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855B1 -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 Google Patents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855B1
KR100576855B1 KR1020030094303A KR20030094303A KR100576855B1 KR 100576855 B1 KR100576855 B1 KR 100576855B1 KR 1020030094303 A KR1020030094303 A KR 1020030094303A KR 20030094303 A KR20030094303 A KR 20030094303A KR 100576855 B1 KR100576855 B1 KR 100576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metal layer
type semiconductor
emitting diod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2281A (ko
Inventor
박영호
함헌주
유승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6855B1/ko
Priority to JP2004148795A priority patent/JP2005183909A/ja
Priority to US10/852,437 priority patent/US7015512B2/en
Publication of KR2005006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onding areas
    • H01L2224/0601Structure
    • H01L2224/0603Bonding areas having different sizes, e.g. different heights or wid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regions, e.g. laterally discontinuous light emitting layer or photoluminescent region integr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body

Abstract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가 개시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장방형 사파이어 기판의 표면에 n형 반도체층이 형성되고, 상기 n형 반도체층은 복수의 장방형의 제1 영역과 이들 제1 영역을 분할하도록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교차 형성된 제2 영역을 갖는다. 상기 n형 반도체층의 제2 영역 위에는 복수의 p형 반도체층이 형성되어 메사 구조를 각각 형성하고 이 메사 구조는 적어도 한 쌍의 대각 방향 모퉁이가 안쪽으로 둥글게 만입되어 제1 분지를 형성한다. 상기 메사 구조 위에는 복수의 제1 금속층이 이와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 영역 위에는 제2 금속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금속층 위에는 복수의 제1 전기 접속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분지에 해당하는 상기 제2 금속층에 복수의 제2 전기 접속부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전류 집중 현상을 극복하여 전체 발광 영역에서 균일한 전류 밀도를 갖도록 하면서 넓은 발광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균일하고도 높은 휘도의 발광을 구현할 수 있다.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분지, 만곡

Description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HIGH POWER FLIP CHIP L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 내지 8i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2, 202, 302, 402: 기판
104, 204, 304, 404: n형 반도체
106, 206, 306, 406: n형 반도체 제1 영역
108, 208, 308, 408: n형 반도체 제2 영역
110, 210, 310, 410: p형 반도체
112, 114, 212, 214, 312, 412, 414: 분지
116, 216, 316, 416: 제1 금속층
118, 218, 318, 418: 제2 금속층
120, 220, 320, 420: 접속부
본 발명은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전류 집중 현상을 극복하여 전체 발광 영역에서 균일한 전류 밀도를 갖도록 하면서 넓은 발광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균일하고도 높은 휘도의 발광을 구현할 수 있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 즉 LED(Light-Emitting Diode)는 기본적으로 p형과 n형 반도체 의 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압을 가하면 전자와 정공의 결합으로 밴드갭(band gap)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는 일종의 광전자소자(optoelectric device)이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일반 전자기기의 표시장치로 사용됨으로써 일상 생활과 친숙해졌다. 초창기에는 낮은 휘도와 색깔의 한계가 있었으나 현재 새로운 발광다이오드 원재료와 진보된 생산기술로 백색을 포함한 가시광선 영역의 모든 색상으로 발광하는 고휘도 발광다이오드가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고휘도, 고효율, 다양한 색상의 발광다이오드는 이미 여러 나라에서 대형 전광판, 피난 유도등(exit lamp), 교통 신호등 및 차량의 표시등과 같은 각종 표시장치로 응용되고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작고, 가볍고, 내구성이 크며, 수명이 길기 때문에 향후 한층 더 광범위한 영역에서 응용되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발광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상은 반도체 물질의 성분에 따라 결정되는데, 현재 고휘도 발광다이오드에 주로 사용하는 반도체 물질로는 ZnSe 및 GaN, InN, AlN 등과 같은 질화물과 이들 질화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질화물 화합물이 있으며, 특히 GaN가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GaN의 결정 성장은 MOCVD(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주로 사용한다. MOCVD는 주로 700 내지 1200℃의 반응용기 내에 유기화합물 반응가스를 공급하여 기판 표면에 에피택셜층(epitaxial layer)을 성장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기판으로는 사파이어 기판이나 SiC 기판을 주로 사용하며, 상기 사파이어 또는 SiC 기판과 그 위에 성장되는 질화물 즉 에피택셜층 사이의 격자부정합에 의한 스트레스를 방지하도록 이들 사이에 저온 성장층인 버퍼층을 대략 20 내지 30nm의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양질의 결정 성장을 도모한다.
최근 발광다이오드는 응용분야가 다양해지고 특히 조명용으로 사용됨으로써 보다 높은 휘도와 보다 큰 칩 치수 및 큰 발광 면적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큰 발광 면적과 높은 휘도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플립 칩 구조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의 일례인 미국특허 제6,573,537호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투명한 기판 또는 상판(superstrate)(10)에는 n형 에피택셜층 즉 n형 반도체층(11)과 이 n형 반도체층(11)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1 영역 위에 (도시 생략된) p형 반도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p형 반도체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1 영역에는 p 전극(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n형 반도체층(11)의 제2 영역과 p형 반도체층의 제2 영역에는 n 전극(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전극(20, 22)은 전도성 접점(41)에 의해 전원과 연결된다. 이때 전류 집중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n 전극(22)은 가느다란 핑거(finger) 형태로 p 전극(22)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기술의 발광다이오드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즉 가느다란 n 전극(22)의 핑거는 넓은 p 전극(22) 사이로 연장되어 전류를 그 하단의 접점(41)으로부터 공급받는다. 하지만, n 전극(22) 핑거가 매우 가늘기 때문에 n 전극(22)의 핑거의 말단 즉 상단과 인접한 p 전극(22)에 공급되는 전류 밀도는 n 전극(22) 핑거의 하단과 인접한 p 전극(22)에 공급되는 전류 밀도보다 작 게 된다. 그 결과, 발광다이오드 칩 전체의 전류 밀도가 불균일해지지므로 발광 상태도 역시 불균일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n 전극측 접점을 핑거의 양단에 형성한 구성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하여도 발광다이오드 칩 전체의 전류 밀도의 불균일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류 집중 현상을 극복하여 전체 발광 영역에서 균일한 전류 밀도를 갖도록 하면서 넓은 발광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균일하고도 높은 휘도의 발광을 구현할 수 있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가 제공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장방형 기판; 복수의 장방형의 제1 영역과 이들 제1 영역을 분할하도록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교차 형성된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 상기 n형 반도체층의 제2 영역 위에 각각 형성되어 각기 메사(mesa) 구조를 형성하고 이 메사 구조는 적어도 한 쌍의 대각 방향 모퉁이가 안쪽으로 둥글게 만입되어 제1 분지를 형성하는 복수의 p형 반도체층; 상기 메사 구조 위에 이와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1 금속층; 상기 제2 영역 위에 형성된 제2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위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1 전기 접속부; 및 상기 제1 분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금속층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2 전기 접속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사 구조는 나머지 모퉁이가 둥글게 형성되어 제2 분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분지는 모두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거나 제1 및 제2 분지는 각기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금속층은 한 쌍의 대각 방향 모퉁이를 중심으로 대칭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 둘레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판은 사파이어 기판, 탄화규소(SiC) 기판, 산화물 기판 및 탄화물 기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가 제공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장방형 기판; 복수의 장방형의 제1 영역과 이들 제1 영역을 분할하도록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교차 형성된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 상기 n형 반도체층의 제2 영역 위에 각각 형성되어 각기 메사 구조를 형성하고 이 메사 구조는 모든 모퉁이가 안쪽으로 둥글게 만입되어 분지를 형성하는 복수의 p형 반도체층; 상기 메사 구조 위에 이와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1 금속층; 상기 제2 영역 위에 형성된 제2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위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1 전기 접속부; 및 상기 분지에 위치한 상기 제2 금속층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2 전기 접속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지는 모두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금속층은 한 쌍의 대각 방향 모퉁이를 중심으로 대칭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 둘레에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기판은 사파이어 기판, 탄화규소(SiC) 기판, 산화물 기판 및 탄화물 기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특징 및 장점을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하기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100)는 대체로 장방형인 기판(102), 이 기판(102) 위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104), 이 n형 반도체층(104)의 제1 영역(106) 위에 형성된 p형 반도체층(110), 이 p형 반도체층(110)의 위에 서로 격리되어 형성된 복수의 제1 금속층(116), n형 반도체층(104)의 제2 영역(108) 위에 형성된 제2 금속층(118), 상기 제1 금속층(116) 위 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1 접속부(120) 및 상기 제2 금속층(118) 위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접속부{제1 분지(112)에 해당}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장방형 기판(102)은 사파이어, 탄화규소(SiC), 산화물 및 탄화물과 같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n형 반도체층(1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n형 반도체층(104)은 기상 증착 등에 의해 기판(102) 위에 성장되며, 바람직하게는 n형 GaN를 성장시켜 형성한다. 이때, 기판(102)과 n형 반도체층(104) 사이에 통상 버퍼층(도시 생략)을 형성하여 이들 사이의 격자부정합에 의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있다.
n형 반도체층(104)의 제1 영역(106)의 상면에는 p형 반도체층(110)이 형성되어 있다. p형 반도체층(110)은 바람직하게는 기상 증착 등에 의해, 특히 GaN를 성장시켜 n형 반도체층(104)의 제1 영역(106) 위에 형성된다. p형 반도체층(110)은 하부의 n형 반도체층(104)의 제1 영역(106)과 함께 대체로 장방형으로 융기된 메사(mesa)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메사 구조라 함은 n형 반도체층(104)의 제1 영역(106)과 p형 반도체층(110)이 이루는 융기 구조를 의미하며, 또한 이들 제1 영역(106)과 p형 반도체층(110)을 함께 부를 때 사용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서 n형 반도체층(104)의 제1 영역(106)이 제2 영역(108)에 비해 융기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영역(106, 108)은 실질적으로 동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2 영역(108) 위에 제2 금속층(118) 직접 형성될 수 있도록 제2 영역(108)이 p형 반도체층(110)에 의해 덮이지 않는 구조이면 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n형 반도체층(104)과 p형 반도체층(110) 사이에는 활성층(active region)이 형성되어 있다. 빛을 발산하는 활성층은 통상 InGaN층을 우물로 하고, 벽층(barrier layer)으로 (Al)GaN층을 성장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청색 발광다이오드에서는 InGaN/GaN 등의 다중 양자 우물 구조, 자외선 발광다이오드에서는 GaN/AlGaN, InAlGaN/InAlGaN 및 InGaN/AlGaN 등의 다중 양자 우물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활성층의 효율 향상에 대해서는, In 또는 Al의 조성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빛의 파장을 조절하거나, 활성층 내의 양자 우물의 깊이, 활성층의 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발광다이오드의 내부 양자 효율 (ηi)을 향상시키고 있다.
n형 반도체층(104)의 제2 영역(108)에 의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분할된 네 개의 메사 구조는 대각 방향으로 대향된 한 쌍의 제1 모퉁이가 안쪽으로 둥글게 만입되어 메사 구조들 사이에 제1 분지(112)를 형성하고 다른 한 쌍의 제2 모퉁이가 말단이 만곡되어 메사 구조들 사이에 제1 분지(112)보다 작은 면적의 제2 분지(114)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100)는 모두 네 개의 제1 분지(112)와 이들보다 작은 면적의 다섯 개의 제2 분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메사 구조는 네 모퉁이가 안쪽으로의 만입 여부에 관계없이 모두 둥글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모두 동일한 반경을 갖는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활성층의 전류 밀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p형 반도체층(108) 위에는 네 개의 제1 금속층(116)이 p형 반도체층(108)의 대부분의 표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금속층(116)은 p형 반도체층(108)을 포함하는 메사 구조에 의해 정해지는 평면 아웃라인(outline)을 갖게 된다. 즉 제1 금속층(116)은 제1 분지(112) 쪽의 한 쌍의 모퉁이는 안쪽으로 둥글게 만입되어 있고, 제2 분지(114) 쪽의 다른 한 쌍의 모퉁이는 그 말단이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금속층(116)은 바람직하게는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 형상을 갖는다.
제1 금속층(116)은 금속을 기상 증착하여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양극으로 기능한다. 또한 제1 금속층(116)은 활성층에서 발생하는 빛을 사파이어 기판(102) 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층의 기능을 가지므로 높은 반사율을 갖는 은 또는 알루미늄이 적절하며, 특히 은이 바람직하다.
n형 반도체층(104)의 제2 영역(108)의 상면에는 제2 금속층(118)이 제1 금속층(116)을 네 개의 격리된 영역으로 분할하도록 형성되며 제2 금속층(118)은 하나로 이어져 있다. 제2 금속층(118)은 바람직하게는 음극이며, TiAl 또는 CrAu 등의 금속을 기상 층착하여 형성한다.
한편, 도시한 것은 아니지만, 상기 제1 및 제2 금속층(116, 118)이 덮이지 않은 n형 및 p형 반도체(104, 110)의 나머지 표면은 이산화규소(SiO2)와 같은 산화물이 박막 형태로 피복되어 있다. 이 산화물층에 대해서는 도 8e 내지 8h에 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제1 금속층(116)의 상면에는 전원 단자의 기능을 하는 각기 접속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분지(112)에 위치한 제2 금속층(118)의 상면에도 전원 단자 의 기능을 하는 접속부가 각기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접속부(120)는 제1 금속층(116)과 솔더 범프 사이의 결합성(wettability)를 증가시키도록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계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 금속층(116) 위에 솔더 범프가 직접 토출되는 경우, 은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제1 금속층(116)은 솔더 범프와 잘 젖지 않기 때문에, 즉 결합성이 낮기 때문에, 제1 금속층(116)과 솔더 범프 사이에 전도성 계면인 접속부(120)를 형성하여 그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전도성 계면은 통상 b 메탈(b-metal)이라고도 부르며, 바람직하게는 Au로 구성된다.
한편, TiAl 또는 CrAu 등으로 구성되는 제2 금속층(118)은 솔더 범프와의 결합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하기 때문에, 제1 분지(112)에 위치한 제2 금속층(118)은 전도성 계면 없이 그 자체로 접속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100)에서, 각각의 음극 접속부가 양극 접속부(120)의 한 쌍의 모퉁이 쪽에 위치한다. 즉 음극의 접속부는 제1 분지(112)에 위치한 제2 금속층(118)에 형성되어 제1 금속층(116)의 한 쌍의 대각방향 모퉁이 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금속층(116)은 인접한 한 쌍의 음극의 접속부를 중심으로 대칭의 형상을 갖고 제2 금속층(118)이 제1 금속층(116)을 에워싸고 있기 때문에, 제2 금속층(118)으로부터 n형 반도체층(104)과 p형 반도체(110) 사이의 발광영역 즉 활성층으로 이동하는 캐리어(즉 전자)의 흐름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메사 구조의 모퉁이가 모두 만곡되어 평면 아웃라인이 원에 가깝게 형성되기 때문에 메사 구조의 활성층도 역시 원에 가까운 평면 아웃라인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평면 아웃라인도 역시 활성층의 전류 밀도를 균일하게 해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200)는 다섯 개의 제1 분지(212)가 전체 발광다이오드(200)의 중앙과 네 모퉁이에 형성된 점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의 도면부호에는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부여된 도면부호에 각각 100씩 더하여 표시하였다.
이 구성에서도, 각각의 음극 접속부(도시 생략)가 양극 접속부(220)의 한 쌍의 대각방향 모퉁이 쪽에 위치한다. 즉 음극의 접속부는 제1 분지(212)에 위치한 제2 금속층(218)에 형성되어 제1 금속층(216)의 한 쌍의 모퉁이 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금속층(216)이 이들 대각 방향 음극 접속부를 중심으로 대칭의 형상을 갖고 메사 구조 상부의 활성층도 역시 둥근 모퉁이에 의해 원에 가까운 평면 아웃라인을 갖게 되므로, 제2 금속층(218)에서 n형 반도체층과 p형 반도체(210) 사이의 발광영역 즉 활성층으로 이동하는 캐리어( 즉 전자)의 흐름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300)는 음극 접속부(도시 생략)가 분지(312)에 해당하는 제1 금속층(316)의 네 모퉁이 쪽에 모두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300)의 나머지 구성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100, 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 구성요소에는 각각 300번대의 도면부호를 표시하였다.
이 구성에서는, 각각의 음극 접속부가 양극 접속부(320)의 모든 모퉁이 쪽에 위치한다. 즉 이 구성에서는 메사 구조의 네 모퉁이가 모두 안쪽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분지(312)에 제2 금속층(318)의 접속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금속층(316)이 이들 접속부를 중심으로 대칭의 형상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비해 음극 접속부에 더 인접하게 위치하므로 제2 금속층(318)에서 n형 반도체층과 p형 반도체(310) 사이의 발광영역 즉 활성층으로 이동하는 캐리어(즉 전자)의 흐름이 더욱 균일하게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400)는 제1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100)의 구성과 제2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200)의 구성을 조합한 형태이다. 즉 한 쌍의 메사 구조의 대각 방향으로 대향된 한 쌍의 제1 모퉁이에는 제1 분지(412)가 형성되고 다른 한 쌍의 제2 모퉁이에는 상기 제1 분지(412)보다 작은 면적의 제2 분지(4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도, 각각의 음극 접속부(도시 생략)가 양극 접속부(420)의 한 쌍의 모퉁이 쪽에 위치한다. 즉 음극의 접속부는 메사 구조의 제1 분지(412)에 위치한 제2 금속층(418)에 형성되어 메사 구조의 상면에 형성된 제1 금속층(416)의 한 쌍의 모퉁이 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금속층(416)이 이들 대각 방향 접속부를 중심으로 대칭의 형상을 갖고 메사 구조의 활성층도 역시 둥근 모퉁이에 의해 원에 가까운 평면 아웃라인을 갖게 되므로, n형 반도체층과 p형 반도체(410) 사이의 발광영역 즉 활성층에서 이동하는 캐리어(즉 전자)의 흐름이 균일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4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400)가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100, 200)와 동일한 면적인 경우, 각각의 제1 금속층(416)의 면적은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각각의 제1 금속층(216, 218)의 면적보다 작아지므로 활성층에서의 캐리어 흐름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 균일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 제1 실시예의 발광다이오드(100)를 기본으로 한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제조 방법을 도 8a 내지 8i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적절한 치수의 사파이어 등으로 구성된 기판(102)을 준비하고 기상 증착 등을 통해 그 상면에 버퍼층(도시 생략)을 형성시킨 다음 그 위에 n형 반도체층(104)을 미리 정해진 두께로 성장시킨다. n형 반도체(104)은 바람직하게는 n형 GaN로 구성된다.
이어, 도 8b에서와 같이, 기상 증측 등을 통해 n형 반도체층(104) 위에 p형 반도체층(110)을 미리 정해진 두께로 형성시킨다. p형 반도체층(110)은 바람직하게는 p형 GaN로 구성된다.
형성된 p형 반도체층(110) 위에 원하는 패턴을 갖는 포토레지스터(PR)를 덮고 이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도 8c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플라즈마로 건식 식각을 실시한다. 건식 식각은 포토레지스터(PR)의 개구를 통해 p형 반도체층(110)의 일부를 건식 식각하여 n형 반도체층(104)의 일부 영역 즉 제2 영역(108)을 노출시킨다(도 8d). 이때 식각은 적어도 n형 반도체층(104)의 제2 영역(108)을 노출시킬 수 있는 깊이로 수행되며, 도 8d에서와 같이 n형 반도체층(104)의 제2 영역(108)이 파이도록 수행하거나 제2 영역(108)이 제1 영역(106)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이 되도록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8b 및 8c에서와 다르게, n형 반도체층(104)을 성장시킨 다음 그 위에 일정 패턴의 포토레지스터를 덮고 포토레지스터의 개구를 통해 p형 반도체층(110)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e에서는, 도 8d에서 형성된 구조의 상면 전체에 이산화규소(SiO2)와 같은 산화물을 박막 형태로 코팅한다.
그런 다음, 도 8c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n형 반도체층(104)의 제2 영역(108)의 이산화규소(SiO2)를 식각하여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108)을 노출시킨다.
도 8g에서는 기상 증착 등에 의해 제2 금속층(118)을 노출된 제2 영역(108)에 증착시킨다. 제2 금속층(118)은 바람직하게는 TiAl 또는 CrAu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 다음, p형 반도체층(110)에 코팅된 이산화규소(SiO2)를 도 8c에서와 유사하게 플라즈마 등에 의해 식각하고 노출된 p형 반도체층(110)에 제1 금속층(116)을 증착시킨다. 제1 금속층(116)은 바람직하게는 Ag, Al 또는 그 합금으로 구성되며, Ag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어, 도 8i에서와 같이, 제1 금속층(116)의 상면에 전도성 계면인 접속부(120)을 형성한다. 전도성 계면은 통상 b 메탈(b-metal)이라고도 부르며, 바람직하게는 Au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 8i의 발광다이오드 구조에서 제1 및 제2 금속층(116, 118) 위에 제1 및 제2 접속부(120, 122)를 각각 형성하여 도 2 내지 4에서와 같은 발광다이오드(100)를 얻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는 전류 집중 현상을 극복하여 전체 발광 영역에서 균일한 전류 밀도를 가지면서 비교적 넓은 발광 면적을 확보함으로써 균일하고도 높은 휘도의 발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양극인 제1 금속층이 히트 싱크(heat sink)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발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장방형 기판;
    복수의 장방형의 제1 영역과 이들 제1 영역을 분할하도록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교차 형성된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
    상기 n형 반도체층의 제2 영역 위에 각각 형성되어 각기 메사 구조를 형성하고 이 메사 구조는 적어도 한 쌍의 대각 방향 모퉁이가 안쪽으로 둥글게 만입되어 제1 분지를 형성하는 복수의 p형 반도체층;
    상기 메사 구조 위에 이와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1 금속층;
    상기 제2 영역 위에 형성된 제2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위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1 전기 접속부; 및
    상기 제1 분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금속층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2 전기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사 구조는 나머지 모퉁이가 둥글게 형성되어 제2 분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지는 모두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지는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지는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한 쌍의 대각 방향 모퉁이를 중심으로 대칭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사파이어 기판, 탄화규소(SiC) 기판, 산화물 기판 및 탄화물 기판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9. 장방형 기판;
    복수의 장방형의 제1 영역과 이들 제1 영역을 분할하도록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교차 형성된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n형 반도체층;
    상기 n형 반도체층의 제2 영역 위에 각각 형성되어 각기 메사 구조를 형성하고 이 메사 구조는 모든 모퉁이가 안쪽으로 둥글게 만입되어 분지를 형성하는 복수의 p형 반도체층;
    상기 메사 구조 위에 이와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1 금속층;
    상기 제2 영역 위에 형성된 제2 금속층;
    상기 제1 금속층 위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1 전기 접속부; 및
    상기 분지에 위치한 상기 제2 금속층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2 전기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는 모두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층은 한 쌍의 대각 방향 모퉁이를 중심으로 대칭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 둘레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사파이어 기판, 탄화규소(SiC) 기판, 산화물 기판 및 탄화물 기판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KR1020030094303A 2003-12-20 2003-12-20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KR100576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303A KR100576855B1 (ko) 2003-12-20 2003-12-20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JP2004148795A JP2005183909A (ja) 2003-12-20 2004-05-19 高出力フリップチップ発光ダイオード
US10/852,437 US7015512B2 (en) 2003-12-20 2004-05-25 High power flip chip L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303A KR100576855B1 (ko) 2003-12-20 2003-12-20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281A KR20050062281A (ko) 2005-06-23
KR100576855B1 true KR100576855B1 (ko) 2006-05-10

Family

ID=3467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303A KR100576855B1 (ko) 2003-12-20 2003-12-20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15512B2 (ko)
JP (1) JP2005183909A (ko)
KR (1) KR100576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6855B1 (ko) * 2003-12-20 2006-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US20060001035A1 (en) * 2004-06-22 2006-01-05 Toyoda Gosei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821023B2 (en) 2005-01-10 2010-10-26 Cree, Inc. Solid state lighting component
US9070850B2 (en) 2007-10-31 2015-06-30 Cree, Inc.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US9793247B2 (en) * 2005-01-10 2017-10-17 Cree, Inc. Solid state lighting component
JP2007201420A (ja) * 2005-12-27 2007-08-09 Sharp Corp 半導体発光装置、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9335006B2 (en) * 2006-04-18 2016-05-10 Cree, Inc. Saturated yellow phosphor converted LED and blue converted red LED
US10295147B2 (en) * 2006-11-09 2019-05-21 Cree, Inc. LED arr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JP5581060B2 (ja) 2007-03-08 2014-08-27 センセオニ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過酷な環境のための発光ダイオード
KR100850784B1 (ko) * 2007-03-22 2008-08-06 한솔엘씨디 주식회사 이중 구조를 갖는 엘이디 및 그 엘이디의 구동장치
DE102008005497A1 (de) * 2008-01-22 2009-07-2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s und eines Wafers
US9425172B2 (en) * 2008-10-24 2016-08-23 Cree, Inc. Light emitter array
GB2467911B (en) * 2009-02-16 2013-06-05 Rfmd Uk Ltd A semiconductor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0110017972A1 (en) * 2009-07-22 2011-01-27 Rfmd (Uk) Limited Light emitting structure with integral reverse voltage protection
US8598809B2 (en) * 2009-08-19 2013-12-03 Cree, Inc. White light color changing solid state lighting and methods
US8729581B2 (en) * 2010-01-13 2014-05-20 Apple Inc. Light guide for LED source
US9786811B2 (en) 2011-02-04 2017-10-10 Cree, Inc. Tilted emission LED array
US10842016B2 (en) 2011-07-06 2020-11-17 Cree, Inc. Compact optically efficient solid state light source with 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USD700584S1 (en) 2011-07-06 2014-03-04 Cree, Inc. LED component
JP2013179215A (ja) * 2012-02-29 2013-09-09 Toyohashi Univ Of Technology Ledアレイ及び光電子集積装置
US9093420B2 (en) 2012-04-18 2015-07-28 Rf Micro Devices, Inc. Methods for fabricating high voltage field effect transistor finger terminations
US20150021626A1 (en) * 2012-04-27 2015-01-22 Panasonic Corporation Light-emitting device
JP5943731B2 (ja) * 2012-06-19 2016-07-05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
US9124221B2 (en) 2012-07-16 2015-09-01 Rf Micro Devices, Inc. Wide bandwidth radio frequency amplier having dual gate transistors
US9202874B2 (en) 2012-08-24 2015-12-01 Rf Micro Devices, Inc. Gallium nitride (GaN) device with leakage current-based over-voltage protection
US8988097B2 (en) 2012-08-24 2015-03-24 Rf Micro Devices, Inc. Method for on-wafer high voltage testing of semiconductor devices
US9917080B2 (en) 2012-08-24 2018-03-13 Qorvo US.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electrical overstress (EOS) protection
US9147632B2 (en) 2012-08-24 2015-09-29 Rf Micro Devices,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mproved heat dissipation
US9142620B2 (en) 2012-08-24 2015-09-22 Rf Micro Devices, Inc. Power device packaging having backmetals couple the plurality of bond pads to the die backside
US9070761B2 (en) 2012-08-27 2015-06-30 Rf Micro Devices, Inc. Field effect transistor (FET) having fingers with rippled edges
WO2014035794A1 (en) 2012-08-27 2014-03-06 Rf Micro Devices, Inc Lateral semiconductor device with vertical breakdown region
US9325281B2 (en) 2012-10-30 2016-04-26 Rf Micro Devices, Inc. Power amplifier controller
KR102099439B1 (ko) * 2013-10-08 2020-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
US9966519B2 (en) 2014-05-15 2018-05-08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Gallium nitride flip-chip light emitting diode
US9455327B2 (en) 2014-06-06 2016-09-27 Qorvo Us, Inc. Schottky gated transistor with interfacial layer
US20150364651A1 (en) * 2014-06-12 2015-12-17 Toshiba Corporation Flip-Chip Light Emitting Diode Assembly With Relief Channel
US9536803B2 (en) 2014-09-05 2017-01-03 Qorvo Us, Inc. Integrated power module with improved isolation and thermal conductivity
TWD174128S (zh) * 2014-10-28 2016-03-0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元件之部分
TWD180312S (zh) * 2014-10-30 2016-12-2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元件之部分
TWD180313S (zh) 2014-11-05 2016-12-2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元件之部分
TWD180314S (zh) * 2014-11-10 2016-12-2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元件之部分
TWD172675S (zh) * 2014-12-19 2015-12-2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陣列之部分
US10615158B2 (en) 2015-02-04 2020-04-07 Qorvo Us, Inc. Transition frequency multiplier semiconductor device
US10062684B2 (en) 2015-02-04 2018-08-28 Qorvo Us, Inc. Transition frequency multiplier semiconductor device
USD762596S1 (en) * 2015-04-02 2016-08-02 Genesis Photonics Inc.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substrate
KR102316325B1 (ko) * 2015-07-06 2021-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8043B1 (ko) 2017-01-12 202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로팅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CN107146833B (zh) * 2017-04-25 2020-05-29 淮安澳洋顺昌光电技术有限公司 Led倒装芯片的制备方法
JP7368696B2 (ja) * 2019-07-31 2023-10-2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3537B1 (en) 1999-12-22 2003-06-03 Lumileds Lighting, U.S., Llc Highly reflective ohmic contacts to III-nitride flip-chip LEDs
KR100576855B1 (ko) * 2003-12-20 2006-05-10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281A (ko) 2005-06-23
US7015512B2 (en) 2006-03-21
JP2005183909A (ja) 2005-07-07
US20050133795A1 (en)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6855B1 (ko) 고출력 플립 칩 발광다이오드
US10608141B2 (en) Light emitting diode chip having electrode pad
US7880181B2 (en) Light emitting diode with improved current spreading performance
US9281454B2 (en) Thin film light emitting diode
US7897981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994523B2 (en) A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improved transparent electrode structure
KR100631414B1 (ko)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US20070048885A1 (en) Thin film led
KR100691497B1 (ko)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8481352B2 (en) Method of fabricating light emitting diode chip
KR101261214B1 (ko) 발광 다이오드 제조방법
EP4141971A1 (en) Single-chip multi band light-emitting diode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0670929B1 (ko) 플립칩 구조의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72705B1 (ko) 균일한 전류밀도 특성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KR100646635B1 (ko) 복수 셀의 단일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15533B1 (ko) 플립칩 구조의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63910B1 (ko)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