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1107B1 - 용이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 - Google Patents

용이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107B1
KR100581107B1 KR1020040027915A KR20040027915A KR100581107B1 KR 100581107 B1 KR100581107 B1 KR 100581107B1 KR 1020040027915 A KR1020040027915 A KR 1020040027915A KR 20040027915 A KR20040027915 A KR 20040027915A KR 100581107 B1 KR100581107 B1 KR 100581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rotary arm
fastening
spoiler
predetermin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508A (ko
Inventor
김삼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10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스포일러 내 후방 사각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하여 후방 사각 미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이다.
본 발명의 용이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는, 리어 스포일러의 내부에 미러가 장착되는 미러부와 상기 미러부의 양측에 힌지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후방 사각 미러와, 일단이 상기 후방 사각 미러의 체결부와 탈착 가능하고 타 일단은 리어 스포일러 양측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있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운전자가 좌측, 우측 혹은 스포일러 내부 중 원하는 위치에 미러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암이 후방 사각 미러의 위치를 변경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이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LEFT-OR-RIGHT CHOOSING TYPE REAR VIEW MIRROR FOR FACILITATING TO ENSURE VISUAL FIELD OF REARWARD}
도 1은 본 발명의 리어 스포일러를 투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회전암의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후방 사각 미러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c는 후방 사각 미러의 체결부의 사시도;
도 4는 우측 회전암의 고정구가 우측 체결부의 고정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좌측에 후방 사각 미러를 위치 시킨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c-c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c는 좌측에 있던 후방 사각 미러가 중앙으로 원위치되는 과정을, 설명상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여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기술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리어 스포일러 2: 회전암
3: 후방 사각 미러 4: 수납부
본 발명의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는, 스포일러 내부에 후방 사각 미러를 구성함에 있어, 스포일러 내부의 좌, 우에 회전암을 설치하고 중앙에 후방 사각 미러를 위치시켜, 운전자가 좌측, 우측 혹은 스포일러 내부 중 원하는 방향에 미러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암이 후방 사각 미러의 위치를 변경시켜 주어 후방 시야 확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때에는 유체역학적으로 양력이 발생하여 차량이 위로 뜨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타이어와 지면 사이의 접지력이 약해지고 조향 안전성 및 제동력이 약해진다. 전술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리어 스포일러는 공기저항을 받아 차량의 항력계수를 증가시킴에도 불구하고 보통 테일 게이트나 트렁크 리드에 부착한다.
고속 주행에서의 접지력 향상을 위해 부착한 스포일러에는 그 외의 별다른 기능이 없지만, 보통 브레이크 램프를 내장하기도 한다. 또한 RV나 SUV, VAN, 승합차의 경우에는 후진을 하는 경우 운전자가 차량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가 어려우므로, 후방 사각 미러를 스포일러의 내부에 부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스포일러 내부의 후방 사각 미러와 관련된 특허의 경우, 단순히 스포일러의 내부에서 미러가 별도로 장착되는데, 좌우 어느 한 곳에 대해서만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미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미러가 고정되어 있어서 주차시 혹은 출발시 운전자가 한쪽 후방에 대해서만 시야를 확보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고속 운행시에는 차량의 소음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전진 운행시 후방 사각 미러가 오히려 운전자의 시야(룸미러를 통해 차량의 후미를 바라보는 시야)를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후방 사각 미러를 구성함에 있어 스포일러 내부의 좌, 우측에 회전암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암의 일단을 축설하고, 상기 회전암의 타 일단과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체결부가 미러부의 양측면에 힌지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있는 후방 사각 미러를 중앙에 위치시킨 후, 상기 좌, 우 회전암 중 어느 하나의 회전암이 후방 사각 미러와 체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좌측, 우측 혹은 스포일러 내부)에 후방 사각 미러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어 스포일러의 내부에 장착되는 후 방 사각 미러로서, 미러가 장착되는 미러부와 상기 미러부의 양측에 힌지에 의해 힌지 결합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후방 사각 미러와, 일단이 상기 후방 사각 미러의 체결부와 분리 및 체결 가능하고 타 일단은 리어 스포일러 양측에서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회전암과, 그리고 회전암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좌, 우 회전암 중 어느 하나의 회전암이 후방 사각 미러와 체결되어 회전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좌측, 우측 혹은 스포일러 내부)에 후방 사각 미러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측면 소정의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암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암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고정홈의 소정의 위치에 대응하는 측면 소정의 위치에서 리턴 스프링에 탄지되어 수축, 돌출되도록 결합하는 고정구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가 가이드홈에 삽입됨으로써 회전암과 체결부가 체결되고,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고정구가 리턴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고정홈에 끼워짐으로써 회전암에 체결부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와 미러부의 전, 후면의 하단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처리되고,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후방의 하단 부재의 상부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어서, 자중에 의해 내려감으로써 좌측이나 우측에 설치되었던 후방 사각 미러를 스포일러 내부로 넣기 위해 회전암을 회전시킬 때, 상기 체결부, 미러부의 라운드 구조와 상기 수납부 하단 부재의 상단 모서리의 라운드 구조가 서로 맞닿으면서 가이드되어 미러부 및 체결부가 수납부 높이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가 장착된 리어 스포일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리어 스포일러(1)의 내부인 수납부(4) 좌, 우측에 회전암(2)이 위치하고, 후방 사각 미러(3)가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수납부(4)는, 리어 스포일러(1)의 후방으로는 개방되어 있다(서랍의 형태). 회전암(2)의 일단은 리어 스포일러의 양측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암축(24)에 의해 축설되어 있으며, 중앙에 있는 후방 사각 미러(3)는 좌, 우에 있는 회전암(2)의 타 일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암(2)의 회전 방향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A 방향, B 방향, C 방향, D 방향 및 그 반대방향으로 이하 표현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회전암(2)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는 수납부(4)의 회전암(2) 및 후방 사각 미러(3)가 존재하는 공간과 같은 공간(즉, 수납부 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수납부(4)를 이루는 상단 부재 또는 하단 부재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모터에서 회전암축(24)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은 각종 기어 전달 방식이나 벨트 전달 방식 등 공지된 여러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회전암축(24)의 주위에 해당되는 회전암(2) 부위에 기어 형상을 직접 형성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후방 사각 미러(3)가 회전암(2)에 결합되는 형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회전암(2)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 단면도이 다. 모터(미도시)에서 회전암축(24)에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라면, 회전암(2)이 회전암축(24)과 고정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져야 회전암(2)이 회전할 수 있지만, 모터(미도시)에서 회전암(2)에 직접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예를 들면, 상기 회전암축(24) 주위의 회전암(2) 부위에 기어 형상을 직접 형성한 경우)라면 회전암(2)과 회전암축(24)이 반드시 고정 결합된 형태일 필요는 없다. 회전암(2)의 일단에는 후방 사각 미러와의 체결을 위한 가이드 부재(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 부재(21)의 상하측으로는 후방 사각 미러가 회전암(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고정구(22) 및 리턴 스프링(23)이 존재한다. 상기 리턴 스프링(23)에 의해 고정구(22)는 회전암(2)에 대해서 삽입, 돌출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후방 사각 미러(3)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b-b 단면의 단면도, 도 3d는 후방 사각 미러(3)의 사시도이다. 후방 사각 미러(3)의 중앙에는 미러부(31)가 위치하고 좌, 우측에는 체결부(33L, 33R)가 각각 위치한다. 그리고 미러부(31)와 체결부(33L, 33R)는 힌지(32)에 의해서 힌지결합된다. 체결부(33L, 33R)에는 회전암(2)의 가이드 부재(21)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며 체결부(33L, 33R)의 측면으로 트여진 입구(351)를 가진 가이드홈(35)과, 회전암(2)의 고정구(22)에 대응하며 체결부(33L, 33R) 측면 중앙의 상하에 위치하는 고정홈(34)이 있다. 상기 가이드홈(35)은 상기 회전암(2)의 회전암축(24)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것이어서, 가이드 부재(21)를 구비한 회전암(2)의 회전시 상기 회전암(2)의 가이드 부재(21)가 체결부(33L, 33R)에 형성된 가이드홈(35)의 입구(351)(도 3c 참조)에서부터 가이드홈(35)에 끼워지며, 계속 회전하여 가이드홈(35)을 따라 회전암(2)의 가이드 부재(21)가 가이드 홈(35)의 중간에 오게 되면 회전암(2)의 고정구(22)와 체결부(33)의 고정홈(34)이 마주하게 되고 리턴 스프링(23)의 작용으로 고정구(22)가 돌출되어 고정홈(34)에 삽입, 고정된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도 1에서, 후방 사각 미러(3)는 좌, 우측의 회전암(2)의 고정구(22)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운전자가 전진 운행시에는 이러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후방 사각 미러가 돌출되어 있지 않아 룸미러를 통한 후방 시야 확보가 유리하며, 고속 주행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는 후방 사각 미러(3)가 차량의 좌측에 설치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미러의 우측에 있어서, 고정구(22)가 고정홈(34)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상태의 후방 사각 미러(3)와 회전암(2)을 나타낸다(실선 표시 부분). 고정구(22)의 끝단은 둥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체결부(33R)가 고정된 상태라면 회전암(2)의 회전으로 인해 반원형의 고정구(22)가 고정홈(34)으로부터 밀려 나와 빠질 수 있다. 즉, 도 4에서 C 방향으로 회전암이 회전하면, 체결부(33R)는 수납부(4)에 맞닿아 있어 움직이지 못하게 되고, 결국 반원형의 고정구(22)가 고정홈(34)의 형상을 타고 리턴 스프링쪽으로 밀러나면서 리턴 스프링(23)을 압축하며 빠져나오게 된다. 이렇게 우측의 회전암(2)을 체결부(33R)로부터 분리시킨 후(도 4의 점선 상태), 좌측의 회전암(2)을 도 5a에 나타낸 것처럼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방 사각 미러(3)는 수납부(4)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도 5a는 전술한 절차에 의해 후방 사각 미러(3)가 수납부(4)로부터 빠져나온 상태를 나타낸다. 수납부(4)에는 좌측 체결부(33L)가 걸쳐 있는 상태이다(도 5b의 점선상태). 도 5b는 도 5a의 c-c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체결부(33L)와 미러부(31)는 힌지(32)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미러부(31)의 자중에 의해 미러부(31)가 도 5b에 표시된 것과 같이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미러부(31)는 지지 수단(36; 도 3b 및 도 5b 참조)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후방 사각 미러(3)가 차량의 좌측에 설치된다.
다음으로는 후방 사각 미러(3)가 차량의 좌측에서 다시 수납부(4)에 들어가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우측 회전암(2)이 B 방향으로 회전해 나온다. 이는, 미러가 수납부(4)로 들어올 때 우측 회전암(2)이 있어 미러가 들어오는데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자중에 의해 내려간 미러부(31)와 우측 체결부(33R)이 어떻게 끌어올려지는가 살펴본다. 도 5b의 수납부(4)의 하단 부재 후방 끝단 상부에 표시한 R 부분과, 도 3b에서 표시한 R 부분(도 5a에서 d로 표시한 면의 하단 모서리)은 모두 라운드 처리가 되어 있다. 도 5c는 좌측 회전암(2)에 의해 좌측에 설치되었던 후방 사각 미러(3)가 수납부(4)의 중앙으로 원위치되는 과정을, 설명상 필요한 부분을 추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회전암(2)이 수납부(4) 방향(A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 들어가면, 미러부(31)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도 5a에 표시된 우측 d 부분)와 수납부(4)의 하단 부재 후방 끝단 상부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이 만나게 되고, 회전암(2)이 계속 회전해 들어갈수록 미러부(31)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과 수납부(4)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이 미끄러지면서(도 5c에 작게 나타낸 한쌍의 화살표 방향으로 접촉지점이 이동해 나가면서) 가이드가 되어 미러부(31)가 위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굵은 화살표 방향), 이어서 마찬가지로 우측 체결부(33R)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도 5a에 표시된 우측 d 부분)도 수납부(4)의 라운드 처리된 부분과 만나 마찬가지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좌측 회전암(2)이 수납부(4)에 들어가면서 상기 후방 사각 미러(3)가 들어올려져 같이 따라 들어가게 된다. 마지막으로 B 방향으로 먼저 나왔던 우측 회전암(2)이 제자리로 돌아가면(B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 수납부로 들어가면), 우측 체결부(33R)의 가이드홈(35)을 따라 우측 회전암(2)의 가이드 부재(21)가 삽입되고, 계속 삽입되어 들어가 회전암(2)이 체결부(33R)의 중앙에 이르면 고정구(22)가 우측 체결부(33R)의 고정홈(34)에 삽입, 고정되면서 후방 사각 미러(3)가 수납부(4)에 들어가는 과정이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운전자가 주행시에는 회전암(2)과 후방 사각 미러(3)는 스포일러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만약, 후진 기어 위치 감지 스위치에 차량이 후진한다는 것이 감지될 경우, 스포일러 내부의 회전암이 작동하게 된다. 어느 방향으로 내려가느냐는 좌우 선택 스위치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후진 기어가 감지되었을 때 좌우 선택 스위치의 위치에 의해 내려가는 방향이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회전암은 미리 좌우 선택 스위치에 세팅되어 있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내려가게 된다. 물론 좌, 우측 선택은 미리 운전자가 자주 쓰게 되는 위치를 선택하면 될 것이다. 또한 좌우 선택 스위치에 중앙 위치를 추가하여, 후진 기어가 감지되더라도 후방 사각 미러가 나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를 사용하면, 후진시 차량의 좌, 우 원하는 방향으로 후방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진 운행시 후방 시야 확보가 유리하며, 고속 주행 시 소음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즉,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좌측, 우측 혹은 스포일러 내부)에 후방 사각 미러를 위치시켜, 운전자가 운행시 필요로 하는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리어 스포일러의 내부에 장착되는 후방 사각 미러로서,
    미러가 장착되는 미러부와 상기 미러부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부를 구비하는 후방 사각 미러와,
    일단이 상기 후방 사각 미러의 체결부와 분리 및 체결 가능하게 결합하며, 타 일단은 리어 스포일러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2개의 회전암과,
    그리고 회전암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사각 미러의 미러부와 양측의 체결부는 힌지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는 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형성된 가이드홈과, 측면 소정의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암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암의 회전시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고정홈의 소정의 위치에 대응하는 측면 소정의 위치에서 리턴 스프링에 탄지되어 수축, 돌출되도록 결합하는 고정구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가 가이드홈에 삽입됨으로써 회전암과 체결부가 체결되고,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고정구가 리턴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고정홈에 끼워짐으로써 회전암에 체결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미러부의 전, 후면의 하단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처리되고, 상기 수납부의 개방된 후방의 하단 부재의 상부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어서,
    자중에 의해 내려감으로써 좌측이나 우측에 설치되었던 후방 사각 미러를 스포일러 내부로 넣기 위해 회전암을 회전시킬 때, 상기 체결부, 미러부의 라운드 구조와 상기 수납부 하단 부재의 상단 모서리의 라운드 구조가 서로 맞닿아 가이드되어 미러부 및 체결부가 수납부 높이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
KR1020040027915A 2004-04-22 2004-04-22 용이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 KR100581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15A KR100581107B1 (ko) 2004-04-22 2004-04-22 용이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915A KR100581107B1 (ko) 2004-04-22 2004-04-22 용이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508A KR20050102508A (ko) 2005-10-26
KR100581107B1 true KR100581107B1 (ko) 2006-05-16

Family

ID=3728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915A KR100581107B1 (ko) 2004-04-22 2004-04-22 용이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1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508A (ko)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329607A (ja) 自動車用外側ミラー
KR100976923B1 (ko) 자동 접이식 사이드 미러 조립체
KR100581107B1 (ko) 용이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좌우 선택식 후방 사각 미러
WO1986005749A1 (fr) Dispositif de miroir retroviseur pour vehicule automobile
JPH0747378B2 (ja) 車両用サイドミラー
CN109065775B (zh) 电池盒及其安装结构和安装方法以及电动车
JPH06298130A (ja) エアスポイラ装置
KR100870421B1 (ko) 자동차용 도어에 매립 가능한 전동접이식 사이드미러시스템
KR100450010B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19980052458U (ko) 차량용 스피커 팝업장치
KR10052428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200256007Y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10051026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KR20130011303A (ko) 차량용 토잉장치
KR200322009Y1 (ko) 자동 회전식 차량용 사이드 미러
JPH0223469Y2 (ko)
KR100950827B1 (ko) 자동 접이식 사이드 미러 조립체
KR100375385B1 (ko) 자동차용 자동 접이식 사이드미러
KR0151830B1 (ko) 차체 회전용 가로바퀴가 장착된 자동차
JP2004196224A (ja) アウターミラー
KR940000043B1 (ko) 파워회동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용 백미러
JPH08337141A (ja) 自動車の後部窓ガラス用の広角レンズ
KR200276198Y1 (ko) 밴 차량용 격벽
KR200277876Y1 (ko) 자동차 후사경 장치
KR200153103Y1 (ko) 스토퍼 겸용의 회전축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