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234B1 - 통기가능한 금속기와 지붕 시공방법 및 굴곡부가 형성된금속기와와 금속기와용 통기부재 - Google Patents

통기가능한 금속기와 지붕 시공방법 및 굴곡부가 형성된금속기와와 금속기와용 통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234B1
KR100587234B1 KR1020040058067A KR20040058067A KR100587234B1 KR 100587234 B1 KR100587234 B1 KR 100587234B1 KR 1020040058067 A KR1020040058067 A KR 1020040058067A KR 20040058067 A KR20040058067 A KR 20040058067A KR 100587234 B1 KR100587234 B1 KR 100587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bent portion
ridge
tile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8811A (ko
Inventor
천지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중앙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중앙강재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중앙강재
Priority to KR1020040058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2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08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24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with special cross-section, e.g. with corrugations on both sides, with ribs, flanges, or the like
    • E04D3/3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with special cross-section, e.g. with corrugations on both sides, with ribs, flanges, or the like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02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 E04D1/06Grooved or vaulted roofing element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tiles, slates, shingles, or other small roofing elements
    • E04D1/30Special roof-covering elements, e.g. ridge tiles, gutter tiles, gable tiles, ventilation tiles
    • E04D2001/309Ventilation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기와의 상부에 형성된 꺽임부에 직접 굴곡부를 형성하거나, 굴곡부가 형성된 별도의 통기용 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금속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시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금속기와 또는 금속기와용 통기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금속기와 또는 금속기와용 통기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기와, 서까래, 기와걸이

Description

통기가능한 금속기와 지붕 시공방법 및 굴곡부가 형성된 금속기와와 금속기와용 통기부재{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lating metal tiled roof}
도1은 일반적인 금속기와의 사시도이다.
도2의a 일반적인 금속기와의 단면도.
도2의b 꺽임부가 형성된 금속기와의 단면도이다.
도3은 종래의 시공방법이 사용되던 시공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공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금속기와용 통기부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기와용 통기부재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기와용 통기부재의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금속기와용 통기부재의 일실시예의 절곡전 평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꺽임부에 굴곡부가 형성된 금속기와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금속기와 11: 덮개부
12: 상측걸이부 13: 하측걸이부
20: 용마루 31: 기와걸이
32: 보강목 33: 용마루 고정부재
40: 금속기와용 통기부재 41: 굴곡부
42: 평판부
본 발명은 금속기와의 상부에 형성된 꺽임부에 굴곡부를 형성하거나, 굴곡부가 형성된 별도의 통기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금속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시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금속기와 또는 금속기와용 통기부재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금속기와 또는 금속기와용 통기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기와란 금속으로 기와의 형태를 성형하여 지붕재등으로 사용하는 건축자재를 말하는 것으로, 금속만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금속으로 성형된 기와의 형태에 돌가루나 기타 재료들을 덧 입혀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금속기와의 모습은 도1에 도시되어 있는데, 덮개부(11)와 2단으로 굽어진 상측걸이부(12) 및 하측걸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금속기와는 가볍고 튼튼하며,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 공기가 단축됨으로 인해 건축비가 절감되고, 수명이 길며, 유지보수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금속표면에 화산석 가루를 입힐 경우 소음흡수에 우수한 효과까지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금속기와를 이용한 지붕시공은, 지붕에 서까래를 설치하고, 상기 서까리 위에 각형의 강관 또는 각목을 설치한후 상기 강관등에 못등으로 금속기와를 고정시키는 공법을 사용하는데 그 시공도면은 도3과 같다.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지붕에 경사면 위에 일단이 처마쪽을 향하고 타단이 지붕의 꼭대기 쪽을 향하도록 서까래(미도시)를 설치한다. 서까래(미도시)가 설치되면 상기 서까래에 수직하며, 지붕의 경사면과 평행하도록 기와걸이(31)와 보강재(32)를 설치하며 지붕의 꼭대기에는 용마루 고정부재(33)를 설치한다. 여기서 서까래는 반드시 설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서까래 없이 기와걸이(31)와 보강재(32)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기와걸이(31)와 보강재(32) 및 용마루 고정부재(33)로는 각형의 강관 또는 각목이 사용된다. 기와걸이(31)와 보강재(32) 및 용마루 고정부재(33)가 지붕위에 설치된 후에는, 지붕의 아래부분부터 금속기와를 설치하는데, 상기 금속기와의 상측걸이부(12)를 기와걸이에 위치시킨 후 못등을 이용해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상기 보강재(32)는 기와걸이(31)와 기와걸이(31) 사이에 위치하며 시공자가 상기 덮개부(11)를 밟았을 때 금속기와가 찌그러지거나 기타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금속기와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나씩 설치되는데 하측걸이부(13)가 기와걸이(31)에 결합된 상측걸이부(12)를 덮는 형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상측걸이부(12)의 고정이 완료된 후에야 다음 기와의 하측걸이부(13)가 상기 상측걸이부(12)를 덮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금속기와는 지붕의 아래쪽에서 부터 위쪽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기와를 차례차례 설치하여 지붕의 맨 윗부분까지 시공을 하게 되면, 가장 윗쪽에 위치하는 금속기와는 도2b와 같이 상부를 꺽어 올려 꺽임부(14)가 형성되도록 한 후, 못등을 이용해 용마루 고정부재(33)에 고정한다. 상기 꺽임부(14)를 용마루 고정부재(33)의 측면에 못등으로 고정한 후에는 용마루(20)를 덮어 고정시킨다. 이경우 상기 꺽임부(14)를 단순히 용마루 고정부재(33)의 측면에 위치시키기만 한 후, 용마루(20)를 덮은 후에야 비로소 못등을 이용해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지붕 시공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용마루(20)와 금속기와의 꺽임부(14)와 용마루 고정부재(33)가 직접 맞 닿아 결합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로 인해 지붕내의 공기가 외부와 차단됨으로서 금속기와 내측면에 결로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금속기와는 물론 지붕내 철강재가 부식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속기와와 용마루의 결합부분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덮개부와; 덮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꺽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속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에 있어 서, 금속기와의 상부에 형성된 꺽임부에, 굴곡부가 형성된 통기용 부재를 올려놓는 통기용부재 설치 단계와; 상기 통기용부재가 올려진 꺽임부를 용마루 고정부재의 측부에 위치시키는 꺽임부 설치단계와; 상기 꺽임부와 상기 용마루 고정부재 위에 용마루를 덮어 결합시키는 용마루 결합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용부재 설치 단계는, 굴곡부가 형성된 금속판을 ㄷ자형태로 접어서 형성된 통기용부재의 ㄷ자형의 홈 사이에, 상기 꺽임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측판과; 상기 2개의 측판 사이에 위치하는 평판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2개의 측판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측판에는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다상세하게는 상기 굴곡부는 상기 평판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굴곡이 형성되는 주름부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꺽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속기와에 있어서, 상기 꺽임부에는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금속기와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2는 금속기와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의 금속기와의 측면은 도2의 a 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기와의 모습은 도1 및 도2의 a와 같지만, 용마루와 결합하는 부분에서 는 측면이 도2의b와 같은 형상이 된다. 도2의b의 금속기와는 도2의a의 금속기와의 일부를 꺽어 올려 꺽임부(14)를 형성한 것인데, 상기 꺽임부(14)는 프레스 가공시부터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대로 금속기와는 지붕의 하부쪽에서 부터 상부쪽으로 시공을 해 올라가는데 용마루(20)가 결합되는 지붕의 상부에 다다르면 남은 공간이 기와한장의 크기와 동일할 수도 있지만, 기와 한장의 크기보다 작을 수도 있다. 따라서 지붕 최상단의 마지막 금속기와는 남은 공간의 크기에 맞도록 잘라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상기 도2의b와 같이 상단을 꺽어 올려 꺽임부(14)를 형성하게 된다. 금속기와의 상단을 꺽어 올리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마루 고정부재(33)가 각관 또는 각목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용마루 고정부재(33)의 측면에 용이하게 결합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기와의 상단을 수직방향으로 세워 주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크게 상기 꺽임부(14)에 굴곡이 형성된 부재를 결합시키는 것과, 상기 꺽임부에 직접 굴곡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먼저 금속기와용 통기부재가 사용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금속기와용 통기부재는 금속판재 또는 PVC판재등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굴곡부(41)가 형성된 금속기와용 통기부재(40)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금속기와용 통기부재는 금속판에 굴곡부(41) 형성되도록 가공을 한 후 이를 접어서 ㄷ자 형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도8은 상기 금속기와용 통기부재가 절곡되기 전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로 서, 양쪽에 굴곡부(41)가 형성되고 중앙에 평판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도5의 금속기와용 통기부재(40)는 상기 도8의 판재를, 중앙의 평판부(42)를 중심으로 절곡하여 ㄷ자형이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ㄷ자형 홈은 금속기와의 꺽임부(14)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금속기와용 통기부재(40)는 도6과 같이 라운드진 형태의 굴곡부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도7과 같이 각진 형태의 굴곡부가 사용될 수도 있다.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구조이기만 하면 굴곡의 형상은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금속으로 된 통기부재의 형성방법에 있어서는, 금속코일에서 풀려나오는 금속판이 이격되게 설치된 2쌍의 성형 기어를 사이를 통과하여 나오도록 함으로써, 성형기어 사이를 통과하여 나온 부분은 굴곡부(41)가 되고 그 사이의 가공되지 않은 부분은 평판부(42)가 되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생산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단기간 내에 필요한 길이만큼을 용이하게 생산해 낼 수 있게 되어, 매우 효율적일 것이나, 다른방법이 사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통기용부재는 평판부(42)가 형성되지 않고 굴곡부(41)가 전체적으로 형성된 금속판을 접어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8과 같이 굴곡부(41) 사이에 평판부(42)가 형성되도록 하는것이 절곡작업에 용이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4의 용마루 부분 시공도에 나타난, 금속기와용 통기부재가 사용된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금속기와용 통기부재가 상기 꺽임부(14)에 씌워지면, 상기 꺽임부(14)를 용마루 고정부재(33)의 측부에 위치시키고, 그 위에 용마루(20)를 덮어 씌운다 음, 못 등으로 용마루(20)와 상기 금속기와용 통기부재(40)와 상기 꺽임부(14)를 관통시켜 용마루지지부재(33)에 용마루를 결합시킨다. 상기 꺽임부(14)를 용마루고정부재(33)의 측부에 위치시키는 단계에서 못 등으로 한번 고정을 시킨 후, 용마루(20)를 덮어 씌우고 다시 재차 못 등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공방법이 사용되면, 외부의 공기가 용마루(20) 측면과 상기 꺽임부(14) 사이를 통과한 후, 다시 꺽임부(14)와 용마루 고정부재(20)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금속기와의 시공면 내부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4와 도3을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시공방법이 사용되던 도3에는 용마루와 꺽임부와 용마루지지부재가 밀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공기가 통할 수 없었지만, 도4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기와용 통기부재(40)에 형성된 굴곡부(41)로 인해 용마루(20)의 내측과 꺽임부(14) 사이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도9와 같이 금속기와의 꺽임부(14')에 굴곡부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꺽임부(14')에 굴곡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프레스등으로 굽힘가공을 하는 방법과, 상기 통기부재의 굴곡부를 형성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한쌍의 기어사이를 통과하게 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꺽임부에 굴곡부가 형성되면, 앞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금속기와와 용마루의 결합부분에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통기가 가능해짐으로써, 금속기와 내측면에 결로(結露)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지붕내에 있는 철강재의 부식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한 금속기와용 통기부재는 그 형성 방법이 매우 간단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길이만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이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한 금속기와용 통기부재는 금속기와의 꺽임부에 올려놓기만 하면 되므로, 그 시공이 매우 간단하다. 특히 작업에 편리한 길이로 적당히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위험한 지붕 공사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기할 수 있다.

Claims (5)

  1. 덮개부와;
    덮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꺽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금속기와를 이용한 지붕 시공 방법에 있어서,
    금속기와의 상부에 형성된 꺽임부에, 굴곡부가 형성된 통기부재를 올려놓는 통기부재 설치 단계와;
    상기 통기부재가 올려진 꺽임부를 용마루 고정부재의 측부에 위치시키는 꺽임부 설치단계와;
    상기 꺽임부와 상기 용마루 고정부재 위에 용마루를 덮어 결합시키는 용마루 결합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굴곡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꺽임부와 용마루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꺽임부와 용마루 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금속기와의 통기 가능한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용부재 설치 단계는,
    ㄷ자형태로 접어서 형성된 통기용부재의 ㄷ자형의 홈 사이에, 상기 꺽임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와의 통기가능한 시공방법.
  3. 복수의 굴곡을 포함하는 굴곡부가 형성된 2개의 측판과;
    상기 2개의 측판 사이에 위치하는 평판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2개의 측판은,
    그 사이에 금속기와의 꺽임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굴곡은,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와용 통기 부재.
  4. 삭제
  5. 삭제
KR1020040058067A 2004-07-24 2004-07-24 통기가능한 금속기와 지붕 시공방법 및 굴곡부가 형성된금속기와와 금속기와용 통기부재 KR100587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067A KR100587234B1 (ko) 2004-07-24 2004-07-24 통기가능한 금속기와 지붕 시공방법 및 굴곡부가 형성된금속기와와 금속기와용 통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067A KR100587234B1 (ko) 2004-07-24 2004-07-24 통기가능한 금속기와 지붕 시공방법 및 굴곡부가 형성된금속기와와 금속기와용 통기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316A Division KR20060056296A (ko) 2006-04-10 2006-04-10 굴곡부가 형성된 금속기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811A KR20060008811A (ko) 2006-01-27
KR100587234B1 true KR100587234B1 (ko) 2006-06-08

Family

ID=3711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067A KR100587234B1 (ko) 2004-07-24 2004-07-24 통기가능한 금속기와 지붕 시공방법 및 굴곡부가 형성된금속기와와 금속기와용 통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2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8749U (ja) * 1992-03-30 1993-10-26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金属板横葺屋根棟部の換気構造
KR20000073147A (ko) * 1999-05-07 2000-12-05 오성도 금속기와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8749U (ja) * 1992-03-30 1993-10-26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金属板横葺屋根棟部の換気構造
KR20000073147A (ko) * 1999-05-07 2000-12-05 오성도 금속기와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811A (ko) 200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7960B2 (en) Deck flashing trim system
US8561367B2 (en) Parapet vent
EP3130721A1 (en) Multilayered renovation building element
WO2014073073A1 (ja) 横葺き屋根構造
KR100587234B1 (ko) 통기가능한 금속기와 지붕 시공방법 및 굴곡부가 형성된금속기와와 금속기와용 통기부재
US20120186177A1 (en) Vented nail base roof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KR20060056296A (ko) 굴곡부가 형성된 금속기와
US3308594A (en) Slotted panel assembly
GB2193515A (en) Roof space ventilator
JP6864547B2 (ja) 軒先点検用歩廊
JP5466331B1 (ja) 金属屋根構造および止水部材
JP4990528B2 (ja) 建築物内面への断熱材取付工法
JP5001632B2 (ja) 耐火屋根用のデッキプレート、耐火屋根構造及び耐火屋根施工方法
GB1590377A (en) Tile battens
KR102015653B1 (ko) 스틸 방수 패널의 결합구조
JP4506631B2 (ja) 安全帯取付具構造
WO2016104138A1 (ja) 軒先点検用歩廊
JP4428295B2 (ja) 安全帯取付具構造
JP2018053516A (ja) 金属製縦葺材の接続構造
JP7144985B2 (ja) 屋根構造及び屋根板
RU2105844C1 (ru) Лист стальной кровли
JP4904129B2 (ja) 屋根改修用金具、既存屋根の改修構造、既存屋根の改修方法
AU2016102417A6 (en) Improved fascia panel
AU770703B2 (en) Roof tile support arrangement
JPH013369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