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754B1 - 볼트,나사및연결·지지핀과이들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볼트,나사및연결·지지핀과이들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754B1
KR100579754B1 KR1019960072434A KR19960072434A KR100579754B1 KR 100579754 B1 KR100579754 B1 KR 100579754B1 KR 1019960072434 A KR1019960072434 A KR 1019960072434A KR 19960072434 A KR19960072434 A KR 19960072434A KR 100579754 B1 KR100579754 B1 KR 100579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bolt
screw
shaf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361A (ko
Inventor
노부야스 이꼬마
도오루 우끼시마
야스시 니시모도
아끼히꼬 미야나가
도시로 구도
Original Assignee
시바타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타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타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62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7Supervising of traffic control systems, e.g. by giving an alarm if two crossing streets have green light simultane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1/00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 F16B31/06Screwed connections specially modified in view of tensile load; Break-bolts having regard to possibility of fatigue rup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2Bolts or sleeves for positioning of machine parts, e.g. notched taper pins, fitting pins, sleeves, eccentric positioning ring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3Arrangements in which a pulse is delivered at the instant when a predetermined characteristic of an input signal is present or at a fixed time interval after this inst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축에 직각방향의 하중이 작용해도 전단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볼트 본체(151)에 충격흡수체(10)를 끼워 볼트(150)를 생성한다. 볼트 본체(151)는 헤드(152)와 상워셔(153)와 충격흡수체(10)가 끼워지고 또한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부(154)와 하워셔(155)와 축부(154)에 틀어 끼우기 위한 너트(156)로 이루어진다. 충격흡수체(10)는 적층체(積層體)를 소정의 회수만큼 감음으로써 형성되는 완충부와, 그 완충부를 통과하는 관통공(9)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볼트, 나사 및 연결·지지핀과 이들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두 물체나 구조체를 고정 또는 연결하는 또는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볼트나 나사나 연결·지지핀 등에 걸리는 진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체와 그 충격흡수체를 사용한 볼트 및 나사 및 연결·지지핀에 관한 것이다.
볼트나 나사(비스)는 주위에 라선(螺旋)이 각설(刻設)되어 있으며, 그 라선에 의해 볼트는 너트에 의해 또한 나사는 피고정체에 틀어 끼움으로써 각각 두 물체나 구조체끼리 등을 연결하거나 고정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두 물체간의 연결이나 지지에 사용되는 핀은 접속점의 벤딩모멘트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볼트나 나사(이하, 볼트라 함)는 그 죄는 힘에 의해 연결하거나 고정하거나 하는 것으로 그 힘의 작용선은 볼트의 축선이다. 그러나, 축에 직각방향(전단방향(剪斷方向) )의 하중이 작용한 경우는 충격력이 발생하고, 진동이 연속적으로 작용한 경우에는 볼트가 전단파괴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 핀은 두 물체간을 그 전단력에 의해 지지하고 있는 것이지만, 그 구성상 핀을 끼우는데는 핀의 주위에 틈이 형성된다. 그런데, 축에 직각방향(전단 방향)의 하중이 작용한 경우는 충격력이 발생되어 진동이 연속적으로 작용한 경우에는 핀이 전단파괴를 일으킨다는 문제가 잇다.
그리고, 두 물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에서는 회전체에 편하중이 작용한 경우에는 핀에 집중하중이 작용하여 핀의 파단(破斷)되거나 접촉면에서 눌어붙는 현상이 발생하여 회전불능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두 물체나 구조체를 고정 또는 연결하는 또는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볼트나 나사나 연결·지지핀 등에 걸리는 진동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체를 제공하는데 잇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축에 직각방향의 하중이 작용해도 전단파괴를 일으키지 않는 볼트 및 나사 및 연결·지지핀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의 관점에서는 본 발명은 탄성체와 섬유를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한 적층체로 이루어진 완충부와, 그 완충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체를 제공한다.
상기 제1의 관점에 의한 충격흡수체에서는 적층체를 탄성체와 섬유를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하므로 스프링성이 향상되고, 충격을 효율좋게 흡수할 수 잇다.
제2의 관점에서는 본 발명은 헤드부와 축부를 가진 볼트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상기 구성의 충격흡수체를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를 제공한다.
제3의 관점에서는 본 발명은 헤드부와 축부를 가진 볼트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탄성체와 섬유를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한 적층체에 의한 완충부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를 제공한다.
상기 제2 및 제3의 관점에 의한 볼트에서는 축에 직각방향의 하중이 작용하여 충격력이 발생해도 충격흡수체나 완충부가 그 충격을 효율좋게 흡수한다. 그래서 직각방향의 하중에 의한 부담이나 진동이 걸리지 않게 되고, 볼트의 전단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4의 관점에서는 본 발명은 헤드부와 축부를 가진 나사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상기 구성의 충격흡수체를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를 제공한다.
제5의 관점에서는 본 발명은 헤드부와 축부를 가진 나사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탄성체와 섬유를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한 적층체에 의한 완충부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를 제공한다.
상기 제4 및 제5의 관점에 의한 나사에서는 축에 직각방향의 하중이 작용하여 충격력이 발생해도 충격흡수체나 완충부가 그 충격을 효율좋게 흡수한다. 그래서, 직각방향의 하중에 의한 부담이나 진동이 걸리지 않게 되어 나사의 전단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6의 관점에서는 본 발명은 축부를 가진 연결·지지핀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상기 구성의 충격흡수체를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지지핀을 제공한다.
제7의 관점에서는 본 발명은 축부를 가진 연결·지지핀에 있어서, 상기 축부에 탄성체와 섬유를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한 적층체에 의한 완충부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지지핀을 제공한다.
상기 제6 및 제7의 관점에 의한 연결·지지핀에서는 축에 직각방향의 하중이 작용하여 충격력이 발생해도 충격흡수체나 완충부가 그 충격을 효율좋게 흡수한다. 그래서, 직각방향의 하중에 의한 부담이나 진동이 걸리지 않게 되어, 연결·지지핀의 전단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면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의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이다.
이 충격흡수체(10)는 적층체(7)를 소정의 회수만큼 감음으로써 형성되는 완충부(8)와 그 완충부(8)를 관통하는 관통공(9)으로 구성된다.
다음에, 충격흡수체(1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연, 합성 또는 금속 등의 섬유에 의한 천(布)형상체(7a)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고무(7b)를 압연 접착함으로써 적층체(7)를 형성한다. 또한, 천형상체(7a) 및 고무(7b)의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소정의 두께의 적층체(7)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7)를 소정의 외경의 봉형상 또는 파이프형상의 심재(S)에 필요한 회수만큼 감는다. 이와 같이, 감겨진 적층체(7)를 압압테이프나 원통형 금형으로 덮은 후, 가열반응(가황(加黃) )을 실시함으로써 적층체(7)가 일체화 된 완충부(8)를 형성한다. 또한, 적층체의 감는 회수를 조정함으로써, 소정의 두께의 완충부(8)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압압테이프나 금형 등은 가열반응 후 제거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완충부(8)는 고무(7b)의 수평방향의 변위를 천형상체(7a)와의 접착력으로 구속함으로써 스프링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으로서, 그 스프링성은 적층체(7)의 감는 회수나 피치, 천형상체(7a)나 고무(7b)의 재질 등에 의해 결정된다.
끝으로, 완충부(8)로부터 상기 심재(S)를 뽑는다. 이로써, 완충부(8)를 관통하는 관통공(9)이 형성된다.
또한, 적층체(7)를 심재(S)에 감을 때에, 앞의 가열온도로 수축되는 양을 상회하는 양의 신장량을 얻는 인장력을 적층체(7)에 부여해 둠으로써, 가열반응 후에 있어서도 적층체(7)에 주름이나 층간에서의 박리가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완충부(8)의 두께는 충격흡수체(10)의 사용부위,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고, 또한, 그 적층간격도 마찬가지이고, 또한 적층간격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서 간격폭을 차례로 바꾸어도 된다.
그리고, 완충부(8)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탄성체로 덮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완충부(8)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상기 충격흡수체(10)를 사용한 볼트를 나타낸다.
이 볼트(150)는 볼트 본체(151)와 충격흡수체(10)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볼트 본체(151)는 헤드(152)와 상워셔(153)와 상기 충격흡수체(10)가 끼워지고, 또한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부(154)와, 하워셔(155)와, 상기 축부(154)에 틀어 끼우기 위한 너트(15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5를 사용하여, 상기 볼트(150)에 의해 피연결체 B1, B2 를 연결할 경우를 설명한다.
피연결체 B1, B2 각각에는 충격흡수체(10)가 꼭맞게 끼워지는 지름이거나 대략 같은 지름의 구멍 H1, H2 이 뚫려 있고, 연결할때는 볼트(150)를 구멍 H1, H2에 삽입하여, 하워셔(155)를 끼우고 나서 너트(156)로 죈다.
그리고, 볼트(150)의 축부(154)에 전단방향이나 각도를 가진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는 충격흡수체(10)에서 완충효과가 발휘되므로 종래의 볼트에서는 축에 평행한 힘이나 전단력에 더하여 벤딩모멘트가 발생하여 볼트가 파손되기에 이르는데 대해, 볼트(150)에서는 충격흡수체(10)가 경사져서 그 힘에 대응하므로 볼트 본체(151)에는 축에 평행인 힘과 축에 직각방향의 전단력 이외의 힘은 작용하지 않으므로 볼트 본체(151)의 파손은 방지하게 된다.
또한, 피연결체 B1, B2 의 구멍 H1, H2 각각의 지름은 충격흡수체(10)가 꼭 맞게 끼워지는 지름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너트(156)로 죌 때에, 충격흡수체(10)의 변형이 구속되어, 축부(154)에 충격력이 작용했을 때의 충격흡수체(10)의 충격흡수력은 충격흡수체(10)가 헐겁게 끼워져 있는 경우에 비해 커진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운동에너지가 전달된 경우는, 충격흡수체(10)에서 그 운동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하여 볼트 본체(151)에 전달되는 에너지량이 감소되므로, 볼트 본체(151)의 에너지파괴도 방지된다. 이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볼트와 본 발명의 볼트(150)에 같은 에너지가 작용한 경우(빗금부분)에는 완충부(8)에서의 변위량이 커(δF 〉δV)지지만, 발생반력은 작아( PF 〈 PV )지므로 볼트본체(151)의 전단내력은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볼트본체(151)의 형상은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축부(154)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형성하고, 그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지름을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분의 지름보다 크게 해도 된다. 또한, 볼트본체(151)에 상워셔(153)와 하워셔(155)의 한쪽 또는 양쪽을 배설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충격흡수체(10)를 반드시 볼트 본체(151)의 헤드(152)보다 지름을 크게 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들면, 충격흡수체(10)의 외경이 헤드(152)와 지름이 같거나, 그보다 작아도 된다.
도 7에 교량보 등의 두 물체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볼트(150)를 이용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두 물체(220),(221)는 탄성지지재(219)를 볼트(150)로 장착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탄성지지재(19)는 복수의 링(217),(217)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체인(216)을 탄성체(218) 속에 매설하여 구성된다. 또한, 서로 연결되어 있는 링 사이에도 상기 탄성체(218)가 개재된다.
두 물체(220),(221)간에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작용한 경우에, 그 두 물체가 진동에 의해 그 간격이 연속적으로 변화되지만 연결재로서 사용한 탄성지지재(219)가 그 진동변위를 흡수하듯 추종변위되어 탄성지지재(219)에 발생하는 충격력을 방지한다.
또한, 탄성지지재(219)와 두 물체(220),(221)와의 접속에 종래의 볼트를 사용한 경우는 탄성지지재(219)에서 완충되었다고는 하지만, 볼트에 충격력이 작용하므로 볼트가 파괴될 염려가 있다. 그런데, 상기 볼트(150)를 사용하면 충격흡수체(10)에서 충격력이 완충되므로 볼트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고속도로(R)상의 차량의 충돌방지용으로 사용되는 중앙분리대(D)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볼트(150)를 이용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중앙분리대(D)에는 충격흡수체(10)의 외경과 거의 같은 형의 구멍(H)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할때는 볼트(150)를 구멍(H)에 삽입하고, 하워셔(155)를 끼우고 너트(156)로 죈다.
도 9에 상기 충격흡수체(10)를 사용한 나사(비스)를 나타낸다.
이 나사(160)는 나사본체(161)와, 충격흡수체(10)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나사본체(161)는 헤드(162)와 워셔(163)와 상기 충격흡수체(10)가 끼워지고, 또한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부(16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나사(160)도 상기 볼트(150)와 마찬가지로 두 물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축부(164)에 전단방향이나 각도를 가진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는 충격흡수체(10)에서 완충효과가 발휘되므로 종래의 나사에서는 축에 평행인 힘이나 전단력에 더하여 벤딩모멘트가 발생하여 나사가 파손되기에 이르는데 대해, 나사(160)에서는 충격흡수체(10)가 경사져서 그 힘에 대응하므로 나사본체(161)에는 축에 평행인 힘과 축에 직각방향의 전단력 이외의 힘은 작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본체(161)의 파손은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운동에너지가 전달된 경우에는 충격흡수체(10)에서 그 운동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하므로 나사본체(161)에 전달되는 에너지량이 감소되어 나사본체(161)의 에너지파괴도 방지된다.
또한, 나사본체(161)의 형상은,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축부(164)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형성하여, 그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지름을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분의 지름보다 크게 해도 된다. 또한, 나사본체(161)에 워셔(163)를 배설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충격흡수체(10)를 반드시 나사본체(161)의 헤드(162)보다 지름이 크지 않아도 된다. 예를들면, 충격흡수체(10)의 외경이 헤드(162)와 지름이 같거나 그 보다 작아도 된다.
도 10에 상기 충격흡수체(10)를 사용한 연결·지지핀을 나타낸다.
이 연결·지지핀(170)은 핀본체(171)와 충격흡수체(10)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핀본체(171)는 헤드(172)와, 상기 충격흡수체(10)를 끼운 축부(171)와, 핀본체(171)를 고정하기 위한 분할핀 구멍(17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11을 사용하여 상기 연결·지지핀(170)에 의해 피연결체 B3, B4 를 연결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피연결체 B3, B4 각각에는 충격흡수체(10)가 꼭맞게 끼워지는 지름이거나 대략 같은 지름의 구멍 H3, H4 이 뚫려 있고, 연결할 때는 연결·지지핀(170)을 구멍 H3, H4 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에 상기 연결·지지핀(710)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연결핀의 구속재하(拘束載荷) 실험결과이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2매의 강판을 핀으로 연결한 상태로 하중을 단숨에 재하(載荷)한 경우에 핀에 발생하는 하중을 평가한 것이며, 통상의 핀은 순간에 높은 하중이 발생하여 파단되는 위험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연결·지지핀(170)에서는 충격흡수체(10)에 일의 양이 소비되어 핀에서의 발생하중이 낮아지는 등의 완충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에너지론(論)으로부터의 완충효과는 외부로부터 운동에너지가 전달된 경우는 충격흡수체(10)에서 그 운동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하므로, 핀본체(171)에 전달되는 에너지량이 감소되어 핀본체(171)의 에너지파괴도 방지된다. 이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핀과 본 발명의 연결·지지핀(170)에 같은 에너지가 작용한 경우(빗금부분)에는 완충부(8)에서의 변위량이 커(δF 〉δV )지지만, 발생반력은 작아( PF 〈 PV )지므로 핀본체(171)의 전단내력은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핀본체(171)의 형상은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에서는 핀본체(171)의 한쪽끝에 헤드(172)와 다른쪽 끝에 분할핀 구멍(174)을 형성하도록 도시하였으나, 핀본체(171)에 헤드를 형성하지 않고, 양 끝에 분할핀 구멍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충격흡수체(10)를 반드시 핀본체(171)의 헤드(172)보다 작은 지름이 아니라도 된다. 예를들면, 충격흡수체(10)의 외경이 헤드(172)와 지름이 같거나 그보다 커도 된다.
연결핀의 경우는 교량의 보의 연결장치의 연결핀에 사용한 경우이며, 이 경우는 보의 온도신축량에 대응한 여유를 핀부에 형성할 필요가 있으므로, 지진 등의 진동에 의한 충격력이 작용한 경우에 완충효과에 의해 핀의 파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6에 상기 연결·지지핀(170)을 회전·지지핀으로서 프로펠러에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프로펠러(PR)에 대한 바람(W)의 입사방향이 변화하여 프로펠러축이 편심하여 회전·지지핀(170)의 충격흡수체(10)에서의 변화에 의해 힘의 방향이 보정되므로 지지재에는 항상 정상적인 힘이 작용하게 되어 프로펠러(PR)가 파손되는 등의 긴급 상태의 발생이 억지된다.
도 17에 상기 연결·지지핀(170)을 회전·지지핀으로서 부체(浮體)(207)를 지지축(208)에 계류시키기 위해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부체(浮體)(207)에 대한 수평방향(평면방향)의 외력에 대하여는 충격흡수체(10)를 가진 회전지지핀(170a)이 기능을 하고, 수직방향(상하방향)의 외력에 대하여는 충격흡수체(10)를 가진 연결핀(170b)이 기능을 한다. 그래서, 3차원의 변위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라도 각각의 외력의 방향이 단순화되지 않아 각도를 가진 작용력에 대한 추종성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결·지지핀(170)을 회전·지지핀으로서 사용할 경우는 외측의 탄성체층의 재질을 세립(細粒)지름의 충전재로 구성함으로써 마찰계수를 낮게 한 배합물이나 실리콘이나 불소 등의 마찰계수가 낮은 폴리머 등을 사용하여 회전체와 지지체의 슬라이드 마찰계수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더욱이 슬라이드시의 소음발생의 저감이나 윤활유 등의 절감이 가능해진다.
제2의 실시형태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이다.
이 충격흡수체(20)는 적층체(7)를 소정 회수만큼 감음으로써 형성되는 완충부(18)와, 그 완충부(18)를 관통하고, 또한 내벽에 상하 비대칭(非對稱)의 돌기(11)가 형성된 관통공(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충격흡수체(20)는 도 2의 적층체(7)를 표면에 미리 상하 비대칭의 돌기가 형성된 심재에 감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충격흡수체(20)를 도 4의 볼트(150), 도 9의 나사(160) 및 도 10의 연결·지지핀(170)의 충격흡수체(10) 대신으로 사용한다.
관통공(19)에 돌기(11)를 형성함으로써, 한방향으로부터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반대방향으로의 탈락 또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18)의 두께는 충격흡수체(20)의 사용부위,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고, 또한 그 적층간격도 마찬가지이며, 또한 적층간격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서 간격폭을 차례로 바꾸어도 된다.
또한, 완충부(18)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탄성체로 덮어도 된다. 이로써, 완충부(18)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제3의 실시형태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이다.
이 충격흡수체(30)는 적층체(7)를 소정의 회수만큼 감음으로써 형성되는 완충부(28)와, 그 완충부(28)를 관통하고 또한 내벽에 나사산(22)을 형성한 관통공(29)으로 구성된다.
상기 충격흡수체(30)는 도 2의 적층체(7)를 표면에 미리 나사산이 형성된 심재에 감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충격흡수체(30)를 도 4의 볼트(150), 도 9의 나사(160) 및 도 10의 연결·지지핀(170)의 충격흡수체(10) 대신 사용한다.
관통공(29)에 나사산(22)을 형성함으로써, 볼트나 나사나 핀 등의 나사부분을 죌 수가 있어서 탈락 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28)의 두께는 충격흡수체(30)의 사용부위,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고, 또한 그 적층간격도 마찬가지이며, 또한 적층간격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서 간격폭을 차례로 바꾸어도 된다.
그리고, 완충부(28)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탄성체로 덮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완충부(28)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제4의 실시형태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이다.
이 충격흡수체(40)는 적층체(7)를 소정의 회수만큼 감음으로써 형성되는 완충부(38)와, 그 완충부(38)를 관통하고 또한 내측에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관상(管狀)부재(31)가 끼워진 관통공(39)으로 구성된다.
상기 충격흡수체(40)는 제3도의 심재(S)를 뽑고나서 상기 관상부재(31)를 관통공(39)에 끼움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체(40)를 제4도의 볼트(150), 도 9의 나사(160) 및 도 10의 연결·지지핀(170)의 충격흡수체(10) 대신 사용한다.
관통공(39)에 관상부재(31)를 끼움으로써, 볼트나 나사나 핀 등에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또한, 미끄러짐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 원만한 미끄러짐이 가능해진다.
또한, 완충부(38)의 두께는 충격흡수체(40)의 사용부위,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고, 또한 그 적층간격도 마찬가지이며, 또한 적층간격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서 간격폭을 차례로 바꾸어도 된다.
그리고, 완충부(38)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탄성체로 덮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완충부(38)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제5의 실시형태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이다.
이 충격흡수체(50)는 적층체(7)를 소정 회수만큼 감음으로써 형성되는 완충부(48)와, 그 완충부(48)를 관통하고 또한 내측에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관상부재(41)가 끼워진 관통공(49)으로 구성된다.
또한, 관상부재(41)의 내벽에는 나사산(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격흡수체(50)는 도 3의 심재(S)를 관통하여, 내벽에 나사산(48)이 형성된 관상부재(41)를 관통공(49)에 끼움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체(50)를 도 4의 볼트(150), 도 9의 나사(160) 및 도 10의 연결·지지핀(170)의 충격흡수체(10) 대신 사용한다.
관통공(39) 내벽에 나사산(42)이 형성된 관상부재(41)를 끼움으로써 볼트나 나사나 핀 등의 나사부분에 죌 수 있어서 탈락 또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48)의 두께는 충격흡수체(50)의 사용부위,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고, 또한 그 적층간격도 마찬가지이며, 또한 적층간격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서 간격폭을 차례로 바꾸어도 된다.
또한, 완충부(48)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탄성체로 덮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완충부(48)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제6의 실시형태
도 22의 (a)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횡단면도이며, 도 22의 (b)는 상기 충격흡수체의 측면도이다.
이 충격흡수체(60)는 적층체(7)를 소정의 회수만큼 감음으로써 형성되는 반원형 완충부(52),(57)와 반원형 완충부(52),(57) 각각에 형성된 반원형의 요홈(51),(56)으로 구성된다. 또한, 반원형 완충부(52)에 철(凸)부(53a),(53b)가 형성되어 있으며, 반원형 완충부(57)에는 상기 철부(53a),(53b)에 대향하는 위치에 요부(58a),(58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충격흡수체(6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7)를 소정의 외격의 봉형상 또는 파이프형상의 심재(S)에 필요한 회수만큼 감는다. 다음에, 이 감겨진 적층체(7)를 심재(S)를 따라 반으로 자른다. 그리고, 이 반으로 자른 적층체(7) 각각을 반원통 형상의 금형으로 덮은 후 가열반응(가황)을 실시함으로써, 적층체(7)가 일체화 된 반원형 완충부(52),(57)를 형성한다. 또한, 적층체(7)의 감는 회수를 조정하으로써, 소정의 두께의 반원형 완충부(52),(57)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압압테이프나 금형 등은 가열반응 후는 제거한다.
또한, 충격흡수체(50)를 도 4의 볼트(150), 도 9의 나사(160) 및 도 10의 연결·지지핀(170)의 충격흡수체(10) 대신 사용한다.
충격흡수체(60)를 반원형의 2개의 반원형 완충부(52),(57)로 형성함으로써 볼트나 나사나 핀 등에의 장착이나 착탈이 용이해지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장착시에 상기 철부(53a),(53b)에 상기 요부(58a),(58b)를 끼움으로써, 반원형 완충부(52) 및 반원형 완충부(57)가 어긋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반원형 완충부(52),(57)의 두께는 충격흡수체(60)의 사용부위,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고, 또한 그 적층간격도 마찬가지며 또한 적층간격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서 간격폭을 차례로 바꾸어도 된다.
그리고, 반원형 완충부(52),(57)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탄성체로 덮도록 해도된다. 이로써, 반원형 완충부(52),(57)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충격흡수체(60)를 반원형의 2개의 반원형 완충부(52),(57)를 형성하도록 설명하였으나, 충격흡수체(60)를 2개의 부분 완충부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제7의 실시형태
도 23은 본 발명의 제7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이다.
이 충격흡수체(70)는 적층체(7)를 소정 회수만큼 감음으로써 형성되는 완충부(61),(64),(67)와, 완충부(61),(64),(67) 각각에 형성된 관통공(63),(66),(69)으로 구성된다. 완충부(61)에 요부(62)와 완충부(67)에 철부(68)가 형성되어 있고, 완충부(64)에는 요부(62)에 대향하는 위치에 철부(65a)와 상기 철부(68)에 대향하는 위치에 요부(6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61),(64),(67)는 폭이 좁은 적층체(7)를 심재에 감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체(70)를 제4도의 볼트(150), 도 9의 나사(160) 및 도 10의 연결·지지핀(170)의 충격흡수체(10) 대신 사용한다.
충격흡수체(70)를 폭이 좁은 완충부(61),(64),(67)로 형성함으로써 시공현장에서의 치수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완충부(61),(64),(67)의 두께는 충격흡수체(70)의 사용부위,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고, 또한 그 적층간격도 마찬가지이며, 또한 적층간격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서 간격폭을 차례로 바꾸어도 된다. 이로써, 완충부(61),(64),(67)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충격흡수체(70)를 3개의 완충부로 형성하도록 설명하였으나, 3개 이상 또는 3개 이하의 완충부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완충부(61),(64),(67)는 각각 같은 폭으로 도시하였으나, 완충부(61),(64),(67)의 폭이 다르게 해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폭이 좁은 적층체(7)를 사용하여 완충부(61),(64),(67)를 제조하도록 설명하였으나, 폭이 넓은 적층체(7)를 심재에 감고나서, 심재에 수직방향으로 재단함으로써 복수의 완충부를 제조하도록 해도 된다.
제8의 실시형태
도 24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이다.
이 충격흡수체(80)는 적층체(7)를 소정의 회수만큼 감음으로써 형성되는 완충부(71),(77)와, 적층체(7)를 소정의 회수만큼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는 완충부(74)와 상기 완충부(71),(74),(77) 각각에 형성된 관통공(73),(76),(79)으로 구성된다. 또한, 완충부(71)에 요부(72)와 완충부(77)에 철부(78)가 형성되어 있고, 완충부(74)에는 요부(72)에 대향하는 위치에 철부(75a)와 상기 철부(78)에 대항하는 위치에 철부(7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71),(77)는 폭이 좁은 적층체(7)를 심재에 감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74)를 제조할 때는 먼저, 도 2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7)를 소정의 형상이나 치수로 재단한다. 다음에, 도 2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적층체(7)를 1매씩 포개서 압연 접착함으로써 적층한다. 그리고, 도 2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공(76)을 형성함으로서 완충부(74)를 제조한다.
제9의 실시형태
도 26은 본 발명의 제9의 실시형태의 볼트의 일부 단면 설명도이다.
이 볼트(250)는 볼트본체(151)와, 완충부(259)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볼트본체(151)는 헤드(152)와, 상워셔(153)와, 상기 완충부(259)가 장착되고, 또한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부(154)와, 하워셔(155)와 상기 축부(154)에 틀어 끼우기 위한 너트(15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다음에, 볼트(25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적층체(7)를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본체(151)의 축부(154)에 필요한 회수만 감는다. 그리고, 이 감긴 적층체(7)를 압압테이프나 원통형의 금형으로 덮은 후, 가열반응(가황)을 실시함으로써 적층체(7)가 일체화 된 완충부(259)를 형성한다. 또한, 적층체(7)의 감는 회수를 조정함으로서, 소정의 두께의 완충부(259)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압압테이프나 금형 등은 가열반응 후는 제거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완충부(259)는 고무(7b)의 수평방향의 변위를 천형상체(7a)와의 접착력으로 구속함으로써 스프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스프링성은 적층체(7)의 감는 회수나 피치, 천형상체(7a)나 고무(7b)의 재질 등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적층체(7)를 축부(154)에 감을 때에 앞의 가열온도로 수축하는 양을 상회하는 양의 신장량을 얻는 인장력을 적층체(7)에 부여해 둠으로써 가열반응 후에 있어서도 적층체(7)에 주름이나 층간에서의 박리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완충부(259)의 두께는 볼트(250)의 사용부위,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고, 또한 그 적층간격도 마찬가지이고, 또한 적층간격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서 간격폭을 차례로 바꾸어도 된다.
그리고, 완충부(259)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탄성체로 덮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완충부(259)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트(250)도 상기 볼트(150)와 마찬가지로 두 물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볼트(250)의 축부(154)에 전단방향이나 각도를 가진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는 완충부(259)에서 완충효과가 발휘되므로, 종래의 볼트에서는 축에 평행인 힘이나 전단력에 더하여 벤딩모멘트가 발생하여 볼트가 파손되기에 이르는데 대해, 볼트(250)에서는 완충부(259)가 경사져서 그 힘에 대응하기 위해 볼트본체(151)에는 축에 평행인 힘과 축에 직각방향의 전단력 이외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볼트본체(151)의 파손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운동에너지가 전달된 경우는 완충부(259)에서 그 운동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하므로, 볼트본체(151)에 전달되는 에너지량이 감소되므로 볼트본체(151)의 에너지파괴도 방지된다.
그리고, 완충부를 반드시 볼트본체(151)의 헤드(152) 보다 지름이 크지 않아도 된다. 예를들면, 도 28에 나타낸 볼트(350)와 같이, 완충부(359)의 외경이 볼트본체(351)의 헤드(352)와 같은 지름이라도 된다. 또한, 완충부의 외경이 헤드의 외경보다 작아도 된다.
또한, 볼트본체(151)의 형상은,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 29에 나타낸 볼트(450)와 같이 축부(454)에 그 축부(454)의 지름보다 작은 소경부분(455)을 형성하여, 완충부(459)를 그 소경부분(455)의 주위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축부(154)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볼트본체(151)에 상워셔(153)와 하워셔(155)의 한쪽 또는 양쪽을 배설하지 않아도 된다.
제10의 실시형태
도 30은 본 발명의 제10의 실시형태의 나사의 일부 단면 설명도이다.
이 나사(260)는 나사본체(161)와 완충부(269)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나사본체(161)는 헤드(162)와, 워셔(163)와, 상기 완충부(269)가 장착되고, 또한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부(16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다음에, 나사(26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적층체(7)를 나사본체(161)의 축부(164)에 필요한 회수만큼 감는다. 그리고, 이 감겨진 적층체(7)를 압압테이프나 원통형의 금형으로 덮은 후, 가열반응(가황)을 실시함으로써 적층체(7)가 일체화 된 완충부(269)를 형성한다. 또한, 적층체(7)의 감는 회수를 조정함으로써, 소정의 두께의 완충부(269)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압압테이프나 금형 등은 가열반응 후는 제거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완충부(269)는 고무(7b)의 수평방향의 변위를 천형상체(7a)와의 접착력으로 구속함으로써 스프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스프링성은 적층체(7)의 감기는 회수나 피치, 천형상체(7a)나 고무(7b)의 재질 등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적층체(7)를 축부(164)에 감을 때에 앞의 가열온도로 수축되는 양을 상회하는 신장량을 얻는 인장력을 적층체(7)에 부여해 둠으로써, 가열반응 후에 있어서도 적층체(7)에 주름이나 층간에서의 박리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완충부(269)의 두께는 나사(260)의 사용부위,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고, 또한 그 적층간격도 마찬가지고, 또한 적층간격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서 간격 폭을 차례로 바꾸어도 된다.
그리고, 완충부(269)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탄성체로 덮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완충부(269)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나사(260)도 상기 나사(160)와 마찬가지로 두 물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볼트(260)의 축부(164)에 전단방향이나 각도를 가진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는 완충부(269)에서 완충효과가 발휘되므로 종래의 나사로는 축에 평행인 힘이나 전단력에 더하여 벤딩모멘트가 발생해서 나사가 파손되기에 이르는데 대해, 나사(260)에서는 완충부(269)가 경사져서 그 힘에 대응하기 때문에 나사본체(161)에는 축에 평행인 힘과 축에 직각방향의 전단력 이외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나사본체(161)의 파손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운동에너지가 전달된 경우는 완충부(269)에서 그 운동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하므로, 나사본체(161)에 전달되는 에너지량이 감소되므로, 나사 본체(161)의 에너지파괴도 방지된다.
그리고, 나사본체(161)의 형상은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 31에 나타내는 나사(360)와 같이, 축부(364)에 그 축부(364)의 지름보다 작은 소경부분(365)을 형성하여, 완충부(369)를 그 소경부분(365)의 주위에 형성하도록 해도 되다. 또한, 완충부(369)를 나사본체(361)의 헤드(362)와 지름이 같거나 그보다 작아도 된다. 또한, 나사본체(361)에 워셔를 배설하지 않아도 된다. 또, 축부(364)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형성해도 된다.
제11의 실시형태
도 32는 본 발명의 제11의 실시형태의 연결·지지핀의 일부 단면 설명도이다.
이 연결·지지핀(270)은 핀본체(171)와 완충부(279)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핀본체(171)는 헤드(172)와, 상기 완충부(279)가 장착된 축부(173), 핀 본체(171)를 고정하기 위한 분할핀구멍(17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다음에, 연결·지지핀(27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적층체(7)를 핀본체(171)의 축부(173)에 필요한 회수만 감는다. 그리고, 이 감겨진 적층체(7)를 압압테이프나 원통형의 금형으로 덮은 후, 가열반응(가황)을 실시함으로써, 적층체(7)가 일체화 된 완충부(279)를 형성한다. 또한, 적층체(7)의 감는 회수를 조정함으로써, 소정의 두께의 완충부(279)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압압테이프나 금형 등은 가열반응 후는 제거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완충부(279)는 고무(7b)의 수평방향의 변위를 천형상체(7 a)와의 접착력으로 구속함으로써, 스프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스프링성은 적층체(7)의 감는 회수나 피치, 천형상체(7a)나 고무(7b)의 재질 등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적층체(7)를 축부(173)에 감을 때에, 앞의 가열온도로 수축하는 양을 상회하는 양의 신장량을 얻는 인장력을 적층체(7)에 부여해 둠으로써, 가열반응 후에 있어서도 적층체(7)에 주름이나 층간에서의 박리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완충부(279)의 두께는 연결·지지핀(270)의 사용부위,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고, 또한 그 적층간격도 마찬가지이며, 또한 적층간격을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서 간격폭을 차례로 바꾸어도 된다.
또한, 완충부(279)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탄성체로 덮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완충부(279)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지지핀(270)도 상기 연결·지지핀(170)과 마찬가지로 두 물체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결·지지핀(270)의 축부(173)에 전단방향이나 각도를 가진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는 완충부(279)에서 완충효과가 발휘되므로 종래의 연결·지지핀에서는 축에 평행인 힘이나 전단력에 더하여 벤딩모멘트가 발생하여 연결·지지핀이 파손되기에 이르는데 대하여, 연결·지지핀(270)에서는 완충부(279)가 경사져서 그 힘에 대응하기 때문에 핀본체(171)에는 축에 평행인 힘과 축에 직각방향의 전단력 이외의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핀본체(171)의 파손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운동에너지가 전달된 경우는 완충부(279)에서 그 운동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하므로, 핀본체(171)에 전달되는 에너지량이 감소되므로, 핀본체(171)의 에너지파괴도 방지된다.
그리고, 완충부(279)를 반드시 핀본체(171)의 헤드(172)보다 지름이 작지 않아도 된다. 예를들면, 완충부(279)의 외경이 핀본체(171)의 헤드(172)와 같은 지름이라도 된다. 또한, 완충부(279)의 외경이 헤드(172)의 외경보다 커도 된다.
또한, 핀본체의 형상은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 33에 나타낸 연결·지지핀(370)과 같이 축부(373)의 양끝에 헤드(375),(376)를 형성하여, 완충부(379)를 그 축부(373)의 주위에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축부에 헤드를 형성하지 않고, 양끝에 분할핀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축부에 분할핀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성체와 섬유를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한 적층체로 이루어진 완충부와, 그 완충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충격흡수체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성이 향상되고 충격을 효율좋게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나 나사와 연결·지지핀의 축부에 상기 충격흡수체 또는 탄성체와 섬유를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한 적층체로 이루어진 완충부를 배셜하였다. 그래서, 이들 볼트나 나사나 연결·지지핀으로 두 물체간의 연결이나 고정을 할 때에 볼트나 나사나 연결·지지핀에 전단력이 작용하면, 적층체에 의해 외력을 완충하고, 볼트본체나 나사본체나 연결·지지핀 본체에 작용하는 외력이 저감되어 볼트본체나 나사본체나 연결·지지핀 본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충격력 그 자체의 발생도 억지할 수 있다.
또한, 각도를 가진 작용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충격흡수체나 완충부가 경사져서 대응하기 때문에 중심의 볼트본체나 나사본체나 연결·지지핀 본체에는 축력(軸力)과 축직각방향의 전단력 이외의 힘은 작용하지 않으므로 볼트나 나사나 연결·지지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회전체를 지지한 경우라도 마찬가지이며, 회전체에 편하중이 작용하여 축선이 경사져도 충격흡수체나 완충부가 변위됨으로써 대응할 수 있고, 지지축에 직접으로 편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서 회전기능을 정지시키는 일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
도 2는 적층체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충격흡수체의 제조공정의 설명도.
도 4는 도 1의 충격흡수체를 사용한 볼트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볼트의 사용예의 설명도.
도 6은 도 4의 볼트에 발생한 전단력의 특성설명도.
도 7은 도 4의 볼트의 다른 사용예의 설명도.
도 8은 도 4의 볼트의 또 다른 사용예의 설명도.
도 9는 도 1의 충격흡수체를 사용한 나사의 측면도.
도 10은 도 1의 충격흡수체를 사용한 연결·지지핀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연결·지지핀의 사용예의 설명도.
도 12는 도 10의 연결·지지핀의 다른 사용예의 설명도.
도 13은 도 10의 연결·지지핀의 또 다른 사용예의 설명도.
도 14는 도 10의 연결·지지핀에 발생한 전단력의 특성설명도.
도 15는 도 10의 연결·지지핀에 발생한 전단력의 특성의 다른 설명도.
도 16은 연결 지지핀의 회전·지지핀으로서의 사용예의 설명도.
도 17는 연결·지지핀의 회전·지지핀으로서의 다른 사용예의 설명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
도 20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7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형태의 충격흡수체의 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충격흡수체의 제조공정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9의 실시형태의 볼트의 일부 단면 설명도.
도 27은 도 26의 볼트의 제조공정의 설명도.
도 28은 도 26의 볼트의 변형예의 일부 단면 설명도.
도 29는 도 26의 볼트의 다른 변형예의 일부 단면 설명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10의 실시형태의 나사의 일부 단면 설명도.
도 31은 도 30의 나사의 변형예의 일부 단면 설명도.
도 32은 본 발명의 제11의 실시형태의 연결·지지핀의 일부 단면 설명도.
도 33은 도 32의 연결·지지핀의 변형예의 일부 단면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80 ; 충격흡수체 150, 250, 350, 450 ; 볼트
160, 260, 360 ; 나사 170, 270, 370 ; 연결·지지핀

Claims (4)

  1. 축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탄성체와 섬유가 축면에 대하여 번갈아 적층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완충부가 축부에 일체화 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
  2. 축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탄성체와 섬유가 측면에 대하여 번갈아 적층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완충부가 축부에 일체화 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3. 축심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탄성체와 섬유가 축면에 대하여 번갈아 적층하여 일체로 이루어진 완충부가 축부에 일체화 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지지핀.
  4.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금속섬유에 의한 천의 양면에 탄성체를 압연 접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고, 이 적층체를 볼트, 나사 또는 연결·지지핀의 축부의 처리면에 필요한 회수를 감아서 적층체를 원하는 수량으로 적층하고, 이 감겨진 적층체의 주위표면을 압압테이프나 금형으로 덮은 후에, 가열반응을 실시하여 축부와 적층체를 일체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의 제조방법.
KR1019960072434A 1995-12-28 1996-12-26 볼트,나사및연결·지지핀과이들의제조방법 KR100579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343683 1995-12-28
JP1995-343683 1995-12-28
KR39245 1996-02-27
JP1996-39245 1996-02-27
KR1019960039245A KR0179892B1 (ko) 1996-09-11 1996-09-11 교통신호 제어기의 출력전압 검출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361A KR970062361A (ko) 1997-09-12
KR100579754B1 true KR100579754B1 (ko) 2006-08-30

Family

ID=194733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245A KR0179892B1 (ko) 1995-12-28 1996-09-11 교통신호 제어기의 출력전압 검출회로
KR1019960072434A KR100579754B1 (ko) 1995-12-28 1996-12-26 볼트,나사및연결·지지핀과이들의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245A KR0179892B1 (ko) 1995-12-28 1996-09-11 교통신호 제어기의 출력전압 검출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03172A (ko)
KR (2) KR0179892B1 (ko)
CN (1) CN11771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906B1 (ko) * 1997-06-30 2001-01-15 김영환 반도체 소자의 서브 스레시홀드 누설전류 제어장치
US20050075809A1 (en) * 2003-09-18 2005-04-07 Ewc Control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iltering and conditioning AC voltage signals
CA2623061A1 (en) * 2007-03-02 2008-09-02 Sean C. Carroll Zero crossing circuit
US7508240B1 (en) * 2007-04-06 2009-03-24 Keithley Instruments, Inc. Power mains zero-crossing detector
US10268379B2 (en) * 2017-01-13 2019-04-23 Arm Limited Partitioning of memory system resources or performance monito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6530A (ja) * 1988-06-16 1989-12-21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振用支持部材
JPH0682423U (ja) * 1993-05-07 1994-11-25 内山工業株式会社 ワッシャーシール
JPH07332341A (ja) * 1994-06-10 1995-12-22 Uchiyama Mfg Corp ワッシャーシ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7936B1 (ko) * 1995-03-04 1999-03-20 이희종 교통 신호 제어기의 전구 단선 검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6530A (ja) * 1988-06-16 1989-12-21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振用支持部材
JPH0682423U (ja) * 1993-05-07 1994-11-25 内山工業株式会社 ワッシャーシール
JPH07332341A (ja) * 1994-06-10 1995-12-22 Uchiyama Mfg Corp ワッシャーシ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03172A (en) 1999-05-11
CN1177107A (zh) 1998-03-25
KR19980020677A (ko) 1998-06-25
KR970062361A (ko) 1997-09-12
KR0179892B1 (ko) 199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4508B2 (en) Composite sleeve rod axial dampener for buildings and structures
WO1997025550A2 (en) Energy absorber
JP7133722B2 (ja) 楔形スライディングブロックを使用した摩擦エネルギーを消費するセルフリセットダンパー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824922B (zh) 自复位防屈曲支撑构件
JPH02147749A (ja) 繊維複合材から成る棒状引張材の固定装置
KR100579754B1 (ko) 볼트,나사및연결·지지핀과이들의제조방법
CN211850367U (zh) 一种高延性易修复的混凝土柱脚节点
JP3756979B2 (ja) 桁落下防止構造
CN110258329B (zh) 一种frp拉索锚固装置及其安装方法
KR101487134B1 (ko) 베어링을 사용한 캔틸레버형 제진장치
JP2009228851A (ja) 免震用積層ゴム
JP3984378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補強構造
US5955822A (en) Flange unit for the active suppression of vibrations
JP3738072B2 (ja) ボルトおよびねじ
JP3440307B2 (ja) 桁落下防止装置
JPH10196626A (ja) 衝撃吸収体および連結体
JP2817579B2 (ja) 張索構造体
JPH10196628A (ja) 衝撃吸収体の製造方法および連結体
JP5639508B2 (ja) 免震装置
CN113622535A (zh) 基于锌铝合金的自复位阻尼器及其制作方法
JP4368469B2 (ja) 落橋防止構造
JPH09302621A (ja) 低騒音の免震積層ゴム支承
CN217558864U (zh) 一种钢丝绳隔震器
CN114737472B (zh) 减震限位拉索装置、桥梁减震体系、碳纤维索设计方法
JPH09229033A (ja) 連結・支持ピ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23

Effective date: 200601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