 송신받아 유압량으로 환산하게 된다. 환산된 유압값을 상기 유압구동부(530)로 송신하면 유압구동부(530)는 상기 제3 유압실린더(410) 또는 제4 유압실린더(460)를 구동하게 된다.
도 6b를 참고하면, 경사로에서 베이스(110) 일측에 배치된 제3 유압실린더(410)가 구동하여 승강플레이트(200)가 다시 수평하게 위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승강플레이트(200)의 각도 조절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는 다시 제1 수평센서(551)와 제2 수평센서(553)의 각도값 비교를 통해 이뤄지게 된다. 즉 상기 각도측정부(510)에서 실시간으로 제1 수평센서(551)와 제2 수평센서(553)의 각도값을 비교하여 제1 수평센서(551)에서 입력되는 각도값이 0이 되면 승강플레이트(200)가 수평하게 위치된 것이므로, 이를 통해 유압구동부(530)에 신호를 주어 제3 유압실린더(41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해당하는 제4 유압실린더(460)의 작동도 마찬가지로 이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는 수평하게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경사로에서 블레이드 하중에 의한 운송차량 전복 사고의 위험은 방지되게 된다.
이상의 사항은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블레이드 운송차량 B:블레이드
110:베이스 115:테이퍼부
140:각도조절 실린더 151:블레이드 어댑터
155:선회베어링유닛 153:선회베어링
160:하부트레일러 200:승강플레이트
300:내승강부 310:제1 유압실린더
320:제1 지지브라켓 340:제2 안착홈
350:제2 지지브라켓 370:제2 유압실린더
400:외승강부 410:제3 유압실린더
420:제3 지지브라켓 440:제4 지지브라켓
460:제4 유압실린더
500:콘트롤부 510:각도측정부
520:각도환산부 530:유압구동부
550:자이로 수평센서 551:제1 수평센서
553:제2 수평센서

Claims (10)

  1. 운송차량의 하부트레일러 상단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고정프레임;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을 지지하는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의 양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에 연결되는 내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토록, 상기 승강플레이트 또는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자이로 수평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이로 수평센서는,
    상기 내승강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실시간 기울기 정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제1 수평센서; 및
    지면의 경사에 따라 상기 베이스의 실시간 기울기 정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2 수평센서;
    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승강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제1 안착홈에 배치되는 제1 유압실린더; 및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힌지 연결되는 제1 지지브라켓;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승강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제2 안착홈;
    몸체는 상기 제2 안착홈에 배치되고 로드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과 연결되는 제2 유압실린더; 및
    상기 제2 안착홈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의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제2 지지브라켓;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이로 수평센서와 연동되며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콘트롤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콘트롤부는,
    상기 자이로 수평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의 기울어진 각도를 송신받는 각도측정부;
    상기 각도측정부로부터 각도값을 송신받아 유압량으로 환산하는 각도환산부; 및
    상기 각도환산부로부터 유압량을 송신받아 제1 유압실린더 또는 제2 유압실린더를 조정하는 유압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6. 운송차량의 하부트레일러 상단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치되는 블레이드 고정프레임;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을 지지하는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의 양측 외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에 연결되는 외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토록, 상기 승강플레이트또는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자이로 수평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이로 수평센서는,
    상기 외승강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실시간 기울기 정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제1 수평센서; 및
    지면의 경사에 따라 상기 베이스의 실시간 기울기 정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제2 수평센서;
    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승강부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에 배치되는 제3 지지브라켓; 및
    몸체는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 양측 외단부에 배치되고, 로드는 상기 제3 지지브라켓에 힌지 연결되는 제3 유압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양측 외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테이퍼진 테이퍼부;가 형성되되,
    상기 외승강부는,
    상기 베이스의 테이퍼부의 양측 외단부에 배치되는 제4 지지브라켓;
    몸체는 상기 제4 지지브라켓에 힌지 연결되고, 로드는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4 유압실린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이로 수평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 고정프레임의 기울어진 각도를 송신받는 각도측정부;
    상기 각도측정부로부터 각도값을 송신받아 유압량으로 환산하는 각도환산부; 및
    상기 각도환산부로부터 유압량을 송신받아 제3 유압실린더 또는 제4 유압실린더를 조정하는 유압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KR1020160030992A 2016-03-15 2016-03-15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KR101776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992A KR101776469B1 (ko) 2016-03-15 2016-03-15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US15/417,103 US10961983B2 (en) 2016-03-15 2017-01-26 Blade transport vehicle
PCT/KR2017/001240 WO2017159985A1 (ko) 2016-03-15 2017-02-05 블레이드 운송차량
EP17157041.9A EP3219983B1 (en) 2016-03-15 2017-02-21 Blade transport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992A KR101776469B1 (ko) 2016-03-15 2016-03-15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469B1 true KR101776469B1 (ko) 2017-09-19

Family

ID=60033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992A KR101776469B1 (ko) 2016-03-15 2016-03-15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4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1238A (zh) * 2018-07-26 2021-05-07 德米海洋比利时有限公司 用于使具有纵向方向的管状元件在外端从支撑表面竖立的装置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9047B2 (ja) * 1993-07-21 2002-08-2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水平制御車体
KR101530121B1 (ko) * 2010-04-07 2015-06-18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풍력 발전소의 회전자 블레이드 및/또는 타워 세그먼트용 운반 차량 및 운반 차량용 운반 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9047B2 (ja) * 1993-07-21 2002-08-2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水平制御車体
KR101530121B1 (ko) * 2010-04-07 2015-06-18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풍력 발전소의 회전자 블레이드 및/또는 타워 세그먼트용 운반 차량 및 운반 차량용 운반 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1238A (zh) * 2018-07-26 2021-05-07 德米海洋比利时有限公司 用于使具有纵向方向的管状元件在外端从支撑表面竖立的装置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19983B1 (en) Blade transport vehicle
CN101489830B (zh) 用于运输风轮机叶片的车辆、控制系统和方法
JP7167275B2 (ja) 自走クレーン
CA2654279C (en) A handling system for a wind turbine nacelle, methods for transport and vertical displacement of a wind turbine nacelle and a use of a handling system
JP5993959B2 (ja) 風力タービン上にロータハブを取り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DK1798104T3 (en) Vehicle, carrier, and process for the transport of a construction of large volume and length of the
ES2304319B1 (es) Una torre de celosia y un metodo de ereccion de un aerogenerador con una torre de celosia.
US7192252B2 (en) Safety device for a wind turbine
EP2374635B1 (fr) Système d'essieu, module d'essieu comprenant au moins un tel système d'essieu et véhicule comprenant au moins un tel module
KR101481946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한 트레일러
JP2017214924A (ja) 風車ロータの水平事前組立のための機器および装置
BE1018581A4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assembleren van een bouwwerk op zee.
CN205930993U (zh) 叶片转运车
KR101621658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운송을 위한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블레이드 기립장치
KR101776469B1 (ko)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각도조절장치
CN109879177B (zh) 一种用于公路建设施工的高效起吊装置
CN108377653B (zh) 太阳能设备
JP5660732B2 (ja) 回転可能な上部構造のためのレベリング装置
KR101776468B1 (ko)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균형조절장치
KR101564849B1 (ko) 적재물의 선회 반경이 가변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한 트레일러
CN110562149B (zh) 一种经纬仪载车用车载经纬仪舱
KR101802712B1 (ko)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안전제어시스템
KR101752590B1 (ko)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안전제어시스템
KR101776470B1 (ko) 블레이드 운송차량의 어댑터 위치조절장치
CN219567370U (zh) 一种吊运铁轨液压悬臂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