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397B1 - 전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397B1
KR100585397B1 KR1020030098022A KR20030098022A KR100585397B1 KR 100585397 B1 KR100585397 B1 KR 100585397B1 KR 1020030098022 A KR1020030098022 A KR 1020030098022A KR 20030098022 A KR20030098022 A KR 20030098022A KR 100585397 B1 KR100585397 B1 KR 100585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eyelet
base
lead wire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685A (ko
Inventor
박동환
Original Assignee
웰메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메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메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8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397B1/ko
Publication of KR20050066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3/00Apparatus or processes adapted to the manufacture, installing, removal, or maintenance of incandescent lamps or parts thereof
    • H01K3/02Manufacture of incandescent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38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40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42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 H01K1/46Means forming part of the lamp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or support for, the lamp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c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도입선과 베이스부 간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구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제2 도입선이 베이스부와 접촉되고 제1 도입선이 아일렛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도록, 베이스부를 램프부에 삽입한다. 상기 제2 도입선을 상기 베이스부에 용접한다. 상기 제1 도입선을 상기 제1 돌출부에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통공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팁을 가압한다. 상기 제1 도입선을 상기 제1 돌출부에 용접한다. 상기와 같은 전구 제조 방법은 용접의 (+)전극과 아일렛을 통하여 제1 도입선 간의 전기적 접촉의 문제를 줄여 전구 제조 공정중 용접 불량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전구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 bulb}
도1 내지 도4는 종래의 전구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램프부, 베이스부 또는 전구의 단면도들이다.
도5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구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램프부, 베이스부 또는 전구의 단면도들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구 10 : 램프부
11 : 램프 12 : 필라멘트
13 : 제1 도입선 14 : 제2 도입선
20 : 베이스부 21 : 아일렛
21a: 제1 돌출부 21b: 팁
21c: 제2 돌출부 21d: 통공
21e: 용융물 22: 절연체
23 : 베이스
본 발명은 전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램프부의 도입선을 베이스부 상단에 용접할 때, 용접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 내지 도4는 종래의 전구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램프부, 베이스부 또는 전구의 단면도들이다.
도1을 참조하면, 램프(11) 내부에 배치된 필라멘트(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단자와 연결되는 제1 도입선(13)과 (-)단자와 연결되는 제2 도입선(14)을 램프의 상단부를 지나 연장시킨다.
도2를 참조하면, 절연물(22)을 통하여 통공(21d)과 돌출부를 갖는 아일렛(21)과 베이스(23)를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베이스부(20)를 형성한다. 램프부(10)의 제2 도입선(14)을 하향 절곡하여 램프부의 상단 외측에 위치하게 한다.
도3을 참조하면, 베이스부(20)는 램프부(10) 상단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제2 도입선(14)은 베이스(23) 하단에 접지되고, 제1 도입선(13)은 아일렛 (21)의 중앙에 뚫린 통공(21d)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도입선 (13, 14)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제2 도입선(14)을 절곡한다. 이후, 제2 도입선(14)은 베이스(23) 하단에, 제1 도입선(13)은 아일렛(21) 상단에 각각 용접되어 용착 고정되어 전구를 제조한다. 상기 용접은 주로 아크 용접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전구의 제조 방법은, 통공(21d)을 관통하는 제1 도입선(13)과 아일렛(21)의 제1 돌출부 간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일렛(21)의 제2 돌출부(21c)에 접촉하는 아크 용접의 (+)전극과 제1 도입선(13) 간의 전도성 불량으로 아크 방전의 효율이 감소한다. 이로써 제1 도입선(13)과 아일렛(21) 간의 아크 용접의 불량을 초래하여 생산성 저하를 야기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부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도입선과 베이스부의 아일렛 간의 용접 불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구의 생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램프, 상기 램프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라멘트 및 상기 필라멘트로부터 상기 램프의 외부로 연장된 제1 및 제2 도입선을 포함하는 램프부; 및 상기 램프부를 전원과 연결하며 상기 램프의 단부가 수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와 동심원 상으로 배치된 제2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를 관통하는 통공을 갖는 도전성 아일렛을 포함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전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입선이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되고, 상기 제1 도입선이 상기 아일렛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램프부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 도입선을 상기 베이스부에 용접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입선을 상기 제1 돌출부에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통공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팁을 가 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도입선을 상기 제1 돌출부에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당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도입선을 상기 제1 돌출부에 접촉키기 위해 상기 제1 돌출부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팁을 가압하는 단계는 상기 제1도입선이 상기 제1 돌출부의 측면과 접촉되게 하여 수행되는 전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전구의 제조 방법은 제1 돌출부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팁을 가압하여 제1 도입선과 아일렛의 제1 돌출부를 접촉하게 한다. 이로써, 제1 돌출부와 접촉하는 제1 도입선과 제2 돌출부를 통하여 아크 용접의 (+)전극과 간의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아크 방전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이로써 제1 도입선을 아일렛에 아크 용접하는 공정의 수율을 증가시킨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5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구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램프부, 베이스부 또는 전구의 단면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램프(11) 내부에 필라멘트(12)를 배치하고, 상기 필라멘트(12)로부터 상기 램프(11)의 외부로 연장되고 필라멘트(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도입선(13 및 14)을 램프 상단부로 돌출되게 한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램프부(30) 상단부로 돌출된 제1 및 제2 도입선 중 제2 도입선은 절곡한다. 이후 상기 램프부(10)를 베이스부(20)의 아래쪽에 배치한 다.
도7을 참조하면, 아일렛(21)이 절연물(22)을 통하여 베이스(23)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베이스부(20)를 상기 램프부(10)의 상부에 삽입한다. 이때, 절곡된 제2 도입선(14)을 베이스부(20) 하단과 접촉하게 하고, 제1 도입선을 아일렛(21)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22)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게 한다.
도8을 참조하면, 상기 아일렛(21)은 중심에 통공(21d)을 갖고, 상기 통공(21d)을 중심으로 제1 돌출부(21a), 외각에 제2 돌출부(21c)를 갖고, 제1 돌출부(21a), 제2 돌출부(21c)는 통공(21a)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돌출부의 가장자리에는 팁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돌출부(21a)는 제1 도입선(13)의 삽입시 제1 도입선(13)을 가이드 하여 그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제2 돌출부(21c)는 아크 용접의 (+)전극과 아일렛(21)과의 접촉면을 넓게 하여 아크 방전의 효율을 증대시켜 아크 용접을 용이하기 위함이다
도9를 참조하면, 램프부(10) 상단에 베이스부(20)의 삽입이 완료되면 아일렛 (21)의 통공(21c)을 관통한 제1 도입선(13)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이때 그 절단 길이는 아크 용접에 의해 아일렛(21)의 홈을 채워서 통공(21c)을 실링할 수 있도록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조 공정중 또는 전구 사용중 외부로부터 램프부 내부로의 불순물의 인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도입선(13)을 수직 상방으로 향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아크 용접시 아크 방전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도10을 참조하면, 아일렛(21)의 제1 돌출부(21a)에 제1 도입선(13)을 접촉하 기 위해 아일렛(21)의 가장 자리 부위에 형성되고 점선으로 도시된 팁(21b)을 제1 도입선 방향(13)으로 가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팁을 가압하는 단계는 제1 도입선(13)을 제1 돌출부(21c)의 내측면과 접촉되게 하기 위하여 집게 등을 이용하여 상기 팁을 압착하여 수행한다. 이는 제1 도입선(13)을 수직 상방으로 향하게 하여 후공정인 아크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11을 참조하면, 제2 도입선(14)을 베이스(23)에 용접한다. 제2 도입선(14)은 베이스(23)의 하단부에 아크 용접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 용접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 1 도입선(13)을 제1 돌출부(21a)와 용접한다. 이 경우, 용접은 아크 용접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 용접에 의해 아일렛(21)의 제1 돌출부(21a)와 제2 돌출부(21c) 사이의 홈을 채워서 통공(21d)을 실링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조 공정 중 또는 전구 사용 중 외부로부터 전구 내부로의 불순물의 인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종래 기술의 제1 도입선의 아크 용접 불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크 용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아크 용접은 아크 방전을 통해 전극 사이에 아크를 만들고 이때 발생하는 고온의 열에 의해서 용착부를 녹이는 용접법으로서, 교류 또는 직류 전압을 용접봉과 모재 사이에 전류를 통하여 아크를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아크열(약 6,000 ℃)로 용접봉과 모재를 녹여 접합하는 야금학적 접합 방식이다.
아크용접의 종류로는 피복금속(被覆金屬)아크용접, 서브머지드 아크용접 및 비활성 기체용접 등이 있다.
피복금속아크용접은 용접하고자 하는 것, 즉 모재(母材)와 피복용접봉 사이에 전압을 걸어서 발생하는 아크의 열로 용접하는 가장 일반적인 용접법이다. 용접봉은 녹아서 모재의 녹은 것과 섞여 모재와 모재의 접합부의 틈을 메워 굳어서 용착금속이 된다.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은 긴 줄로 되어 있는 피복하지 않은 용접봉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고, 그 끝과 모재 사이에 생기는 아크의 열로 용접부를 녹여서 자동적으로 용접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유리질인 특수한 입상(粒狀) 플럭스에 의해서 아크가 직접 보이지 않는 것이 특색이며, 이 때문에 밖에서는 아크를 볼 수 없다.
비활성 기체용접에는 MIG와 TIG가 있는데, TIG는 전극이 거의 소모되지 않고, MIG는 전극이 소모된다. 예를 들면, TIG는 아르곤아크 또는 헬리아크 등의 상품이 있고, MIG는 시그마 등의 상품이 있다.
아크 용접은 보통의 대기 속에서 할 수 있으나, 녹는점이 높은 금속이나 활성금속인 경우는 대기와 반응하여 오염되므로 비활성기체를 채운 상자 속에서 하든가, 불용성 가스의 노즐이 달린 용접용 전극부나 토치로 용접한 후 그 부분이 충분히 냉각될 때까지 비활성기체(보통은 아르곤)를 계속 뿜어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아크 용접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아크의 길이로서, 아크의 길이는 아크가 발생될 때 모재에서 용접봉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이는 아크 전압(arc voltage)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아크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아크 길이가 알맞지 않으면 용입이 불량하게 될 뿐만 아니라 외기의 영향을 받아 용착 금속의 성질이 불량하게 된다. 아크 길이가 길면, 아크가 불안정하여 용입이 나빠지거나 산소나 질소가 침투하여 재질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기공이나 균열의 원인이 되며, 아크 길이가 짧으면 아크의 지속이 어렵고 발생하는 열도 작아 용입 불량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아크 용접의 경우, 아크 용접의 (+)전극은 아일렛의 제2 돌출부와 접촉하고, 상기 아크 용접의 (+)전극은 아일렛을 통하여 제1 돌출부와 접촉되는 제1 도입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로써, 용접봉의 (-)전극과 제1 도입선(+) 간에 전류를 흐르도록 하여 아크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2 도입선과 아일렛의 제1 돌출부와 접촉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통공의 가장 자리 부위에 형성된 팁을 제1 도입선 방향으로 가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도입선을 아일렛의 통공의 측면과 접촉되게 한다. 이는 아크 용접기의 (+)전극을 아일렛을 통하여 제1 도입선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방에 위치하는 아크 용접기의 (-)전극인 용접봉과 (+)전극과 연결된 제1 도입선 간의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때, 아크 방전을 발생시켜 제1 도입선을 아일렛의 제1 돌출부에 용이하게 용착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1 도입선과 제2 도입선이 외부로 연장된 램프부 상단에 베이스부를 결합하고, 베이스부 상부에 위치하는 아일렛에 제1 도입선을 용접시 용접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전구 제조 방법은 제1 도입선을 아일렛에 용접 불량을 감소시킨다. 이는, 아일렛과 제1 도입선간의 전기적으로 연결을 위하여 돌출부를 가압하는 공정에 의해 아크 용접의 (+)전극과 제1 도입선간에 전기적으로 접촉시켜 아크 용접의 효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램프, 상기 램프의 내부에 배치되는 필라멘트 및 상기 필라멘트로부터 상기 램프의 외부로 연장된 제1 및 제2도입선을 포함하는 램프부; 및 상기 램프부를 전원과 연결하며 상기 램프의 단부가 수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며 제1돌출부와 상기 제1돌출부와 동심원 상으로 배치된 제2돌출부 및 상기 제1돌출부를 관통하는 통공을 갖는 도전성 아일렛을 가지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전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2도입선이 상기 베이스부와 접촉되고, 상기 제1도입선이 상기 아일렛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램프부에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제2도입선을 상기 베이스부에 아크 용접 방법에 의하여 용접하는 단계;
    (c) 상기 제1도입선을 상기 제1돌출부에 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통공의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 팁을 가압하여, 상기 제1도입선을 상기 제1 돌출부의 내측면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제1도입선을 상기 제1돌출부에 아크 용접 방법에 의하여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d)단계는, 상기 아일렛의 외부로 돌출된 제1도입선의 단부는 상기 아크 용접에 의해 상기 아일렛의 외면에 용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제조 방법.
KR1020030098022A 2003-12-27 2003-12-27 전구 제조 방법 KR100585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022A KR100585397B1 (ko) 2003-12-27 2003-12-27 전구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022A KR100585397B1 (ko) 2003-12-27 2003-12-27 전구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685A KR20050066685A (ko) 2005-06-30
KR100585397B1 true KR100585397B1 (ko) 2006-05-30

Family

ID=3725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022A KR100585397B1 (ko) 2003-12-27 2003-12-27 전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3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685A (ko)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06584B (zh) 将金属箔与圆柱形金属销焊接的方法
JP2992765B2 (ja) 電 灯
KR100585397B1 (ko) 전구 제조 방법
US20060208640A1 (en) Electrode system provided with a novel connection, associated lamp comprising said film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id connection
KR20080017419A (ko) 램프용 전극 시스템
US3621111A (en) Lead-in conductor for electrical devices
US6862800B2 (en) Method for connection of coated lead wire to terminal of coil bobbin
US6482061B1 (en) Method for producing lamps
US4827189A (en) Solder connection for an electrode of the gas discharge lamp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e
US4661739A (en) Welded tungsten filament to lead joint
US6759618B2 (en) Method for connecting a current supply wire with a contact patch of an electrical lamp
JP4056706B2 (ja) 管球の製造方法
US903860A (en) Incandescent lamp.
JP4749910B2 (ja) ランプの給電構造体
JPH10334789A (ja) 管球、照明器具および管球用マウント構体の製造方法
JP2003178668A (ja) 管球用導入線および管球
KR100193953B1 (ko)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JP2021136077A (ja) 放電ランプ、および放電ランプの製造方法
JPS6273552A (ja) 管球の製造方法
JPH06275244A (ja) 管球製造用溶接治具、管球製造方法および白熱電球
JP2001135232A (ja) 管球の密閉方法
GB2086286A (en) Brazed tungsten filament to lead joint
JP2650190B2 (ja) 大出力白熱電球の製造方法
JP2004220914A (ja) 冷陰極管のリード線接続法
JP2003132838A (ja) ショートアー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