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066B1 -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 Google Patents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066B1
KR100583066B1 KR1020030068021A KR20030068021A KR100583066B1 KR 100583066 B1 KR100583066 B1 KR 100583066B1 KR 1020030068021 A KR1020030068021 A KR 1020030068021A KR 20030068021 A KR20030068021 A KR 20030068021A KR 100583066 B1 KR100583066 B1 KR 100583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wedge
opening
slide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9288A (ko
Inventor
알라트폴더블유.
벨파노산드로지.
피에트란토니리베라토
Original Assignee
씨.제이.윈터 머신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윈터 머신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씨.제이.윈터 머신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2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 B21H3/04Making by means of profiled-rolls or die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3/00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 B21H3/02Making helical bodies or bodies having parts of helical shape external screw-threads ; Making dies for thread rolling
    • B21H3/04Making by means of profiled-rolls or die rolls
    • B21H3/042Thread-rolling heads
    • B21H3/048Thread-rolling heads working tangentially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Turn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Automatic Tool Replacement In Machine Tools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Prostheses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20)는, 몸체(21)와;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단 인근부(23L, 23R)들과 말단 인근부(24L, 24R)들을 구비하는 한쌍의 암(22L, 22R)들을 포함한다. 암들은 대향된 선회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되어, 암들의 말단 인근부들은 서로 멀어지게 된다. 롤(28L, 28R)들은 각 암의 말단 인근부에 장착되어, 부속 장치가 피가공물과 접선 접촉하도록 이동하였을 경우에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작용을 한다. 쐐기(29)는 몸체에 장착되어, 피가공물의 종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 이동을 한다. 작동기(30)는 몸체에 장착되어, 롤들의 축들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기 위해 몸체에 대하여 쐐기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개량된 전조 헤드부는, 공작 기계 부속 장치의 암을 장착하기 위한 신속 해제 기구(33L, 33R)를 포함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몸체, 암, 쐐기, 작동기, 신속 해제 기구

Description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TANGENTIAL ROLLING ATTACHMENT FOR A MACHINE TOOL}
도 1은 개량된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의 제 1 실시 형태를 우측 전면에서 관찰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 형태의 덮개들을 제거하여 덮개 아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관찰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선 4-4를 따른 절단에 의해 상하의 절단면이 동일 평면이 아닌 수직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선 5-5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절단 수직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부속 장치를 좌측 전면에서 관찰한 사시도.
도 7은, 개량된 접선 방향 전조 헤드를 분해하여 도 6과 동일한 방향에서 관찰한 사시도.
도 8은 종래 전조 부속 장치에 사용되는 쐐기 롤러 조립체 및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롤들을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쐐기 롤러 조립체 및 중간 위치, 즉 중립 위치에 있는 롤들을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쐐기 롤러 조립체 및 완전 폐쇄 위치에 있는 롤들을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
도 11은 개량된 쐐기 롤러 조립체 및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롤들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2는 도 11의 개량된 쐐기 롤러 조립체 및 중립 위치에 있는 롤들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은 도 11의 개량된 쐐기 롤러 조립체 및 완전 폐쇄 위치에 있는 롤들을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전조 부속 장치 21: 몸체
22: 암(arm) 23: 기단 인근부
24: 말단 인근부 26: 스프링
28: 롤 29: 쐐기
30: 작동기 33: 신속 해제 기구
39: 핀 43: 슈 부재(shoe member)
60: 원주 홈 46: 경사면
48: 슬라이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피가공물에 표면 가공 또는 마무리 가공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가공물을 선택적으로 전조 가공하기 위한 공작 기계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개량된 접선 방향 전조 헤드부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제품들 및 가공품들은 그 표면에 외측 나삿니를 구비하고 있다. 전형적으로 몸체 자체를 절삭 가공하여 나삿니를 형성시키는 경우는 드물다. 오히려, 피가공물에 나사 전조 가공을 행함으로써 나삿니를 형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나사 전조 장치에는 여러 형태가 있다. 나사 전조 장치의 용도는 주로, 나삿니가 전조 가공될 피가공물 부위의 위치 및 외양에 따라 달라진다. 몇몇 나사 전조 부속 장치는, 가로 방향 접근 및 반경 방향 급송의 핀치형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2개의 전조 롤들을 나사 전조 가공될 피가공물 부위에 접근하도록 위치시키고, 또한 작동기를 조작하여 전조 롤들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켜 전조 롤들이 피가공물을 맞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장치는 몸체와 중간 선회 방식으로 몸체에 장착되는 2개의 암(arm)을 구비한다. 각 암은 롤러를 갖춘 기단부 및 전조 롤러가 장착되는 말단부를 구비한다. 작동기는, 말단부의 롤러들 사이의 쐐기형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여, 전조 롤들이 서로를 향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해 준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쐐기는 일반적으로 피가공물의 축에 접근 및 후퇴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물론, 쐐기가 후퇴하였을 경우에 2개의 전조 롤들이 서로 멀어지도록, 복원 스프링과 같은 적절한 기구가 전조 롤들에 힘을 가한다. 이러한 경우에, 쐐기는 일반적으로 피가공 물의 축에 접근 및 후퇴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형태의 장치들은, 장치를 피가공물에 가로 방향이 아닌 축방향으로 접근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단 장치가 피가공물에 대하여 소망 축방향 위치로 이동하면, 장치를 조작함으로써 롤들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켜 롤의 나삿니를 피가공물에 각인한다. 이와 같은 장치의 일례가 2000년 3월 10일에 출원된 국제특허출원 제PCT/US00/06545호(국제공개 제WO01/68288 Al호, 공개일: 2001년 9월 20일)에 기재되어 있다. 공개된 상기 국제출원도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었다.
또 다른 형태의 장치로는, 전조 롤이 피가공물에 접선 방향으로 접근하는 장치가 있다. 이 장치의 대표적인 형태는, 빌헬름 페테 게엠바하(Wilhelm Fette GmbH)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특허 제5,784,912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는 공작 기계용 나사 전조 부속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에 사용된 도면 부호들을 괄호 내에 삽입하여 인용하면, 부속 장치는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된 2개의 암(28, 30)들을 갖춘 몸체(10)를 구비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전조 롤(32, 36)들은 암들의 말단부에 장착된다. 2개의 전조 롤들 사이의 중심선 간격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조절 기구(72)가 사용된다. 이 장치는, 2개의 전조 롤들 사이의 중심선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또 다른 스프링 구획부(82)를 구비한다. 그 이유는, 조절 나사(72)가 조작될 때에, 중심선 간격이 피가공물에 대한 접선 방향 급송과 정렬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 밖의 다른 형태의 나사 전조 롤 및 작동기 장치가, 뉴욕 로체스터 소재의 C.J. 윈터 머신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에서 2000년에 출판한 "나사 전조 해설(Thread Rolling Solutions)"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피가공물의 표면 처리(예를 들면, 나삿니 형성, 조면화, 광택화 등)용 개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가공물에 나사 형상 또는 기타 소망 표면 형상을 선택적으로 전조 가공하기 위한 공작 기계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개량된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한을 위한 목적이 아니라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대응 부재들, 부위들 및 표면들을 괄호 내의 도면 부호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태양으로서, 공작 기계용 개량된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를 제공한다.
첫 번째 태양으로서, 개량된 전조 부속 장치(20)는 일반적으로 몸체(21); 몸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단 인근부(23L, 23R)들과 말단 인근부(24L, 24R)들을 구비하고, 또한 대향된 선회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되어 말단 인근부들이 서로 멀어지게 되는 한 쌍의 중간 선회 암(22L, 22R)들; 부속 장치가 피가공물과 접선 접촉하도록 이동하였을 때에 피가공물을 표면 처리하기 위하여 각 암의 말단 인근부에 장착된 롤(예를 들면, 전조 롤, 조면화 롤, 광택 롤 등)(28L, 28R)들; 피가공물의 종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몸체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몸체에 장착된 쐐기(29); 및 몸체에 대하여 쐐기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몸체에 장착되어 롤들의 축들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는 작동기(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쐐기(29)는 경사면(46L, 46R)들을 구비하고, 선회 슈부재(shoe member)(43L, 43R)들이 암들에 장착되어 쐐기의 경사면들과 (점접촉 또는 선접촉이 아닌) 면접촉을 한다. 쐐기의 형상은 등변 사다리꼴이다. 쐐기의 경사면은, 롤 축들 사이의 선에 수직인 선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움직이고 또한 쐐기가 몸체에 대해 상대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조작된다. 부속 장치는 터릿의 원주 스테이션(station)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암과 그 암에 연결된 롤 사이에 배치되어 조작되는 신속 해제 기구(quick-release mechanism)(33L, 33R)를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각 롤은 나사 전조 롤, 조면화 롤 및 광택 롤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태양으로서, 본 발명은 공작 기계 부속 장치의 암에 롤을 장착하기 위한 개량된 신속 해제 기구(33L, 33R)를 제공한다. 이러한 개량된 기구는 대체로, 개구부를 구비하는 몸체(21); 몸체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또한 소경(小徑) 개구부와 교차하는 대경(大徑) 개구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48L, 48R); 소경 개구부와 몸체 개구부를 정렬시키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드와 몸체 사이에서 작동하는 스프링(26L, 26R)을 포함하며; 롤이 몸체에 장착될 때에 몸체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원주 홈(60L, 60R)을 구비하는 핀(39L, 39R)이 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슬라이드는, 대경 개구부가 몸체 개구부와 정렬되어 핀이 몸체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제 1 위치와 소경 개구부가 홈과 밀착되어 소경 핀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배치되며; 그로 인하여, 슬라이드가 핀과 맞물림으로써, 롤이 몸체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롤은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핀은 관통 개구부를 미끄럼 방식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또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롤은 그와 연결되는 암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공작 기계용 개량된 접선 방향 전조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조 헤드의 외측 케이스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감소하는 개량된 접선 방향 전조 헤드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들, 기타 목적들 및 장점들은 전술한 명세서의 기재와 이후의 명세서의 기재,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우선, 몇몇 도면들 상호간의 동일한 구성 부재, 부분 또는 면을 일관성 있게 특정하기 위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며, 그 이유는 이하의 설명이 핵심부를 이루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서 그러한 구성 부재, 부분 또는 면이 또한 기술되고 설명되기 때문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들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명세서와 함께 참조(예를 들면, 빗금, 부재들의 배치, 비율, 정도 등)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에 기술된 설명 전체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수평", "수직", "좌", "우", "상" 및 "하"와 같은 용어들은, 이 용어들의 형용사적 및 부사적 파생어(예를 들면, "수평으로", "우측으로", "위로" 등)와 더불어, 독자가 특정 도면을 보았을 경우에 도면상에 예시된 구조의 방향을 단순히 나타낼 뿐이다. 마찬가지로, "내측으로"와 "외측으로"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적절한 표면의 연장축이나 회전축에 대한 표면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제 1 태양으로서 공작 기계(미도시)용 개량된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를 제공하고, 제 2 태양으로서 공작 기계 부속 장치의 암에 롤을 장착하기 위한 신속 해제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개량된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6에 도면 부호 20으로 표시하였다.
도 1은 개량된 전조 부속 장치의 우측 전면에서 비스듬히 관찰하였을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몸체(21)와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암(22L, 22R)들을 포함하는 개량된 부속 장치를 나타낸다. 좌측 및 우측 암들은, 몸체에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기단 인근부(23L, 23R)들과 말단 인근부(24L, 24R)들을 구비한다. 암들이 스프링(미도시)들에 의해 가압되어 서로 대향된 선회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암들의 말단 인근부들은 서로 멀어지게 된다. 롤(28L, 28R)은, 각 암의 말단 인근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부속 장치가 이동하여 피가공물과 접선 접촉하였을 때에 피가공물을 가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조 부속 장치는 몸체에 장착된 쐐기(29) 및 몸체에 장착된 작동기(30)를 또한 포함한다. 쐐기(29)는, 부속 장치가 이동하여 피가공물과 접선 접촉하였을 때에, 피가공물의 종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몸체에 대한 상대 이동을 한다. 작동기(30)는, 쐐기를 몸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상대 이동시켜, 롤 축들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킨다.
도 2는 도 1의 전조 부속 장치의 덮개(31, 32L, 32R)들을 제거하여 그 아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5에는, 암(22L, 22R)들 각각의 말단부에 장착된 신속 해제 기구(33L, 33R)가 도시되어 있다. 부속 장치는 피치경 조절 손잡이(34)와 보정 덮개(35)를 포함한다.
도 7에는, 전방부(38)와 후방부(36)가 횡단 홈에 의해 분리되는 특별한 구조의 가공 부재로서의 몸체가 도시되어 있다. 좌측 암(22L)은, 암의 말단 인근부의 개구부를 관통하는 구동 핀(39L)을 포함하는 조립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전조 롤(28L)이 장착되는 축받이통(40L, 41L)들과 사슬바퀴(42L)를 수용한다. 좌측 암 조립체는, 핀(44L)에 의해 선회 가능하도록 좌측 암(22L)에 장착되는 하부 슈 부재(43L)를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부 슈 부재(43L)는 경사면(45L)을 구비하여, 이 경사면에 대향하는 쐐기의 경사면(46L)과 (점접촉이나 선접촉이 아닌) 면접촉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좌측 암 조립체는 슬라이드(48L)를 또한 포함한다.
우측 암 조립체는 대체적으로 좌측 암 조립체와 대칭이고, 동일한 부재들, 부분들 및 면들을 포함하며, 접미 부호 "L" 대신에 "R"로 식별된다. 따라서, 좌측 암 조립체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슬바퀴(42L, 42R)들은 순환 체인(미도시)에 연결됨으로써, 전조 롤(28L, 28R)들 간의 상대 각도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작동기(30)는 피치경 조절 손잡이(34), 톱니 기어(49, 50)들의 기어열(도 7)을 포함한다. 기어(50)는, 외측에 나삿니를 구비한 조절 샤프트(51)를 회전시켜, 쐐기를 몸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상대 운동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조절 손잡이(34)는 수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절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기어(49, 50)들을 포함하는 기어열이 회전하고, 나삿니 연결에 의하여 기어열의 회전 운동이 조절 샤프트(51)의 종축 방향으로의 축 운동으로 전환된다. 쐐기는 조절 샤프트(51)의 후단 인근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손잡이(3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쐐기는 몸체에 대하여 상대 직선 운동을 한다. 2개의 부동성(floating)의 슈 부재(43L, 43R)들은, 쐐기의 경사면(46L, 46R)들 각각과 연속적으로 미끄럼 면접촉을 하는 경사면(45L, 45R)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쐐기가 몸체의 후방부(36)를 향해 이동하면, 중간 선회되는 좌측 및 우측 암(22L, 22R)들의 롤(28L, 28R)들은 각각 좌측 및 우측 암의 선회축 주위를 이동하여 롤들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쐐기가 몸체 전방부(38) 쪽으로 이동하여 후방부(36)로부터 멀어지도록 조절 손잡이(34)를 회전시키면, 스프링(미도시)은 암들의 말단부들에 힘을 가하여 서로 멀어지게 한다. 좌측 및 우측 암들은, 각각 핀(52L, 52R)들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저널(journal) 방식으로 지지된다.
종래 장치의 조작 과정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고, 개량 장치의 조작 과정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종래 장치는 중간 선회 방식의 좌측 및 우측 암(53L, 53R)들을 구비하고 암들의 말단부에 전조 롤(54L, 54R)들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암들의 기단부들은 사다리꼴의 쐐기 부재(57)의 경사면(56L, 56R)들과 접촉하는 롤러(55L, 55R)들을 각각 지지한다. 도 7 내지 도 9에 손나사(58)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작동기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비교되어 있는 바와 같이, 쐐기를 상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롤러(55L, 55R)들은 쐐기의 경사면과 선접촉한다. 또한, 쐐기는 롤들 사이에 위치한 피가공물(W)과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8은 쐐기가 완전히 후퇴한 상태에서의 종래 장치를 나타낸다. 그 후,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쐐기가 위로 이동하여 중간 위치에 도달하면, 전조 롤들 사이의 중심선 간격은 감소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쐐기가 피가공물 쪽으로 더 이동하면, 롤들 사이의 중심선 간격은 더욱 감소하며, 이러한 조작 과정에 의해, 롤들이 서로 접근하여 피가공물에 롤 형상을 전사한다. 도 8 내지 도 10의 두드러진 특징은, 쐐기가 피가공물들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축방향으로 이동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조 롤 부속 장치가 비교적 큰 케이스를 구비하여야 한다.
개량된 부속 장치의 조작 과정이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비교되어 있다. 도면들에서, 전조 롤들은 28L과 28R로, 중간 선회 방식의 암들은 22L과 22R로, 선회 슈 부재들은 43L과 43R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실시 형태에서, 쐐기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피가공물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쐐기는 피가공물이 종축과 평행한 방향(즉, 지면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쐐기가 후퇴하였을 경우에, 전조 롤(28L, 28R)들 사이의 중심선 간격이 최대가 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쐐기가 중간 지점까지 전진하면,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조 롤들 사이의 중심선 간격이 감소한다. 최종적으로, 쐐기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완전히 전진하면, 전조 롤들 사이의 중심선 간격이 더욱 감소함으로써 피가공물을 압착하여 롤의 형상을 피가공물에 각인한다. 따라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종래 장치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개량 장치 사이의 뚜렷한 차이점은 쐐기의 운동축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 장치에 있어서는, 쐐기가 피가공물 축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개량 장치에 있어서는, 쐐기가 피가공물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개량 전조 롤 부속 장치의 케이스와 외장부는 실질적으로 작아질 수 있고, 이러한 소형화는 부속 장치가 비좁은 공간에서 사용될 경우에 개선된 특징이다. 쐐기의 구성과 암의 높이는 전체 구조물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러한 점은 부속 장치가 터릿 선반의 전면부보다는 외주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로 인하여 전조 공정 중에 생성된 힘이 반경 방향으로 터릿에 전달될 수 있도록 허용된다. 이와 같이 힘을 터릿에 전달하는 방식이 바람직한 이유는 굽힘 모멘트 등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의하면, 공작 기계의 암에 롤을 신속히 장착하기 위한 신속 해제 기구가 제공된다. 신속 해제 기구(33L, 33R)는 슬라이드(48L, 48R), 스프링(26L, 26R) 및 핀(39L, 39R)을 포함한다. 슬라이드는, 소경 개구부와 교차하는 대경 개구부를 포함하는 특별한 구조의 개구부(59)를 구비한다. 스프링은 슬라이드와 몸체 사이에서 슬라이드를 가압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소경 개구부가 몸체 홀과 정렬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를 이동시킨다. 핀(39L, 39R)들 각각은 관련 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핀은 롤을 관통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는, 핀이 롤의 일단부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핀이 몸체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은 원주 홈(60L, 60R)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드는, 대경 개구부가 몸체 개구부와 정렬되는 제 1 위치로 이동하여 핀이 몸체 개구부를 관통할 수 있고, 또한 소경 개구부가 홈(60L, 60R)들과 밀착하는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핀의 우발적인 축 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슬라이드를 내측으로 단지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의 대경 개구부를 핀과 정렬시킬 수 있다. 일단 슬라이드가 이 위치에 있게 되면, 작업자는 슬라이드로부터 핀을 신속히 빼낸 후에 암으로부터 롤을 분리할 수 있다. 새 롤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는 우선 롤과 축받이통에 핀을 삽입하고, 슬라이드의 대경 개구부가 몸체 개구부와 정렬되는 위치로 슬라이드를 이동시키고, 대경 개구부를 통해 핀을 압입한 후에 슬라이드를 해방시킴으로써, 슬라이드의 소경 개구부의 소경부가 핀의 홈에 밀착된다. 일단 슬라이드가 이 위치에 있게 되면, 핀이 결합된 암으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변형된 실시 형태>
본 발명의 2가지 태양들을 변경하고 수정한 많은 실시 형태들이 가능하다는 점은 명백하다. 예를 들면, 전조 부착 장치가 첨부된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부재들과 구성 요소들의 구조와 구성은 필요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고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축받이통은 생략이 가능하고, 암들의 구성은 변경되거나 수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핀은 롤을 관통할 수 있거나, 핀과 같은 돌출부가 롤의 일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량된 부속 장치 및 신속 해제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도시되고 설명되었고, 많은 변경되고 수정된 실시 형태들이 논의되었으므로,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고 특징 지워지는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당업자는 많은 부가적 변경과 수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쐐기가 피가공물 종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개량 전조 롤 부속 장치의 케이스와 외장부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부속 장치가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안정성이 높은 신속 해제 기구가 제공되어,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롤을 암에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Claims (12)

  1.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에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된 기단 인근부들과 말단 인근부들을 구비하고, 또한 대향된 선회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되어 말단 인근부들이 서로 멀어지게 되는 한 쌍의 중간 선회 암들;
    각 암의 말단 인근부에 장착되고, 상기 부속 장치가 피가공물과 접선 접촉하도록 이동하였을 때에 상기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롤;
    상기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피가공물의 종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몸체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쐐기; 및
    상기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롤들의 축들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도록 몸체에 대하여 상기 쐐기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경사면들을 구비하고,
    상기 부속 장치는, 상기 암들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쐐기의 경사면과 면접촉하는 선회 슈 부재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몸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을 할 때에, 상기 롤 축들 사이의 선과 수직인 선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조작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장치는 터릿의 원주 스테이션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들 중 하나와 그 암에 연결된 롤 사이에 배치되어 조작되는 신속 해제 기구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속 장치는, 상기 몸체에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또한 소경 개구부와 교차하는 대경 개구부에 의해 한정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와,
    상기 소경 개구부가 상기 몸체 개구부와 정렬되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드와 몸체 사이에서 작동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롤이 몸체에 장착될 때에 몸체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원주 홈을 구비하는 핀이 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드는, 상기 대경 개구부가 상기 몸체 개구부와 정렬되어 상기 핀이 상기 몸체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소경 개구부가 상기 홈과 밀착되어 상기 몸체에 대한 상기 핀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고,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가 상기 핀과 맞물림으로써 롤이 몸체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롤은 관통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은 상기 관통 개구부를 슬라이딩하여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상기 몸체에 장착된 회전 가능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쐐기 사이에 개입되어 작동되는 기어열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손잡이의 회전 운동은 상기 쐐기의 직선 운동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어떠한 도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연결된 암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각 롤은 나사 전조 롤, 조면화 롤, 광택 롤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030068021A 2002-09-30 2003-09-30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KR100583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61,025 2002-09-30
US10/261,025 US6748779B2 (en) 2002-09-30 2002-09-30 Tangential rolling attachment for a machine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288A KR20040029288A (ko) 2004-04-06
KR100583066B1 true KR100583066B1 (ko) 2006-05-24

Family

ID=3197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021A KR100583066B1 (ko) 2002-09-30 2003-09-30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48779B2 (ko)
EP (1) EP1402973B1 (ko)
JP (1) JP4708691B2 (ko)
KR (1) KR100583066B1 (ko)
CN (1) CN100522461C (ko)
AT (1) ATE535326T1 (ko)
CA (1) CA2443296C (ko)
PL (1) PL207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5827B2 (en) * 2004-08-26 2010-05-2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ne or more recorded media content instances
AT505118B1 (de) * 2007-03-28 2013-03-15 Miba Sinter Austria Gmbh Verfahren zur bearbeitung einer verzahnung an einem sinterteil
DE102010005006A1 (de) * 2010-01-19 2011-07-21 MAG IAS GmbH, 73033 Werkzeugmaschine
TWI435733B (zh) 2010-01-29 2014-05-01 Colgate Palmolive Co 用於口臭控制之口腔保健調配物
CN102172808A (zh) * 2011-01-14 2011-09-07 福建南电股份有限公司 发电机、电动机定子冲片表面去毛刺机
US10369677B2 (en) * 2013-03-05 2019-08-06 Knust-Godwin Llc Screw thread roller burnishing apparatus
CN103406712B (zh) * 2013-07-25 2016-05-11 宁波江宸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自定心式滚花机构
CN105522325B (zh) * 2014-10-21 2018-04-06 河北首鼎金属制品有限公司 用于制造磨球的设备和方法
ES2800910T3 (es) * 2016-02-19 2021-01-05 Lmt Fette Werkzeugtechnik Gmbh & Co Kg Cabezal laminador de rosca tangencial
CN105772765B (zh) * 2016-03-31 2018-08-03 张家港市永和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滚花刀工装
CN105710595B (zh) * 2016-04-11 2017-10-10 华纳圣龙(宁波)有限公司 一种轴的滚花对准装置
EP3501688B1 (de) * 2017-12-19 2020-09-02 LMT Fette Werkzeugtechnik GmbH & Co. KG Gewinderollkopf
CN109454443A (zh) * 2018-12-30 2019-03-12 泰州市东方传动技术有限公司 一种行星轮安装用校准对齐装置
CN113814651A (zh) * 2021-10-25 2021-12-21 四川正博瑞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高精度滚花功能的滚花体
CN115921760B (zh) * 2023-01-31 2023-08-18 贵州博泰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紧固件滚压设备及滚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9612A (en) * 1957-04-29 1960-01-05 Landis Machine Co Thread rolling attachment
CH378648A (fr) * 1962-03-14 1964-06-15 Tornos Sa Fabrique De Machine Dispositif pour fileter une pièce cylindrique
DE2944999C2 (de) * 1979-11-08 1982-11-25 Wilhelm Fette Gmbh, 2053 Schwarzenbek Tangentialrollkopf
US4426869A (en) * 1982-06-01 1984-01-24 Litton Industrial Products, Inc. Radial infeed thread roll attachment
US4924687A (en) * 1989-10-16 1990-05-15 C. J. Winter Machine Works, Inc. Quick release thread roll support
CN2094415U (zh) * 1990-11-13 1992-01-29 航空航天工业部兰州飞控仪器总厂 一种滚花加工装置
US5167136A (en) * 1991-08-09 1992-12-01 C. J. Winter Machine Works, Inc. Thread roll attachment
DE29610183U1 (de) 1996-06-07 1997-10-02 Fette Wilhelm Gmbh Tangentialrollkopf
US6202461B1 (en) * 1999-02-03 2001-03-20 C. J. Winter Machine Technologies, Inc. Tangential thread rolling head
DE19934393B4 (de) * 1999-07-22 2007-11-15 Kurt Seume Spezialmaschinenbau Gmbh Kombiniertes Werkzeug zur Bearbeitung von rotationssymmetrischen Bohrungen in Werkstücken
PL197343B1 (pl) 2000-03-10 2008-03-31 C J Winter Machine Technologie Przyrząd do końcowej obróbki w walcowaniu gwintó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22461C (zh) 2009-08-05
CA2443296C (en) 2007-12-18
EP1402973A3 (en) 2005-04-13
EP1402973A2 (en) 2004-03-31
US20040060335A1 (en) 2004-04-01
KR20040029288A (ko) 2004-04-06
EP1402973B1 (en) 2011-11-30
US6748779B2 (en) 2004-06-15
CN1496782A (zh) 2004-05-19
PL207929B1 (pl) 2011-02-28
ATE535326T1 (de) 2011-12-15
JP4708691B2 (ja) 2011-06-22
PL362532A1 (en) 2004-04-05
CA2443296A1 (en) 2004-03-30
JP2004122235A (ja) 200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3066B1 (ko) 공작 기계용 접선 방향 전조 부속 장치
DE60102187T2 (de) Schienenprofilschleifvorrichtung
US11759839B2 (en) Pipe grooving device
US5702336A (en) Tool magazine having grips capable of maintaining tool gripping force regardless of orientation of magazine disk
JPH04284934A (ja) 針金の成形装置
EP0625082A1 (de) Vorrichtung zur spangebenden metallbearbeitung.
US3964616A (en) Machine tool interchange arm
US4693148A (en) Glassworking scroll chuck with interchangeable jaws
JP4934795B2 (ja) ねじ転造端部加工附属装置
JP2002510556A (ja) リング工具およびこのリング工具を有する釘製造機
CN105562731B (zh) 车床的集中操纵手柄装置
DE10306492B4 (de) Andrückvorrichtung einer Druck- oder Lackiermaschine
DE2724135C3 (de) Vorrichtung zum manuellen Einstellen der Winkelstellung der Zylinder und zum Durchdrehen einer elektrisch angetriebenen Büro-Rotations-Offsetdruckmaschine
EP1710046B1 (de) Brillenglasrandbearbeitungsmaschine
JPH0657375B2 (ja) 工具交換装置の作動機構
WO1995010389A1 (en) Clamps
JP3418412B2 (ja) 工作機械
US5092081A (en) Five-way adjustable form block holder with float capabilities
JP3961711B2 (ja) オープンエンドレンチ
WO1993010005A2 (de) Fördervorrichtung für bonbons
KR930001553Y1 (ko) 공구자동 교환장치
SU733200A1 (ru) Механизм дл подачи сварочной проволоки
JPH0527202Y2 (ko)
EP0424752A2 (de) Stufenlos regelbares Getriebe
SU1217298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ививки черен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