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057A -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057A
KR20090064057A KR1020070131619A KR20070131619A KR20090064057A KR 20090064057 A KR20090064057 A KR 20090064057A KR 1020070131619 A KR1020070131619 A KR 1020070131619A KR 20070131619 A KR20070131619 A KR 20070131619A KR 20090064057 A KR20090064057 A KR 20090064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ttery
roller
input device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1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4057A/ko
Publication of KR2009006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0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승하강 실린더에 의해 배터리 룸에 대하여 배터리 투입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며,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롤러에 이용하여 배터리가 자중에 의해 굴러서 자동으로 배터리 룸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버스 조립라인의 작업자나 작업방법에 따라 그 높이의 변화나 위치편차에 대응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를 제공한다.
배터리, 버스, 투입장치, 롤러, 자중

Description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BATTERY SUPPLY DEVICE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승하강 실린더에 의해 배터리 룸에 대하여 배터리 투입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며,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롤러에 이용하여 배터리가 자중에 의해 굴러서 자동으로 배터리 룸에 투입되도록 하는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타이어가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 진입로를 통하여 배터리 장착공정으로 이동하여 배터리를 장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대형버스에 배터리를 이송하여 투입하는 방법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적재 파레트로부터 배터리를 취출하여 배터리 투입대차에 적재하고, 상기 대차를 작업자가 밀어서 해당 버스의 배터리 투입공간으로 이동한 후, 수동으로 배터리를 투입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배터리 투입대차는 단순한 롤러 및 회전바퀴로 구성되어 대형버스 조립라인의 작업자나 작업방법에 따라 그 높이의 변화나 위치편차가 발생하지만, 이에 대한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터리 투입대차를 이용한 배터리 투입방법은 작업자의 미는 힘에 의한 롤러의 회전으로 버스의 배터리 룸에 투입되어지는데, 이때 작업자의 실수로 배터리를 떨어트려 배터리가 파손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을 기피하거나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승하강 실린더에 의해 배터리 룸에 대하여 배터리 투입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며,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롤러에 이용하여 배터리가 자중에 의해 굴러서 자동으로 배터리 룸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버스 조립라인의 작업자나 작업방법에 따라 그 높이의 변화나 위치편차에 대응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는 사각의 형상으로 빔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 하면에 구성되는 회전바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중앙에 상향하여 설치되는 승하강 실린더;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방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 실린더와 공압라인으로 연결되며,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상기 승하강 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압을 공급 제어하는 차단밸브; 상기 승하강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에 고정 브라켓을 통하여 중앙 하부면이 연결되는 승하강 플레이트;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2개를 한 조로 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2조의 롤러 브라켓; 상기 각 조의 2개의 롤러 브라켓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로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부 상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빔을 통하여 양측방와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빔; 상기 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각 조의 2개의 로러 브라켓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회전봉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회전봉의 전단에는 스톱퍼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봉의 후단은 해제레버로 형성하여 상기 롤러상의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수단;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전방 일측에 장착되어 버스의 배터리 투입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위치감지센서;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경고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조의 롤러 브라켓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그 전단이 후단에 비하여 낮아지도록 상단면이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는 각 조의 2개의 롤러 브라켓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4개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톱퍼수단은 상기 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각 조의 2개의 로러 브라켓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그 전방 및 후방 각 일측이 승하강 플레이트 상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의 전단에는 마름모꼴 형상의 빔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고정되는 스톱퍼; 상기 회전봉의 후단을 직각으로 휘어서 형성되는 해제레버; 상기 회전봉의 후방 일측에 리턴레버를 고정 형성하고,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리턴레버의 일측을 연결하여 복원방향으로 회전봉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는 승하강 플레이트의 승하강 작동을 가이드 하는 승하강 가이드수단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 가이드수단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하부면 4개소에 하향하여 설치되는 가이드 봉; 상기 각 가이드 봉이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4개소에 구성되는 가이드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에 의하면, 승하강 실린더에 의해 배터리 룸에 대하여 배터리 투입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며, 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롤러에 이용하여 배터리가 자중에 의해 굴러서 자동으로 배터리 룸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버스 조립라인의 작업자나 작업방법에 따라 그 높이의 변화나 위치편차가 발생하여도 이에 대한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배터리를 밀지 않아도 됨으로, 작업자의 실수로 배터리가 파손되는 등의 안전사고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을 기피하거나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의 측면도,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의 형상으로 빔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1)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1) 상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의 각 모서리부 하면에는 회전바퀴(5)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의 하부 중앙에는 승하강 실린더(7)가 상향하여 설치되는데, 이 승하강 실린더(7)는 공압을 작동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프레임(1)의 후방 일측에는 차단밸브(9)가 장착되는데, 상기 차단밸브(9)는 상기 승하강 실린더(7)와 공압라인으로 연결되며,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상기 승하강 실린더(7)로 공급되는 작동압을 공급을 차단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 실린더(7)의 작동로드 선단에는 고정 브라켓(11)을 통하여 승하강 플레이트(13)가 장착되는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3)는 그 중앙 하부면이 상기 고정 브라켓(11)에 의해 작동로드 선단에 장착된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3)의 상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2개를 한 조로 하는 2조의 롤러 브라켓(15)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상기 2조의 롤러 브라켓(15)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3)의 상면에서 그 전단이 후단에 비하여 낮아지도록 상단면이 경사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조의 2개의 롤러 브라켓(15) 사이에는 4개씩의 롤러(R)가 전 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3)의 각 모서리부 상면에는 지지빔(17)이 세워져 설치되는데, 상기 각 지지빔(17)을 통하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3)의 상부 양측방와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가이드 빔(19)이 설치된다.
상기 롤러(R)의 하부에는 상기 각 조의 2개의 로러 브라켓(15)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회전봉(21)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회전봉(21)의 전단에는 스톱퍼(23)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봉(23)의 후단은 해제레버(25)로 형성하여 상기 롤러상의 배터리(B)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스톱퍼수단이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즉, 상기 회전봉(21)은 상기 롤러(R)의 하부에서, 상기 각 조의 2개의 로러 브라켓(15)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그 전방 및 후방 각 일측이 승하강 플레이트(13) 상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봉(21)의 전단에는 마름모꼴 형상의 빔으로 형성되는 상기 스톱퍼(23)가 그 일단을 통하여 고정되고, 상기 회전봉(21)의 후단은 직각으로 휘어서 해제레버(25)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수단은 상기 회전봉(21)의 후방 일측에는 리턴레버(27)를 고정 형성하고,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3)의 일측과 상기 리턴레버(27)의 일측을 리턴 스프링(29)으로 연결하여 복원방향으로 회전봉(21)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3)의 전방 일측에는 위치감지센서(S)가 장착 되어 버스의 배터리 투입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31)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위치감지센서(S)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기(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경고등(33)이 작업장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3)와 베이스 플레이트(3) 사이에는 승하강 가이드수단이 구성되는데, 상기 승하강 가이드수단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13)의 하부면 4개소에 가이드 봉(35)이 하향하여 장착되고, 상기 각 가이드 봉(35)이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 상의 4개소에는 가이드 하우징(37)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의 작동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전 공정에서 타이어를 장착된 상태에서 버스(40)가 차량 진입로를 통하여 배터리 장착공정으로 이동되면, 작업자는 배터리(B)를 크레인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투입장치의 경사진 롤러(R) 상에 안착시킨 상기 승하강 실린더(7)를 전진 구동시켜 배터리(B)를 최상위 위치까지 리프팅 시킨 후, 투입 대기위치로 배터리 투입장치를 이동시킨다.(S1)
이때, 상기 위치감지센서(S)는 버스 차체의 외부면에 적외선빔을 투광하여 차체의 감지하여 제어기(31)로 그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기(31)는 경고등(33)을 점등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작업자는 차단밸브(9)를 조정하여 상기 승하강 실린더(7)를 후진시키면서 배터리(B)를 하강시키면, 상기 위치감지센서(S)가 버스(40)의 배터리 룸을 감지하는 위치에서 상기 경고등(33)은 점등하지 않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배터리(B)를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위치감지센서(S)가 버스(40)의 배터리 룸(50) 하단을 감지하는 위치에서 상기 경고등(33)은 다시 점등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차단밸브(9)를 조정하여 승하강 실린더(7)의 후진 작동을 종료하게 된다.(S2)
이러한 상태로, 작업자는 배터리 투입장치를 밀어 버스(40)의 배터리 룸(50)에 그 전방이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상기 스톱퍼수단의 해제레버(25)를 조작하여 스톱퍼(23)를 회전시켜 내리게 된다.(S3)
그러면, 상기 롤러(R)상에 로딩된 배터리(B)는 경사도에 의해 자연하중으로 배터리 롬(50)의 투입위치까지 전방을 향하여 이동되어 배터리 룸(50) 내부로 자동 투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의 단계별 사용 상태도이다.

Claims (7)

  1.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에 있어서,
    사각의 형상으로 빔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프레임의 각 모서리부 하면에 구성되는 회전바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 중앙에 상향하여 설치되는 승하강 실린더;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방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승하강 실린더와 공압라인으로 연결되며,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어 상기 승하강 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압을 공급 제어하는 차단밸브;
    상기 승하강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에 고정 브라켓을 통하여 중앙 하부면이 연결되는 승하강 플레이트;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2개를 한 조로 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2조의 롤러 브라켓;
    상기 각 조의 2개의 롤러 브라켓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로러;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부 상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빔을 통하여 양측방와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빔;
    상기 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각 조의 2개의 로러 브라켓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회전봉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상기 회전봉의 전단에는 스톱퍼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봉의 후단은 해제레버로 형성하여 상기 롤러상의 배터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수단;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전방 일측에 장착되어 버스의 배터리 투입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위치감지센서;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경고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조의 롤러 브라켓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그 전단이 후단에 비하여 낮아지도록 상단면이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각 조의 2개의 롤러 브라켓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4개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수단은
    상기 롤러의 하부에서, 상기 각 조의 2개의 로러 브라켓 사이에 전후방향으 로 배치된 상태로, 그 전방 및 후방 각 일측이 승하강 플레이트 상에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
    상기 회전봉의 전단에는 마름모꼴 형상의 빔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고정되는 스톱퍼;
    상기 회전봉의 후단을 직각으로 휘어서 형성되는 해제레버;
    상기 회전봉의 후방 일측에 리턴레버를 고정 형성하고,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일측과 상기 리턴레버의 일측을 연결하여 복원방향으로 회전봉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는
    승하강 플레이트의 승하강 작동을 가이드 하는 승하강 가이드수단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가이드수단은
    상기 승하강 플레이트의 하부면 4개소에 하향하여 설치되는 가이드 봉;
    상기 각 가이드 봉이 삽입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4개소에 구성되는 가이드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KR1020070131619A 2007-12-14 2007-12-14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KR20090064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619A KR20090064057A (ko) 2007-12-14 2007-12-14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619A KR20090064057A (ko) 2007-12-14 2007-12-14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057A true KR20090064057A (ko) 2009-06-18

Family

ID=4099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619A KR20090064057A (ko) 2007-12-14 2007-12-14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40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476A (ko) 2011-10-17 2013-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탑재장치
CN109596802A (zh) * 2018-12-05 2019-04-09 贵州大学 一种便于移动的煤矿开采用瓦斯检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1476A (ko) 2011-10-17 2013-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탑재장치
CN109596802A (zh) * 2018-12-05 2019-04-09 贵州大学 一种便于移动的煤矿开采用瓦斯检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8767B2 (ja) 軌陸作業車
JP5299882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KR20150111416A (ko)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EP2077972B1 (en) Lifting frame for vehicle
EP3724124B1 (en) Crane with wheels having variable camber angle
US2612355A (en) Vehicle hoist
KR20090064057A (ko) 버스용 배터리 투입장치
KR100931044B1 (ko) 버스의 휠 체어 램프용 이송장치
EP3606862B1 (en) Crane with anti-tipping control system
CA2838751A1 (en) Maximizing scissor lift breakover angle with fixed pothole protection
KR200483972Y1 (ko)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KR102605242B1 (ko) 자동 밸런싱 기능을 갖는 차량 리프트 및 차량 리프팅 방법
KR20020043102A (ko) 자동차용 리프트 장치
KR20220077718A (ko) 차량용 리프트 장치
KR100661124B1 (ko) 차량용 리프트 시스템
CN220283451U (zh) 升车装置
US6105934A (en) Transportable service lift assembly
CN213622952U (zh) 一种用于长工件辅助翻身的装置
JP3225697U (ja) 連節バス用リフト装置
KR102279630B1 (ko) 2주식 리프트의 승강받침장치
JP3151698B2 (ja) 搬送車両
JPH11199187A (ja) 車両用リフト装置
US20210163271A1 (en) Crane comprising a steering system
KR20150137510A (ko) 축간거리 조정이 가능한 2주식 리프트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220055689A (ko) 천장패널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