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905B1 -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 Google Patents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905B1
KR100587905B1 KR1019990054968A KR19990054968A KR100587905B1 KR 100587905 B1 KR100587905 B1 KR 100587905B1 KR 1019990054968 A KR1019990054968 A KR 1019990054968A KR 19990054968 A KR19990054968 A KR 19990054968A KR 100587905 B1 KR100587905 B1 KR 100587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rticles
resin
film
bind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4248A (ko
Inventor
전용군
노향우
장원석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90054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905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67/06Unsaturated polyester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베이스 필름(2) 상에 (ⅰ)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와 아크릴수지가 혼합된 바인더수지 및 (ⅱ)유기입자 단독 또는 유기입자와 무기입자로 조성된 광확산층(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인더수지와 유기 및 무기 입자와의 굴절율 차이가 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광투과율과 동시에 광확산율이 매우 높다.
광확산 필름, 내마모성, 광투과율, 광확산율, 액정표시(LCD), 바인더수지, 입자, 굴절율

Description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A light-diffusion film for LCD back-light unit}
도 1은 본 발명 광확산 필름의 단면 개략도 이다.
도 1 중 1은 광확산층, 2는 폴리에스테르 베이스 필름, 3은 백코팅층 이다.
본 발명은 내마모성, 광투과율 및 광확산율이 동시에 우수한 액정표시(이하 "LCD" 라고 한다)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LCD 모니터 시장 및 관련 기술들이 급속히 발전하고 LCD 모니터 소자 및 전자 부품들의 소형화, 고집적화, 박형화 추세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LCD 모니터의 가장 큰 문제인 저전력소비화 및 화면밝기의 증대를 위해 제품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이분야 중에서 LCD 모니터의 저전력소비화에 가장 중요한 문제로 LCD 모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인 백-라이트 유니트(Back-light unit)의 저전력소 비화의 최적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저전력소비화와 아울러 대형화되어가는 LCD 모니터 시장의 추세에 맞추어 백-라이트 유니트에 요구되는 고휘도 저전력능의 요구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고휘도 저전력능의 백-라이트 유니트를 만들기 위하여 백-라이트 유니트에서 램프의 빛을 전면에 균일하게 광확산을 시키는 광확산 필름의 성능 개선이 주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먼저 광확산 필름은 후면 또는 상단에 위치한 램프의 빛을 반사, 산란, 분산 시켜서 백-라이트의 전면에 균일하게 빛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램프의 빛이 광확산 필름을 통과하면서 손실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우선이다.
지금까지 이러한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베이스 필름 상에 백색 또는 투명의 무기, 유기 입자가 첨가된 고분자수지(바인더수지)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이때 사용된 고분자수지(바인더수지)는 아크릴계 고분자수지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베이스 필름으로는 폴리에스터 베이스 필름을 사용한다.
또한 유기입자로는 아크릴계 입자를 사용하며, 무기입자로는 산화티탄이나 산화규소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고분자수지인 아크릴계 고분자수지와 폴리에스터 베이스 필름의 상용성이 부족하여 서로간의 부착력이 떨어져 수지 및 입자가 베이스 필름으로 부터 분리되기도 하며, 사용된 유기.무기 입자들이 내마모성이 부족한 수지와 혼합 도포되어 마찰에 의해 고분자수지로 부터 분리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광확산 필름의 제조방법은 고광확산율(Haze)을 가지는 성능과 고광투과율을 동시에 만족하지 못하여 광투과도가 떨어지게 되어 고휘도가 발휘되지 못하던가, 고광확산율이 떨어져 백-라이트 유니트 내의 램프의 빛을 확산시키지 못해 확산 필름이나 도광판 위에 일정한 모양을 인쇄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바인더수지 내에 함침된 입자들이 백-라이트 유니트의 제작공정 중에 또는 최종 제품으로 사용되는 중에 수지로 부터 떨어져 나와 최종제품의 모니터 상에 리크(Leak) 형태로 결함을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들을 해결하므로서 내마모성, 광투과율 및 광확산율이 동시에 우수하며, 바인더수지와 입자들간의 접착력이 강하여 사용중 입자 분리가 발생되지 않는 LCD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은 광투과율과 광확산율을 갖고,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제작 및 사용시 입자분리로 인한 결함이 적은 LCD 백-라이트 유니트 광확산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LCD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베이스 필름(2) 상에 (ⅰ)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와 아크릴수지가 혼합된 바인더수지 및 (ⅱ)유기입자 단독 또는 유 기입자와 무기입자로 조성된 광확산층(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인더수지와 유기 및 무기 입자와의 굴절율 차이가 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베이스 필름(2) 상에 광확산층(1) 수지조성물을 코팅하여 제조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베이스 필름 이면에는 백코팅층(3)이 코팅될 수도 있다.
상기 광확산층용 수지조성물은 주성분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내마모성 부여를 위해 사용하는 아크릴수지를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등의 용매하에서 혼합하여 바인더수지를 제조한 다음, 여기에 높은 광투과율과 광확산율을 발현하는 유기입자를 단독으로 첨가하거나 유기입자와 무기입자를 동시에 첨가하여 제조한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올 성분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카르복실산을 축합 중합 함으로써 생성된다. 디올과 디카르복실산은 어떠한 지방족 및 방향족이 모두 가능하며, 내열성이 있어 80℃ 이상의 유리전이 온도를 갖게하는 성분이면 바람직 하다. 유리전이 온도가 80℃ 미만이면 백-라이트 유니트의 램프의 발광에 의한 열에 의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색 또는 퇴색되는 단점이 있다.
디올의 예로는 히드로퀴논, 레소르시놀과 같은 방향족 디올과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디에틸글리콜과 같은 지방족 디올을 들 수 있다. 이들과 용융 또는 용 액 중합할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프산, 푸마르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등이 있다. 이들 폴리에스터는 분자량이 10,000에서 30,000 정도이며 80℃에서 160℃의 유리전이 온도를 보이는 내열성이 좋은 폴리에스터 이다.
또한 제작공정이나 사용중에 아크릴 도광판의 마모를 막고 입자가 마모에 의해 떨어져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아크릴 도광판의 성분과 유사한 아크릴계 고분자수지를 사용하여 내마모성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불포화 폴리에스터만을 사용한 수지계에서는 이러한 아크릴 도광판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심하게 일어나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 아크릴수지를 혼합 사용할 경우 아크릴 도광판과의 상용성 증가로 내마모성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아크릴계 수지만을 사용하게 되면 내열성이 떨어지고 도광판과 동일성분으로 인한 접착현상으로 마모가 더 일어나며 또한 합성지로 사용되는 에스테수지와의 상용성이 부족하여 접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고 고광투과율 및 고광확산율에 적합한 굴절율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메타아크릴, 메타아크릴, 에틸아크릴, 부틸아크릴, 하이드록시에틸, 아릴아크릴, 헥실아크릴, 아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 벤질아크릴, 비닐아크릴, 2-메톡시에틸아크릴 및 스타일렌을 단위반복 단위로 갖는 단일 중합체나 위의 이성분 혹은 그 이상의 성분들을 공중합한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이다.
생성된 중합체는 불포화 폴리에스터와 혼합되었을 경우 사용된 입자와 굴절율의 차이가 크도록 구성된 아크릴계 수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고광투과율 고광 확산율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아크릴계 수지의 경우 중합에 사용된 반복단위에 따라 광투과율, 내열성 및 굴절율 등이 변하게 되는데 폴리에스터와 작용하여 적절한 내열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폴리에스터와 상용성이 우수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단독 또는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공중합 아크릴계 수지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대비 10~90중량%, 더욱 바람직 하기로는 20~50중량%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바인더수지의 굴절율은 1.4~1.6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바인더 수지에 고광투과율과 고광확산율을 부여하기 위하여 백색 및 투명의 유기 및 무기입자를 첨가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이 고광확산율 및 고광투과율을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한 것은 고광투과율을 가지는 입자만을 이용한 경우 바인더수지와 굴절율의 차이가 적어 광확산율이 떨어지고, 고광확산율을 가지는 입자만을 이용한 경우 광투과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이들을 단순히 혼합 사용한 경우 어느정도의 광투과율과 확산율을 얻게되나 광투과율이 손실되어 휘도가 낮아지거나 광확산율이 떨어져 도광판에 인쇄에 의한 광확산율 보정이 필요 하였다.
본 발명은 광투과율이 높은 입자를 주입자로 하고, 바인더수지와의 굴절율의 차이가 큰 입자를 선택 사용하여 고광확산율을 부여함을 특징으로 한다.
유기입자로는 (ⅰ)아크릴계 입자, 폴리에틸렌 입자, 폴리스타일렌 등의 단일성분, (ⅱ)이들의 이성분 이상의 공중합 성분의 고분자 입자 및 (ⅲ)굴절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아크릴계 단독성분 위에 이성분 또는 그 이상의 성분을 서스펜션 공중 합하여 여러층을 이루는 다층다성분의 고분자 입자 등을 사용한다.
무기입자로는 산화티탄,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불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무기입자의 경우 바인더수지와 굴절율의 차이가 커서 단독 사용할 때 광확산율은 높으나 계면에서의 산란이 커져 광투과율이 낮은 단점으로 인해 단독사용 할 수는 없다.
무기입자 특히 산화규소 또는 불소마그네슘의 경우 유기입자 대비 1~50중량% 더욱바람직 하기로는 1~35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인더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5 이상이 되어 광확산율은 높으나 광투과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무기 및 유기 입자의 굴절율은 바인더수지의 굴절율과 비교시 0.1 이상 차이가 나도록 하는 것이 광확산율 및 광투과율 향상에 바람직 하다. 구체적으로 유기 및 무기 입자의 굴절율은 1.3~1.7, 더욱 바람직 하기로는 1.4~1.6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유기 및 무기 입자를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의 혼합용매 등에 녹인 다음 바인더 수지에 첨가한다.
유기 및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광확산층(1)용 조성물이 균일한 분산성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입자가 불균일하게 분산되면 최종 제품인 모니터 화면 상에 얼룩무늬나 번짐무늬가 나타난다.
상기 조성물내 입자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 필름의 기본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분산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분산제로는 변성실리콘계 수지, 변성 아크릴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량은 조성물 전체중량 대비 10중 량% 이하, 더욱 바람직 하기로는 3중량% 이하가 좋다.
이와 같은 방법 및 조건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바인더 수지내에 아크릴수지가 혼합되어 있어서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그 결과 유기 및 무기 입자들이 제품제조 및 사용중에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에는 바인더수지와 굴절율 차이를 갖는 유기입자가 단독으로 첨가되거나, 유기입자와 무기입자가 함께 첨가되어 있어서 광확산율과 동시에 광투과율도 매우 높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확산 필름의 물성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한다.
·내마모성
코팅 제조된 광확산 필름으로 부터 지름 17m 크기의 원형으로 잘라낸다. 잘라낸 광확산 필름을 내마모성 측정기(Taber Tester)를 이용하여 하중 100g에 500회전하여 광확산 코팅층을 마모시킨 후 광확산 필름층의 마모전후의 광변화율 (Haze) 변화를 표시한다.
·광투과율 및 광확산율
광투과율과 광확산율(Haze)은 ASTM D100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하기와 같이 정의 된다.
광투과율(%) =
Figure 111999016330261-pat00001
× 100
광확산율(%) =
Figure 111999016330261-pat00002
× 100
·휘도
LCD에 광확산 필름을 장착하고 교류 30KHZ를 직류로 변환하는 인버터가 붙어 있는 톱콘 BM-7(Topcon BM-7)기기를 사용하여 측정거리 40cm에서 휘도를 측정한다.
이하 실시에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아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리전이 온도가 80℃인 폴리에스터수지 100중량부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0중량%와 부틸아크릴레이트 50중량%가 공중합된 공중합 아크릴수지 50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의 혼합용액(1:1)에 녹여 고형분 농도가 30%인 바인더수지 용액을 제조한다. 여기에 바인더수지 대비 부틸아크릴레이트를 단독 중합한 입자 30중량부, 불화마그네슘 5중량부, 분산제인 변성실리콘수지(WET KL 245) 2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2000rpm의 분산기로 1시간 동안 분산시켜 광확산층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광확산층 조성물을 두께가 100㎛ 이고, 백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폴리에스터 베이스 필름(KOLON 제품 FD 01) 상에 콤마코팅한 후 100℃의 열풍오븐에서 1분 30초 동안 건조시켜 광확산층의 두께가 25㎛인 광확산 필름을 제조한다. 제조된 광확산 필름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1
유리전이 온도가 80℃인 폴리에스터수지 100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의 혼합용액(1:1)에 녹여 고형분 농도가 30%인 바인더수지 용액을 제조한다. 여기에 바인더수지 대비 부틸아크릴레이트를 단독 중합한 입자 30중량부, 불화마그 네슘 5중량부, 분산제인 변성실리콘수지(WET KL 245) 2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2000rpm의 분산기로 1시간 동안 분산시켜 광확산층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광확산층 조성물을 두께가 100㎛ 이고, 백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폴리에스터 베이스 필름(KOLON 제품 FD 01) 상에 콤마코팅한 후 100℃의 열풍오븐에서 1분 30초 동안 건조시켜 광확산층의 두께가 25㎛인 광확산 필름을 제조한다. 제조된 광확산 필름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2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함량 50중량%와 부틸아크릴레이트 함량 50중량%가 공중합된 공중합 아크릴수지 100중량부를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의 혼합용액(1:1)에 녹여 고형분 농도가 30%인 바인더수지 용액을 제조한다. 여기에 바인더수지 대비 부틸아크릴레이트를 단독 중합한 입자 30중량부, 불화마그네슘 5중량부, 분산제인 변성실리콘수지(WET KL 245) 2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2000rpm의 분산기로 1시간 동안 분산시켜 광확산층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광확산층 조성물을 두께가 100㎛ 이고, 백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폴리에스터 베이스 필름(KOLON 제품 FD 01) 상에 콤마코팅한 후 100℃의 열풍오븐에서 1분 30초 동안 건조시켜 광확산층의 두께가 25㎛인 광확산 필름을 제조한다. 제조된 광확산 필름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3
유리전이 온도가 80℃인 폴리에스터수지 100중량부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0중량%와 부틸아크릴레이트 50중량%가 공중합된 공중합 아크릴수지 50중량부를 메 틸에틸케톤과 톨루엔의 혼합용액(1:1)에 녹여 고형분 농도가 30%인 바인더수지 용액을 제조한다. 여기에 바인더수지 대비 불화마그네슘 35중량부, 분산제인 변성실리콘수지(WET KL 245) 2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2000rpm의 분산기로 1시간 동안 분산시켜 광확산층용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광확산층 조성물을 두께가 100㎛ 이고, 백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폴리에스터 베이스 필름(KOLON 제품 FD 01) 상에 콤마코팅한 후 100℃의 열풍오븐에서 1분 30초 동안 건조시켜 광확산층의 두께가 25㎛인 광확산 필름을 제조한다. 제조된 광확산 필름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광확산 필름 물성평가 결과
구 분 광확산 변화율(%) 광투과율(%) 광확산율(%) 휘도(cd/㎡)
실시예 1 1.2 97 92 1650
비교실시예 1 4.5 95 80 1300
비교실시예 2 6.5 90 85 1250
비교실시예 3 1.2 75 92 950
본 발명의 광확산 필름은 광투과율과 광확산율이 동시에 우수하고, 내마모성도 우수하여 사용 및 제작중 결함이 감소한다.

Claims (4)

  1. 폴리에스테르 베이스 필름(2) 상에 (ⅰ)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와 아크릴수지가 혼합된 바인더수지 및 (ⅱ)유기입자 단독 또는 유기입자와 무기입자로 조성된 광확산층(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인더수지와 유기 및 무기 입자와의 굴절율 차이가 0.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2. 1항에 있어서, 바인더수지의 굴절율이 1.4~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3. 1항에 있어서, 유기 및 무기 입자의 굴절율이 1.3~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4. 1항에 있어서, 광확산층(1)에 분산제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KR1019990054968A 1999-12-04 1999-12-04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KR100587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968A KR100587905B1 (ko) 1999-12-04 1999-12-04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968A KR100587905B1 (ko) 1999-12-04 1999-12-04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248A KR20010054248A (ko) 2001-07-02
KR100587905B1 true KR100587905B1 (ko) 2006-06-08

Family

ID=1962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968A KR100587905B1 (ko) 1999-12-04 1999-12-04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9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060B1 (ko) * 2003-02-25 2008-02-18 주식회사 코오롱 직하형 백라이트용 광확산 필름
KR20180127461A (ko) 2016-03-30 2018-11-28 피피지 코팅스 (텐진) 컴퍼니 리미티드 광 확산성 반사성 코팅
JP7132746B2 (ja) * 2018-05-18 2022-09-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モアレ抑制フィルム、モアレ抑制フィルム積層体、モアレ抑制フィルムを備えた複合表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3966A (ja) * 1988-12-07 1990-06-13 Nippon Fueroo Kk 光輝性樹脂成形材料及び成形品
KR930016495A (ko) * 1992-01-10 1993-08-26 최영중 광편광현탁액이 고분자수지내에 분산된 투과도가변창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5330823A (en) * 1993-03-19 1994-07-19 Xerox Corporation Transparent recording sheets
JPH07101022A (ja) * 1993-10-07 1995-04-18 Toray Ind Inc 難燃性コーティング積層体
KR960010244A (ko) * 1994-09-23 1996-04-20 안시환 복합 열가소성 수지 필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3966A (ja) * 1988-12-07 1990-06-13 Nippon Fueroo Kk 光輝性樹脂成形材料及び成形品
KR930016495A (ko) * 1992-01-10 1993-08-26 최영중 광편광현탁액이 고분자수지내에 분산된 투과도가변창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5330823A (en) * 1993-03-19 1994-07-19 Xerox Corporation Transparent recording sheets
JPH07101022A (ja) * 1993-10-07 1995-04-18 Toray Ind Inc 難燃性コーティング積層体
KR960010244A (ko) * 1994-09-23 1996-04-20 안시환 복합 열가소성 수지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248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9281B (zh) 光反射板用白色聚酯膜
JP3545447B2 (ja) 光拡散フィルム
US8300172B2 (en) White reflective film
JP4002320B2 (ja) シリカ複合樹脂粒子、その製造方法
EP1767962A1 (en) Anisotropic diffusion film
CN102197323B (zh) 光扩散板及其用途
CN112375243A (zh) 一种高耐磨、低闪点的防眩光膜及其制备方法
KR100920645B1 (ko) 프리즘 복합필름
JP3478973B2 (ja) 光拡散シート
KR100587905B1 (ko) 액정표시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KR20080065824A (ko) 내열성이 향상된 다층구조 광확산판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JPH0418346A (ja) アクリル樹脂多層板
JP2000169722A (ja) 光拡散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13173279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169658A (ja) 光拡散性樹脂組成物
JPH1160966A (ja) 光拡散性樹脂組成物
JP2001324606A (ja) 積層光拡散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27904A (ja) 光拡散シート
KR20000027862A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용 광확산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804062B1 (ko)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
KR100804061B1 (ko)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유니트용 확산필름
WO2005052677A1 (en) Light diffusion film for lcd back-light unit
JP2000169721A (ja) 光拡散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2001226501A (ja)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41053B2 (ja) 光拡散性積層樹脂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