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062B1 -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 - Google Patents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062B1
KR100804062B1 KR1020030011286A KR20030011286A KR100804062B1 KR 100804062 B1 KR100804062 B1 KR 100804062B1 KR 1020030011286 A KR1020030011286 A KR 1020030011286A KR 20030011286 A KR20030011286 A KR 20030011286A KR 100804062 B1 KR100804062 B1 KR 100804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rticles
light
parts
light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999A (ko
Inventor
정승환
김현진
황용하
최복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30011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062B1/ko
Publication of KR2004007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Abstract

본 발명은 LCD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기재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투명한 바인더 수지에 투명한 구형 유기입자를 분산시켜 도포하여 형성된 광확산층을 구비함에 있어서 광확산층을 바인더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구형 유기입자를 100∼300중량부로 포함하되 입자크기 20∼50㎛인 유기입자를 50개/㎟ 내지 500개/㎟ 되도록 포함하고 나머지는 입자크기 20㎛ 미만인 유기입자를 포함하며 지지필름 전면에 형성되도록 한 필름으로, 이를 백라이트 유니트에 장착했을 때 휘도가 월등히 향상되므로 고휘도의 LCD 디스플레이 제조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Light diffusion film for LCD back-light unit}
도 1은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의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부호의 상세 설명>
1 - 광확산층 2 - 베이스필름
3 - Anti-blocking층 10 - 광확산필름
본 발명은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고휘도 광확산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확산층에 포함되는 유기입자 크기 분포를 조절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킨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고휘도 광확산필름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달이 혁신적으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최근 TFT-LCD에서는 LCD 디스플레이의 대화면화, 저전력화, 고휘도화 등이 향후 기술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TFT-LCD의 부품인 액정 모듈과 백라 이트 부품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백라이트 유니트에서도 대화면화, 저전력화, 고휘도화가 진행중인데 최근에는 백라이트 유니트 자체를 없애려는 시도도 많이 등장하고 있지만 LCD가 가지는 기본적인 특징 때문에 자체발광하는 LED 소자처럼 별도의 광원 없이 화면을 형성하기는 현재로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백라이트 유니트에서는 LCD 디스플레이의 구조상 한쪽 측면 또는 후면에서의 횡방향 광원램프의 빛을 화면 전체에 확산시키고 빛을 굴절시켜 전면 방향으로의 균일한 빛으로 바꾸는 역할을 광확산필름이 수행하고 있다. 이밖에 반사필름, 도광판, 프리즘 필름들이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며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초기의 광원으로부터 나온 빛의 세기가 점점 위의 다른 매질들을 지나면서 조금씩 상쇄되어 실제로 우리가 보는 화면상의 휘도는 원래 광원의 수백 분의 일밖에는 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시도들이 이루어졌는데, 이를테면 광원의 밝기를 밝게 하는 방법이 있으며, 도광판, 반사필름, 프리즘, 확산판 각 매질들의 두께를 줄이는 방법이 있으나 사용업체들의 생산성 및 작업성 때문에 두께를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도광판의 패터닝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바꾸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 광확산필름은 확산효율이 좋은 입자를 사용하여 광을 고루 확산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여기에도 입자의 선정 및 코팅두께 또는 후면층 코팅의 반사방지처리 등 많은 고휘도를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광확산층에 사용하는 입자는 확산효율이 좋은 유기계 고분자 입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대부분 에멀젼 중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고분자들이기 때문에 입자의 종류가 한정적이며 무기계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인더 수지와 상용성이 없으며 확산효과가 좋은 입자가 아직 없는 것이 현실이다.
광확산층에 사용하는 입자로는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는데 폴리스티렌의 경우 내광성이 나빠 자외선에 의해 황변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자외선 안정제와 함께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반면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내광성 및 확산 효율, 굴절율 면에서 광확산층에 사용되는 입자로 적합하다.
광확산필름은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노트북용과 LCD모니터용 두 가지 형태로 개발되었다. 이는 노트북과 LCD 모니터의 백라이트 유니트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광학특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모든 제품에 동일한 구조가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노트북컴퓨터용 백라이트 유니트의 경우 대개 광확산필름 위에 휘도향상필름을 사용하고 보호필름을 장착하고 LCD모니터의 경우 대개 광확산필름을 두 장 사용하고 그 위에 확산형 이중휘도향상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또는 확산반사편광필름(Diffuse Reflective Polarizer Film)을 장착한다. 고휘도 광확산필름은 20㎛보다 큰 입자를 적정 비율로 사용하여 광확산층의 도포 두께가 두껍고 앞면과 뒷면의 전광선투과율 차이가 크다.
최근의 경향은 고휘도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됨에 따라 모든 부품의 고휘도화가 진행되고 있다. 램프 단품의 경우 자체의 휘도에서 백라이트를 거치면서 나오는 휘도는 십분의 일정도로 줄어들며 다시 액정 패널을 장착하면 그 휘도는 초기 휘도보다 백분의 일 혹은 이백분의 일로 감소한다. 이처럼 액정표시장치의 화상 실 현을 위한 최대의 관심사는 휘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액정표시장치 업체에서는 고개구율 확보를 위한 설계 등의 노력이 필요하나 실제로 이런 노력은 이미 한계점에 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므로 나머지는 백라이트 업체에서 두께를 감소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69110호, 제2002-066386호, 제2002-052999호, 제2002-048116호, 제2002-038233호, 제2001-110179호, 제2001-066830호, 제2001-053886호, 제2001-054274호, 제2001-054248호, 제2001-05208호, 제2001-048774호에서와 같이 면광원용 백라이트 구조에 장착하는 필름으로 투명한 기재 시트 위에 바인더와 입자를 분산시켜 경화시킨 광확산필름에 관하여 개발되었다. 특히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54274호에서와 같이 광확산층의 입자조성을 응집된 입자 크기 50㎛이하, 적층비율 10%이하로 하는 광확산필름은 이미 개발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재필름의 한면 또는 양면에 구형 유기입자를 분산시켜 얻어진 광확산층을 구비한 광확산필름에 있어서 기존 제품보다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던 중, 50㎛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입자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20㎛이상의 입자와 20㎛이하의 입자를 적정비율 혼합하여 사용한 결과,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휘도를 향상시킨 액정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필 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은 기재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기재필름과의 접착력 및 표면 경도를 위해 아크릴 수지와 같은 투명한 바인더 수지에 투명한 구형 유기입자를 분산시켜 도포하여 형성된 광확산층을 구비한 것으로서, 이때 광확산층은 바인더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구형 유기입자를 100∼300중량부로 포함하되 입자크기 20∼50㎛인 유기입자를 50개/㎟ 내지 500개/㎟ 되도록 포함하고, 나머지는 입자크기 20㎛ 미만인 유기입자를 포함하는 것임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광확산필름의 단면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스틱 지지체필름(2)의 적어도 한쪽 면 또는 양쪽 면에 광확산층(1), (3)의 코팅층으로 구성된다.
광확산층은 기재필름과의 접착력을 위해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표면 경도를 위한 아크릴 수지 또는 내열 및 자외선 안정성을 위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수지에 입자를 분산시켜 이를 기재필름 위에 도포하여 얻어진다.
입자는 보통의 수지와 굴절율 차이가 있으면서 빛의 투과율과 확산율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유기 및 무기의 입자들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입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 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혹은 삼원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폴리에틸렌, 폴리스타이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입자, 아크릴과 올레핀계의 공중합체, 단일중합체의 입자를 형성후 그 층위에 다른 종류의 단량체로 덮어 쓰워서 만드는 다층다성분계 입자 등의 유기입자가 있다. 그밖에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타늄, 산화지르코늄, 불화마그네슘 등의 무기계 입자가 사용되어진다.
무기입자에 비해 유기입자의 광확산성이 우수해 본 발명에서는 주로 유기입자를 사용한다. 사용되는 입자는 바인더 수지에 수지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300중량부로 투명한 구형 유기입자를 분산시켜 기재필름위에 도포하여 고휘도의 광확산필름을 제조한다. 구형 유기입자는 입자크기 20㎛이상 50㎛이하인 입자를 50개/㎟ 내지 500개/㎟를 포함하며 그 나머지는 입자크기 20㎛미만인 것으로서,투명기재필름 전면을 도포하여 고휘도의 광확산필름을 개발하였다.
높은 광확산율 및 고휘도를 보이기 위해서는 도막의 두께 10 내지 30㎛일 때 바인더 100중량부 당 입자 100∼300중량부 되도록 입자가 함유되어야 하는 바, 입자 함량이 100중량부 미만이면 빛의 산란에 의한 확산효과가 줄어들며 입자함량이 많아질 경우 코팅표면으로 입자들이 돌출되어 광투과율이 떨어지고 입자 함유 수지 용액을 조액할 때 입자의 분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균일한 조액이 불가능하게 된 다.
또한 구형 유기입자로서 입자크기 20㎛이상 50㎛이하의 입자를 50개/㎟ 미만으로 도포할 경우 50개/㎟ 이상 500개/㎟ 이하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휘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보이며, 500개/㎟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큰 입자가 적층되어 역시 휘도가 저하되며 광확산층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본 발명의 광확산층은 입사된 빛을 산란, 반사 굴절시켜 빛을 확산시킴과 동시에 투과가 많이 이루어지도록하여 도광판을 통과한 빛을 LCD 화면 전체에 골고루 확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광확산층은 플라스틱 지지체와 접착성이 좋으며 광확산 역할을 해주는 입자들과 상용성이 좋은 수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되는 주요 수지로는 불포화폴리에스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혹은 삼원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등이 사용되며 내열성, 내마모성,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화제를 사용하여 수지의 피막을 단단하게 하여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수지는 광투과도가 높은 것이 좋으며 특히 광확산층을 구성하기 때문에 기재필름과의 접착력이 중요하다.
이러한 고휘도의 광확산층 입자분포를 갖는 입자조성은 지지필름의 전면에 분산되어야 한다. 이렇게 제조된 광확산 조액은 콤마 나이프 또는 그라비아에 의해서 지지필름 위에 도포되는 데 도막의 두께는 10 내지 30㎛이 적당하다.
이같은 광확산층이 형성되는 지지필름으로는 투명한 지지체면 어떤 것이든 사용가능한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에폭시 등이 사용되며 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사용되어지는데, 최근에는 광확산층에 자외선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고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가격이 고가라는 점 때문에 상용화는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지지체는 사용되는 수지에 대하여 접착력을 가져야 하며 자체내의 광투과도가 높아 광확산층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되며 표면의 평활도가 균일하여 휘도의 편차가 없어야 한다. 지지필름의 두께는 50 내지 250㎛이 적당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200㎛이 적당하다. 이 두께에서만이 필름으로써의 가공성과 핸들링성 그리고 장착시 내열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광확산필름은 백라이트유니트에 장착했을 때 기존의 제품보다 휘도가 향상된다.
이하 실시예에서 더욱 더 상세히 설명하는 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위해 사용된것이지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00부의 아크릴 수지 52-666(애경화학사 제품)에 메틸에틸케톤 100부, 톨루엔 100부를 넣어 희석한 후, 평균입경 20㎛의 입자분포를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 이트 입자 PB020(코오롱사 제품) 대 평균입경 10㎛의 단분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PX010(코오롱사 제품)를 1:1의 비율로 200부 혼합하여 밀링기(다이노밀)로 회전수 40Hz로 분산시킨 후 100㎛의 초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T600, Mitsubishi사)의 한 면 혹은 양면에 그라비아를 사용해 건조 후 도포 두께 18㎛ 내지 28㎛이 되도록 도포하여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100부의 아크릴 수지 Surcol836(Allied Colloids사 제품)에 메틸에틸케톤 100부, 부틸아세테이트 100부를 넣어 희석한 후 평균입경 20㎛의 입자분포를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GM2001(Ganz사 제품) 대 평균입경 10㎛의 입자분포를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GM0630H(Ganz사 제품)를 2:1의 비율로 200부 혼합하여 밀링기(다이노밀)로 회전수 40Hz로 분산시킨 후 100㎛의 초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A4300, Toyobo사)의 한 면 혹은 양면에 그라비아를 사용해 건조 후 도포두께 18㎛ 내지 28㎛이 되도록 도포하여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100부의 아크릴 수지 BR-113(Mitsubishi Rayon사 제품)에 메틸에틸케톤 100부, 부틸아세테이트 100부를 넣어 희석한 후 평균입경 20㎛의 입자분포를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MR20G(Soken사 제품) 대 평균입경 8㎛의 입자분포를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MBX-8(Sekisui사 제품) 대 평균입경 5㎛의 단분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MX500(Soken사 제품)를 2:1:1의 비율로 200부 혼합하여 밀링기(다이노밀)로 회전수 40Hz로 분산시킨후 100㎛의 초투명 폴리에틸렌테레 프탈레이트 필름(A4300, Toyobo사)의 한 면 혹은 양면에 그라비아를 사용해 건조 후 도포두께 18㎛ 내지 28㎛이 되도록 도포하여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4
100부의 아크릴 수지 52-666(애경화학사 제품)에 메틸에틸케톤 100부, 톨루엔 100부를 넣어 희석한 후 평균입경 20㎛의 입자분포를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PB020(코오롱사 제품) 대 평균입경 10㎛의 단분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PX010(코오롱사 제품) 대 평균입경 5㎛의 입자분포를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PB005(코오롱사 제품)를 3:2:1의 비율로 240부 혼합하여 밀링기(다이노밀)로 회전수 40Hz로 분산시킨후 100㎛의 초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T600, Mitsubishi사)의 한 면 혹은 양면에 그라비아를 사용해 건조후 도포두께 18㎛내지 28㎛이 되도록 도포하여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100부의 아크릴 수지 BR-113(Mitsubishi Rayon사 제품)에 메틸에틸케톤 100부, 톨루엔 100부를 넣어 희석한 후 평균입경 20㎛의 입자분포를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PB020(코오롱사 제품) 대 평균입경 10㎛의 입자분포를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GM0630H(Ganz사 제품)를 1:1의 비율로 50부 혼합하여 밀링기(다이노밀)로 회전수 40Hz로 분산시킨 후 100㎛의 초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A4300, Toyobo사)의 한 면 혹은 양면에 그라비아를 사용해 건조후 도포두께 18㎛ 내지 28㎛이 되도록 도포하여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100부의 아크릴 수지 Surcol836(Allied Colloids사 제품)에 메틸에틸케톤 100부, 부틸아세테이트 100부를 넣어 희석한후 평균입경 28㎛의 입자분포를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GM2801(Ganz사 제품) 대 평균입경 10㎛의 입자분포를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PB010(코오롱사 제품)를 3:2의 비율로 350부 혼합하여 밀링기(다이노밀)로 회전수 40Hz로 분산시킨후 100㎛의 초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T600, Mitsubishi사)의 한 면 혹은 양면에 그라비아를 사용해 건조 후 도포두께 18㎛ 내지 28㎛이 되도록 도포하여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3
100부의 아크릴 수지 52-666(애경화학사 제품)에 메틸에틸케톤 100부. 톨루엔 100부를 넣어 희석한 후 평균입경 20㎛의 입자분포를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GM2001(Ganz사 제품) 대 평균입경 10㎛의 단분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PX010(코오롱사 제품)을 1:5의 비율로 200부 혼합하여 밀링기(다이노밀)로 회전수 40Hz로 분산시킨 후 100㎛의 초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T600, Mitsubishi사)의 한 면 혹은 양면에 그라비아를 사용해 건조후 도포두께 18㎛ 내지 28㎛이 되도록 도포하여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4
100부의 아크릴 수지 52-666(애경화학사 제품)에 메틸에틸케톤 100부, 톨루엔 100부를 넣어 희석한 후 평균입경 25㎛의 단분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PX025(코오롱사 제품) 대 평균입경 12㎛의 입자분포를 가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MBX-12(Sekisui사 제품)를 10:1의 비율로 240부 혼합하여 밀링기(다이노 밀)로 회전수 40Hz로 분산시킨 후 100㎛의 초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T600, Mitsubishi사)의 한 면 혹은 양면에 그라비아를 사용해 건조후 도포두께 18㎛ 내지 28㎛이 되도록 도포하여 광확산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광확산필름에 대하여 입자크기 20∼50㎛인 입자개수, 휘도, 전광선투과율, 탁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1)입자크기 20㎛이상 50㎛이하의 입자 개수
광확산필름의 광확산층을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FE-SEM, Hitachi S-4300 model)로 50배율 내지 300배율로 관찰하여 1㎜×1㎜의 면적에 분포하는 20㎛이상 50㎛이하의 입자의 개수를 세고 전면에 도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였다.
(2)휘도
광확산필름을 백라이트유니트에 장착할 수 있도록 컷팅한 후 백라이트 유니트 도광판 위의 광확산필름 단독 휘도와 최종적으로 확산형 이중휘도향상필름(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Vikuiti DBEF-D440, 3M사 제품) 또는 확산반사편광필름(Diffuse Reflective Polarizer Film, Vikuiti DRPF, 3M사 제품)까지 장착하여 TOPCON사의 BM7 휘도측정기로 9곳의 휘도를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3)전광선투과율 (TT, Total Transmittance), 탁도 (Haze)
Nippon Denshoku사의 헤이즈 측정기 NDH2000, COH300A 두 종류의 측정 기기 에 의해 40mmX40mm의 필름 샘플을 장착해 광원에서 나온 빛이 앞에서 뒤로 통과할때와 뒤에서 앞으로 통과할 때의 전광선투과율(TT)과 탁도(Haze)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입자 20㎛이상 50㎛이하의 입자 개수 198 352 248 220 48 532 40 620
전면도포여부 ×
휘도 (Cd/㎡) 백라이트+광확산필름 981 975 964 977 835 940 856 921
㉮ 백라이트+광확산필름(2장) 1290 1265 1273 1277 1035 1219 1040 1195
㉮ + 확산형이중 휘도향상필름 1030 1019 1023 1023 935 988 950 963
㉮ +확산반사편광필름 1020 1008 1015 1010 905 977 940 945
광특성 NDH 2000 앞→뒤 탁도(Haze, %) 98.8 99.4 99.2 98.6 76.5 99.6 96.0 98.0
전광선투과율(TT, %) 100.0 100.0 100.0 100.0 96.3 100.0 100.0 100.0
뒤→앞 탁도(Haze, %) 96.0 96.1 95.8 96.1 77.3 95.9 94.1 95.5
전광선투과율(TT, %) 74.0 75.7 75.9 74.3 95.8 77.0 86.8 81.2
광특성 COH 300A 앞→뒤 탁도(Haze, %) 91.4 91.6 91.4 91.3 68.6 91.5 89.6 91.0
전광선투과율(TT, %) 88.2 89.1 90.0 88.6 84.5 89.2 94.9 89.8
뒤→앞 탁도(Haze, %) 90.3 90.6 90.4 90.3 67.5 90.5 88.7 90.1
전광선투과율(TT, %) 62.9 65.0 65.1 65.6 84.3 64.1 78.5 69.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구형 유기입자로서 입자
크기 20∼50㎛인 것과 20㎛ 미만인 것을 조절하여 혼합하고 이를 바인더에
분산시켜 지지필름의 전면에 광확산층을 형성한 광확산필름의 경우 백라이트 유니트에 장착했을 때 휘도가 월등히 향상되므로 고휘도의 LCD 디스플레이 제조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기재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투명한 바인더 수지에 투명한 구형 유기입자
    를 분산시켜 도포하여 형성된 광확산층을 구비한 광확산필름에 있어서,
    상기 광확산층은 바인더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구형 유기입자를 100∼300
    중량부로 포함하되 입자크기 20∼50㎛인 유기입자를 50개/㎟ 내지 500개/㎟
    되도록 포함하고 나머지는 입자크기 20㎛ 미만인 유기입자를 포함하며, 지지
    필름 전면에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KR1020030011286A 2003-02-24 2003-02-24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 KR100804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286A KR100804062B1 (ko) 2003-02-24 2003-02-24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286A KR100804062B1 (ko) 2003-02-24 2003-02-24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999A KR20040075999A (ko) 2004-08-31
KR100804062B1 true KR100804062B1 (ko) 2008-02-18

Family

ID=3736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286A KR100804062B1 (ko) 2003-02-24 2003-02-24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143B1 (ko) 2005-09-05 2007-05-10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광확산 필름
KR100829672B1 (ko) * 2007-01-26 200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산 시트, 그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액정 표시장치
EP3931608B1 (en) 2019-05-15 202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diffuser, light diffusing adhesive, light diffusing hard coat member, light diffusion fil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light diffusion fil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108A (ja) * 1991-07-25 1994-03-04 Tsujimoto Denki Seisakusho:Kk 高光拡散性フイルム
JPH07218705A (ja) * 1994-02-04 1995-08-18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拡散フィルム
JPH1130708A (ja) 1997-07-11 1999-02-02 Keiwa Shoko Kk 光拡散シート、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光拡散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10054274A (ko) * 1999-12-04 2001-07-02 장용균 광확산 필름
KR20010072479A (ko) * 1998-09-17 2001-07-31 케이이치 오사무라 광확산시트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니트
KR20020069110A (ko) * 2001-02-22 2002-08-29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확산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9108A (ja) * 1991-07-25 1994-03-04 Tsujimoto Denki Seisakusho:Kk 高光拡散性フイルム
JPH07218705A (ja) * 1994-02-04 1995-08-18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拡散フィルム
JPH1130708A (ja) 1997-07-11 1999-02-02 Keiwa Shoko Kk 光拡散シート、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光拡散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10072479A (ko) * 1998-09-17 2001-07-31 케이이치 오사무라 광확산시트와 이를 이용한 백 라이트 유니트
KR20010054274A (ko) * 1999-12-04 2001-07-02 장용균 광확산 필름
KR20020069110A (ko) * 2001-02-22 2002-08-29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광확산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999A (ko) 200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4026B (zh) 適用於顯示裝置之背光
TWI421544B (zh) An optical film and a backlight device using the same
WO2015190202A1 (ja) 光拡散性シート及び該シートを含むバックライト装置
TW200842412A (en) Optical sheets
JP4547510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用光拡散シート
KR100909427B1 (ko) 광제어 필름
KR20080111786A (ko) 다층 광확산 도광판,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80063543A (ko) 휘도향상용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775850B1 (ko)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KR101227304B1 (ko) 광학시트
KR20120078508A (ko) 광학 시트
KR100804062B1 (ko) 액정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
KR20100001582A (ko) 광확산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KR20070055650A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유닛용 광확산필름
KR100601759B1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필름
KR100980068B1 (ko) 광학용 복합 필름
KR100804061B1 (ko) 액정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유니트용 확산필름
WO2005052677A1 (en) Light diffusion film for lcd back-light unit
KR100441054B1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KR100654751B1 (ko) 광확산 필름
KR100656896B1 (ko) 표면기능성 도광판 및 그의 연속 제조방법
KR100683609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KR102014307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광학필름
KR100615638B1 (ko) 광확산필름
KR100902156B1 (ko) 광제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