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919B1 -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 - Google Patents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919B1
KR100587919B1 KR1020030073022A KR20030073022A KR100587919B1 KR 100587919 B1 KR100587919 B1 KR 100587919B1 KR 1020030073022 A KR1020030073022 A KR 1020030073022A KR 20030073022 A KR20030073022 A KR 20030073022A KR 100587919 B1 KR100587919 B1 KR 10058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rake arm
vehicle body
arm
boo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7756A (ko
Inventor
정원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91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60T7/065Disposition of pedal with means to prevent injuries in case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3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9Control elements or operating handles movable from an operative to an out-of-the way position, e.g. pedals, switch knobs, window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2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브레이크부스터(1)에 지지브라켓트(3)가 고정설치되고, 이 브라켓트를 매개로 1쌍의 연결아암(5)이 설치되며, 이들 아암을 매개로 제 1브레이크아암(7)과 제 2브레이크아암(9)이 설치되어, 충돌시 이들 제 1브레이크아암(7)과 제 2브레이크아암(9)이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브레이크아암(7)은 일측에 걸림부(11)가, 다른쪽 끝부분에는 눌림부(12)를 갖추고서 지지브라켓트(3)에 힌지결함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 2브레이크아암(9)은 한쪽 끝부분에 힌지결합된 링크(15)를 갖추고서 연결아암(5)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차량충돌에 따른 충격으로 부스터가 차실쪽으로 밀려지면 링크(15)의 연결상태가 단절되면서 제 1브레이크아암(7)과 제 2브레이크아암(9)이 분리되므로써 페달이 운전자 신체에 충돌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A Foot Brake Pedal Assembly for Preventing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페달의 조립상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차량충돌시 본 발병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가 분리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종래 사용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의 조립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브레이크부스터 3 - 지지브라켓트
5 - 연결아암 7 - 제 1브레이크아암
9 - 제 2브레이크아암 11 - 걸림부
12 - 눌림부 13 - 페달
15 - 링크 17 - 푸시로드
19 - 힌지축 21 - 가이드 브라켓트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정면 충돌시 조립체가 분리되어 운전자의 다리측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대시보드 하부에는 운전자 조작으로 차량을 제동시키기 위한 브레이크가 설치되는데, 이 브레이크는 차량 정면충돌시 운전석측의 대시패널이 차실쪽으로 밀려들어와 페달이 후상방향측으로 이동되므로 운전자의 하부신체에 상해를 입히게 된다.
도 4는 종래 사용예에 따른 브레이크 조립체를 도시한 것으로, 대시패널(도시되지 않음) 및 브레이크 부스터(40)에 지지브라켓트(42)가 고정되고, 이 지지브라켓트(42)를 매개로 브레이크부스터(40)를 구성하는 부스터요크(44)의 한쪽이 브레이크페달(46)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이 정면충돌하게 되면 엔진룸이 뒤로 밀리면서 밀리면서 브레이크부스터(40)와 대시패널을 밀어 지지브라켓트(42)와 부스터요크(44) 및 브레이크페달(46)이 차실쪽으로 밀려지게 되고, 이때 부스터(40)가 찌그러지면서 부스터요크(44)가 브레이크페달(46)을 밀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페달이 회전되면서 운전자의 다리나 하복부에 심한 부상을 입힐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차량충돌에 따라 운전석측 대시패널에 충격이 가해지면 브레이크페달아암이 분리됨으로써 브레이크페달이 운전자의 다리측과 충돌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된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부스터의 배면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트와;
상기 지지브라켓트에 고정되어 차체의 대쉬패널에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트;
상기 마운팅브라켓트에 힌지부를 매개로 선회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눌림부와 하단부에 오목한 형태의 걸림부를 일체로 갖춘 제1 브레이크아암;
상기 걸림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를 상단부에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브레이크부스터의 푸시로드의 일단부와 결합되고, 하단부에 페달을 결합하는 제2 브레이크아암;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과 힌지부를 공유하여 선회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마운팅브라켓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브레이크아암에 힌지축을 매개로 연결되는 연결아암 및;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의 눌림부에 대한 차체 후방으로의 선회 운동은 구속하고, 차체 전방으로의 선회 운동만을 허용하도록 저면에 차체의 전방을 향해 트인 가이드 슬롯을 갖추고서 차체의 카울크로스멤버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페달의 조립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인 바,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브레이크부스터(1)의 배면에 지지브라켓트(3)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트(3)에는 이를 차체의 대쉬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한 마운팅브라켓트(4)가 고정설치되며, 제1 브레이크아암(7)의 상단부는 상기 마운팅브라켓트(4)에 대해 힌지부(H)를 매개로 선회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은 이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눌림부(12)와 이의 하단부에 오목한 형태의 걸림부(11)를 일체로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에는 링크(15)를 상단부에 설치하고서 상기 걸림부(11)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브레이크아암(9)이 연결되는 바, 상기 제2 브레이크아암(9)의 상단부에는 상기 브레이크부스터(1)의 푸시로드(17)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제동시 운전자의 발이 답입되는 페달(13)이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링크(15)는 제 1브레이크아암(7)과 제 2브레이크아암(9)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설치되는데, 즉 상기 링크(15)의 하단부는 상기 제2 브레이크아암(9)의 상단부에 대해 선회가능하게 고정 설치되고, 상기 링크(15)의 상단부는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1)내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상기 마운팅브라켓트(4)에는 일단이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과 힌지부(H)를 공유하여 선회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아암(5)이 구비되는 바, 상기 연결아암(5)의 타단은 상기 제2 브레이크아암(9)에 대해 힌지축(19)을 매개로 연결된다.
한편, 차체의 카울크로스멤버(도시안됨)에는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의 눌림부(12)에 대한 차체 후방으로의 선회 운동은 구속하고, 차체 전방으로의 선회 운동만을 허용하는 가이드 브라켓트(21)가 고정 설치되는 바, 상기 가이드 브라켓트(21)는 제동시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의 눌림부(12)에 대한 차체 후방으로의 선회 운동을 구속하여 상기 제2 브레이크아암(9)이 상기 푸시로드(17)에 대해 정상적인 조작력을 전달하게 하고, 충돌시 상기 눌림부(12)의 차체 전방으로의 선회 운동을 자유롭게 허용하여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의 걸림부(11)와 상기 제2 브레이크아암(9)에 설치된 링크(15)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브라켓트(21)는 저면에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의 눌림부(12)의 차체 후방으로의 선회 운동은 구속하고, 차체 전방으로의 선회 운동만을 허용하도록 차체의 전방을 향해 트인 형태의 가이드 슬롯(21a)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충돌에 의해 차체에 전면부에 충격이 가해지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브레이크부스터(1)가 차체의 후방으로 밀리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제 1브레이크아암(7)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눌림부(12)가 상기 가이드 브라켓트(21)의 가이드 슬롯(21a)내에서 차체 후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되고,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과 상기 제2 브레이크아암(9) 사이의 착탈식 연결부위인 상기 링크(15)의 상단은 상기 제2 브레이크아암(9)의 상단에 연결된 푸시로드(17)를 통해 전달된 충격에 의해 차체의 후방으로 밀리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은 힌지부(H)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 브레이크아암(9)은 힌지축(19)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제2 브레이크아암(9)의 하단에 위치한 페달(13)은 차체의 전방을 향해 선회 운동을 하게 되어, 운전자의 하체부위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충돌시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과 제2 브레이크아암(9) 사이의 연결 상태를 유지해 주는 상기 링크(15)가 브레이크부스터(1)로부터 푸시로드(17)를 거쳐 입력되는 충격력에 의해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의 걸림부(11)로부터 이탈되면, 결국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과 제2 브레이크아암(9)의 연결상태가 단절되어 상기 페달(13)이 운전자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충돌시 운전자의 하체부위가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해, 정상적인 제동시에는 상기 페달(13)에 가해진 답입력에 의해 상기 제2 브레이크아암(9)은 푸시로드(17)를 전방으로 밀게 되는 데, 이는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의 상측 눌림부(12)가 상기 가이드 브라켓트(21)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21a)에 의해 차체의 후방으로 선회되지 못하고 구속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충돌시 엔진 등에 의해 운전석측 대시패널이 차체의 후방으로 밀려 들어와도 충격을 받는 즉시 브레이크페달아암이 분리되면서 페달이 차체의 전방을 향해 역회전을 하게 되므로 브레이크페달이 운전자의 다리측과 충돌되어 상해를 입히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브레이크부스터(1)의 배면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트(3)와;
    상기 지지브라켓트(3)에 고정되어 차체의 대쉬패널에 고정되는 마운팅브라켓트(4);
    상기 마운팅브라켓트(4)에 힌지부(H)를 매개로 선회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눌림부(12)와 하단부에 오목한 형태의 걸림부(11)를 일체로 갖춘 제1 브레이크아암(7);
    상기 걸림부(1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15)를 상단부에 설치함과 더불어 상기 브레이크부스터(1)의 푸시로드(17)의 일단부와 결합되고, 하단부에 페달(13)을 결합하는 제2 브레이크아암(9);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과 힌지부(H)를 공유하여 선회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마운팅브라켓트(4)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브레이크아암(9)에 힌지축(19)을 매개로 연결되는 연결아암(5) 및;
    상기 제1 브레이크아암(7)의 눌림부(12)에 대한 차체 후방으로의 선회 운동은 구속하고, 차체 전방으로의 선회 운동만을 허용하도록 저면에 차체의 전방을 향해 트인 가이드 슬롯(21a)을 갖추고서 차체의 카울크로스멤버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트(2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
  2. 삭제
KR1020030073022A 2003-10-20 2003-10-20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 KR10058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022A KR100587919B1 (ko) 2003-10-20 2003-10-20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022A KR100587919B1 (ko) 2003-10-20 2003-10-20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756A KR20050037756A (ko) 2005-04-25
KR100587919B1 true KR100587919B1 (ko) 2006-06-08

Family

ID=3724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022A KR100587919B1 (ko) 2003-10-20 2003-10-20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9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85B1 (ko) * 2007-01-09 2008-02-25 주식회사 동희산업 운전자 보호용 브레이크페달장치
KR100820240B1 (ko) 2007-01-09 2008-04-07 주식회사 동희산업 운전자 보호용 브레이크페달장치
KR100805786B1 (ko) * 2007-01-09 2008-02-25 주식회사 동희산업 운전자 보호용 브레이크페달장치
KR101144442B1 (ko) 2008-12-05 2012-05-10 경창산업주식회사 충돌 상해 저감형 브레이크 페달장치
KR101704084B1 (ko) 2012-10-25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보호용 페달장치
KR101425368B1 (ko) * 2013-01-14 2014-08-05 (주)에스엠씨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의 후방 밀림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756A (ko) 2005-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9448B1 (ko)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KR100480005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US6752038B2 (en) System for releasing a pedal of a motor vehicle in the event of a frontal impact
US7497144B2 (en) Brake pedal structure
US6637798B2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GB2031814A (en) A motor vehicle
JP4221160B2 (ja) 操作ペダルの後退変位抑制機構
EP1074445A2 (en) System to disengage the brake pedal in case of collision
JP2000085553A (ja) 自動車用前部構造
KR100587919B1 (ko) 상해방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
JP2002173008A (ja) ペダルブラケット構造
JP2003252245A (ja) 自動車における2次衝突時の衝撃力緩和装置
JP3804424B2 (ja) 自動車のペダル支持装置
JP3804423B2 (ja) 自動車のペダル支持装置
JP4014929B2 (ja) ペダル後退量抑制装置
KR20080100873A (ko)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유닛
KR100559905B1 (ko) 브레이크 페달의 밀림 방지장치
JP3776225B2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構造
KR101055026B1 (ko) 후방 밀림 방지형 브레이크 페달 구조
JP2001138952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2006008101A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による傷害防止構造
JP4029806B2 (ja) 自動車のペダル支持構造
JPH10250539A (ja) 自動車用ブレーキペダル支持機構
KR20010002066U (ko) 브레이크 페달용 상해방지장치
JP2002067897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ペダルの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