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261B1 - 코일의인출선에전원공급을위한접속부재의접합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의인출선에전원공급을위한접속부재의접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261B1
KR100457261B1 KR10-1998-0030838A KR19980030838A KR100457261B1 KR 100457261 B1 KR100457261 B1 KR 100457261B1 KR 19980030838 A KR19980030838 A KR 19980030838A KR 100457261 B1 KR100457261 B1 KR 100457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il
bonding
connecting member
lead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097A (ko
Inventor
송승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Priority to KR10-1998-003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261B1/ko
Publication of KR2000001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0Connecting leads to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편향코일 또는 그 이외 자기발생 및 자계유도코일, 상세히는 자기융착성 접착제가 피복된 고내열성 절연피복동선다발이 권선되어 소정의 권선뭉치 형성화 공정을 이루어 제조되는 모든 코일과, 그 코일의 권선형성화 공정을 위해 코일로부터 인출된 그 인출선 단부에 전원공급단을 제공하는 접속부재를 접합시키는 코일 및 그 코일의 인출선에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부재 접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코일의 인출선 그 일면에서 가능한 적은 길이에서 접속부재를 접합시켜 원자재를 줄이게 하였고, 접합을 위한 제1 및 제2전극을 병렬로 배치하여 접합공정시 자기융착층을 가지는 절연피복동선에서 발생하는 불연소가스등의 이물질로 인해 전극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코일의 인출선에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부재의 접합장치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적용되는 편향코일 또는 그 이외 자기발생 및 자계유도코일, 상세히는 자기융착성 접착제가 피복된 고내열성 절연피복동선다발이 권선되어 소정의 권선뭉치 형성화 공정을 이루어 제조되는 모든 코일과, 그 코일의 권선형성화 공정을 위해 코일로부터 인출된 그 인출선 단부에 전원공급단을 제공하는 접속부재를 접합시키는 코일의 인출선에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부재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발생 및 자계유도코일은 대략 자기융착층과 유도손실을 줄이기 위해 도선의 주위에 절연피복층을 갖는 다수의 절연피복동선을 적당히 꼬아 이루어지는 절연피복동선다발을 소정의 형태를 가지는 금형을 이용하여 권선시키고, 이렇게 권선된 권선뭉치를 전기적인 저항가열에 의한 열융합방식으로 형성화공정(고형화)을 거치어 목적하는 코일을 제조시키게 하고 있다.
이러한 코일에서 코일의 권선뭉치 형성화공정을 위해 코일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에 임시적인 전원공급을 위한 임시접속부재 또는, 코일을 제품에 적용시 코일과 인쇄회로기판 및 그 이외의 전장부품과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코일의 인출선에 접속부재가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 접속부재가 임시접속부재로 사용되는 경우,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코일의 제조공정 마지막단계에서 절연피복동선다발로 권선되어 구성되는 코일의 각 절연피복동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적인 저항열에 의해 절연피복동선의 자기융착층이 용융되며 인접한 절연피복동선과 융합되어서 권선뭉치의 형성화공정을 이루게 하고 있다.
이렇게 코일의 인출선에 임시접속부재 또는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접속부재로 설치되는 접속부재는 주로 소폭의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프재(HOOP IRON)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한 후프재를 이용한 접속부재는 통상 코일의 인출선을 중앙에 두고 그 인출선의 주위를 1회 감아 설치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접속부재의 설치는 전기적인 접속상태는 양호하였으나, 접합을 위한 접속부재의 소요길이가 길어 다량의 코일 제조시에서는 원자재 손실이 크게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또 이렇게 인출선의 좌,우,상,하측 전면으로 접속부재를 감아 접합시, 더 상세히는 1차 전기적인 저항열에 의해 그 인출선의 자기융착층과 절연피복층을 소각제거시키고, 2차 저항열에 의해 인출선과 접속부재가 접합되게 하고 있다. 이렇게 각 절연피복동선 전면적으로 피복된 자기융착층과 절연피복층을 제거시키기 위해서는 가열시간이 길어지고, 이러한 가열시간 지연은 그 열에 의해 접합부의 인접부분이 전기적 또는 물리적 특성변화가 일어나 취약해지고 단선의 요인등 치명적인 고장을 일으키어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코일의 인출선에 접속부재를 접합시키기 위한 접합장치가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일례로 편향코일 권선기에 적용된 것을 보면, 절연피복동선다발을 적당한 형태로 권선시키는 금형의 일측 적당한 위치에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권선공정 완료후 그 권선뭉치로부터 인출된 인출선을 별도의 반송수단에 의해 상하측으로 배치되는 제1 및 제2전극체로 구성된 접합장치의 사이로 공급시키고, 이렇게 공급된 인출선과 별도 공급되는 접속부재를 제1 및 제2전극체의 전기적인 저항열에 의해 접합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접합장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접합장치의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공급된 인출선을 중앙에 두고 별도 공급되는 접속부재를 그 인출선의 주위로 1회 감아주는 밴딩공정을 이루어야 하는데, 그 밴딩공정을 위한 기술적 해결이 용이하지 않고 장치가 복잡해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 와서는 소폭의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프재의 접속부재를 선가공, 즉 별도의 프레스공정을 통해 후프재를 부분적으로 따내어 그 접속부재의 본판재와 일부 따내져 세워진 조각사이에서 인출선을 간단히 감싸을수 있게 하였느나, 이는 별도의 프레스공정이 추가되어 공정수 추가는 물론, 부가적인 장비의 증설로 시설투자비가 커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접합장치는 전기적인 저항접합을 위한 제1 및 제2전극이 대체적으로 상하측에 배치되어 있어, 자기융착층을 갖는 절연피복동선의 접합시 그 인출선에 피복된 자기융착층과 절연피복층의 소각시 발생하여 자연상승하는 끄름등의 이물질에 의해 상측의 전극이 오염되고, 이러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할 때에는 전극이 이물질로 도포되어 전도성이 극히 저하되어 접합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물을 제거시키는 청소작업등 정기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접속부재가 코일의 인출선 그 일면으로 접합되게 하여서 원자재를 절감시키고, 접합열에 의한 물리적인 특성변화를 최소화하고 코일의 취성 및 단선문제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도록한 코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및 제2전극을 병렬로 배치하여 접합공정시 인출선에서 발생하는 피복층의 불연소물등의 이물질로 인한 전극의 오염을 방지케하므로써, 관리성이 양호한 코일의 인출선에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부재의 접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편향코일 또는 그 이외 자기발생 및 자계유도코일, 상세히는 자기융착성 접착제가 피복된 고내열성 절연피복동선다발이 권선되어 소정의 권선뭉치 형성화 공정을 이루어 제조되는 모든 코일과, 그 코일의 권선형성화 공정을 위해 코일로부터 인출된 그 인출선 단부에 전원공급단을 제공하는 접속부재를 접합시키는 코일 및 그 코일의 인출선에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부재 접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코일의 인출선 그 일면에서 가능한 적은 길이에서 접속부재를 접합시켜 원자재를 줄이게 하였고, 접합을 위한 제1 및 제2전극을 병렬로 배치하여 접합공정시 자기융착층을 가지는 절연피복동선에서 발생하는 불연소가스등의 이물질로 인해 전극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하게 하였다.
다음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적용되는 편향코일 또는 그 이외 자기발생 및 자계유도코일, 더 상세히는 자기융착성 접착제가 피복된 고내열성 절연피복동선다발이 권선되어 소정의 권선뭉치 형성화 공정을 이루어 제조되는 모든 코일과, 그 코일의 권선형성화 공정을 위해 코일로부터 인출된 그 인출선 단부에 전원공급단을 제공하는 접속부재를 접합시키는 코일의 인출선에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부재 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로서 편향코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편향코일은 권선기에 의해 적당한 형태로 권선된 권선뭉치(10)로부터 인출된 인출선(12)의 단부 적당한 위치에 그 인출선(12)의 어느 일측면을 이용해 접속부재(14)를 접합시키고 있다. 다시설명하면 본 발명의 코일은 종래 인출선 전체적으로 접속부재가 휘감아 접합되던 것에 비하여 그 접속부재의 사용길이를 가능한 짧게 가지어서 원자재의 절감효과를 얻게 하였다.
도 3a 및 도 3b는 인출선(12)에 접합되는 접속부재(14)의 소재 사용예를 보이고 있는데, 도 3a는 상기 접속부재가 일반 선재(14a)로 사용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일반 동선과 같은 봉형상 또는 각봉형상의 선재(14a)를 이용할 수 있으며,도 3b는 상기 접속부재가 소폭의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후프재(14b)로 사용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c에는 인출선(12)의 저면에 접속부재(14)가 접합되어 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즉 인출선(12)은 중심부에 심선(12a)을 가지고 있고, 그 심선(12a) 외주면으로 절연피복층(12b)과 자기융착층(12c)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어 피복시키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인출선(12)의 저면으로 접속부재(14)를 1차 전기적인 저항열에 의해 자기융착층(12c)과 절연피복층(12b)을 소각제거시킨후 2차 저항열로 상기 심선(12a)과 접속부재(14)가 접합되어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 접합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5는 접합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6은 접합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측면도로서, 본 발명 접합장치는 대략 베이스(20)상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압유닛(30)과 그 가압유닛(30)의 직하부에 접합유닛(40)를, 그리고 반송유닛(50)과 접속부재(14)를 정선하는 정선유닛(60)을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있고, 또 상기 접합유닛(40)의 후방 인접한 위치에는 별도 공급되는 권선뭉치(10)의 인출선(12)를 일정길이로 절단하는 절단유닛(70)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가압유닛(30)은 상기 베이스(20) 일측에 적당한 높이로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31)상에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해 수직방향에서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가압에어실린더(32)를 설치하고, 그 가압에어실린더(32)의 램(33) 끝단부에는 상기 접합유닛(40)상에 공급된 권선뭉치(10)의 인출선을 상부에서 하향으로 내려누르는 가압력을 가하는 가압부(34)를 갖으며, 이러한 가압부(34)는 대략 장방형상으로 구성되어 별도 공급되는 인출선(10)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인출선(절연피복동선다발)을 전면적으로 가압력을 가하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램(33)에 인접하여 그 램(33)과 병렬로 가이드바(35)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램(33)에 상기 가이드바(35)에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36)를 고정 설치하여서, 상기 램(33)의 승강구동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케하고 있다. 이러한 램(33)의 회전방지구조는 램(33)의 승강구동시 가압부(34)가 공급되는 인출선(10)의 교차방향에서 가압력을 정확히 가하기 위한 제어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가압유닛(30)을 상기 접합유닛(40)의 상부에 배치한 것은 본 발명 핵심적인 기술중 하나로서, 종래 접합유닛의 제1 및 제2전극이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전극중 상측에 위치한 전극이 접합공정시 필연적으로 절연피복층 및 자기융착층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케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가압에어실린더(32)의 램(33)에는 접합유닛(40)상으로 공급되는 접합부재(T)를 접합공정 완료후 일정길이 절단해내는 V자 모양의 절단날(37)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절단날(37)은 상기 램(32)의 승강구동과 함께 구동하면서 상기 접합유닛(40)과 프레임(31) 사이에 설치되는 덧날(38)과 합치되는 것으로 접합부재의 절단을 이루게 하였다.
또한 상기 접합유닛(40)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31)에 별도로 결합되어 일정길이 연장설치되고 그 프레임(31)에 교차하는 수평방향에서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병설되는 한쌍의 가이드플레이트(41)를 갖추고 있고, 이렇게 설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41)는 별도 공급되는 인출선(12)을 접합유닛(40)상으로 유도 안내하는 유입경로를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는 그 선단부가 스므스한 만곡면으로 이루어져 적당히 꼬아 이루어지는 인출선의 각 절연피복동선(12a)을 가능한 동일수평선상으로 펼쳐놓는 나열작용도 겸하게 된다. 이러한 인출선의 펼침작용은 접합공정시 접합성능에 큰 영향을 주게될 것이다.
또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의 사이에는 저항접합공정을 직접적으로 수행할 제1전극체(42)와 제2전극체(43)가 병렬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전극체(42)(43)가 종래와 같이 직렬, 즉 동일수직선상에 배치하지 않고 동일수평선상에서 병렬로 배치되게한 것이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이다. 제1 및 제2전극체(42)(43)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 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 놓여진다. 이러한 높이차는 별도의 공급수단을 이용해 공급되는 접속부재(14)가 가이드플레이트(41)상에 올려놓아진 인출선(12) 하부에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두께를 감안한 것이다.
상기 제1전극체(42)는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고, 상단면에는 이후 설명할 접속부재(14)의 공급이 상기 가압부(34)와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게 안치시키는 요홈(42a)이 구비되어 있으며, 주벽면 적당한 위치를 선택하여 저항접합을 위한 전원공급단자(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1전극체(42)는 대략 중공의 관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 하부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여 프레임(31)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 설치되는 브래킷(44)상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제1전극체(42)는 브래킷(44)상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적당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탄성부재(45)로 떠받쳐서 상기 가압유닛(30)의 가압부(34)가 하강시 그 가압부의 가압력에 의해 제1전극체(42)가 하강작용을 이루게 하며 충격을 흡수케함과 동시에, 이후 설명할 접속부재(14)의 절단공정을 위한 하강구동을 이루게 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전극체(42)는 브래킷(41)상에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승강대(49)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이 승강대(49) 일측에는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브래킷(44)을 통과해 자유로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승강대의 승강구동을 안내하고 제1전극체의 회전을 방지케하는 가이드봉(49a)을 구비하며, 이 가이드봉(49a) 하단부, 즉 브래킷(44)의 저면을 벗어난 위치에는 가이드봉(49a)의 승강행정길이를 제한하여 상기 탄성부재(45)의 신장길이를 제한케하는 고정링(49b)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5)는 탄성조절유닛(46)에 의해 그 탄성강도가 조절되게 하였다. 이러한 탄성조절유닛(46)은 통상의 숫볼트(46a)와 암너트(46b)를 이용해 좌우회전이 가해지는 것으로 그 높낮이가 변화되며 탄성부재(45)의 탄성력이 조절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암너트(46b)는 상기 브래킷(41)상에 자유로이 좌우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숫볼트(46a)는 브래킷(41)에 일정길이 연장되어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회전방지핀(47)에 자유로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암너트(46a)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숫볼트(46a)가 암너트(46a)의 나선을 타고 오르고 내리며 탄성부재의 탄성강도를 조절케 구성하였다.
상기 제1전극체(42)내에는 그 제1전극체(42)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서 적당한 유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봉형상의 제2전극체(43)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전극체(43)는 제1전극체와 같이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고, 하단의 주벽면 적당한 위치를 선택하여 저항접합을 위한 전원공급단자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전극체(43)와 상기 제1전극체(42)의 사이에는 양 전극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48)을 개재하고 있으며, 상기 제2전극체(43)는 상기 절연층(48)과 함께 브래킷(44)에 일체로 고정설치된다.
또 상기 제2전극체(43)는 도 7a에서와 같이 그 상단부분이 그 일방에서 상향으로 올라가며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구성하여 평면에서 보아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제2전극체(43)에서 장방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부의 설치방향은 상기 가압부(34)와 동일한 방향, 이후 설명할 접속부재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반송유닛(50)은 상기 가압유닛(30)과 접합유닛(40)을 이용해 접합할 모재중의 그 하나인 접속부재(14)를 상기 접합유닛(40)상에 공급시키는 선재공급장치로서, 이러한 반송유닛(50)은 본 발명 접합장치에서 접속부재(14)가 독립적인 비연속선재의 경우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며, 접속부재가 연속선재의 경우에서 상기 접합유닛(40)과 정선유닛(60) 사이의 베이스(20)상면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반송유닛(50)은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반송에어실린더(51)와, 이 반송에어실린더(51)의 작동로드(52)에 일체로 결합되어 선재의 공급방향으로 왕복하는 반송테이블(53)를 갖추어 접속부재(14)의 공급을 이루게 하였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반송테이블(53)의 상면 양측에 설치되는 각 축핀(54)을 중심으로하여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양 축핀(54)의 핀거리 절반길이보다 다소 긴 길이를 가지는 한쌍의 발톱(55)을 상기 작동로드(52)의 신장동작의 밀음력으로 밀려나가는 슬라이더(56)에 의해서 가위식으로 오므라지게 하여서, 상기 한쌍의 발톱(55) 사이로 통과되는 접속부재(14)에 물음력을 가하는 클램프(57)를 설치하고, 이 클램프(57)를 이용해 상기 반송테이블(53)의 1회 행정중 1/2행정, 즉 반송에어실린더의 전진구동에서 접속부재(14)가 공급되게 구성하고 있다. 이때 반송테이블(53)의 복귀동작에서는 상기 클램프(57)의 발톱(55)은 통상의 복원구조, 일례로 복원스프링등을 이용해 원위치로 복귀되게하여서, 상기 발톱의 물음력을 해제하고 접속부재는 그대로 두고 반송테이블만 후진되어 다음 공급동작을 대기할 것이다. 여기서 반송테이블(53)은 접속부재(14)에 직접적인 운반력을 주는 주체가 아니고 상기 클램프(57)의 발톱(55) 및 슬라이더(56) 설치를 위한 베이스이다.
또 상기 반송테이블(53) 상면 적당한 위치에는 상기 발톱(55)의 오므림 동작을 제한하기 위해 발톱의 내향 회전을 적당한 위치에서 정지시키게하는 스톱퍼(57)를 발톱(55)의 회전반경내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반송유닛(50)은 본 발명 접합장치 그 하나의 예로서, 별도방식, 즉 스탭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한쌍의 롤 또는, 래치트기어를 이용한 공급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정선유닛(60)은 상기 가압유닛(30)과 접합유닛(40)을 이용해 접합할 모재중의 그 하나인 접속부재(14)를 상기 접합유닛(40)상에 공급시키는 선재공급장치에서 그 공급되는 접속부재를 정선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정선유닛(60)은 본 발명 접합장치에서 접속부재(14)가 독립적인 비연속선재의 경우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며, 접속부재가 연속선재의 경우에서 상기 반송유닛(50)에 연이어서 베이스(20)상면 타측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정선유닛(60)은 통상의 3롤방식을 이용한 수평정선수단(62)과 수직정선수단(64)으로 구성된다. 더 상하게는 3조의 롤를 가지고 이들 롤사이로 통과되는 선재를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정선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접합유닛(40)의 후방 적당한 위치 즉, 프레임(31)의 후벽면에 별도 공급 또는 권선기로부터 공급되는 절연피복동선다발의 인출선(12)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시키는 절단유닛(70)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절단유닛(70)은 별도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에어실린더 또는 전자석등의 구동에 의해서 가위식으로 구동하며 인출선의 접합부 이외의 끝단을 절단시키게 구성하였다.
또 상기 반송유닛(50)과 접합유닛(40) 사이의 접속부재(14) 공급경로상에는 그 공급되는 접속부재를 접합유닛(40)의 제1전극체(42) 상면으로 정확히 공급안내하기 위한 노즐형상의 유도관(80)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면 도 8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 작동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8를 보면 접속부재(14)를 접합장치상의 정선유닛(60)과 반송유닛(50), 그리고 유도관(80)을 통해 접합유닛(40)상에 수공적으로 공급시킨다.
이렇게 접속부재가 공급된 상태에서 접합장치를 구동시키면 접속부재(14)는 정선유닛(60)을 통해 정선되고, 이렇게 정선된 접속부재(14)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는 반송유닛(50)에 의해 일정길이 운반되어 접합유닛(30)상으로 공급된 모습을 보이고 있고.
도 9는 접속부재(14)를 접합유닛(30)상에 공급시킴과 동시에 그 공급완료신호에 의해 반송유닛(50)이 최기 위치로 복원되어 다음 공급을 대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도 10은 인출선(12)이 상기 접합유닛(30)상에 공급된 접속부재(14)상에 그 접속부재(14)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상기 도 8에서 도 10은 접합을 위한 모재 공급, 즉 접합부재(14)와 인출선(12)을 접합유닛(30)으로 공급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재 공급완료신호가 주어지면 도 11에서와 같이 가압유닛(30)이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가압에어실린더(32)의 램(33)을 하강시키고, 이렇게 램(33)이 하강하여 그 램(33)의 하단에 설치되는 가압부(34)는 모재상부에 1차적으로 적당한 가압력으로 내려누르며 인출선(12)과 접속부재(14)를 압착 고정시킨다.
또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가압부(34)는 계속적으로 하강하여 램(33) 주벽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34)와 함께 하강하는 절단날(37)을 이용해 접합부재(14)를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절단날(37)과 덧날(38)이 합치되는 것으로 절단시킨다. 이때 탄성부재(45)로 떠받쳐있던 접합유닛(40)의 제1전극체(42)는 상기 가압부(34)의 내려누름력에 의해 하강함과 동시에, 제1전극체(42)상에 공급되어 있는 모재에 다소의 가압력을 가하여 그 모재(접속부재)의 양단이 제1전극체(42)에 완전히 접촉된다.
또한 도 13은 상기 가압부(34)가 완전히 하강하여 접합유닛(40)상에 공급된 모재(인출선과 접속부재)를 2차적으로 압착시키며, 상기 탄성부재(45)에 의해 떠받쳐 있던 제1전극체(42)를 완전히 하강시키어 상기 모재(접속부재)의 중앙부분이 제2전극체(43)와 완전히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제2전극체(43)는 상기 제1전극체(42)의 압착력에 대응하여 버팀력을 제공하여 모재와 전극체사이를 견고히 압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압부(34)가 2차적인 가압동작완료신호가 주어지면 제어신호에 의해 제1 및 제2전극체에 전압이 인가되면서 제1차 저항열에 의해 인출선(12)의 자기융착층(12c)과 절연피복층(12b)을 소각제거시키고, 제2차 저항열에 의해 모재인 인출선(12)의 심선(12a)과 접속부재(14)를 접합시킨다.
또 상기와 같은 접합공정 진행중 제어신호에 의해 절단유닛(70)이 작동하여 모재의 인출선(12)을 일정길이 절단시킨다.
도 14는 접합공정과 인출선의 절단공정을 끝내고 접합장치의 접합공정을 완료한후 다음 접합공정을 위해 초기상태로 복원되기전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같이 상기 과정들을 순차적이고 연속적이며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목적하는 접합공정을 수행하게될 것이다.
도 15에는 본 발명 접합장치를 편향코일 권선기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편향코일 권선기(90)의 금형부(91) 인접부분에 본 발명 접합장치를 설치하고, 권선기(90)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한 공급릴(92)으로부터 연속선재식으로 공급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금형부(91)에 적당한 형태로 권선된 권선뭉치로 인출되는 인출선을 상기와 같은 접합공정에 의해 접합을 이루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써 본 발명은 코일의 제조, 즉 권선뭉치의 형성화공정을 위한 전원공급을 위해 인출선에 필수적으로 부착되는 접속부재를, 인출선의 그 일면만을 이용해 접속시키어서, 인출선의 사용길이를 최대한 줄이고, 따라서 원자재 절감효과를 얻어 제조단가를 낮추고 경제적이고 산업적인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인출선의 그 일면을 이용해 접속부재가 인출선에 부분접합을 이루게하여서, 종래 인출선 주위를 돌아가며 접속부재가 전면적으로 접합됨에 따라, 그 접합부분이 저항열에 의해 특성변화와 취성문제점을 본 발명에서는 부분접합으로 완전히 해결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 접합장치는 모재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1 및 제2전극체를 병렬로 배치하고, 이들의 제1 및 제2전극체상에 모재의 접합공정을 위한 별도의 가압부를 갖추어 접합공정시 모재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로 인해 전극체가 오염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므로서, 접합성능이 우수하고 따라서 접합불량을 줄이며, 장치의 관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보인 편향코일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로서 편향코일의 인출선에 접속부재가 접합된 모습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3a,3b는 본 발명 코일의 인출선에 접합되는 접속부재의 예로서,
(3a)는 선재를 사용한 예를 보인 사시도,
(3b)는 띠형상의 판재를 사용한 예를 보인 사시도,
(3c)는 코일의 인출선과 접합부재의 접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코일의 인출선에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부재의 접합장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접합장치의 요부를 부분 절결하여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8a,8b는 본 발명 접합장치의 반송유닛에 의해 접속부재가 가공부측으로 반송되는 모습을 보인 설명도로서,
8a는 접합장치의 평면도,
8b는 접합장치의 정면도,
도 9a,9b는 본 발명 접합장치의 반송유닛이 최초 대기위치로 복원된 모습을 보인 설명도,
9a는 접합장치의 평면도,
9b는 접합장치의 정면도,
도 10a,10b는 본 발명 접합장치의 접합유닛상에 접합할 모재인 인출선이 공급되는 모습을 보인 설명도,
10a는 접합장치의 평면도,
10b는 접합장치의 정면도,
도 10c은 본 발명 접합장치의 접합유닛상에 접합할 모재인 인출선이 공급된 모습을 보인 요부 확대도,
도 11a,11b는 본 발명 접합유닛상으로 공급된 모재를 가압유닛이 1차 하강하여 압착고정하는 모습을 보인 설명도로서,
11a는 접합장치의 평면도,
11b는 접합장치의 정면도,
도 11c는 모재상에 가압유닛이 가압되어 접속부재와 인출선을 압착고정하는 모습을 보인 확대도,
도 12a,12b는 본 발명 가압유닛이 2차 하강하여 접합공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인 설명도로서,
12a는 접합장치의 평면도,
12b는 접합장치의 정면도,
도 12c 가압유닛이 2차 하강 되어 모재를 압착고정시키고 절단날을 이용해 모재중의 접속부재를 절단시킨후 접합유닛의 제1 및 제2전극체에 전원을 인가하여 접합하는 공정모습을 보인 확대도,
도 13a,13b 는 본 발명 절단유닛이 접합공정을 완료한 모재중 인출선을 절단시키는 모습을 보인 설명도로서,
13a는 접합장치의 평면도,
13b는 접합장치의 정면도,
도 13c는 절단유닛이 모재중의 인출선을 절단하는 모습을 보인 확대도,
도 14a,14b는 본 발명 접합장치의 절단유닛이 절단공정을 완료후 대기상태로 복귀되기전의 모습을 보인 설명도로서,
14a는 접합장치의 평면도,
14b는 접합장치의 측면도로서 인출선이 절단해내진 모습보인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 접합장치가 편향코일에 적용된 예를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코일 12 :인출선
14 :접속부재 20 :베이스
30 :가압유닛 31 :프레임
34 :가압부 37 :절단날
40 :접합유닛 42 :제1전극체
43 :제2전극체 45 :탄성부재
46 :탄성조절유닛 48 :절연층
50 :반송유닛 51 :반송에어실린더
53 :반송테이블 55 :발톱
56 :슬라이더 57 :클램프
60 :정선유닛 70 :절단유닛
80 :유도관

Claims (4)

  1. 베이스의 일측에 서로 교차방향으로 설치되어 별도 공급되는 접속부재를 적어도 2개이상의 성형롤를 이용해 그 접속부재를 중앙에 두고 상하 또는 좌우방향에서 정선하도록 설치한 수평 및 수직정선롤러를 갖추어 이루어지는 정선유닛;
    상기 베이스의 타측으로는 그 베이스상에 입설된 프레임상에 탑재되는 가압에어실린더의 램 선단에 일체로 설치되어 별도 공급되는 절연피복동선다발에 가압력을 가하는 압착부를 갖는 가압유닛;
    상기 가압수단의 하부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압유닛의 압착부 내려누름력에 의해 하강하며 완충작용과, 상기 공급되는 접속부재의 접합공정을 위한 1차 받침력을 제공하는 중공의 관형상으로 구성되는 제1전극체와, 이 제1전극체내에 그 제1전극체상에 떠받쳐 하강하는 접속부재에 2차받침력을 제공하여 상기 가압유닛의 누름력과 함께 상기 절연피복동선다발과 접속부재를 접합시키게하는 저항접합을 위한 봉형상으로 구성되는 제2전극체를 갖는 접합유닛;
    상기 접합유닛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절연피복동선다발의 공급경로 적당한 위치에 상기 접합공정을 완료후 상기 절연피복동선다발을 적당한 길이에서 절단해내는 절단유닛; 및
    상기 정선유닛과 가압유닛 사이의 베이스상에 별도의 반송에어실린더에 의해 행정거리이내에서 왕복동하는 반송테이블을 설치하고, 이 반송테이블상 양측에 접속부재를 중앙에 두고 자유로이 회전가능할게 설치되어 상기 반송에어실린더 의해 작동되는 슬라이더의 왕복구동에 의해 가위식으로 구동하며 상기 접속부재를 물었다 놓았다하는 한쌍의 발톱으로 구성되는 클램프를 설치하여 상기 접속부재를 상기 접합유닛에 간헐적으로 공급시키게 하는 반송유닛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정선유닛을 통해 정선된 접속부재를 반송유닛에 의해 간헐적으로 상기 접합유닛상에 공급시키고, 이렇게 접합유닛상에 선공급된 접속부재상에는그 접속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절연피복동선다발을 공급시키어, 이들 접속부재와 절연피복동선다발의 공급완료신호가 주어지면 상기 가압유닛과 접합유닛에 의해 가열,가압식으로 접합공정을이루도록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코일의 인출선에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부재의 접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체인 관형상의 받침부와, 제2전극체인 접속봉이 병렬로 배치되어 구성된 상기 용접유닛의 상부에 가압유닛을 배치한 것을 더 포함하는 코일의코일의 인출선에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부재의 접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가 연속선재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코일의 인출선에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부재의 접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가 독립한 비연속선재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코일의 인출선에 전원공급을 위한 접속부재의 접합장치.
KR10-1998-0030838A 1998-07-30 1998-07-30 코일의인출선에전원공급을위한접속부재의접합장치 KR100457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838A KR100457261B1 (ko) 1998-07-30 1998-07-30 코일의인출선에전원공급을위한접속부재의접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0838A KR100457261B1 (ko) 1998-07-30 1998-07-30 코일의인출선에전원공급을위한접속부재의접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097A KR20000010097A (ko) 2000-02-15
KR100457261B1 true KR100457261B1 (ko) 2005-05-03

Family

ID=1954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838A KR100457261B1 (ko) 1998-07-30 1998-07-30 코일의인출선에전원공급을위한접속부재의접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810A (ko) * 2000-06-02 2001-12-12 김찬용 터미널 퓨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1070A (ja) * 1992-04-14 1993-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線材の巻付け接続装置
JPH06310359A (ja) * 1993-04-26 1994-11-04 Techno Excel Kk 導線と端子の接続方法
KR19980022166A (ko) * 1996-09-20 1998-07-06 김민호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JPH11283683A (ja) * 1998-03-27 1999-10-15 Hitachi Ltd 多芯導体部材と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た各種用途とそ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1070A (ja) * 1992-04-14 1993-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線材の巻付け接続装置
JPH06310359A (ja) * 1993-04-26 1994-11-04 Techno Excel Kk 導線と端子の接続方法
KR19980022166A (ko) * 1996-09-20 1998-07-06 김민호 편향코일의 접속단자편 접합방법 및 그 접속단자편의 접합구조
JPH11283683A (ja) * 1998-03-27 1999-10-15 Hitachi Ltd 多芯導体部材と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た各種用途とそ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097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5991B2 (ja) チップコイル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20090315419A1 (en) Conductor Wire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ing Terminal, Stator, and Rotary Electric Machine
JP4919301B2 (ja) 端子圧着装置
KR100457261B1 (ko) 코일의인출선에전원공급을위한접속부재의접합장치
JPH04306817A (ja) コイル形電気部品の自動化製造方法
US20060231587A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a plurality of magnetic pulse forming or welding operations
KR100750664B1 (ko) 압축응력 인가형 초전도 선재 연속 라미네이션 장치
KR101491773B1 (ko) 단자 휴징장치
JP2010282914A (ja) ヒュージング方法、圧着接続端子及びそれを用いた回転電機
KR200402665Y1 (ko) 전선 처리기기의 터미널 결합장치
JP2000150287A (ja) コイル製造装置およびコイル端子用部材
KR102063996B1 (ko) 연결상태가 우수한 보빈 및 이의 연결방법과 이를 위한 연결장치.
KR940006383A (ko) 플라이 백 트랜스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319967B1 (ko) 스폿용접에 의한 박판부저의 코일 접속방법
KR102086394B1 (ko) 변류기 환형코아 권취 자동제작 시스템 및 그 변류기 권취 환형코아 자동 제작 시스템 운용방법
KR20030086626A (ko) 산소 측정용 프로브의 용강극으로 사용되는 몰리브덴단자와 구리 와이어를 자동으로 용접하는 장치
JP2018149557A (ja) 導電部材の製造装置
CN109952685B (zh) 具有电压接固结电路的端子压接机
JP2018149555A (ja) 導電部材の製造装置及び導電部材の製造方法
JP2009259713A (ja) ヒュージング装置及びヒュージング方法
KR20100109137A (ko) 레이저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용접방법
JP4724006B2 (ja) 溶接方法における電極の清掃方法とその装置
JP2005135803A (ja) 超音波溶着装置及び超音波溶着方法
JP2000117450A (ja) 突き合せ溶接方法および同装置
WO2017051603A1 (ja) 金属接合線、その製造方法、それを有する変圧器及び回転機、並びにダ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