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953B1 -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3953B1 KR100193953B1 KR1019960041251A KR19960041251A KR100193953B1 KR 100193953 B1 KR100193953 B1 KR 100193953B1 KR 1019960041251 A KR1019960041251 A KR 1019960041251A KR 19960041251 A KR19960041251 A KR 19960041251A KR 100193953 B1 KR100193953 B1 KR 1001939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piece
- connecting terminal
- conductive core
- connection terminal
- high hea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 H01J2209/2363—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 또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단말기인 모니터 등 모든 영상표시기에 설치되는 전자 브라운관의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코일, 또는 복수의 가닥선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자기융착성(自己融着性) 접착제가 피복된 고내열성 절연피복 동선이 권선되어 이루어지는 모든 자계발생 어셈블리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선 단부의 접속단자편 접합에 관한 것이다.
편향코일의 권선형체로부터 인출되고 자기융착층과 고내열성 절연피복층을 가자는 전도성 코어로 이루어진 복수의 인출선에 접속단자편을 접속시키는 본 발명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은 상기 전도성 코어로부터 상기 자기융착층 및 고내열성 치복층을 가열 소각하는 공정; 및 상기 접속단자편과 상기 인출선 사이에 개재되는 전도성 및 접착성을 갖는 용가제를 용융 및 고형화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소각된 자기 융착층 및 고내열성 피복층 잔류물은 용가제가 용융될 때 용가제 외부로 빠져나오고, 용융 및 고형화된 용가제는 상기 전도성 코어와 상기 접속단자편 사이의 공간을 채우면서 상기 접속 단자편과 상기 전도성 코어를 접합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는 자기융착층과 고내열성 절연피복층이 제거된 전도성 코어를 포함하고 그 전도성 코어의 단부가 정렬된 상태를 갖는 복수의 인출선; 상기 복수의 인출선의 단부 근처에 접속되는 접속단자편; 및 전도성과 접합력을 갖는 용가제를 포 함하고, 상기 용가제는 용융 및 고형화되어 상기 전도성 코어와 상기 접속단자편 사이의 공간을 채우면서 상기 전도성 코어와 상기 접속단자편을 접합시킨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전도가 우수한 최적의 접합상태를 유지하며, 제조공정을 대폭 감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그 제조공정이 기계적인 자동화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상기 또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단말기인 모니터 등 모든 영상표시기에 설치되는 브라운관의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코일, 또는 복수의 가닥선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자기융착성(自己融着性) 접착제가 피복된 고내열성 절연피복 동선이 권선되어 이루어지는 모든 자계발생 어셈블리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선 단부의 접속단자편 접합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출선과 접속단자편이 우수한 전도성을 가지도록 최적의 접합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그 접속단자편의 제조공정의 수를 대폭 감소하여 양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 편향코일의 전체 제조 공정의 기게적인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나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 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이 편향코일 또는 자계발생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고내열성 절연피복 동선을 적당히 꼬은 권선용 다발을 형틀에 권선하여 소정의 형체로 성형시키는 단계; 상기 소정의 형체로 성형된 복수의 권선용 다발을 통전 가열에 의한 융합방식으로 권선형체로 형상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형상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권선 다발을 권선된 형태로 듀지시키는 단계; 고형화하는 단계; 및 소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권선형체의 형상화 공정은 자동화된 권선 시스템에 의해 기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방법에 의해 성형되는 복수의 다발로 이루어진 권선형체를 갖는 편향코일(30)은, 예를 들어 전자 브라운관의 네크(10)부분에 설치되는 편향요크(20) 주위를 감싸고 있으며 또한 페라이트 코어(4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편향코일(30)은 그 편향코일(30)의 권선용 다발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선(31)의 단부에 의해 편향요크(20)의 인쇄회로기판(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권선용 다발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선(31)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권선형체의 형상화 공정, 즉 권선형체를 통전가열에 의한 자기융착 방식으로 형상화하는 공정에서 그 권선형체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접속단자로도 이용된다.
상기 편향코일(30)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 인출된 인출선(31)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고내열성 절연피복 동선을 적당히 꼬아 만든 다발로 이루어져 있다. 복수의 동선으로 이루어진 인출선(31)이 권선 시스템의 자동화 라인에서 사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즉 편향코일의 형상화 공정에서 상기 인출선(31)을 상기 자동화 라인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어 있는 집게식 전원 공급단부와 접속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그 복수의 인출선(31)의 단부를 정렬시켜서 이를 인쇄회로기판과 접속시키기 위해서, 인출선(31)의 단부는 접속단자편(32)를 갖는다. 이러한 접속 단자편을 갖는 종래의 편향 코일의 실시예가 제3도의 (a)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의 (a)를 참조하면, 편향 코일의 권선형체로부터 인출된 인출선(31)의 단부에 접속단자편(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자편(32)는 통상의 스폿용접(spot-welding) 방식에 의해 인출선(31)의 단부에 접합되어 있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인출선(31)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자기융착층 및 절연피복층(이하 피복층이라 함)을 후술하는 소각방식에 의해 제거한 후 인출선(31)을 정렬시킨다. 그 후 정렬된 인출선(31)을 소폭의 띠모양으로 이루어진 접속단자편(32)로 감싼다. 그리고 나서, 인출선(31)과 접속단자편(32)를 스폿용접기의 양극봉 및 음극봉으로 가압하면서 이들 양극 사이의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열로 접합시킨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전원 공급단부를 제공하기 위한 권선형체 형상화 공정이 완료된 후에 인출선(31)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단자편(32)를 별도의 절단 공정에 의해 인출선(31)로부터 절단시킨다. 그 후, 제3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아 있는 절단된 인출선(31)의 끝단부의 고내열성 절연피복 동선의 피복층을 소각방식에 의해 제거한다. 이를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복수의 편향코일의 인출선 단부에 접속단자편이 접합된 종래의 단면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고, 제5도는 편향코일용 복수의 인출선 중 하나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제5도에 도시된 하나의 인출선(31-1)은 심선(31-2)와 그 심선(31-2)를 둘러싼 고내열성 절연피복층(31-3) 및 절연피복층(31-3)을 둘러싼 자기융착층(31-4)로 이루어져 있다. 심선(31-2)는 구리선(동선) 또는 구리를 포함한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동선 또는 복수의 인출선(31-1)로 이루어진 편향코일(30)은 각인출선(31-1)의 절연피복층(31-3)과 자기융착층(31-4)는 고열로 가열하는 소각 방식으로 제거되고, 그 후 남아있는 순수한 심선(31-2)는 제1도에 도시된 편향요크(20)의 인쇄회로기판(5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단자로 재가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소각 방식에 의한 피복층이 제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한편, 절단된 인출선(31)과 접속단자편(32)의 접합상태가 불안정하여 동선과 접속단자편(32)의 접촉면(통전면적)이 부분적으로 불균일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절단된 인출선(31)과 접속단자편(32)을 접속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동선과 접속단자편(32)의 접촉면을 통한 전원 공급이 불량해지고 편향코일의 권선형체의 형상화가 불안정하게 되어, 편향코일이 권선형체균일하게 융착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편향코일은 고주파에서 동작하므로, 융착이 불량한 편향코일을 사용할 경우 코로나 방전에 의해 편향코일이 손상되거나 전기접속이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아울러, 편향코일의 불균일 융착으로 인해,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경로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어 화질 저하 및 그로 인한 편향코일을 사용하는 제품의 품질에 상당히 큰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제2도에는 종래의 편향코일 제조공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고내열성 절연피복 동선이 형틀에 의해 소정의 권선형체로 권선된 후 권선형체이 형상화공정 직전의 공정인 접속단자편 접합공정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권선공정이 완료된 권선형체로부터 인출되는 인출선의 소정의 위치를 소폭의 평판재 띠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단자편으로 감싼다. 그 후, 접속단자편의 상측 및 하측을 스폿용접기의 양극봉 및 음극봉으로 가압하는 가압 융점 방식으로 접속단자편을 인출선에 접합시킨다. 접속단자편을 인출선에 접합시키는 공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출선의 표면에 적층되어 있는 자기융착층(31-4)과 고내열성 절연피복층(31-3)을 양극봉 및 음극봉의 통전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열에 의해 순차적으로 소각하여 제거시킨 후 노출된 심선(31-2)와 접속단자편을 접합(welding)시킨다. 그 후, 권선형체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을 권선시스템의 집게식 전원공급부에 접속시켜 통전가열방식에 의해 고내열성 절연피복 동선의 표피면에 피복된 자기융착층들을 인접 동선의 자기융착층들과 융착시키기 위한 권선형체 형상화 공정을 수행한다. 권선형체형상화 공정이 끝난 후에는 편향코일 인출선의 접속단자편을 절취하기 위한 접속단자편 절취공정이 수행된다.
접속단자편 절취공정 후에는, 편향코일의 인출선 끝단부를 소각방식에 의해 피복층을 제거시키는 소각공정이 행해진다. 피복층을 제거하기 위한 소각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스트립핑 방식,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 납땜 방식, 히터 방식 또는 스폿용접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 스트립핑 방식은 소각공정과 소각에 의한 잔류 피복층을 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탈피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식이다.
소각공정이 완료된 후 편향코일의 인출선 단부에 존재하는 피복층 소각 잔류물을 회전 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떨어내어 제거하는 탈피공정이 행해진다.
탈피공정 후에는 편향코일 인출선 단부에 노출된 상태의 심선을 편향요크의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단자핀에 수동방식으로 감아 결속시키는 심선권선공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나서, 접속단자핀 외부로 돌출한 심선의 권선 잔류 길이를 절단시킨 후 편향코일의 인출선 심선이 권선된 인쇄회로기판의 접속단자핀을 용융납에 침적시키는 침적식 납땜공정이 행해지고 이렇게 하여 편향요크의 제조공정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편향요크의 제조공정은 여러 단계의 공정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공정들 중에는 상당수의 불필요한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 제조공정 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상당히 낮으며, 이러한 낮은 생산성은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주원인이 됨은 물론 가격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편향코일의 인출선 단부의 피복층을 탈피하는 공정에서는 분진이 발생하는 등 사업장의 환경이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동선의 산화로 동선의 전기전도도가 저하되고 납땜불량이 자주 발생하여 편향요크 및 이를 장착한 제품의 품질에 큰 악영향을 미치는 등의 난점이 있었다. 특히, 노출된 심선을 인쇄회로기판의 접촉단자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심선 권선 공정은 수공적인 작업만이 가능하여 그 결선 작업이 매우 어렵고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편향요크의 전체 제조공정이 기계적인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기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할 많은 기술적인 문제점이 존재하여, 결국 종래 기술에서는 편향요크의 전공정 자동화 시스템의 실현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단자편 및 편향코일의 심선보다 저온의 녹는점을 가지며 전도성과 침투성이 우수하나 용가제를 사용해 통상의 브레이즈(braze) 용접 방식으로 인출선을 접속단자편에 접합시킨 새로운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에는 사용불가능했던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을 양호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편향코일의 권선형체 형상화를 위한 통전과 편향요크의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를 겸할 수 있도록 하나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조공정을 대폭 감소시켜 생산성을 높이고 저렴한 가격으로 양산가능한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접속단자편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직접적인 전기적 접속을 이루게 함으로서 편향요크 제조공정이 기계적인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한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향코일의 권선형체로부터 인출되고 자기융착층과 고내열성 절연피복층을 갖는 전도성 코어로 이루어진 복수의 인출선에 접속단자편을 접속시키는 본 발명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은 상기 전도성 코어로부터 상기 자기융착층 및 고내열성 피복층을 가열 소각하는 공정; 및 상기 접속단자편과 상기 인출선 사이에 개재되는 전도성 및 접착성을 갖는 용가제를 용융 및 고형화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소각된 자기 융착층 및 고내열성 피복층 잔류물은 용가제가 용융될 때 용가제 외부로 빠져나오고, 용융 및 고형화된 용가제는 상기 전도성 코어와 상기 접속단자편 사이의 공간을 채우면서 상기 접속 단자편과 상기 전도성 코어를 접합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는 자기융착층과 고내열성 절연피복층이 제거된 전도성 코어를 포함하고 그 전도성 코어의 단부가 정렬된 상태를 갖는 복수의 인출선; 상기 복수의 인출선의 단부 근처에 접속되는 접속단자편; 및 전도성과 접합력을 갖는 용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용가제는 용융 및 고형화되어 상기 전도성 코어와 상기 접속단자편 사이의 공간을 채우면서 상기 전도성 코어와 상기 접속단자편을 접합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에 있어서, 양호한 전도성을 가지며 최적의 접합상태가 유지되고, 제조공정이 대폭 감소되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며, 편향요크의 전체 제조공정이 기계적인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편향요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나 도면.
제2도는 종래의 편향코일의 권선 공정 이후의 성형 과정을 도시한 공정 순서도.
제3도의 (a)의 복수의 동선으로 이루어진 권선 다발을 편향코일 형태로 권선한 후 전류를 인가하여 전류저항에 의한 발열로 편향코일의 자기융착층을 용융시켜 편향코일의 권선 형태가 일정한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형상화 공정을 행하기 위한여 편향코일의 인출선 단부에 전류 공급용 입출입 접속단자의 역할을 하는 접속단자편가 접합된 편향코일의 측면도.
제3도의 (b)는 편향코일의 형상화 공정이 완료될 후 그 편향코일의 인출선에 접합시켰던 접속단자편을 절단하고 그 절단부위의 인출선의 심선이 노출되도록 피복층을 벗겨낸 모습을 도시한 편향코일의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편향코일의 인출선 단부에 접속단자편이 접합된 단면 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5도는 편향코일용 인출선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자기 융착성 접착제가 도포된 고내열성 절연피복이 피복된 동선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코일의 성형과정을 도시한 공정 순서도.
제7도의 (a)는 접합 장치에 접속단자편과 편향코일이 공급된 초기의 모양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에 의해 편향코일의 인출선 단부에 접속단자편이 접합되는 과정을 예시한 실시예.
제7도의 (b)는 접합 장치의 양극봉 및 음극봉이 접속단자편에 접촉한 후 통전에 의한 1차 저항열에 의해 코일의 자기융착성 접착층과 절연피복층을 소각 제거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에 의해 편향코일의 인출선 단부에 접속단자편이 접합되는 과정을 예시한 실시예.
제7도의 (c)는 접합 장치의 양극봉 및 음극봉의 통전에 의한 2차 저항열에 의해 용가제가 용융 및 고형화되어 접합되는 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에 의해 편향코일의 인출선 단부에 접속단자편이 접합되는 과정을 예시한 실시예.
제8도는 본 발명의 접합방법에 의해 접합된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접속방법에 의해 편향코일의 인출선 단부에 접합된 접속단자편이 편향요크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접속 단자로 사용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제9도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후 90℃회전하여 본 확대 단면도로서 편향코일의 인출선 단부에 접합된 접속단자편을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인출된 인입단자측과 직접 삽입 방식으로 결속시킨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라운관 20 : 편향요크
30 : 편향코일 31, 31-1, 310 : 인출선
31-2 : 심선 31-3 : 절연피복층
31-4 : 자기융착층 32, 320 : 접속단자편
40 : 페라이트 코어 50, 500 : 인쇄회로기판
110 : 양극 단자 120 : 음극 단자
400 : 용가제 510 : 접속단자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6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에 의한 편향요크의 제조공정에 관한 공정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단자편의 접합방법의 특징은 접속단자편의 접합공정시 편향코일 인출선의 피복층의 용융점과 서로 다른 녹는점을 갖는 용가제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가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인, 은 및 구리의 합금으로 공지되어 있다. 접속단자편 접합공정인 단계(601)은 (601-1), (601-2) 및 (601-3)의 3개의 공정으로 나뉘어져 있다. 단계 (601-1)에서는, 편향코일 인출선의 피복층인 자기융착층과 절연피복층을 용가제의 녹는점보다는 낮고 편향코일 인출선의 피복층보다는 용융점이 더 높은 1차 온도에서 통상의 소각방식을 이용해 제거하는 탈피공정이 행해진다. 그 후, 단계 (601-2)에서는 용가제의 녹는점보다 더 높은 2차 온도에서 용가제가 가열된다. 용융된 용가제는 단계 (601-3)에서 고형화되면서 인출선과 접속단자편을 접합하는 접합공정이 행해진다.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접속단자편 접합공정에서는, 먼저 스폿용접기의 양극봉 및 음극봉의 통전에 의해 접속단자편 내에서 발생하는 약350∼400℃온도에 해당하는 저항열을 이용하여 편향코일의 인출선 피복층(자기융착층과 고내열성 절연피복층)을 소각방식으로 제거하는 피복층 소각제거 공정이 행해진다. 이러한 피복층 소각 제거 공정에서는 접합단자편이 스폿용접기의 양극봉 및 음극봉에 의해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고, 또한 열 팽창으로 인하여 소각물이 접합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배출된다. 소각물이 제거되면, 접속단자편과 편향코일의 인출선 사이의 적층되는 용가제를 용융시키기 위하여 용가제를 약600∼650℃에 해당하는 2차 온도로 가열하는 용가제의 용융 공정이 행해진다. 그 후, 용융된 용가제가 고형화되어 인출선과 접속단자편이 접합되는 접합공정이 행해진다.
상기 인출선과 접속단자편의 접합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단계(602)에서 권선시스템의 집게신 전원공급부에 편향코일의 인출선에 접합된 접속단자편을 접속시키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원하는 편향코일의 권선형체 형상화 공정이 행해진다.
이러한 편향코일의 권선형체 형상화 공정이 완료된 후, 단계(603)에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형상화 공정을 위해 통전 접속단자로 제공되었던 접속단자편을 절단하는 공정을 행하지 않고, 그 접속단자편을 편향요크의 인쇄회로기판에 삽입식 또는 그 이외의 적당한 접속방식에 의해 접속시킨다.
그 후, 단계(604)에서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된 접속단자편에 침적식 납땜공정을 행하면 편향요크의 전 제조과정이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편향요크의 제조과정이 감소되어 제조시간이 단축되며, 그로 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단가가 낮아지는 것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더욱이 전 제조공정에 대해 기계적인 자동화에 의한 공정 수행이 가능하여 결국 저렴한 가격으로 편향요크를 양산할 수 있어 가격경쟁에서 경쟁자들에 비해 매우 유리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정 단계는 별도의 제어회로에 의해 그 공정에 따라 적합한 시간을 효과적으로 선택하여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7도에는 본 발명 접속단자편을 접합시키기 위한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제7도의 (a)는 스폿용접기의 양극(110) 및 음극(120) 사이에 편향코일의 복수의 인출선(310)이 접속단자편(320)에 감싸여진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초기상태의 접합공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 때 접속단자편(320)내에는 그 접속단자편과 거의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폭을 가지는 평판재의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용가제(40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용가제(400)은 접속단자편(320)과는 별도로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접속 단자편(320)과 일체로 결합되어 그 접속단자편과 같이 공급될 수도 있다.
제7도의 (b)에서는 스폿용접기의 양극(110) 및 음극(120)이 접속단자편의 상부 및 하부에 접촉된 후 통전된다. 통전 전류 및 접촉 압력 등을 적절히 조정하면 1차 온도에 해당하는 저항열이 발생하고, 이 저항열에 의해 편향코일의 인출선 피복층을 소각방식으로 제거하는 공정이 소정시간 행해진다.
제7도의 (c)에서는 2차온도에 해당하는 저항열을 발생하도록 스폿용접기의 양극(110) 및 음극(120)의 통전 전류 및 접촉 압력 등을 조정하고, 이 2차 저항열을 이용하여 용가제(400)을 용융시킨 후 다시 고형화시켜 접합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제8도에는 본 발명의 접합방법에 의해 접합된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접속단자편 접합구조는 접속단자편(320)과 편향코일의 인출선(310)사이에 우수한 전도성 및 강한 접합력을 갖는 용가제(400)이 용융 및 고형화되면서 편향코일의 인출선과 인출선 사이로 침투되어 접속단자편이 내벽과 복수의 인출선을 전면적으로 전도 접촉시키게 된다. 또한, 소각 공정 후 인출선 단부에 잔류하는 소량의 피복층 잔류물은 용융된 용가제가 외부로 빠져 나올 때 함게 배출되므로 종래기술에서 필수적으로 행해져야마나 하는 피복층 소각 잔류물을 제거하기 위해 브러쉬 등을 이용한 별도의 탈피공정이 불필요하다는 잇점이 있다.
제9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접속단자편(320)이 편향요크의 인쇄회로기판(500)에 구비된 접속단자핀(510)에 직접 삽입식으로 삽입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평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인쇄회로기판(500)은 접속단자핀(5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접속단자핀(510)은 그 상단 부분이 아랫방향으로 3분하여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된 2개의 외곽측 접속 단자핀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단자편(32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나머지 접속단자핀에 대해 꺽여진 형태를 갖는 접지탄편(5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단자편(320)은 접지탄편(511)에 의해 접지단자핀(510) 내에 삽입 방식으로 삽입되어 간단하게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속단자편과 편향코일 인출선의 접합면이 균일하고, 또한 접합의 전체면적이 전도면으로 제공되어 최적의 접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부하 발생 및 전류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라 편향요크에 안정된 전류를 공급하여 화질을 높이고 또한 편향코일을 사용하는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편향코일의 권선형체 형상화를 위한 전원공급단만으로 이용되고 절단 후에는 폐기되어 이용불가능하였던 접속단자편을 인쇄회로기판과의 전기적 접속단자로 이용하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손실을 적극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용가제의 사용으로 종래기술에 비해 편향요크 제조에 필요한 공정수를 최대한으로 감소시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성을 높혀 저렴한 가격으로 양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향요크는 전 제조과정이 기계적인 자동화 공정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 분야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수많은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7)
- 편향코일의 권선형체로부터 인출되고 자기융착층과 고내열성 절연피복층을 갖는 전도성 코어로 이루어진 복수의 인출선에 접속단자편을 접속시키는 접속단자편 접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코어로부터 상기 자기융착층 및 고내열성 피복층을 가열 소각하는 공정; 및 상기 접속단자편과 상기 인출선 사이에 개재되며, 전도성 및 접착력을 갖는 용가제를 용융 및 고형화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소각 공정시 소각된 자기 융착층 및 고내열성 피복층은 외부로 배출되고, 용융된 용가제는 상기 전도성 코어와 상기 접속단자편 사이의 공간을 채우면서 상기 접속 단자편과 상기 전도성 코어를 접합시키는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가제의 녹는점이 상기 자기융착층 및 고내열성 절연피복층의 각 용융점보다 더 높은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융착층 및 고내열성 절연피복층의 각 용융점은 약350∼400℃이고, 상기 용가제의 녹는점은 약600∼650℃인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 자기융착층 및 고내열성 피복절연층이 제거된 전도성 코어를 포함하고 그 저도성 코어 단부가 정렬된 상태를 갖는 복수의 인출선; 인출선 단부 부근에 접속되는 접속단자편; 및 전도성과접합력을 갖는 용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용가제는 용융되어 상기 전도성 코어와 상기 접속단자편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상기 용융된 용가제가 고형화되면서 상기 전도성 코어와 상기 접속단자편을 접합시키는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편의 편향요크의 인쇄회로기판에 접속하기위한 접속단자로 사용되는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접속단자핀을 가지며, 상기 접속단자핀은 상기 접속단자핀에 직접 삽입식으로 삽입되는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방식이 스트립핑 방식,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 납땜 방식, 히터 방식 또는 스폿용접 방식 중의 어느 하나인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방식이 스트립핑 방식,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 납땜 방식, 히터 방식 또는 스폿용접 방식 중의 어느 하나인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코어가 구리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코어가 구리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가제가 인, 은 및 구리의 합금인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가제가 인, 은 및 구리의 합금인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가제이 녹는점이 상기 자기융착층 및 고내열성 절연피복층이 각 용융점보다 더 높은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융착층 및 고내열성 절연피복층의 각 용융점은 약 350∼400℃이고, 상기 용가제의 녹는점은 약 600∼650℃인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코어가 구리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가제가 인, 은 및 구리의 합금인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핀은 그 상단부분이 아래 방향으로 3분하여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된 2개의 외곽측 접속단자핀은 상기 접속단자편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나머지 접속단자핀에 대해 꺽여진 형태를 갖는 접지탄편으로 형성된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41251A KR100193953B1 (ko) | 1996-09-20 | 1996-09-20 |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
JP9186673A JPH10188808A (ja) | 1996-09-20 | 1997-07-11 | 偏向コイルの接続端子片の接合方法およびその接続端子片の接合構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41251A KR100193953B1 (ko) | 1996-09-20 | 1996-09-20 |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2166A KR19980022166A (ko) | 1998-07-06 |
KR100193953B1 true KR100193953B1 (ko) | 1999-06-15 |
Family
ID=1947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41251A KR100193953B1 (ko) | 1996-09-20 | 1996-09-20 |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10188808A (ko) |
KR (1) | KR10019395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7261B1 (ko) * | 1998-07-30 | 2005-05-03 |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 코일의인출선에전원공급을위한접속부재의접합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83958B2 (ja) * | 1993-08-23 | 2003-03-10 | 株式会社衣浦電機製作所 | ヒュージング処理の良否判定方法 |
JPH08190874A (ja) * | 1995-01-11 | 1996-07-23 | Totoku Electric Co Ltd | 偏向ヨーク |
JPH0982378A (ja) * | 1995-09-14 | 1997-03-28 | Hitachi Media Electron:Kk | 端子とコイル線材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
-
1996
- 1996-09-20 KR KR1019960041251A patent/KR10019395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
- 1997-07-11 JP JP9186673A patent/JPH10188808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2166A (ko) | 1998-07-06 |
JPH10188808A (ja) | 1998-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28621B2 (en) | Connecting structure and its connecting method, and rotating machinery and alternating current | |
EP1187299B1 (en) | Stator of dynamo-electric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US3781981A (en) | Method for making armature-commutator assembly having armature winding of very small diameter | |
US5245240A (en) | Armature having a flat disk type commutator | |
JP5099430B2 (ja) | コイル部品 | |
JP3908588B2 (ja) | 小型モータの回転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US5191701A (en) | Method for the automated manufacture of wound electrical components by contacting thin insulated wires to terminal elements on the basis of laser welding | |
KR100193953B1 (ko) |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 |
JPH0982378A (ja) | 端子とコイル線材の接続構造および接続方法 | |
JP2011181189A (ja) | 接続端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6011233A (en) | Welding method of a connection terminal piece for a deflection yoke coil and the structure thereof | |
JPH0982447A (ja) | 電線接続方法 | |
JP2006331765A (ja) | 巻線の端末接続方法 | |
JP3309049B2 (ja) | トラン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0190068A (ja) | 電子部品の接合方法 | |
JPS6122429B2 (ko) | ||
JPH0982377A (ja) | 電線接続方法 | |
JPH1050217A (ja) | 偏向ヨーク装置の製造方法及び偏向ヨーク装置 | |
CN213151732U (zh) | 风扇定子结构 | |
JP3494052B2 (ja) | 絶縁被覆線端子 | |
JPH11283683A (ja) | 多芯導体部材と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た各種用途とその製造法 | |
JP2004063204A (ja) | 導線の接合構造 | |
JP2829187B2 (ja) | 電磁コイル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JP2003086260A (ja) | 被覆電線の端子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方法 | |
JPH10172710A (ja) | 電線のスポット溶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113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