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068B1 - 연료전지 요소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068B1
KR100579068B1 KR1020047001575A KR20047001575A KR100579068B1 KR 100579068 B1 KR100579068 B1 KR 100579068B1 KR 1020047001575 A KR1020047001575 A KR 1020047001575A KR 20047001575 A KR20047001575 A KR 20047001575A KR 100579068 B1 KR100579068 B1 KR 100579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specific information
information
cell element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4676A (ko
Inventor
이나가끼도시유끼
다까하시쯔요시
니이미하루히사
와다미끼오
스즈끼도시유끼
젱이신
히비노고우에쯔
오찌쯔또무
아사이야스유끼
가지오가쯔히로
야가미유이찌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4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전지(10)가 복수의 단위전지(30)로 된 적층체(11), 적층체(11)의 양 단부에 배열된 전류 수집판(12), 절연판(14)을 사이에 두고 전류 수집판(12)의 외부에 각각 제공된 종판(16) 및 적층체(11)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기 위해 종판(16)을 적층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자(18)를 포함한다. 단위전지(30)에 관한 특정 정보에 상응하는 바코드(41)가 단위전지(30)의 분리자(38)의 노출 측면에 제공된다. 이 연료전지(10)에 의해, 연료전지(10)를 분해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바코드(41)를 읽을 수 있다. 더욱이, 연료전지에 관한 정보를 바코드(41)로부터 얻을 수 있어, 외관에서 결정될 수 없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서비스 작업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요소 {FUEL CELL COMPONENT}
본 발명은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연료전지 요소에 관한 것이다.
종판 사이에 삽입된 복수의 단위전지를 적층하고, 고정자를 이용하여 종판을 단위전지에 고정하여 일반적으로 공지된 연료전지를 제작한다. 이 유형의 연료전지는 복수의 단위전지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목적하는 출력전압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된다.
연료전지의 단위전지 중 하나가 실패하면, 즉 전력 생성 성능 등의 저하의 경우, 단위전지로부터 종판을 분리하기 위해 고정자를 풀어 결함있는 단위전지를 새것으로 교체한다. 상기 교체 후, 단위전지는 JP-A-8-37012 에 개시된 것처럼 다시 종판에 고정된다.
결함있는 단위전지가 새것으로 교체되는 경우, 제조 데이타와 같은 새 단위전지에 관한 특정 정보를 외관으로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새로 교체된 단위전지가 적절히 기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으로 결정될 수 없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연료전지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료전지의 연료전지 요소가 연료전지에 관한 특정 정보와 상호 관련된 검색 코드( retrieval code ) 또는 특정 정보 식별 요소 또는 특정 정보 식별자를 포함한다. 상기 검색 코드( 또는 상기 특정 정보 식별 요소 또는 상기 특정 정보 식별자 )는 연료전지 요소의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연료전지 요소의 노출 표면에 제공된다.
노출 표면에서 판독가능한 검색 코드에 기초하여, 연료전지 요소를 분해할 필요 없이 단위전지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 코드는 연료전지에 관한 다양한 데이타와 관련이 있고, 외관으로 결정될 수 없는 연료전지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서비스 작업의 단순화가 가능하다. 여기서 "단위전지에 관한 특정 정보"라는 용어는 연료전지 자체와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부분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특정 정보"는 다양한 데이타, 예를 들면, 출력 특성, 과거의 사용 기록, 제조 데이타, 거동의 연대순 변화의 기록 등을 포함한다.
검색 코드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 자기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 전기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 그리고 기계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검색 코드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다.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는 바코드와 코드 패턴을 형성하는 오목하고 볼록한 부분의 조합을 포함한다. 자기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는 자기 테이프 등에 저장된 코드를 포함한다. 전기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는 IC ( 집적 회로 ) 칩 등에 저장된 코드를 포함한다. 기계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는 코드 패턴을 구성하는 오목하고 볼록한 부분을 포함한다.
연료전지 요소는 전극을 통해 분리자 사이에 고상의 전해막을 삽입하여 형성 된 단위전지를 포함한다. 연료전지에 관한 정보는 단위전지에 관한 데이타를 포함한다. 연료전지에 관한 정보는 각 단위전지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어서, 외관으로 결정될 수 없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 코드를 단위전지의 분리자 중 하나에 제공할 수 있다. 분리자가 일반적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이므로, 검색 코드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검색 코드를 분리자의 한 측면의 노출 부분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전지에 관한 정보"라는 용어는 단위전지 자체 또는 단위전지를 구성하는 성분의 정보를 의미한다.
연료전지 요소는 복수의 단위전지( 각 단위전지가 전극을 통해 분리자 사이에 삽입된 고상의 전해막을 갖음 )를 적층하여 형성된 전지 적층체를 포함한다. 연료전지에 관한 정보는 전지 적층체에 관한 데이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외관으로 결정될 수 없는 전지 적층체에 관한 정보의 검색이 가능하다. 검색 코드를 전지 적층체의 한 부분 이상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검색 코드를 3차원 형상의 전지 적층체에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전지 적층체"라는 용어는 종판 사이에 삽입된 복수의 단위전지를 적층하고 고정자를 이용하여 단위전지를 종판과 고정하여 형성된 전지 스택( cell stack )을 의미한다. 또는, "전지 적층체"는 전지 스택의 한 부분인 전지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전지 적층체는 3차원 형상이므로, 검색 코드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전지 적층체"가 복수의 단위전지의 전지 스택(적층된)을 의미하고, 각각의 종판이 적층된 보디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열되고 고정자에 의해 고정됨에 주목하라. 또는, 전지 적층체는 전지 스택을 생산하기 위해 이용된 적층된 보디의 일부, 즉 전지 모듈로서 형 성될 수 있다. "전지 적층체에 관한 정보"라는 용어는 전지 적층체 자체 또는 전지 적층체를 구성하는 부분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연료전지의 연료전지 요소는 연료전지에 관한 특정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데이타 저장 매체는 연료전지 요소의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연료전지 요소의 노출 표면에 제공된다.
연료전지 요소의 저장 매체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연료전지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 외부의 노출 표면으로부터 접근가능하다. 연료전지 요소를 분해할 필요 없이 외부의 노출 표면으로부터 기록 매체에 접근하여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외관으로 결정될 수 없는 정보를 발견할 수 있어서, 서비스 작업이 개선된다.
데이타 저장 매체로 인해 정보의 갱신과 추가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예를 들면 출력 특성의 연대순 기록, 과거의 사용, 기능적 거동 등 정보의 갱신과 추가가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서비스 작업이 더 단순화될 수 있다.
연료전지 요소는 전극을 통해 분리자 사이에 고상의 전해막을 삽입하여 형성된 단위전지를 포함한다. 연료전지에 관한 정보는 단위전지에 관한 데이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외관으로 결정될 수없는 각 단위전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데이타 저장 매체는 단위전지의 분리자 중 하나에 제공된다. 저장 매체는 일정 두께를 갖는 판상의 분리자에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로의 접근을 위한 전극이 분리자의 측면 중 노출 부분에 제공될 수 있고, 저장 매체는 분리자에 매립될 수 있다.
연료전지는 복수의 단위전지( 각 단위전지가 전극을 통해 분리자 사이에 삽입된 고상의 전해막을 갖는다 )를 적층하여 형성된 전지 적층체를 포함한다. 연료전지에 관한 정보는 전지 적층체에 관한 데이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외관으로 결정될 수 없는 전지 적층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데이타 저장 매체는 전지 적층체의 한 부분 이상에 제공된다. 저장 매체는 3차원 형상의 전지 적층체에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정보는 출력 특성, 충전/방전 특성, 과거의 사용 기록, 제조 기록, 유지 기록, 그리고 거동의 연대순의 변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출력 특성, 충전/방전 특성, 과저의 사용 기록, 제조 데이타( 재료, 제조 조건 ), 유지 또는 연료전지 성능을 향상 또는 저하시키는 기능적 거동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외관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의 내부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단위전지의 외관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로부터 단위전지에 관한 특정 정보를 판독하는 시스템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A, 도 5B, 도 5C 그리고 도 5D 는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도 6 은 제 2 실시예의 연료전지가 연료전지 차량에 장치될 때 사용된 시스 템의 구조를 보여준다.
제 1 실시예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의 외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 는 단위전지의 내부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단위전지의 외관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바코드로부터 단위전지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시스템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 에 나타난 것처럼, 연료전지(10)는 복수의 적층된 단위전지(30)으로 형성된 전지 적층체(11), 전지 적층체의 양 단부에 배열된 전류 수집판(12), 절연판(14)을 사이에 두고 전류 수집판(12)의 양 단부에 배열된 종판(16) 및 전지 적층체(11)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기 위해 적층 방향으로 종판(16)을 고정시키는 고정자(18)를 포함한다.
도 2 에서, 연료전지(10)의 각 단위전지(30)는 두 분리자(36 및 38) 사이에 막 전극 집합체(MEA, 29)를 삽입하여 형성된다. MEA(29)는 가스 확산 전극(34 및 35) 사이에 고상의 전해막(31)을 삽입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상의 전해막(31)은 습식 조건에서 양성자유도 전해질로서 기능한다. Du Pont사가 제조한 Nafion 막과 같은 퍼플루오로( perfluoro ) 술폰산 수지 막이 고상의 전해막(31)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가스 확산 전극(34, 35)은 카본 천( carbon cloth ), 카본 섬유 실로 짜여진 재료로 형성되고, 고상의 전해막(31)의 길이보다 조금 짧다. 촉매 전극(32, 33)이 고상의 전해막(31)과 접하는 가스 확 산 전극(34, 35)의 표면에 각각 매립된다. 상기 촉매 전극(32, 33)은 촉매로서 백금, 백금과 다른 금속의 합금 등을 함유하는 카본 분말로 형성된다. 각각의 분리자(36, 38)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가스 불투과성의 고밀도 카본, 즉 가스 불투과성을 갖도록 압축된 카본으로 형성된다. 상기 분리자(36, 38)는 단위전지(30)의 칸막이 역할을 한다. 연료가스 통로(37)가 가스 확산 전극(34)과 접하는 분리자(36)의 표면에 형성된다. 산화가스 통로(39)가 가스 확산 전극(35)과 접하는 분리자(38)의 표면에 형성된다. 도 3 에서 보여진 것처럼, 바코드(41)가 분리자(38)의 노출 측면에 제공된다. 분리자(36, 38)와 가스 확산 전극(34, 35)을 갖지 않는 MEA(29) 사이의 틈은 연료가스, 산화가스 그리고 이들의 혼합가스의 누출을 막기 위해 밀봉제(40)로 채워진다.
가스 확산 전극(34)은 연료가스, 즉 수소 또는 고농도의 수소함유 가스가 연료가스 통로(37)로부터 공급되는 연료 전극이다. 가스 확산 전극(34)에서, 양성자(H+)와 전자(e)가 수소분자(H2)로부터 생성된다. 반면, 가스 확산 전극(35)은 산화가스, 즉 공기가 산화가스 통로(39)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전극이다. 가스 확산 전극(35)에서, 산소분자(O2), 양성자(H+) 그리고 전자(e)의 반응으로부터 물(H2O)이 생성된다. 가스 확산 전극(34)에서 생성된 양성자는 고상의 전해막(31)을 통해 가스 확산 전극으로 이동한다. 가스 확산 전극(34)에서 생성된 전자는 표시되지 않은 외부 통로를 통해 가스 확산 전극(35)으로 이동한다. 가스 확산 전극(34)은 수소분자로부터 전자를 받는 결과 증가된 페르미 준위를 갖는다. 반면, 가스 확산 전극(35)은 산소분자에 전자를 주는 결과 감소된 페르미 준위를 갖는다. 상기 전극(34, 35) 사이의 그러한 페르미 준위차로 인해 기전력이 야기된다. 각 단위전지(30)는 약 1 V 의 기전력을 갖는다. 그러므로, 복수의 단위전지(30)가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목적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연료전지(10)을 형성한다.
바코드(41)에 포함된 각 코드 넘버는 단위전지(30)에 관한 정보와 상호 관련된다. 더 명확히는, 특히 도 4 에서 보여진 것처럼, 바코드(41)의 코드 넘버가 단위전지(30)에 관한 정보와 상호 관련되는 데이타베이스를 데이타베이스 컴퓨터(50)의 내부 메모리(51)에 저장한다. 상기 바코드(41)는 데이타베이스 컴퓨터(50)에 연결된 바코드 리더(52)로 광학적으로 판독되고, 그 다음 데이타베이스 컴퓨터(50)는 바코드(41)의 코드 넘버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위해 추출한다. 단위전지(30)에 관한 정보는 초기 출력 특성, 연료전지(30)의 초기 충전/방전 특성, MEA(29)의 고상의 전해막(31)과 가스 확산 전극(34, 35)의 재료 및 제조 조건, 제품명, 제조자, 제조일자, 분리자(36, 38)의 재료 및 제조 조건 그리고 가스 통로의 형상과 같은 갱신이 필요 없는 불변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는 과거 수리 기록과 같은 유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10)의 생산의 예를 기재한다. 연료전지(10)의 제조 과정에서, 전지 적층체(11)가 복수의 단위전지(30)를 적층하여 형성된다. 이 단계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정보를 갖는 단위전지(30)가 전지 적층체(11)를 형성하는데 선택되어 사용된다. 전지 적층체(11)는, 동일 또는 유사한 출력 특성과 충전/방전 특성을 갖거나, 동일 또는 유사한 제조 조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재료로 만들어진 고상의 전해막(31)과 가스 확산 전극(34, 35)과 같은 요소를 갖는 단위전지(3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료전지(10)는 동일 또는 유사한 성질을 갖는 연료전지(30)로 형성됨이 보장된다. 결과적으로, 연료전지(10)의 성능은 더욱 안정될 것이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10)를 이용한 예를 기재할 것이다. 연료전지 차량에 장치된 연료전지(10)가 작동시 저하된 성능을 나타낸다면, 결함있는 단위전지(30)를 찾기 위해 연료전지(10)의 복수의 단위전지(30)를 하나씩 검사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연료전지(10)가 더 이상 요구되는 전압을 발생시킬 수 없다면, 감소된 출력 전압을 갖는 단위전지(30)가 정해진다. 정해진 단위전지(30)의 분리자(38)의 노출 측면에 제공된 바코드(41)를 바코드 리더(52)로 광학적으로 판독한다. 그러면, 단위전지(30)에 관한 정보는 데이타베이스 컴퓨터(50)의 디스플레이에서 확인된다. 그러한 데이타 수집을 계속하여, 초기 출력 특성과 초기 충전/방전 특성, 고상의 전해막(31)과 가스 확산 전극(34, 35)의 재료 및 제조 조건, 그리고 과거의 유지 기록과 같은 정보를 성능이 쇠퇴할 개연성있는 단위전지(30)를 위해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만족스러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단위전지(30)에 관한 정보를 유사하게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특히 상기된 것처럼, 바코드(41)는 단위전지(30)의 분리자(38)의 노출 측면으로부터 접근가능하다. 이로 인해, 단위전지(30)를 분해하 지 않고 정보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다. 더욱이, 단위전지(30)의 정보를 바코드(41)로부터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외관으로 결정될 수 없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서비스 작업이 개선된다. 더욱이, 연료전지(10)의 만족스러운 성능을 유지할 단위전지(30)의 조건( 초기 출력 특성과 초기 충전/방전 특성, 그리고 재료와 제조 조건과 같은 조건 )을 또한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결함있는 단위전지(30)를 새것으로 교체하기 전에, 바코드(41)로부터 얻어진 새로운 단위전지(30)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새로운 단위전지(30)가 교체 후에 적절히 기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바코드(41)는 분리자(38)의 측면에 제공됨을 주목하라. 그러나, 도 5A 에서 보여진 것처럼, 바코드(41)가 코드 넘버에 상응하는 규정된 패턴을 형성하며 광학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판독가능한 오목부(42)로 교체될 수 있다. 또는, 도 5B 에서 보여진 것처럼, 코드 넘버를 저장하고 자기적으로 판독가능한 테이프, 즉 자기 테이프(43)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C 처럼, 코드 넘버를 저장하며 전기적으로 판독가능한 IC 칩(44)이 분리자(38)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D 처럼, 코드 넘버를 저장한 IC 칩(45)이 분리자(38)에 매립될 수 있고, IC 칩(45)의 전극(45a)이 분리자(38)의 측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IC 칩(45)은 연료가스 통로(37)와 산화가스 통로(39)를 방해하지 않는 분리자(45)의 한 부분에 매립된다. 상기한 각각의 경우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5B 내지 도 5D 에서 자기 테이프(43)와 IC 칩(44, 45)은 상기 정보와 상 호 관련된 코드 넘버 대신에 단위전지(30)에 관한 정보를 직접 저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데이타를 검색할 필요 없이 저장된 데이타를 읽어 단위전지(30)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바코드(41)는 각각의 단위전지(30)에 제공된다. 그러나, 바코드(41)는 각각의 전지 적층체(11)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바코드(41)는 전지 적층체(11)의 일부분의 노출 표면( 즉, 전지 적층체(11)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전지(30)의 분리자 중 하나의 측면 또는 연료전지(10)의 절연체(14) 또는 종판(16)의 측면 )에 제공될 수 있다. 바코드(41)는 전지 적층체(11)의 복수의 단위전지(30)에 관한 정보 또는 전지 적층체(11)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초기 출력 특성과 초기 충전/방전 특성과 상호 관련될 수 있다.
전지 적층체(11)는 규정된 수의 단위전지(30)를 적층하여 형성된 복수의 모듈, 즉 복수의 전지 모듈( 일본특허 공개공보 No. 9-92324 참고 )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코드(41)는 각 전지 모듈에 제공될 수 있다. 좀더 명확히는, 바코드(41)는 각 전지 모듈의 노출 표면( 즉, 각 전지 모듈의 복수의 단위전지(30)의 분리자 중 하나의 측면 )에 제공될 수 있다. 바코드(41)는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전지(30)에 관한 정보 또는 전지 모듈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며, 전지 모듈의 초기 출력 특성과 초기 충전/방전 특성 )와 상호 관련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5C 에서 보여진 것처럼, 바코드(41)가 IC 칩으로 교체된 것을 제외하고 제 2 실시예가 제 1 실시에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하에서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차이점만 기재한다. 도 6 은 제 2 실시예의 연료전지가 장치된 연료전지 차량에 적용된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6 에서, IC 칩(44)이 연료전지 차량에 장치된 컨트롤러(60)에 연결된다. 컨트롤러(60)는 각각의 단위전지(30)의 출력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61)에 연결된다. 컨트롤러(60)는 규정된 간격으로 센서(61)로부터 단위전지(30)의 각 출력전압을 읽어, 이를 상응하는 IC 칩(44)에 기록한다. 결과적으로, 시간에 따른 출력전압의 변화, 즉 차량의 운행 동안 단위전지의 기능적 거동이 IC 칩(44)에 저장된다.
연료전지 차량에 장치된 연료전지(10)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요구되는 전압을 내지 못하는 경우, 각 단위전지(30)의 분리자(38)의 노출 측면에 제공된 IC 칩(44)에 포함된 데이타를 판독하기 위해 연료전지(10)를 차량에서 분리한다. 결과적으로, 어느 단위전지(30)가 저하된 성능을 갖는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따라, 각 IC 칩(44)은 각 단위전지(30)의 분리자(38)의 노출 측면으로부터 접근가능하다. 이로 인해, 연료전지(10)를 분해하지 않고 용이하게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관으로 결정될 수 없는 자료가 얻어지면, 서비스 작업이 더 단순화될 수 있다. 더욱이, 차량의 운행 동안 기능적 거동에 대한 데이타가 갱신되고 축적될 수 있다. 기능적 거동에 대한 데이타는 단위전지(30)의 저하된 성능 또는 바람직한 성능의 원인을 명확히 보여줄 수 있다. 더욱이, 연료전지(10) 자체는 단위전지(30)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연료전지(10)가 연료전지 차량에서 분리되더라도 저하된 또는 향상된 성능의 원인을 조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위전지(30)의 성능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판독된 데이타에 기초하여 연료전지 차량의 운행 제어 또는 연료전지(10)의 충전/방전 제어를 위해, 컨트롤러(60)는 연료전지 차량의 운행 동안 필요할 때 각 단위전지(30)의 IC 칩(44)으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도록 설계된다. 연료전지(10)가 유지를 위해 연료전지 차량에서 분리되고, 그 후 동일한 또는 다른 연료전지 차량에 넣어진 경우, 유지시 출력 특성과 충전/방전 특성이 IC 칩(44)에 저장된다. 따라서, 출력 특성에 따라 운행 제어를 위해 그리고 충전/방전 특성에 따라 충전/방전 제어를 위해 컨트롤러(60)는 상기된 데이타를 읽는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분리자(38)의 측면에 제공된 IC 칩(44)은 저장 매체로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저장 매체는 IC 칩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D 에서 보여진 것처럼, 코드 넘버를 저장한 IC 칩(45)은 연료가스 통로(37)와 산화가스 통로(39)를 방해하지 않는 분리자(38)의 한 부분에 매립될 수 있다. 그러면, IC 칩(45)의 전극(45a)은 분리자(38)의 노출 측면에 제공된다. 상기한 경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IC 칩(44)은 각 단위전지(30)에 제공된다. 그러나, IC 칩(44)은 전지 적층체(11)의 임의의 노출 표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IC 칩(44)은 전지 적층체(11)의 노출 표면( 즉, 전지 적층체(11)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전지(30)의 분리자 중 하나의 측면 또는 연료전지(10)의 절연체(14) 또는 종판(16)의 측면 )에 제공될 수 있다. IC 칩(44)은 전지 적층체(11)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 전지(30)에 관한 정보 또는 전지 적층체(11)에 관한 정보( 전지 적층체(11)의 출력 특성과 충전/방전 특성과 같은 정보 )를 저장할 수 있다.
전지 적층체(11)는 규정된 수의 적층된 단위전지(30), 즉 복수의 전지 모듈( 일본특허 공개공보 No. 9-92324 참고 )을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IC 칩(44)은 각 전지 모듈에 제공될 수 있다. 더 명확히는, IC 칩(44)은 각 전지 모듈의 노출 표면( 즉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전지(30)의 분리자 중 하나의 표면 )에 제공될 수 있다. IC 칩(44)은 전지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전지(30)에 관한 정보 또는 전지 모듈에 관한 정보( 전지 모듈의 출력 특성과 충전/방전 특성 )를 저장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각 단위전지의 측면은 단위전지의 용량을 나타내는 다른 수의 오목부를 가질 수 있어, 각 단위전지의 용량을 알 수 있다. 다른 종류의 단위전지는 함께 결합된 단위 전지와는 오목부의 수로 구별될 수 있다. 또는, 단위전지의 외부표면은 용량에 따라 다르게 도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기재되었는데, 여기서 개시된 본 발명의 설명과 예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이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연료전지(10)가 복수의 단위전지(30)로 된 적층체(11), 적층체(11)의 양 단부에 배열된 전류 수집판(12), 절연판(14)을 사이에 두고 전류 수집판(12)의 외부에 각각 제공된 종판(16) 및 적층체(11)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기 위해 종판(16)을 적층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자(18)를 포함한다. 단위전지(30)에 관한 특정 정보에 상응하는 바코드(41)가 단위전지(30)의 분리자(38)의 노출 측면에 제공된다. 이 연료전지(10)에 의해, 연료전지(10)를 분해할 필요 없이 용이하게 바코드(41)를 읽을 수 있다. 더욱이, 연료전지에 관한 정보를 바코드(41)로부터 얻을 수 있어, 외관에서 결정될 수 없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서비스 작업이 향상된다.

Claims (21)

  1. 분리자 사이에 고상의 전해막 (31) 을 삽입하여 각각 형성된 복수의 단위전지(30)를 적층하여 고정자(18)로 고정시킨 연료전지(10)의 연료전지 요소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에 관한 특정 정보는 연료전지 요소의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각각의 분리자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10)의 연료전지 요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를 포함하는 검색 코드는 연료전지 요소의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각각의 분리자의 노출 표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10)의 연료전지 요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코드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 자기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 전기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 그리고 기계적으로 판독가능한 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10)의 연료전지 요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코드는 바코드(41), 오목부(42)를 갖는 패턴, 자기 테이프(43) 그리고 IC 칩(44, 4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10)의 연료전지 요소.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단위전지(30)에 관한 특정 정보와 상호 관련된 특정 정보 표시부에 의해서 제공되고, 상기 특정 정보 표시부는 연료전지 요소의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각각의 분리자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10)의 연료전지 요소.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단위전지(30)에 관한 특정 정보와 상호 관련된 특정 정보 식별 요소에 의해서 제공되고, 상기 특정 정보 식별 요소는 연료전지 요소의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각각의 분리자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10)의 연료전지 요소.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상기 단위전지(30)에 관한 특정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 저장 매체에 의해서 제공되고, 상기 데이타 저장 매체는 연료전지 요소의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각각의 분리자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10)의 연료전지 요소.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저장 매체는 상기 정보의 갱신과 추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10)의 연료전지 요소.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저장 매체는 IC칩(44, 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10)의 연료전지 요소.
  17. 제 1 항, 제 8 항, 제 13 항 또는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연료전지 요소의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각각의 분리자의 노출 표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10)의 연료전지 요소.
  18. 제 1 항, 제 8 항, 제 13 항 또는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연료전지 요소의 외부에서 접근가능하도록 각각의 분리자의 내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10)의 연료전지 요소.
  19. 삭제
  20. 삭제
  21.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8 항, 제 13 항, 제 14 항, 제 15 항 또는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정보는 출력 특성, 충전/방전 특성, 과거의 사용 기록, 제조 기록, 유지 기록 그리고 연대순 거동 변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요소.
KR1020047001575A 2001-08-01 2002-07-31 연료전지 요소 KR100579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33250 2001-08-01
JPJP-P-2001-00233250 2001-08-01
JP2002211374A JP3988563B2 (ja) 2001-08-01 2002-07-19 燃料電池構成体
JPJP-P-2002-00211374 2002-07-19
PCT/IB2002/002962 WO2003012902A2 (en) 2001-08-01 2002-07-31 Fuel cell compon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4676A KR20040014676A (ko) 2004-02-14
KR100579068B1 true KR100579068B1 (ko) 2006-05-12

Family

ID=2661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575A KR100579068B1 (ko) 2001-08-01 2002-07-31 연료전지 요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54358B2 (ko)
EP (1) EP1470603B1 (ko)
JP (1) JP3988563B2 (ko)
KR (1) KR100579068B1 (ko)
CN (1) CN100479241C (ko)
CA (1) CA2455484C (ko)
DE (1) DE60218747T2 (ko)
RU (1) RU2273918C2 (ko)
WO (1) WO20030129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58238A1 (en) * 2002-09-24 2004-03-25 Robert Miller Implantable current collector ID matrix identifier
US7655331B2 (en) 2003-12-01 2010-02-02 Societe Bic Fuel cell supply including information storage device and control system
JP4594631B2 (ja) * 2004-02-27 2010-12-08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ユニットおよび燃料電池ユニットの制御方法
JP4218569B2 (ja) 2004-03-30 2009-02-04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セパレ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US20050260465A1 (en) * 2004-05-18 2005-11-24 Harris Scott C Direct methanol fuel cell system, fuel cartridge, system of operation, and system for detecting forgery
KR100612361B1 (ko) * 2004-09-08 2006-08-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스택
KR100590049B1 (ko) * 2004-11-30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JP2006277965A (ja) * 2005-03-28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US20090029230A1 (en) * 2005-04-14 2009-01-29 Junichi Shirahama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DE102005033177A1 (de) * 2005-07-13 2007-01-25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Dachantenne für ein Fahrzeug mit einer Bodenplatte aus Blech
JP4978469B2 (ja) * 2005-09-26 2012-07-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の性能評価装置および性能評価方法
JP5242032B2 (ja) * 2006-09-07 2013-07-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燃料電池構成部品
KR100821039B1 (ko) * 2007-04-24 2008-04-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 및 그 제조방법
JP5238221B2 (ja) * 2007-10-31 2013-07-17 東芝燃料電池システム株式会社 燃料電池の管理システム
US20090162732A1 (en) * 2007-12-21 2009-06-25 Marc Noblet Fuel cell employing perimeter gasket with perceivable orientation indicator
CN102742057B (zh) * 2008-03-11 2016-06-0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膜电极接合体
NL2006266C2 (en) * 2011-02-21 2012-08-22 Hyet Holding B V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or redox flow battery.
DE102011120556B4 (de) 2011-12-08 2016-03-03 Daimler Ag Bipolarplatte für eine Brennstoffzell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1405808B1 (ko) * 2012-12-28 2014-06-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연료전지스택의 노출충전부 절연 장치
CN104617324B (zh) * 2015-01-09 2017-02-22 苏州象雄测控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测试功能的燃料电池组
DE102015221594A1 (de) * 2015-11-04 2017-05-04 Volkswagen Ag Verfahren zur Fertigung eines Brennstoffzellenstapels sowie für das Verfahren geeignete Bipolarplatte
DE102016208891A1 (de) * 2016-05-23 2017-11-23 Thyssenkrupp Ag Brennstoffzellenmodul
CN110378443B (zh) * 2018-04-12 2024-04-16 武汉众宇动力系统科技有限公司 用于气体燃料电池的燃料箱及其属性检测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23956A (en) * 1937-02-17 1938-07-19 Ole N Olson Battery identification tag
US4198597A (en) * 1978-08-23 1980-04-1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Negative cell detector for a multi-cell fuel cell stack
JPH0837012A (ja) * 1994-07-22 1996-02-06 Fuji Electric Co Ltd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H0992324A (ja) 1995-07-20 1997-04-04 Toyota Motor Corp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燃料電池
EP0912980A2 (en) 1996-07-15 1999-05-06 Remote Ocean Systems Underwater inspection system for nuclear power facilities
JPH1066266A (ja) * 1996-08-22 1998-03-06 Hitachi Ltd 携帯端末用充電池の管理方法
US6051338A (en) * 1996-08-22 2000-04-18 Dai Nippon Printing Co., Ltd. Electrode plate for secondary battery with nonaqueous electrolyte
US6296960B1 (en) * 1997-10-06 2001-10-02 Reve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al power using metal-air fuel cell battery technology
JP4060431B2 (ja) * 1998-03-11 2008-03-12 株式会社ガスター 製品検査装置
JP2001057711A (ja) * 1999-01-25 2001-02-27 Zip Charge:Kk 電気車両用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電気車両用バッテリ、電気車両用バッテリ充電装置、バッテリ販売装置及び電気車両用バッテリ管理システム
US6428917B1 (en) 1999-12-27 2002-08-06 Plug Power Inc. Regulating the maximum output current of a fuel cell stack
JP2002161997A (ja) * 2000-11-24 2002-06-07 Sony Corp 水素カートリッジ、水素ガス供給システム及び水素カートリッジの管理方法
US6828055B2 (en) * 2001-07-27 2004-1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ipolar plates and end plates for fuel cel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55484A1 (en) 2003-02-13
CN1539175A (zh) 2004-10-20
KR20040014676A (ko) 2004-02-14
EP1470603A2 (en) 2004-10-27
DE60218747D1 (de) 2007-04-19
EP1470603B1 (en) 2007-03-07
US20040247951A1 (en) 2004-12-09
CN100479241C (zh) 2009-04-15
JP2003115319A (ja) 2003-04-18
US7754358B2 (en) 2010-07-13
DE60218747T2 (de) 2007-11-15
WO2003012902A2 (en) 2003-02-13
RU2273918C2 (ru) 2006-04-10
WO2003012902A3 (en) 2004-07-29
CA2455484C (en) 2009-05-05
JP3988563B2 (ja) 2007-10-10
RU2004106153A (ru) 2005-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068B1 (ko) 연료전지 요소
US5543241A (en) Fuel cell
US77543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direct liquid fuel cell generator, and direct liquid fuel cell generator
US20090029230A1 (en) Fuel Cell and Fuel Cell Stack
US7875405B2 (en) Side-by-side fuel cells
JP3916912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US8663870B2 (e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linked bonded bodies
JP4085796B2 (ja) 燃料電池単セル
JP4816868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のセル電圧測定構造
US20100221637A1 (en) Film electrode assembly
US20040258969A1 (en) Fuel-cell stack
Mukerjee et al. Solid oxide fuel cell development: latest results
US20220416264A1 (en) Method of monitoring and replacing fuel cell stacks within a fuel cell stack assembly
CN113540533B (zh) 燃料电池系统、和燃料电池组的能否再用的判断方法
US20040013916A1 (en) Environment neutralization of pem bipolar plate fuel cell effluent in situ
JP2000058100A (ja) 電極積層構造体
EP3032630A1 (en) Deformation absorbing member and fuel cell
US20110039186A1 (en) Disc Type Solid Oxide Fuel Cell
Detti et al.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model for prognosis
US20230313788A1 (en) Compression apparatus
CN115863726A (zh) 电堆结构及固体氧化物燃料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