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803B1 - 에어 셔터 및 그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 셔터 및 그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803B1
KR100583803B1 KR1020030089659A KR20030089659A KR100583803B1 KR 100583803 B1 KR100583803 B1 KR 100583803B1 KR 1020030089659 A KR1020030089659 A KR 1020030089659A KR 20030089659 A KR20030089659 A KR 20030089659A KR 100583803 B1 KR100583803 B1 KR 100583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cking
door
airflow
doo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316A (ko
Inventor
오오와다사치오
츠바타코우이치
사쿠마세이이치
아카보시신지로
야스토메아키라
Original Assignee
마에카와 매뉴팩쳐링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49544A external-priority patent/JP3897732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에카와 매뉴팩쳐링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에카와 매뉴팩쳐링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40102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7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using more than one jet or band in the air curt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냉장고의 출입구의 개방 영역을 가로지르는 공기 유동의 실험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는 출입구의 개방 영역을 가로지르는 기류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저비용과 고효율로 용이하게 유지되는 에어 셔터가 개시된다. 상기 에어 셔터는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양쪽 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문기둥(12, 13)을 구비한다. 문기둥(12)은 하부 슬릿 노즐(12a), 흡입구(12b), 복수의 하부 팬(12c) 및 흡입 덕트(12d)가 내부에 마련되며, 문기둥(13)은 상부 슬릿 노즐(13a), 흡입구(13b), 복수의 하부 팬(13c) 및 흡입 덕트(13d)가 내부에 마련된다.
냉장, 기류, 도어, 문기둥, 대들보, 흡입, 덕트, 팬, 흡입구, 배출구

Description

에어 셔터 및 그 설치 방법{AIR SHUTT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셔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보관실의 도어가 수직 활주 도어인 경우 물품을 저장실로부터 트럭에 운반하는 또는 그 반대 상황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셔터의 설치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C-C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에어 커튼의 형성 유무에 따른 시간에 따른 저장 온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출입구를 통과하는 수직 중심선을 따른 공기 속도 분포를 설명하며, 도 4b는 속도 벡터에 따른 속도 분포를 설명한다.
도 5a는 팬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 셔터의 정면도이며, 도 5b는 팬 구성을 보여주는 비교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짧은 커튼 구성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 셔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에어 셔터의 사시도로, 이중 문짝 도어 와 에어 셔터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부착된 밀봉 부재를 보여준다.
도 8은 도 7을 화살표(Z)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아치 형태의 에어 커튼 발생 장치의 일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 커튼 발생 장치의 다른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VI-V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10c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향류형 에어 커튼 발생 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 커튼 발생 장치의 다른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11b는 도 11a의 VII-V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 커튼 발생 장치의 다른 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로, 이 장치에 의해 수평류의 온기 차단 기류, 수평류의 냉기 차단 기류 및 수직류의 온기 차단 기류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내부와 외부 사이에 온도차가 존재하는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구를 통한 기류 즉 외기의 침입과 내부의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에어 셔터(air shutter)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사용되는 단열 도어의 출입구를 통해 침입하는 외기를 막기 위한 에어 커튼 형성 장치가 일본특허공개공보 제37-1218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공기를 수평 방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출입구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배출시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두 개의 기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기류가 입구 평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기 두 개의 기류 사이에 소용돌이 흐름이 발생하게 하는 에어 커튼 발생 장치를 제안한다.
하지만, 상기 장치는 기류를 형성하는 공기의 양이 출입구의 한쪽 측면에서 배출되는 공기로 에어 커튼을 형성하는 에어 커튼 발생 장치에 비해 더 많다는 문제가 있다.
이후에 개시된 제안들 중에 일본특허공개공보 제51-118149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제안된 에어 커튼 발생 장치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에어 커튼을 형성하기 위해 아치 형태의 덕트(106)의 상부에 제공되는 팬(110)을 통해 전달되는 순환 공기가 가이드(108)에 의해 덕트의 수직부에서 흐르는 방향이 180도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이 공기는 구체적으로는 배출 공기의 속도가 빠른 아치 형태의 덕트의 상부 부근 구역에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입구의 상부 구역에서는 에어 커튼이 형성되기 어려우며 입구의 상부 구역으로 외부의 따뜻한 공기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제안된 장치는 순환 팬(110)이 아치 형태의 덕트(106)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단열 도어의 유지보수가 어렵다.
종래에 제안된 에어 커튼 발생 장치의 다른 예가 도 10a 및 이 도 10a의 VI-V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 10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제안에 따르면, 공기 순환 팬(54)이 위치하는 공기 순환 통로(55)가 형성된 아치 형태의 덕트(53)에 외부 단열 도어(57)들이 제공된다. 이들 단열 도어(57)는 도어의 배면과 건물의 벽(50)의 외면(51) 사이에 제공되는 고무나 비닐로 된 밀봉 부재와 접촉하면서 활주되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덕트(53)의 좌측 수직 덕트부의 표면(53a)에 제공된 슬릿을 통해 공기를 배출하고 덕트(53)의 수직 덕트부의 우측의 표면(53)에 제공된 슬릿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 커튼(56)을 덕트(53)의 양쪽 수직 측면(53a)들 사이에 형성하여 외기가 건물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는다.
덕트(53)의 각각의 수직 덕트부의 배면 표면과 각각의 단열 도어 사이의 각각의 틈새(53b)가 고무나 비닐로 된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된다.
전술한 장치에 따르면, 단열 도어(57)들이 좌우로 활주하여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를 개방하면, 개방될 때 이들 도어(57) 사이에 형성되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공간(65a)의 정면에 에어 커튼(56)이 형성되더라도, 외기가 공간(65a)의 상부 위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따라서, 외기를 충분히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일본실용신안공개공보 제5-73436호에 또 다른 제안이 개시된다. 이 제안에 따르면, 도 11a 및 도 11a의 VII-V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 도어(60, 61)들이 건물의 외벽(50)에 활주하도록 제공되며, 이들 도어(60, 61)는 단열재(52)로 채워져 있고, 밀봉 부재(51)가 벽(50)의 개구 주변에 제공되어 있다. 시로코(Sirocco) 팬(60a, 60b)들이 각각 단열 도어(60a, 60b)의 좌우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팬(61a)에 의해 흡입된 외기는 우측 도어(61) 외측에 형성된 통기 통로를 통과하고 이 통로로부터 좌측 도어(60)외측에 형성된 공기 통로 쪽으로 배출되어 팬(60a)에 의해 그 안으로 흡입됨으로써, 개방된 도어(60, 61)의 양쪽의 출입구 측면 단부 사이의 공간(65b)의 정면에 에어 커튼(62)을 형성한다. 공기는 팬(60a)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 제안에서, 건물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기류를 차단하도록 공간(65b)의 정면에 에어 커튼(62)이 형성되더라도, 공간(65b)의 상부 위의 틈새로 외기가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는 문제가 남아있다.
또한, 이 제안에서, 차단 기류의 온도는 단열 도어(61)의 우측에서 흡입되는 외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부의 냉기와 비교하면 상당히 높으며, 기류가 내부의 냉기와 접촉하거나 혼합됨으로써 기류의 수분이 응결되어 백연(白煙) 또는 결로(結露)가 발생하기 쉽다. 결로가 생기면 외부로부터의 가시도가 나빠진다. 내부의 냉기가 더 높은 온도의 외기로만 이루어진 기류와 혼합되는 도어(60, 61)의 출입구측 단부면과 바닥에 얼음이 형성되는 문제도 역시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측방류형 에어 커튼 발생 장치에는 도어가 개방되면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상부 위에 형성된 틈새로 외기가 침입하는 문제가 있다.
도 10c에는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어 온 하향류형 에어 커튼 발생 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50) 위에 제공되어 도어(64)의 상부 위에 아래로 흐르는 차단 기류(63a)를 형성하는 하향류형 에어 커튼 발생 장치(63)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간단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기류의 흐름이 최저인 바닥 부근에서 차단 효과는 감소되며, 기류가 내부로부터 누설되는 냉기와 혼합되면 그 수분이 응결되어 결로가 발생하여 외부로부터의 가시도를 악화시키며 얼음이 바닥에 형성된다.
하향류형 에어 커튼에서, 기류의 각도가 일정하면, 안정된 커튼 효과를 얻기가 어려우며, 건물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공기 온도에 차이가 있으면, 에어 커튼의 바닥부 부근에서 차단 효과는 감소된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속도가 느린 에어 커튼의 바닥 구역에서, 에어 커튼은 깨지기 쉽다.
하향류형 에어 커튼이 전술한 것과 같은 문제들을 포함하므로, 냉기가 내부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충분히 막기가 어렵다.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0-249382호에서 에어 커튼 발생 장치를 제안하여, 종래기술의 하향류형 에어 커튼에서 목격되는 하향 기류의 끝 부근에서 차단 효과가 감소하는 문제와 측방류형 에어 커튼에서 목격되는 냉기의 누설에 의해 응결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높은 차단 효과를 가지면서 수분의 응결이 일어나지 않는 에어 커튼을 발생시킬 수 있었다.
이 제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a) 이중 문짝 도어의 각각의 단열 문짝(71, 72)은 출입구측에 공기 배출구(76, 73), 공기 흡입구(74) 및 공기 순환 팬(83, 84)이 각각 제공되어 하측의 냉기 차단 기류(78a)와 상측의 온기 차단 기류(78b)를 포함하는 순환형 차단 기류를 발생시킨다.
(b) 즉, 냉기 차단 기류(78a)가 출입구의 하부 구역에 형성되어 냉기가 내부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막고, 온기 차단 기류(78b)가 출입구의 상부 구역에 형성되어 온기(외기)가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으며, 상기 차단 기류의 공기는 하나의 기류로부터 다른 기류로 순환한다.
(c) 또한, 출입구의 상부에서 흐르는 순환 공기의 일부를 이용하여 하향 기류(79)가 형성된다.
(d) 하측 차단 기류인 냉기 차단 기류(78a)의 공기 배출 각도는 안쪽으로 경사지며, 경사 각도는 더 높은 차단 효율을 얻기 위해 여러 조건에 따라 변동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제안에 따르면, 외기가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하향 기류(79)와 측방류 온기 차단 기류(78b)가 형성되고, 내부(80)의 냉기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 측방류 냉기 차단 기류(78a)가 형성되며, 하향 기류의 공기와 온기 차단 기류(78b)가 팬(83)으로 유입되어 냉기의 차단 기류(78a)를 형성한다.
이 제안에 따르면, 온기 차단 기류와 냉기 차단 기류를 포함하는 순환형 차단 기류를 형성하여 종래기술에 장치들에 발생하는 외부 온기의 수분 응결에 의한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지만, 내부와 외부 사이의 효율적인 차단과 관련된 문제는 충분히 해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의 출입구의 개방 영역을 가로지르는 공기 유동의 실험적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는 출입구의 개방 영역을 가로지르는 기류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저비용과 고효율로 용이하게 유지되는 에어 셔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에어 셔터에 있어서, 제1 발명은 내부와 외부 사이에 온도차가 존재하는 출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출입구의 정면에 설치되는 에어 셔터가 제안한다. 상기 에어 셔터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상부와 하부 구역은 중간에 흐름이 없는 즉 기류가 없는 경계가 존재하는 온기 차단 구역과 냉기 차단 구역으로 각기 형성되며, 온기 차단 기류가 상기 온기 차단 구역에 형성되고 냉기 차단 기류가 상기 냉기 차단 구역에 형성되며, 상기 기류들은 공히 하나의 차단 기류로부터 다른 차단 기류로 순환하는 순환 공기에 의해 형성된다.
전술한 제1 발명은 본 발명의 에어 셔터의 기본 구성으로서, 외기(온기)가 개방 영역을 통해 침입하지 않게 방지하고 냉기가 개방 영역의 외부로 유출하지 않게 방지한다.
도 4a와 4b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개방 영역을 가로지르는 기류의 결과를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방 영역을 가로질러 유출하는 공기의 속도는 바닥 부근에서 최대이며,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그 속도는 감소하여 0.8H(H는 개방 영역의 높이)의 지점에서 0이 된다. 상부의 구역에서 그 속도는 역으로 증가한다. 즉 외기(온기)가 개방 영역을 가로질러 내부로 침입한다. 대부분의 개방 영역은 냉기 유출 구역이고 상부의 작은 부분이 온기 침입 구역이며 이들 사이에는 기류가 없는 경계가 존재한다.
상기 실험 결과를 고려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부는 온기 차단 구역으로 하부는 냉기 차단 구역으로 형성되며, 보다 작은 개방 영역의 노즐로부터 공기를 배출시켜 상기 온기 차단 구역에서 보다 빠른 차단 기류를 형성하고 더 큰 개방 영역의 노즐로부터 공기를 배출시켜 냉기 차단 구역에 보다 느린 차단 기류를 형성한다.
기류는 순환할 수 있다. 순환 공기는 개방 영역 내부의 냉기와 접촉하고 혼합되므로 외기보다 온도가 내려가며, 차단 기류와 외기 사이의 온도차가 감소한다. 그 결과, 외기 내의 수분의 응결에 따른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초기 단계에서, 기류의 대부분의 공기는 외기(온기)에 인접한 온도를 갖는 공기로 이루어지며, 온기 내의 응결된 습기는 가열되어 순환 과정 중에 응결되지 않고 방출되는 반면 차단 기류는 온도가 내려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 셔터는 상기 출입구의 각각의 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문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에어 셔터는 상기 출입구의 각각의 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문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냉기 차단 기류는 상기 문기둥 중의 하나의 하부에 마련되어 노즐과 하나 이상의 팬을 갖는 냉기 차단 기류 발생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고온인 차단 기류는 상기 문기둥 중의 다른 것의 상부에 마련되어 노즐과 하나 이상의 팬을 갖는 온기 차단 기류 발생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냉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노즐의 구멍은 상기 온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노즐의 구멍보다 더 크다.
노즐과 하나 이상의 팬을 구비한 상기 냉기 차단 기류 발생부는 상기 문기둥 중의 하나에 일체로 마련되고 노즐과 하나 이상의 팬을 구비한 상기 온기 차단 기류 발생부는 상기 문기둥 중의 다른 것에 일체로 마련되므로, 문기둥 밖의 순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팬을 제공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 에어 셔터는 간단한 구성과 저비용으로 유지가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에어 셔터에 있어서, 상기 온기 차단 기류는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을 덮도록 상기 개방 영역의 상부로부터 0.1H 내지 0.4H(H는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높이)의 높이인 구역에 형성되며, 상기 냉기 차단 기류는 출입구의 개방 영역을 덮도록 바닥으로부터 0.5H 내지 0.9H의 높이인 구역에 형성된다.
이는 도 4a와 4b에 도시되는 실험 데이터를 고려하여 정하였다.
도 4a는 출입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를 수직 중앙선을 따른 속도 분포로 나타내어 설명하며, 도 4b는 속도 벡터로 속도 분포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개방 영역을 가로질러 유출되는 공기의 속도는 바닥 부근에서 최대이고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0.8H(H는 개방 영역의 높이)에서 0이 된다. 상부의 구역에서 그 속도는 역으로 감소한다. 즉 외기(온기)가 개방 영역을 가로질러 내부로 침입한다. 이 영역은 개방 영역의 상부의 작은 부분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온기 차단 구역을 개방 영역의 상부로부터 0.1H 내지 0.4H의 높이의 범위에 형성하고 냉기 차단 구역을 바닥으로부터 0.5H 내지 0.9H의 높이의 범위에 형성하였으며, 이들 온기 차단 구역과 냉기 차단 구역 사이의 경계 구역에는 기류가 없는 경계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발명의 에어 셔터에 있어서, 상기 온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는 0 내지 20도의 각도로 안쪽으로 경사지게 배출되며, 상기 냉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는 0 내지 20도의 각도로 바깥으로 경사지게 배출된다.
상기 제1 발명의 에어 셔터에 있어서, 상기 냉기 차단 기류 발생부와 상기 온기 차단 기류 발생부는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단열 도어에 마련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제1 발명의 에어 셔터에 있어서, 상기 문기둥들은 이들 문기둥을 연결하는 상부 대들보를 구비한 아치 형태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의해, 도어가 개방될 때에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상부 위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기 차단 구역의 상부 위로 외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명의 에어 셔터에 있어서, 상기 개방 영역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 유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상부에 있는 온기 차단 구역에 짧은 커튼 부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에 따르면, 짧은 커튼 부재에 의해 개방 영역의 상부에서 열 흐름을 차단하는 효과를 강화하는 한편 차단 기류의 공기의 순환에 의해 차단 기류와 냉장고 내부의 냉기 사이의 온도차를 감소시킨다.
상기 짧은 커튼은 개방 영역의 상부의 온기 차단 구역에만 제공되고 개방 영역의 중간부와 하부를 감싸지 않으므로, 짧은 커튼은 냉장고의 내부를 보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한편 지게차와 같은 설비 차량의 냉장고 출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에어 셔터에 있어서, 제2 발명은 내부와 외부 사이에 온도차가 존재하고 수직 활주형 도어가 마련된 출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정면에 설치되는 에어 셔터를 제안한다. 상기 에어 셔터의 특징에 따르면, 한 쌍의 문기둥과 이들 문기둥을 연결하는 상부 대들보로 이루어지는 아치 형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상부와 하부 구역은 중간에 기류가 없는 경계가 존재하는 온기 차단 구역과 냉기 차단 구역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온기 차단 기류는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을 덮도록 상기 개방 영역의 상부로부터 0.1H 내지 0.4H(H는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높이)의 높이의 구역에 형성되고, 상기 냉기 차단 기류는 출입구의 개방 영역을 덮도록 바닥으로부터 0.5H 내지 0.9H의 높이의 구역에 형성되며; 상기 냉기 차단 기류는 상기 문기둥 중의 하나의 하부에 마련된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온기 차단 기류는 상기 문기둥 중의 다른 것의 상부에 마련된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냉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노즐의 구멍은 상기 온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노즐의 구멍보다 더 크며; 상기 온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는 0 내지 20도의 각도로 안쪽으로 경사지게 배출되고, 상기 냉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는 0 내지 20도의 각도로 바깥으로 경사지게 배출된다.
상기 제2 발명의 에어 셔터는 외부와 내부 사이에 온도차가 있는 수직 활주형 도어의 출입구를 가로지르는 공기 흐름 즉 기류를 차단하도록 이 출입구의 정면에 설치된 에어 셔터에 관한 것이다. 좌우 문기둥과 이들 문기둥을 연결하는 상부 대들보로 이루어진 아치 형태 구조가 상기 수직 활주 도어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제1 발명에 따른 각각의 온기 차단 기류 발생부 및 냉기 차단 기류 발생부는 각각의 상기 문기둥에 마련되며, 온기 차단 기류와 냉기 차단 기류를 갖는 순환형 차단 기류가 형성된다.
각각의 상기 온기 차단 기류와 상기 냉기 차단 기류의 적용 구역과 공기 배출 방향의 각도는 제1 발명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에어 셔터에 있어서, 제3 발명은 내부와 외부 사이에 온도차가 존재하는 출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출입구의 정면에 설치되는 에어 셔터를 제안한다. 상기 에어 셔터의 특징에 따르면, 한 쌍의 문기둥이 상기 출입구의 각각의 측면에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고, 각각의 문기둥에 공기 통로용 덕트가 형성되고, 복수의 공기 배출구가 상기 문기둥 중의 하나에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고 복수의 공기 흡입구가 상기 문기둥 중의 다른 것에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각각의 공기 배출구가 각각의 공기 흡입구와 서로 대향되고, 복수의 팬이 상기 공기 배출구 뒤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문기둥 중의 하나는 상기 공기 배출구가 마련되고 복수의 팬이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문기둥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공기 배출구가 마련되고 복수의 팬이 높이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구에서 대응하는 맞은편 공기 흡입구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 문기둥의 공기 배출구와 팬들은 이 문기둥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구로부터 타측 문기둥에 마련된 공기 흡입구 쪽으로 배출되며, 타측 문기둥의 공기 배출구와 팬들은 이 문기둥의 높이 방향의 중간에 배치되어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일측의 문기둥에 마련된 상기 공기 흡입구 쪽으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문기둥에 마련된 복수의 팬을 세 개의 흡입 통로로 된 적어도 세 개의 그룹 즉 일측의 문기둥의 상부에 배치된 팬 그룹, 일측 문기둥의 하부에 배치된 팬 그룹 및 타측 문기둥의 중간부에 배치된 팬 그룹으로 분리하면, 팬의 흡입 통로의 길이는 감소되어 팬들 사이의 흡입 흐름의 간섭을 제거하는 완만한 유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각각의 팬의 흡입 저항이 감소되고, 흡입 통로의 작은 폭에 기인한 흡입 압력의 증가가 억제되며, 그 결과, 흡입 압력의 증가에 동반되는 순환 공기의 유량 즉 속도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부에 배치된 팬들이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되고, 각각의 팬 그룹은 타측 문기둥 내부의 덕트를 분리하는 칸막이 부재에 의해 두 개로 분리된 각각의 흡입 통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중간부에 배치된 팬들은 두 개의 통로를 갖는 두 개의 팬 그룹으로 분리될 수 있고, 그 결과, 모든 팬들은 네 개의 흡입 통로를 갖는 네 개의 그룹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흡입 압력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를 추가로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 셔터에 있어서, 제4 발명은 에어 셔터 설치 방법을 제안하며, 상기 방법은 전술한 제1 내지 제3 발명의 출입구과 문기둥을 개폐하도록 도어 사이에 기밀(氣密)용 밀봉 요소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밀봉 요소와 접촉하면서 활주하도록 문기둥에 밀봉 요소를 제공하기만 하면 문기둥과 도어 사이의 기밀을 실제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한다. 하지만, 이들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의 치수, 재료, 상호 위치 등은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셔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보관실의 도어가 수직 활주 도어(overhang door)인 경우 물품을 저장실로부터 트럭에 운반하는 또는 그 반대 상태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 셔터의 설치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C-C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에어 커튼의 형성 유무에 따른 시간에 따른 저장 온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a는 출입구를 통과하는 수직 중심선을 따른 공기 속도 분포를 설명하며, 도 4b는 속도 벡터에 따른 속도 분포를 설명한다. 도 5a는 팬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 셔터의 정면도이며, 도 5b는 팬 구성을 보여주는 비교예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짧은 커튼 구성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에어 셔터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에어 셔터의 사시도로, 이중 문짝 도어와 에어 셔터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부착된 밀봉 부재를 보여준다. 도 8은 도 7을 화살표(Z)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 셔터는 아치 형태의 구조로서, 냉기 차단 기류를 발생시키는 문기둥(12), 온기 차단 기류를 발생시키는 문기둥(13) 및 양쪽 문기둥(12, 13)을 연결하는 상부 대들보(16)를 구비하고 냉장고의 출입구 정면에 설치된다. 하부 슬릿 노즐(12a)이 상기 문기둥(12)의 출입구 측면에 제공되며, 이 하부 슬릿 노즐(12a)의 하단이 바닥(14)에 닿는다. 하부 슬릿 노즐(12a)의 위에는 상부 대들보(16)까지 상향 연장된 흡입구(12b)가 제공되어 있다. 문기둥(12)의 내부에는 복수의 하측 팬(12c)과 흡입구(12b)로 흡입된 순환 공기(11)를 상기 하측 팬(12c)의 흡입측으로 안내하는 흡입 덕트(12d)가 제공되어 있다.
한편, 상기 문기둥(13)의 출입구 측면의 상부에는 상부 슬릿 노즐(13a)이 제공되며, 이 상부 슬릿 노즐(13a)의 상단이 상부 대들보(16)에 닿아 있다. 상부 슬릿 노즐(13a)의 아래에는 바닥(14)까지 하향 연장된 흡입구(13b)가 제공되어 있다. 문기둥(13)의 내부에는 복수의 상부 측면 팬(13c)과 상기 흡기구(13b)로 흡입된 순환 공기(11)를 상기 상부 측면 팬(13c)의 흡입측으로 안내하는 흡입 덕트(13d)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문기둥(12, 13)들을 연결하는 상기 상부 대들보(16)는 아치 형태 구조인 개방 영역(010)의 상단을 형성하므로, 아치 형태 구조인 에어 셔터는 측방류 온기 차단 기류 위에 틈새가 없으며 외기의 침입이 완전하게 방지되도록 출입구의 정면에 설치된다.
하부 슬릿 노즐(12a)의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는 대략 0.5H{H는 개방 영역(010)의 높이}이며, 하부 슬릿 노즐(12a)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냉기 차단 기류(10a)를 형성한다. 상부 슬릿 노즐(13a)의 수직 길이는 상부 대들보로부터 대략 0.1H이며, 상부 슬릿 노즐(13a)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온기 차단 기류(10b)를 형성한다.
하부 슬릿 노즐(12a)의 개방 영역은 상부 슬릿 노즐(13a)의 개방 영역보다 더 크므로, 냉기 차단 기류(10a)의 속도는 온기 차단 기류(10b)보다 더 느리다. 문기둥(13)에 제공된 흡입구(13b)는 대략 0.9H의 높이로 바닥(14)으로부터 연장되므로, 문기둥(12)의 하부 슬릿 노즐(12a)로부터 배출되는 저속 기류(10a)는 문기둥(13)의 흡입구(13b)에 도착할 때 바닥(14)으로부터 대략 0.9H의 높이로 팽창하여 흡입된다. 상부 슬릿 노즐(13a)로부터 배출되는 고속 기류(10b)는 문기둥(12)의 흡입구(12b)에 도착할 때 상부 대들보(16)로부터 대략 0.4H의 수직 길이로 팽창되어 흡입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부 슬릿 노즐(13a)로부터 배출되는 고속 기류는 온기 차단 구역에 온기 차단 기류(10b)를 형성한다.
상기 고속 기류(10b)는 문기둥(12)의 흡입구(12b)로 흡입되고 흡입 덕트(12d)를 통과하여 하부 팬(12c)에 의해 하부 슬릿 노즐(12a)로부터 배출되어 냉기 차단 구역에 저속의 냉기 차단 기류를 형성한다.
상기 저속 기류는 문기둥(13)의 흡입구(13b)로 흡입되고 흡입 덕트(13d)를 통과하여 상부 팬(13c)에 의해 상부 슬릿 노즐(13a)로부터 다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순환 기류 경로가 형성된다.
또 2a와 2b를 참조하면, 냉장실(30a)은 수직 활주 도어 도어(21)에 의해 외부(30b)에 위치한 물품 처리용 공간(31)으로부터 분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에어 셔터를 구성하는 아치 형태 구조는 냉기 차단 기류를 발생시키는 문기둥(12), 온기 차단 기류를 발생시키는 문기둥(13) 및 상부 대들보(16)를 구비하면서 수직 활주 도어(21)의 출입구의 정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면은 트럭(26)이 지붕(32), 커튼(22) 및 차폐체(24)가 마련된 처리실(31) 안으로 들어가는 상태를 보여주며, 트럭(26)의 이중 문짝 힌지 도어(26a)가 열리고 수직 활주 도어(21)가 상향 활주하여 냉장실(30a)과 이 냉장실(30a) 외부에 위치하는 처리실(31) 사이의 출입구가 개방되어 있다.
수직 활주 도어(21)는 트럭이 처리실 안으로 들어오고 에어 셔터가 동작되며 냉기 차단 기류(10a)와 온기 차단 기류(10b)가 형성된 다음 열린다.
이 경우, 문기둥(12, 13)과 상부 대들보(16)는 아치 형태 구조의 외주가 냉장실(30a)에 대해 기밀되도록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패널(23)로 둘러싸여 있다.
본 발명의 에어 셔터에 있어서, 아치 형태 구조는 셔터가 모든 종류의 도어의 틀에 적용될 수 있도록 외주가 냉장실에 대해 기밀되어 냉장실의 출입구의 정면에 설치되며, 저렴하고 유지보수성이 강화된 에어 셔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에어 셔터가 제공되어 에어 커튼이 형성된 경우와 에어 커튼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시간 대비 냉장실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4℃인 실내 온도의 4분 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에어 커튼이 형성된 경우, 대략 2℃의 온도 상승이 있었다.
에어 커튼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대략 22℃의 온도 상승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어 셔터에 있어서, 현저한 차단 효과가 달성되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 셔터의 팬 구성을 보여주는 도 5a를 참조하면, 참조 번호 40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팬(12c, 13c)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 팬이다. 제1 팬 그룹(40a)은 팬(40)들 중에서 공기가 흡입 덕트(13d)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 슬릿 노즐(13a1)을 통해 개방 영역(010) 안으로 배출되도록 문기둥(13) 내부에 형성된 흡입 덕트(13d)의 상부에 서로 평행하게 수직 배치된 세 개의 팬(40)을 포함한다.
제2 팬 그룹(40b)은 팬(40)들 중에서 공기가 흡입 덕트(13d)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 슬릿 노즐(13a2)을 통해 개방 영역(010) 안으로 배출되도록 흡입 덕트(13d)의 하부에 서로 평행하게 수직 배치된 세 개의 팬(40)을 포함한다.
문기둥(12)에는 상부 흡입 덕트(12d1)와 하부 흡입 덕트(12d2)가 형성되며, 이들 덕트는 공히 칸막이 부재(41)로 분리되어 있다.
제3 팬 그룹(40c)은 팬(40)들 중에서 공기가 상부 흡입 덕트(12d1)의 하부에 마련된 중간 슬릿 노즐(12a1)을 통해 개방 영역(010) 안으로 배출되도록 상부 흡입 덕트(12d1)의 하부에 서로 평행하게 수직 배치된 두 개의 팬(40)을 포함한다.
제4 팬 그룹(40d)은 팬(40)들 중에서 공기가 하부 흡입 덕트(12d2)의 상부에 마련된 중간 슬릿 노즐(12a2)을 통해 개방 영역(010) 안으로 배출되도록 하부 흡입 덕트(12d2)의 상부에 서로 평행하게 수직 배치된 두 개의 팬(40)을 포함한다.
문기둥(13)의 흡입 덕트(13d)의 상부에 마련된 제1 팬 그룹(40a)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개방 영역(010)을 통과하고 흡입구(12B1)로부터 문기둥(12)의 상부 흡입 덕트(12d1) 안으로 흐른다. 또한, 공기는 제3 팬 그룹(40c)의 흡입 통로(42c)를 통해 흘러 제3 팬 그룹(40c)의 각각의 팬(40)에 의해 흡입된다.
문기둥(13) 내의 흡입 덕트(13d)의 하부에 마련된 제2 팬 그룹(40b)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개방 영역(010)을 통과하여 흡입구(12b2)로부터 문기둥(12) 내의 하부 흡입 덕트(12d2) 안으로 흐른다. 또한 공기는 제4 팬 그룹(40d)의 흡입 통로(42d)를 통해 흘러 제4 팬 그룹(40d)의 각각의 팬에 의해 흡입된다.
문기둥(12) 내의 상부 흡입 덕트(12d1)의 하부에 마련된 제3 팬 그룹(40c)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개방 영역(010)을 통과하여 흡입구(13b1)로부터 문기둥(13) 내의 흡입 덕트(13d) 안으로 흐른다. 또한 공기는 제1 팬 그룹(40a)의 흡입 통로(42a)를 통해 흘러 제1 팬 그룹(40a)의 각각의 팬(40)에 의해 흡입된다.
문기둥(12) 내의 하부 흡입 덕트(12d2)의 상부에 마련된 제4 팬 그룹(40d)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개방 영역(010)을 통과하여 흡입구(13b2)로부터 문기둥(13) 내의 흡입 덕트(13d) 안으로 흐른다. 또한 공기는 제2 팬 그룹(40b)의 흡입 통로(42b)를 통해 흘러 제2 팬 그룹(40b)의 각각의 팬(40)에 의해 흡입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문기둥(12)과 그 맞은편의 문기둥(13)에 마련된 복수의 팬(40)으로 구성된 팬 그룹들이 문기둥(13)의 상부에 배치되고 흡입 통로(42a)가 마련된 제1 팬 그룹(40a), 문기둥(13)의 하부에 배치되고 흡입 통로(42b)가 마련된 제2 팬 그룹(40b), 문기둥(12) 내의 중간부 위에 배치되고 흡입 통로(42c)가 마련된 제3 팬 그룹(40c) 및 문기둥(12) 내의 중간부 아래에 배치되고 흡입 통로(42d)가 마련된 제4 팬 그룹(40d)으로서 각각 제공되도록, 상기 문기둥(13)의 팬들과 슬릿 노즐들은 문기둥(13)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고, 공기가 상부에 배치된 제1 팬 그룹(40a)에 의해 문기둥(13) 맞은편의 문기둥(12)의 흡입구(12b1) 쪽으로 송풍되는 한편 공기가 하부에 배치된 제2 팬 그룹(40b)에 의해 문기둥(12)의 흡입구(12b2) 쪽으로 송풍되며; 문기둥(12) 내의 흡입 덕트는 흡입 덕트의 중간부에서 상부 및 하부 흡입 덕트(12d1, 12d2)로 분리되고 문기둥(12)측의 팬들과 슬릿 노즐 들은 각각 흡입 덕트(12d1, 12d2)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제3 팬 그룹(40c)에 의해 문기둥(12) 맞은편의 문기둥(13)의 흡입구(13b1) 쪽으로 송풍되는 한편 공기가 제4 팬 그룹(40d)에 의해 문기둥(13)의 흡입구(13b2) 쪽으로 송풍된다.
따라서, 문기둥(12, 13)에 각기 팬 그룹(40f, 40e)이 마련되고 그에 따라 각각의 팬 그룹용의 각각의 흡입 통로(42f, 42e)가 필연적으로 길어서 각각의 팬 사이의 균일하지 않은 흡입 압력과 기류 속도의 현저한 변화를 야기하는 도 5b에 도시된 비교예와 비교할 때, 도 5a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네 개의 팬 그룹의 흡입 통로는 길이가 감소되어 팬들 사이의 흡입류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폭(B1, B2)이 대체로 작은 각각의 흡입 통로(42a, 42b, 42c, 42d)의 흡입 저항은 감소되고 기류의 속도가 감소된다. 이는 증가된 흡입 압력에 따른 기류 속도의 감소는 기류의 속도 변화가 감소함에 따라 방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팬 그룹의 흡입 통로의 단부에 완만한 곡선의 코너(44, 45)를 제공함으로써 코너에 배치되는 각각의 팬의 흡입 압력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길이의 복수의 커튼 피륙으로 이루어진 짧은 커튼(46)이 개방 영역(010)의 상부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문기둥(12, 13)에 설치된 상부 대들보(16)에 매달려 있다. 짧은 커튼(46)의 길이(H1)는 화물 차량이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커튼(46) 아래에 소정 영역(46a)을 형성하기 위해 개방 영역(010)의 높이(H)의 대략 절반이거나 더 짧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영역(010)의 상부에서의 열 흐름 차단 효과는 짧은 커튼(46)에 의해 강화될 수 있으며, 아울러 차단 기류와 냉장고 내부의 냉기 사이의 온도차는 차단 기류의 공기의 순환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짧은 커튼(46)은 개방 영역(010)의 상부의 온기 차단 구역에만 제공되고 개방 영역(010)의 중간부와 하부를 감싸지 않으므로, 짧은 커튼(46)은 냉장고의 내부를 보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한편 지게차와 같은 설비 차량의 냉장고 출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7과 8에 도시된 제5 실시예는 본 발명의 에어 셔터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에어 셔터의 각각의 문기둥(12, 13)에는 높이 방향으로 이들을 따라 진행하는 밀봉 요소(35)가 제공된다. 이들 밀봉 요소(35)는 냉장고의 단열벽(37)을 따라 활주할 수 있는 도어(36)와 항상 접촉하여 문기둥과 도어 사이에 기밀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문(36)들이 밀봉 요소(35)와 접촉하면서 활주하도록 밀봉 요소(35)를 문기둥(12, 13)에 제공하기만 하면, 문기둥(12, 13)과 문(36)의 개방 영역(W) 사이의 기밀을 실제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출입구의 개방 영역을 가로지르는 공기 흐름 즉 기류의 실험 데이터를 고찰하여 이루어졌으며, 출입구의 개방 영역에 효과적인 순환형 차단 기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유지가 간단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도어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저비용 고효율의 에어 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팬들을 각기 흡입 통로를 갖는 네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지게 구성하여 각각의 팬 그룹의 흡입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작은 폭의 흡입 통로로 인한 흡입 압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고 증가된 흡입 압력에 기인한 순환형 차단 기류의 유량 즉 속도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짧은 커튼은 개방 영역의 상부의 온기 차단 구역에만 제공되고 개방 영역의 중간부와 하부를 감싸지 않으므로, 짧은 커튼은 냉장고의 내부를 보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한편 지게차와 같은 설비 차량의 냉장고 출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밀봉 요소와 접촉을 유지하도록 문기둥에 밀봉 요소를 제공하기만 하면 문기둥과 도어 사이의 공기 밀봉을 실제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1)

  1. 내부와 외부 사이에 온도차가 존재하는 출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출입구의 정면에 설치되는 에어 셔터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상부와 하부 구역에는 각기 온기 차단 구역과 냉기 차단 구역이 형성되고, 상기 온기 차단 구역에는 온기 차단 기류가 형성되고 상기 냉기 차단 구역에는 냉기 차단 기류가 형성되며, 상기 온기 및 냉기 차단 구역 사이에는 기류가 없는 경계가 존재하고, 상기 냉기 및 온기 차단 기류들은 하나의 차단 기류로부터 다른 차단 기류로 순환하는 순환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셔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셔터는 상기 출입구의 각각의 측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문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문기둥 중의 하나의 하부에 마련되어 노즐과 하나 이상의 팬을 갖는 냉기 차단 기류 발생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냉기 차단 기류가 형성되며, 상기 문기둥 중의 다른 것의 상부에 마련되어 노즐과 하나 이상의 팬을 갖는 온기 차단 기류 발생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온기 차단 기류가 형성되며, 상기 냉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노즐의 구멍은 상기 온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노즐의 구멍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셔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기 차단 기류는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을 덮도록 상기 개방 영역의 상부로부터 0.1H 내지 0.4H(H는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높이)의 높이인 구역에 형성되며, 상기 냉기 차단 기류는 출입구의 개방 영역을 덮도록 바닥으로부터 0.5H 내지 0.9H의 높이인 구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셔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는 0 내지 20도의 각도로 안쪽으로 경사지게 배출되며, 상기 냉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는 0 내지 20도의 각도로 바깥으로 경사지게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셔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차단 기류 발생부와 상기 온기 차단 기류 발생부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단열 도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셔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문기둥을 연결하는 상부 대들보가 마련되어 상기 문기둥과 함께 아치 형태의 구조를 이루며, 상기 상부 대들보는 상기 출입구가 개방될 때에 출입구 내부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틈새가 출입구 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셔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열 유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상부에 있는 온기 차단 구역에 짧은 커튼 부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셔터.
  8. 내부와 외부 사이에 온도차가 존재하고 수직 활주형 도어가 마련된 출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출입구의 정면에 설치되는 에어 셔터에 있어서,
    상기 에어 셔터는 한 쌍의 문기둥과 이들 문기둥을 연결하는 상부 대들보로 이루어진 아치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상부와 하부 구역은 온기 차단 구역과 냉기 차단 구역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온기 및 냉기 차단 구역 사이에는 기류가 없는 경계가 존재하며;
    상기 온기 차단 구역은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상부로부터 0.1H 내지 0.4H(H는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높이)의 높이의 구역에 이르는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에 형성된 온기 차단 기류이고, 상기 냉기 차단 구역은 바닥으로부터 0.5H 내지 0.9H의 높이의 구역에 이르는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에 형성된 냉기 차단 기류이며;
    상기 냉기 차단 기류는 상기 문기둥 중의 하나의 하부에 마련된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온기 차단 기류는 상기 문기둥 중의 다른 것의 상부에 마련된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냉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노즐의 구멍은 상기 온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노즐의 구멍보다 더 크며;
    상기 온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는 0 내지 20도의 각도로 안쪽으로 경사지게 배출되고, 상기 냉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공기는 0 내지 20도의 각도로 바깥으로 경사지게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셔터.
  9. 내부와 외부 사이에 온도차가 존재하는 출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출입구의 정면에 설치되는 에어 셔터에 있어서,
    한 쌍의 문기둥이 상기 출입구의 각각의 측면에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고, 각각의 문기둥에 공기 통로용 덕트가 형성되고, 복수의 공기 배출구가 상기 문기둥 중의 하나에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고 복수의 공기 흡입구가 상기 문기둥 중의 다른 것에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각각의 공기 배출구가 각각의 공기 흡입구와 서로 대향되고, 복수의 팬이 상기 공기 배출구 뒤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문기둥 중의 하나는 상기 공기 배출구가 마련되고 복수의 팬이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문기둥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공기 배출구가 마련되고 복수의 팬이 높이 방향 중간부에 배치되며;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구에서 대응하는 맞은편 공기 흡입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셔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에 배치되는 상기 팬은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되며, 각각의 팬 그룹은 타측 문기둥 내부의 덕트를 분리하기 위한 칸막이 부재에 의해 둘로 분리되는 각각의 통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셔터.
  11. 내부와 외부 사이에 온도차가 존재하는 출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출입구의 정면에 에어 셔터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의 개방 영역의 상부 구역과 하부 구역에 중간에 기류가 없는 경계가 존재하는 온기 차단 구역과 냉기 차단 구역으로 각각 형성하여 공기 유동을 차단하며, 상기 온기 차단 구역에 온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고 상기 냉기 차단 구역에 냉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되, 상기 냉기 및 온기 차단 기류들은 하나의 기류로부터 다른 기류로 순환하는 순환 공기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 흡입 덕트와 적어도 하나의 팬이 마련된 문기둥들을 상기 에어 셔터에 마련하여, 상기 문기둥 중의 하나의 하부에 마련된 노즐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냉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고, 상기 문기둥 중의 다른 것의 상부에 마련된 노즐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온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며, 상기 냉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노즐의 구멍을 상기 온기 차단 기류를 형성하는 노즐의 구멍보다 더 크게 되도록 하며;
    상기 에어 셔터는 상기 문기둥과 도어 사이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 요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셔터 설치 방법.
KR1020030089659A 2003-05-27 2003-12-10 에어 셔터 및 그 설치 방법 KR100583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9544 2003-05-27
JP2003149544A JP3897732B2 (ja) 2002-06-17 2003-05-27 エアシャッタ及びその設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316A KR20040102316A (ko) 2004-12-04
KR100583803B1 true KR100583803B1 (ko) 2006-05-26

Family

ID=3344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659A KR100583803B1 (ko) 2003-05-27 2003-12-10 에어 셔터 및 그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037189B2 (ko)
KR (1) KR100583803B1 (ko)
CN (1) CN1284950C (ko)
CA (1) CA2453018C (ko)
HK (1) HK1072288A1 (ko)
TW (1) TWI29632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410B1 (ko) 2011-04-27 2011-10-31 주식회사 신명 전자부품 소성로의 외기유입 차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69342A1 (en) * 2004-06-21 2009-07-02 Takehiko Yoshimura Load port
US9010384B2 (en) * 2004-06-21 2015-04-21 Right Mfg. Co. Ltd. Load port
JP2007278577A (ja) * 2006-04-05 2007-10-25 Mayekawa Mfg Co Ltd 防虫防塵エアシャッタ
US20100132264A1 (en) * 2008-12-01 2010-06-03 Steven Campbell Bi-flow inflatable door seals
TWI469729B (zh) * 2010-08-25 2015-01-11 Hon Hai Prec Ind Co Ltd 貨櫃數據中心及其散熱控制系統
CN102493690B (zh) * 2011-12-27 2014-06-04 北京市恒慧投资有限公司 一种低温冷库装置结构
US9671126B2 (en) * 2012-04-17 2017-06-06 Cold Chain, Llc Apparatus for reducing air flow through an opening between adjacent rooms
JP5776639B2 (ja) * 2012-06-29 2015-09-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却室用エアカーテン装置
ES2457723B1 (es) * 2012-10-26 2015-02-03 Universidad De Extremadura Marco de puerta con barrera de aire para contención biológica, y procedimiento asociado al mismo
JP6411582B1 (ja) * 2017-06-02 2018-10-24 日本エアーテック株式会社 エアーカーテン装置
CN110094151B (zh) * 2018-01-31 2020-06-16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百叶窗
CN108626837A (zh) * 2018-03-05 2018-10-09 中国矿业大学 一种柱式均匀送风装置与方法
KR102090118B1 (ko) * 2019-06-13 2020-03-17 김재중 이중 게이트 및 에어 커튼을 구비한 도크 쉘터 모듈
CN111735254A (zh) * 2020-06-22 2020-10-02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带风幕的制冷器具及其控制方法
WO2022240309A1 (ru) * 2021-05-13 2022-11-17 Вячеслав Васильевич КОЛЕСНИЧЕНКО Отопительная дверная коробка
RU205614U1 (ru) * 2021-05-13 2021-07-23 Вячеслав Васильевич Колесниченко Отопительная дверная коробка
CN113382599B (zh) * 2021-05-28 2022-07-12 西安交通大学 一种自然液膜蒸发冷却服务器机柜
CN114935232A (zh) * 2022-02-28 2022-08-23 航睿星科技有限公司 消毒杀菌冷库
CN115899937B (zh) * 2022-12-12 2023-10-20 江苏黑马森田机器人有限公司 一种内循环式单向直吹高效空气幕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0207A (en) * 1962-11-06 1965-06-22 P J Mac Inc Air curtain
GB1041406A (en) * 1963-04-19 1966-09-07 Minika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ir curtains
US3817160A (en) * 1972-05-04 1974-06-18 Hussmann Refrigerator Co Air door for cooler or the like
JPS51118149A (en) 1975-04-11 1976-10-16 Nippon Air Curtain Kk Doorway shutting off apparatus of refrigrator etc .
SU1399606A1 (ru) * 1986-06-17 1988-05-30 Криворожский горнорудный институт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здани воздушной завесы
JPH0573436U (ja) 1992-03-09 1993-10-08 雄正工業株式会社 エアーカーテン形成装置
JP2000088312A (ja) 1998-09-09 2000-03-31 Nippon Signal Co Ltd:The 流体カーテン
US6106387A (en) * 1999-02-13 2000-08-22 Smith; George R. Conditioned and controlled air vestibule for refrigerated warehou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8410B1 (ko) 2011-04-27 2011-10-31 주식회사 신명 전자부품 소성로의 외기유입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53018C (en) 2009-02-10
US20040242145A1 (en) 2004-12-02
US7037189B2 (en) 2006-05-02
HK1072288A1 (en) 2005-08-19
CN1284950C (zh) 2006-11-15
CA2453018A1 (en) 2004-11-27
TW200426328A (en) 2004-12-01
TWI296321B (en) 2008-05-01
KR20040102316A (ko) 2004-12-04
CN1573245A (zh) 2005-02-02
US20060199500A1 (en) 2006-09-07
US7544122B2 (en)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3803B1 (ko) 에어 셔터 및 그 설치 방법
US20090137198A1 (en) Air shutt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EP3848646B1 (en) Booth and spouting device
JP3897732B2 (ja) エアシャッタ及びその設置方法
JP2007187415A (ja) 熱遮断構造
JP2006001401A (ja) 車両用エアシャッタ
JP2008215724A (ja) エアカーテン装置およびその筐体
JP7272017B2 (ja) エアカーテン装置、及び、エアカーテン形成方法
JP3623643B2 (ja) ウェザーカバー
JPH085213A (ja) 連続急速凍結装置
CA2580818C (en) Air shutt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170072634A (ko) 이중 에어커튼 장치
CA2880363C (en) Air-curtain device
JP7240643B2 (ja) エレベータ
JP4681135B2 (ja) エアバッファシステム
JP2022019365A (ja) エアカーテン装置
KR20240131550A (ko) 차량용 공조 케이스
JPS6218828B2 (ko)
JPH10132354A (ja) 建物出入口の換気システム
JPH06213554A (ja) 冷気循環式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H08327211A (ja) ショーケース
JPS63213780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気流循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