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6770B1 - 촬상장치,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앨범파일작성방법 및 앨범파일작성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앨범파일작성방법 및 앨범파일작성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6770B1
KR100576770B1 KR1020030039298A KR20030039298A KR100576770B1 KR 100576770 B1 KR100576770 B1 KR 100576770B1 KR 1020030039298 A KR1020030039298 A KR 1020030039298A KR 20030039298 A KR20030039298 A KR 20030039298A KR 100576770 B1 KR100576770 B1 KR 100576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image
album
mod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2620A (ko
Inventor
미야타아키라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6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6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85Image output
    • H04N1/00196Creation of a photo-montage, e.g. photoalb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7Data linking a set of images to one another, e.g. sequence, burst or continuous capture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한 화상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 가능한 독립된 데이터로서의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파일 등을 작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앨범파일작성방법 및 앨범파일작성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며, 데이터량을 가급적으로 적게 하면서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킨 HTML파일을 작성하고, 또한 관상성이 있는 화상을 표시시키며, 촬영모드선택처리를 실행한 후(S101), 앨범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S102), 앨범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앨범모드로 촬영을 실시하며(S104), 앨범모드에서의 촬영의 종료가 입력되면(S105),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S105; YES) 앨범모드로 촬영하여 화상기록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만으로 HTML파일을 작성하고(S107), 또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 지시가 없었던 경우에는(S105; NO) 전원OFF 때에 앨범모드로 촬영하여 화상기록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만으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S108)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카메라, 액정표시부, 광학파인더, 촬상소자, TG, 유닛회로, 화상기록매체

Description

촬상장치,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앨범파일작성방법 및 앨범파일작성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IMAGING APPARATUS, METHOD OF CREATING ALBUM FILES, AND A STORAGE MEDIUM THAT RECORDS METHOD OF CREATING ALBUM FILES}
도 1은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공통하는 디지털카메라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공통하는 디지털카메라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HTML각종설정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메뉴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스텝 S303의 처리 때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스텝 S305의 처리 때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스텝 S307의 처리 때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스텝 S308 및 스텝 S311의 처리 때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스텝 S309의 HTML용 축소화상작성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스텝 S312의 오토런파일작성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지털카메라 2: 본체
3: 액정표시부 4: 광학파인더
5: 十자커서키 6: 셔터키
7: 각종메뉴키 8: 광학렌즈
9: 촬상소자 10: TG
11: 유닛회로 12: 제어부
13: 렌즈구동회로 14: 화상기록매체
15: 조작키부 16: 메모리
17: RAM 121: 화상처리회로
122: 작성모드설정부 123: 파일작성부
124: 촬영모드설정부 125: 사용자설정부
126: 축소화상작성부 127: 명령파일작성부
301: 메뉴화면
본 발명은 촬영한 화상을 이용하여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파일 등을 작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촬상장치,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앨범파일작성방법 및 앨범파일작성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촬영한 화상을 용도별로 폴더에 나누어서 기록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카메라가 제안되고, 또한 촬영한 전화상을 일람 표시하기 위해 HTML파일을 작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카메라가 출연하는 데에 이르고 있다.
HTML파일을 작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카메라에 있어서는 촬영한 기존의 화상(프리뷰화상, 본래화상(촬영된 화상))으로부터 HTML파일을 작성한다. 따라서 HTML파일에서 일람 표시되는 화상은 프리뷰화상이고, 화상이 선택되어 확대 표시하는 링크처는 본래화상이다. 또 HTML파일의 타입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도 있고, 촬영 때의 정보표시나 슬라이드쇼 기능을 부가하는지 아닌지 등에 의해서 다른 복수의 타입(예를 들면 타입1∼타입 4)이 메뉴화면 위에 표시되며, 이것을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타입으로 HTML파일이 작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HTML파일을 작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카메라에 있어서는 해당 작성기능이 ON으로 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촬영한 화상의 전부로부터 HTML파일을 작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화상만으로 이루어지는 HTML파일을 작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파일의 데이터량이 불필요하게 팽대하게 되어 보존이나 전 송 등의 파일의 취급에 지장이 발생하여 버린다.
또 사용자의 의사를 HTML파일에 반영시킬 수 있는 범위도 파일의 타입을 선택할 수 있는 정도이고,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킨 화상을 갖는 HTML파일을 작성할 수 없다.
또한 HTML파일작성 때에 링크처로 되는 화상은 촬영된 본래화상이다. 따라서 작성된 HTML파일을 퍼스컴 상에서 보는 경우, 링크처의 본래화상의 데이터량이 크면 처리부하도 커져 처리속도가 저하해서 표시되기까지에 시간을 요하여 버린다. 물론 프리뷰화상만을 보는 것이라면 처리속도상의 지장은 발생하지 않는데, 화상이 작아 불선명해서 화상을 관상하려고 하는 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없다.
제 1 발명의 촬상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기록부와, 화상데이터를 일람으로 표시한 앨범파일을 작성하는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작성모드설정부와, 상기 작성모드설정부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록된 상기 화상데이터로부터 앨범파일을 작성하는 파일작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의 촬상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부와, 복수의 촬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촬영모드설정부와, 상기 촬영모드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촬영모드에 따라서 상기 촬상신호를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기록부에 기록된 상기 화상데이터로부터 상기 촬영모드마다의 화상데이터를 일람으로 표시한 앨범파일을 작성하는 파일작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의 촬상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부와, 복수의 촬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촬영모드설정부와, 상기 촬영모드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촬영모드에 따라서 상기 촬상신호를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기록부와, 화상데이터를 일람으로 표시한 앨범파일에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키기 위한 요소를 설정하는 사용자설정부와, 상기 기록부에 기록된 상기 화상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요소에 따른 앨범파일을 작성하는 파일작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각 실시형태에 공통하는 디지털카메라(1)의 외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디지털카메라(1)는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2)를 가지며, 상기 본체 (2)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광학렌즈(8)가 배치되어 있다. 또 배면에는 액정표시부 (3)와 광학파인더(4) 및 十자커서키(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면에는 셔터키 (6)와 각종메뉴키(7)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각 실시형태에 공통하는 디지털카메라(1)의 전기적인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디지털카메라는 상기 본체(2)의 전면에 배치된 광학렌즈 (8), 상기 광학렌즈(8)에 의해 결상되는 촬상소자(9)와, 촬상소자(9)를 구동하기 위한 TG(10)와, 촬상소자(9)로부터 출력된 촬상신호를 홀딩하는 CDS, 그 촬상신호를 증폭하는 게인조정앰프(AGC), 증폭 후의 촬상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AD)로 이루어지는 유닛회로(11)를 갖고 있다. 그리고 피사체의 상이 광학렌즈(8)를 통하여 촬상소자(9) 위에 결상되며, 촬상소자(9)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촬상소자(9)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유닛회로(11)에서 샘플링, 증폭, 디지털화되어 제어부(12)로 보내져 제어부(12)의 화상처리회로(121)내에서 휘도로 변환되고, 휘도의 적분이나 히스트그램처리가 실시된다.
상기 광학렌즈(8)는 AF모터 등을 구비하는 렌즈구동회로(13)에 홀딩되어 있고, 렌즈구동회로(13)가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며, 촬상소자(9)에 결상되는 피사체상의 포커스를 조정한다. 또 AE제어 때에는 촬상소자(9)가 제어부(12)로부터 보내지는 셔터펄스에 의거하여 TG(10)에 의해서 구동되어 그 전하축적시간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전자셔터가 실현된다.
제어부(12)는 각 부를 제어하는 것이고, 통상모드, 풍경모드, 포트레이트(인물)모드, 매크로모드, 파노라마모드 등의 해당 디지털카메라(1)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촬영모드에 따른 각종의 신호처리 및 화상처리기능을 구비한 것이며, 유닛회로(11)를 거쳐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촬상신호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생성하고, 촬상소자(9)에 의해서 촬상한 피사체상을 스루화상(through image)으로서 TFT액정모니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액정표시부(3)에 표시시킨다. 또 촬상 때에는 상기 모드에 따라서 신호처리 및 화상처리한 촬상신호를 압축하여 JPEG포맷의 화상파일을 생성하고, 그것을 플래시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착탈 자유로운 화상기록매체(기록부, 14)에 기억시키며, 재생 때에는 압축한 화상파일을 신장하여 액정표시부(3)에 표시시킨다.
또 제어부(12)에는 앨범파일(HTML파일 등)을 작성하는 모드를 설정하는 작성모드설정부(122), 앨범파일을 작성하는 파일작성부(123), 복수의 촬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촬영모드설정부(124), 앨범파일에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키기 위한 설정을 실시하는 사용자설정부(125), 앨범파일에 관련지우는 전용의 축소화상을 작성하는 축소화상작성부(126), 앨범파일을 자동적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컴퓨터에 대한 명령파일을 작성하는 명령파일작성부(127)를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12)에는 상기 十자커서키(5), 셔터키(6), 각종메뉴키(7) 등으로 이루어지는 조작키부(15), 메모리(16) 및 RAM(17)이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16)는 제어부(12)에 의한 각 부의 제어 및 각종 데이터처리에 필요한 동작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그램ROM이고,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RAM(1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HTML파일을 작성할 때 등에 있어서 제어부(12)의 작업용으로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이상의 구성에 관련되는 디지털카메라(1)의 동작을 도 3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디지털카메라(1)는 제어부(12)가 상기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동작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 우선 촬영모드선택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01). 상기 촬영모드선택처리에 대해서는 각종메뉴키(7)의 조작에 응답해서 액정표시부(3)에 「통상모드」「풍경모드」「포트레이트(인물)모드」「매크로모드」「파노라마모드」「앨범모드」 등의 각종 촬영모드메뉴를 표시하고, 十자커서키(5) 등의 조작에 의해 어느 것인가가 선택되었다면 해당 선택된 촬영모드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텝 S101에서의 처리에 의해 앨범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02). 그리고 앨범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 다른 촬영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정되어 있는 각종 촬영모드로 촬영을 실시한다(스텝 S103). 즉 셔터키(6)의 조작에 응답해서 상술의 스텝 S101에서 설정되어 있는 모드에 따라 촬상신호를 처리하여 압축하고, JPEG포맷의 화상파일을 생성하며, 그것에 파일명을 붙여서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
한편 스텝 S102에서의 판단의 결과, 앨범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앨범모드로 촬영을 실시하여(스텝 S104) 셔터키(6)의 조작에 응답해서 통상 촬영과 똑같이 촬상신호를 압축하고, JPEG포맷의 화상파일을 생성하여 그것을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각종메뉴키(7)에 대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 앨범모드에서의 촬영의 종료가 입력되면(스텝 S105),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06).
사용자에 의한 각종메뉴키(7)에 대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상술의 스텝 S104에 있어서 앨범모드로 촬영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만으로 HTML파일을 작성하여 화상기록매체 (14)에 기억시킨다(스텝 S107). 또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 지시가 없었던 경우에는 전원OFF 때에 상술의 스텝 S104에 있어서 앨범모드로 촬영하여 화상기록매체 (1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만으로 HTML파일을 작성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스텝 S108).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의사로 설정한 앨범모드에 있 어서 촬영된 화상만으로 이루어지는 HTML파일, 즉 사용자가 소망하는 화상만으로 이루어지는 HTML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HTML파일에 포함되는 화상에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파일의 데이터량을 가급적으로 작게 하여 보존이나 전송 등의 파일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4∼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텝 S101과 똑같이 촬영모드선택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201), 앨범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202). 앨범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 다른 촬영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설정되어 있는 각종 촬영모드로 촬영을 실시한다(스텝 S203).
한편 스텝 S202에서의 판단의 결과, 앨범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앨범모드로 촬영을 실시하여(스텝 S204) 셔터키(6)의 조작에 응답해서 촬상신호를 압축하고, JPEG포맷의 화상파일을 생성하여 그것을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각종메뉴키(7)에 대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 앨범모드에서의 촬영의 종료가 입력되면(스텝 S205), HTML각종설정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206).
상기 스텝 S206에 있어서의 HTML각종설정처리는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실행된다. 즉 우선 액정표시부(3)에 HTML작성의 각종설정메뉴를 표시시킨다(스텝 S301). 상기 스텝 S301에서의 처리에 의해 액정표시부(3)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선택」「레이아웃」「배경색」「링크」「오토런파일(auto- run file)」의 선택 가지로 이루어지는 메뉴화면(301)이 표시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뉴화면(301)으로부터 소정의 키조작에 의해 「화상선택」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S302), 선택된 경우에는 HTML파일을 작성하고 싶은 화상을 선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303).
상기 스텝 S303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의 스텝 S204에서 앨범모드로 촬영을 실시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록한 화상 P1, P2‥·를 액정표시부(3)에 축소 표시시킨다. 그리고 상기 축소 표시시킨 화상 P1, P2‥·로부터 소정의 키조작에 의해 임의의 수의 화상이 선택되었다면 선택된 화상의 파일명을 RAM(17)에 기억한다.
또 스텝 S304에서는 상기 메뉴화면(301)으로부터 HTML파일을 작성할 때의 「레이아웃」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선택된 경우에는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305). 상기 스텝 S305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종의 레이아웃패턴 L1, L2, L3, L4‥·를 액정표시부(3)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상기 표시된 레이아웃패턴 L1, L2, L3, L4‥·로부터 소정의 키조작에 의해 어느 것인가의 레이아웃패턴이 선택되었다면 선택된 레이아웃패턴을 RAM(17)에 기억한다.
또 스텝 S306에서는 상기 메뉴화면(301)으로부터 「배경색」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선택된 경우에는 색을 선택하는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307). 상기 스텝 S307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종의 다른색 C1, C2, C3‥·을 액정표시부(3)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상기 표시된 색 C1, C2, C3‥·으로부터 소정의 키조작에 의해 어느 것인가의 색이 선택되었다면 선택된 색을 RAM(17)에 기억한다.
또 스텝 S308에서는 본래화상으로의 링크를 확립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308에서의 판단에 대해서는 상기 메뉴화면(301)으로부터 「링크」가 선택되었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N」「OFF」를 액정표시부(3)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소정의 키조작에 의해 「ON」이 선택된 경우에는 본래화상(상술의 스텝 S204에서 앨범모드로 촬영을 실시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록한 화상)으로의 링크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스텝 S308; YES), 본래화상으로 링크시키는 것을 RAM(17)에 기입한다(스텝 S310). 그러나 「OFF」가 선택된 경우에는 축소화상으로의 링크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스텝 S308; NO), HTML용의 축소화상작성의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309).
상기 스텝 S309의 처리는 도 11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실행되고, HTML용의 축소화상으로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며(스텝 S402), 상술과 같이 「OFF」가 선택되어 HTML용의 축소화상으로 링크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HTML작성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본래화상으로부터 HTML용으로 축소화상을 작성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스텝 S403). 그리고 축소화상으로 링크시키는 것을 RAM(17)에 기입한다(스텝 S404).
또 도 5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스텝 S311에서는 오토런파일을 작성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오토런파일이란 예를 들면 퍼스컴과 접속하면 자동적으로 기동하고, HTML파일이 기동되는 바와 같은 프로그램파일의 것이다. 상기 스텝 S311에 서의 판단에 대해서도 상기 메뉴화면(301)으로부터 「오토런파일」이 선택되었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ON」「OFF」를 액정표시부(3)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소정의 키조작에 의해 「ON」이 선택된 경우에는 오토런파일을 작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오토런파일작성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312).
상기 스텝 S312의 오토런파일작성처리는 도 12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실행되고, 오토런파일을 작성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며(스텝 S502), 상술과 같이 「ON」이 선택되어 오토런파일의 작성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오토런파일을 작성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스텝 S503).
그리고 도 5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스텝 S313에서는 설정의 종료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설정종료조작이 이루어지기까지 스텝 S30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며, 설정종료조작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상기 흐름에 따른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HTML각종설정이 이루어졌다면 도 4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206에 이어지는 스텝 S207에서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207).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각종메뉴키(7)에 대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상술의 스텝 S204에 있어서 앨범모드로 촬영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만, 또는 앨범모드로 촬영되어 상기 스텝 S302에서 선택된 화상만으로 스텝 S206에서의 설정(도 5, 11, 12의 흐름에서의 설정)에 따라 HTML파일을 작성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스텝 S208). 또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 지시가 없었던 경우에는 전원OFF 때에 있어서 똑같이 스텝 S204에 있어서 앨범모드로 촬영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만, 또는 앨범모드로 촬영되어 선택된 화상만으로 스텝 S206에서의 설정에 따라 HTML파일을 작성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스텝 S209).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선택화상, 레이아웃, 배경색, 링크, 오토런파일로서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킨 HTML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또 HTML파일작성 때에 링크처로 되는 화상은 HTML용의 축소화상으로도 되기 때문에 작성된 HTML파일을 퍼스컴 상에서 보는 경우, 링크처의 화상의 데이터량을 작게 하여 처리부하도 경감하고, 처리속도를 향상시켜서 표시되기까지에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게다가 별도 작성된 HTML용의 축소화상이므로 화상이 선명하게 되어 화상을 관상(觀賞)하려고 하는 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도 있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촬영모드(「통상모드」「풍경모드」「포트레이트(인물)모드」「매크로모드」「파노라마모드」「앨범모드」 등) 중에 앨범모드를 설치하도록 했는데, 촬영모드에는 앨범모드를 설치하지 않고 별도 메뉴로서 앨범모드를 설치한다.
즉 각종촬영모드에 있어서 앨범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풍경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하면 선택한 후에 앨범모드의 설정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S102 및 S202), 이후의 도 3 및 도 4의 흐름도의 처리를 실시한다. 이상과 같이 각각의 촬영모드에 있어서 앨범모드를 설정하는지 아닌지가 실시된다.
또한 앨범모드를 설정하는 것을 최초로 실시해도 좋다. 즉 앨범모드의 설정이 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스텝 S102 및 S202) 후에 촬영모드의 선택(스텝 S101 및 S201)을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그 후 스텝 S104 및 S204 이후의 처리는 똑같다.
이상과 같이 앨범모드를 각종촬영모드에 있어서 설정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보다 더 자세히 사용자가 소망하는 화상만으로 이루어지는 HTML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촬영모드선택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601). 상기 촬영모드선택처리에 대해서는 각종메뉴키 (7)의 조작에 응답해서 액정표시부(3)에 「통상모드」「풍경모드」「포트레이트(인물)모드」「매크로모드」「파노라마모드」 등의 각종 촬영모드메뉴를 표시하고, 十자커서키(5) 등의 조작에 의해 어느 것인가가 선택되었다면 해당 선택된 촬영모드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각종촬영모드로 촬영을 실시한다(스텝 S602). 즉 셔터키(6)의 조작에 응답해서 상술의 스텝 S601에서 설정되어 있는 모드에 따라 촬상신호를 처리하여 압축하고, JPEG포맷의 화상파일을 생성하며, 그것에 파일명을 붙여서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 따라서 셔터키(6)의 조작이 이루질 때마다 화상기록매체(14)에는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촬영모드로 촬영된 화상의 화상파일이 기억되어 간다.
그리고 사용자가 임의의 촬영모드로 설정하고 또는 설정 변경하여 복수매의 화상을 촬영한 후, 임의의 시점에서 각종메뉴키(7)에 대한 소정의 키조작에 의해 앨범작성을 지시하면 스텝 S603의 판단이 YES로 된다. 따라서 스텝 S604로 진행하여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사용자에 의한 각종메뉴키(7)에 대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 지시가 있었던 경우(스텝 S604에서 YES)에는 상술의 스텝 S602에 있어서 각각의 촬영모드로 촬영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으로 촬영모드마다에 HTML파일을 작성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스텝 S605). 또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 지시가 없었던 경우(스텝 S604에서 NO)에는 전원OFF 때에 상술의 스텝 S602에 있어서 각각의 촬영모드로 촬영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으로 촬영모드마다에 HTML파일을 작성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스텝 S606).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의사로 설정한 촬영모드마다에 해당 촬영모드로 촬영된 화상만으로 이루어지는 HTML파일, 즉 사용자가 소망하는 모드로 촬영된 화상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HTML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HTML파일에 포함되는 화상에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파일의 데이터량을 가급적으로 작게 하여 보존이나 전송 등의 파일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촬영모드선택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701). 상기 촬영모드선택처리에 대해서는 각종메뉴키 (7)의 조작에 응답해서 액정표시부(3)에 「통상모드」「풍경모드」「포트레이트(인물)모드」「매크로모드」「파노라마모드」 등의 각종 촬영모드메뉴를 표시하고, 十자커서키(5) 등의 조작에 의해 어느 것인가가 선택되었다면 해당 선택된 촬영모드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각종 촬영모드로 촬영을 실시한다(스텝 S702). 즉 셔터키(6)의 조작에 응답해서 상술의 스텝 S701에서 설정되어 있는 모드에 따라 촬상신호를 처리하여 압축하고, JPEG포맷의 화상파일을 생성하며, 그것에 파일명을 붙여서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 따라서 셔터키(6)의 조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화상기록매체(14)에는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촬영모드로 촬영된 화상의 화상파일이 기억되어 간다.
그리고 사용자가 임의의 촬영모드로 설정 또는 설정 변경하여 복수매의 화상을 촬영한 후, 임의의 시점에서 각종메뉴키(7)에 대한 소정의 키조작에 의해 앨범작성을 지시하면 스텝 S703의 판단이 YES로 된다. 따라서 스텝 S704로 진행하여 HTML각종설정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스텝 S704의 처리는 상술한 도 4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스텝 S206과 동일한 처리이다. 즉 상기 스텝 S704는 상술한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실행되고, 도 5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스텝 S309의 처리는 도 11에 나타낸 상술의 흐름도에 따라서 실행되며, 스텝 S312의 처리는 도 12에 나타낸 상술의 흐름도에 따라서 실행된다.
그리고 스텝 S704의 HTML각종설정처리가 종료했다고 하면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705). 사용자에 의한 각종메뉴키(7)에 대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 지시가 있었던 경우(스텝 S705에서 YES)에는 상술의 스텝 S702에 있어서 각각의 촬영모드로 촬영하여 화상기록매체 (1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으로 촬영모드마다에, 또한 상기 스텝 S704에서의 설정에 따라 HTML파일을 작성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스텝 S706). 또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 지시가 없었던 경우(스텝 S705에서 NO)에는 전원OFF 때에 상술의 스텝 S702에 있어서 각각의 촬영모드로 촬영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으로 촬영모드마다에, 또한 상기 스텝 S704에서의 설정에 따라 HTML파일을 작성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스텝 S707).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선택화상, 레이아웃, 배경색, 링크, 오토런파일로서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키고,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의사로 설정한 촬영모드마다에 해당 촬영모드로 촬영된 화상만으로 이루어지는 HTML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또 HTML파일작성 때에 링크처로 되는 화상은 HTML용의 축소화상으로도 되기 때문에 작성된 HTML파일을 퍼스컴 상에서 보는 경우, 링크처의 화상의 데이터량을 작게 하여 처리부하도 경감하고, 처리속도를 향상시켜서 표시되기까지에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게다가 별도 작성된 HTML용의 축소화상이기 때문에 화상이 선명하게 되어 화상을 관상하려고 하는 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도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촬영모드선택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801). 상기 촬영모드선택처리에 대해서는 각종메뉴키 (7)의 조작에 응답해서 액정표시부(3)에 「통상모드」「풍경모드」「포트레이트(인물)모드」「매크로모드」「파노라마모드」 등의 각종 촬영모드메뉴를 표시하고, 十자커서키(5) 등의 조작에 의해 어느 것인가가 선택되었다면 해당 선택된 촬영모드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각종 촬영모드로 촬영을 실시한다(스텝 S802). 즉 셔터키(6)의 조작에 응답해서 상술의 스텝 S801에서 설정되어 있는 모드에 따라 촬상신호를 처리하여 압축하고, JPEG포맷의 화상파일을 생성하며, 그것에 파일명을 붙여서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 따라서 셔터키(6)의 조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화상기록매체(14)에는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촬영모드로 촬영된 화상의 화상파일이 기억되어 간다.
그리고 사용자가 임의의 촬영모드로 설정 또는 설정 변경하여 복수매의 화상을 촬영한 후, 임의의 시점에서 각종메뉴키(7)에 대한 소정의 키조작에 의해 HTML의 설정을 지시하면 스텝 S803의 판단이 YES로 된다. 따라서 스텝 S804로 진행하여 HTML각종설정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스텝 S804의 처리는 상술한 도 4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스텝 S206과 동일한 처리이다. 즉 상기 스텝 S804는 상술한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따라서 실행되고, 도 5의 흐름도에 있어서의 스텝 S309의 처리는 도 11에 나타낸 상술의 흐름도에 따라서 실행되며, 스텝 S312의 처리는 도 12에 나타낸 상술의 흐름도에 따라서 실행된다.
그리고 스텝 S804의 HTML각종설정처리가 종료했다고 하면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805). 사용자에 의한 각종메뉴키(7)에 대한 소정의 조작에 의해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상술의 스텝 S802에 있어서 각각의 촬영모드로 촬영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화상에 대해서 상기 스텝 S804에서의 설정에 따라 HTML파일을 작성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스텝 S806). 또 바로 HTML파일을 작성하는 지시가 없었던 경우에는 전원OFF 때에 상술의 스텝 S802에 있어서 각각의 촬영모드로 촬영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화상에 대해서 상기 스텝 S804에서의 설정에 따라 HTML파일을 작성하여 화상기록매체(14)에 기억시킨다(스텝 S807).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선택화상, 레이아웃, 배경색, 링크, 오토런파일로서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킨 HTML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또 HTML파일작성 때에 링크처로 되는 화상은 HTML용의 축소화상으로도 되기 때문에 작성된 HTML파일을 퍼스컴 상에서 보는 경우, 링크처의 화상의 데이터량을 작게 하여 처리부하도 경감하고, 처리속도를 향상시켜서 표시되기까지에 시간을 단축화할 수 있다. 게다가 별도 작성된 HTML용의 축소화상이기 때문에 화상이 선명하게 되어 화상을 관상하려고 하는 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상장치로서 디지털카메라(1)를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었는데 카메라부착 휴대전화나 카메라부탁 PDA에 본 발명을 적용하도록 해도 좋다.

Claims (18)

  1.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기록부와,
    화상데이터를 일람으로 표시한 앨범파일을 데이터 전송 가능한 독립된 데이터로서 작성하는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작성모드설정부와,
    상기 작성모드설정부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록된 상기 화상데이터로부터 HTML파일인 앨범파일을 작성하는 파일작성부와,
    상기 앨범파일에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킬 수 있는 요소를 설정하는 사용자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일작성부는 상기 사용자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요소에 따른 앨범파일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삭제
  3.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부와,
    복수의 촬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촬영모드설정부와,
    상기 촬영모드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촬영모드에 따라서 상기 촬상신호를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기록부와,
    상기 기록부에 기록된 상기 화상데이터로부터 상기 촬영모드마다의 화상데이터를 일람으로 표시한 HTML파일인 앨범파일을 데이터 전송 가능한 독립된 데이터로서 작성하는 파일작성부와,
    상기 앨범파일에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킬 수 있는 요소를 설정하는 사용자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일작성부는 상기 사용자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요소에 따른 앨범파일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삭제
  5.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부와,
    복수의 촬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촬영모드설정부와,
    상기 촬영모드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촬영모드에 따라서 상기 촬상신호를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기록부와,
    화상데이터를 일람으로 표시한 앨범파일에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키기 위한 요소를 설정하는 사용자설정부와,
    상기 기록부에 기록된 상기 화상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설정부에서 설정된 상기 요소에 따른 HTML파일인 앨범파일을 데이터 전송 가능한 독립된 데이터로서 작성하는 파일작성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부에 기록된 화상데이터로부터 상기 앨범파일에 관련지우는 전용의 축소화상을 작성하는 축소화상작성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설정부는 상기 앨범파일의 작성대상으로 되는 화상데이터를 상기 기록부로부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설정부는 상기 앨범파일에 있어서의 화상의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설정부는 상기 앨범파일에 있어서의 배경색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된 앨범파일을 자동적으로 기동시키기 위한 컴퓨터에 대한 명령파 일을 작성하는 명령파일작성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작성부는 상기 기록부에 기록된 상기 화상데이터로부터 상기 촬영모드마다의 앨범파일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2. 삭제
  13. 화상데이터를 일람으로 표시한 앨범파일을 데이터 전송 가능한 독립된 데이터로서 작성하는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작성모드설정공정과,
    상기 작성모드설정공정에 의해 상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록된 상기 화상데이터로부터 HTML파일인 앨범파일을 작성하는 파일작성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파일작성방법.
  14.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공정과,
    복수의 촬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촬영모드설정공정과,
    상기 촬영모드설정공정에 의해 설정된 촬영모드에 따라서 상기 촬상신호를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기록공정과,
    상기 기록공정에서 기록된 상기 화상데이터로부터 상기 촬영모드마다의 화상데이터를 일람으로 표시한 HTML파일인 앨범파일을 데이터 전송 가능한 독립된 데이터로서 작성하는 파일작성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파일작성방법.
  15.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공정과,
    복수의 촬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촬영모드설정공정과,
    상기 촬영모드설정공정에 의해 설정된 촬영모드에 따라서 상기 촬상신호를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기록공정과,
    화상데이터를 일람으로 표시한 앨범파일에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키기 위한 요소를 설정하는 사용자설정공정과,
    상기 기록공정에서 기록된 상기 화상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설정공정에서 설정된 상기 요소에 따른 HTML파일인 앨범파일을 데이터 전송 가능한 독립된 데이터로서 작성하는 파일작성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파일작성방법.
  16. 화상데이터를 일람으로 표시한 앨범파일을 데이터 전송 가능한 독립된 데이터로서 작성하기 위한 모드를 설정하는 작성모드설정스텝과,
    상기 작성모드설정스텝에 의해 상기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기록된 상기 화상데이터로부터 HTML파일인 앨범파일을 작성하는 파일작성스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파일작성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7.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스텝과,
    복수의 촬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촬영모드설정스텝과,
    상기 촬영모드설정스텝에 의해 설정된 촬영모드에 따라서 상기 피사체의 촬상신호를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기록스텝과,
    상기 기록스텝에서 기록된 상기 화상데이터로부터 상기 촬영모드마다의 화상데이터를 일람으로 표시한 HTML파일인 앨범파일을 데이터 전송 가능한 독립된 데이터로서 작성하는 파일작성스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파일작성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8.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스텝과,
    복수의 촬영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촬영모드설정스텝과,
    상기 촬영모드설정스텝에 의해 설정된 촬영모드에 따라서 상기 피사체의 촬상신호를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로서 기록시키는 기록스텝과,
    화상데이터를 일람으로 표시한 앨범파일에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키기 위한 요소를 설정하는 사용자설정스텝과,
    상기 기록스텝에서 기록된 상기 화상데이터로부터 상기 사용자설정스텝에서 설정된 상기 요소에 따른 HTML파일인 앨범파일을 데이터 전송 가능한 독립된 데이터로서 작성하는 파일작성스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앨범파일작성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30039298A 2002-06-19 2003-06-18 촬상장치,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앨범파일작성방법 및 앨범파일작성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576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79029 2002-06-19
JP2002179029A JP4093544B2 (ja) 2002-06-19 2002-06-19 撮像装置、撮像装置におけるアルバムファイル作成方法及びアルバムファイル作成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620A KR20040002620A (ko) 2004-01-07
KR100576770B1 true KR100576770B1 (ko) 2006-05-08

Family

ID=2971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298A KR100576770B1 (ko) 2002-06-19 2003-06-18 촬상장치,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앨범파일작성방법 및 앨범파일작성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83060B2 (ko)
EP (1) EP1377006B1 (ko)
JP (1) JP4093544B2 (ko)
KR (1) KR100576770B1 (ko)
CN (1) CN1243445C (ko)
DE (1) DE60323298D1 (ko)
TW (1) TWI2314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0055A1 (en) * 2003-11-27 2005-06-02 Olympus Corporation Image management apparatus and image managing method
JP4235541B2 (ja) * 2003-12-15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50225647A1 (en) * 2004-04-09 2005-10-13 Gossweiler Richard Iii Method and system of creating photo vignettes
JP2006279925A (ja) * 2005-03-03 2006-10-12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4762762B2 (ja) * 2006-03-07 2011-08-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ルバム作成装置、アルバム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67310A (ja) * 2012-09-26 2014-04-17 Olympus Imaging Corp 画像編集装置、画像編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8214B2 (ja) 1993-10-21 2004-05-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
US5633678A (en) * 1995-12-20 1997-05-27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still camera for capturing and categorizing images
US6031964A (en) 1996-06-20 2000-02-29 Apple Compu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unified memory architecture to implement a digital camera device
US6249316B1 (en) * 1996-08-23 2001-06-19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temporary group of images on a digital camera
US6573927B2 (en) * 1997-02-20 2003-06-03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still camera for capturing digital image and creating a print order
US6035323A (en) * 1997-10-24 2000-03-07 Pictra,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stributing a collection of digital media over a network with automatic generation of presentable media
US6202061B1 (en) * 1997-10-24 2001-03-13 Pictra,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reating a collection of media
US6567122B1 (en) * 1998-03-18 2003-05-20 Ipac Acquisition Subsidiary I Method and system for hosting an internet web site on a digital camera
US6223190B1 (en) * 1998-04-13 2001-04-24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n internet page description file on a digital imaging device
US20010012062A1 (en) * 1998-07-23 2001-08-09 Eric C. Anders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nalysis and categorization of images in an electronic imaging device
US6965410B1 (en) * 1998-12-03 2005-11-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employing dark image data to correct dark noise
US6779153B1 (en) * 1998-12-11 2004-08-17 Microsoft Corporation Creation of web pages through synchronization
US6738075B1 (en) * 1998-12-31 2004-05-18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 interactive slide show in a digital imaging device
US6571271B1 (en) * 1999-05-03 2003-05-27 Ricoh Company, Ltd. Networked appliance for recording, storing and serving digital images
US6636648B2 (en) * 1999-07-02 2003-10-21 Eastman Kodak Company Albuming method with automatic page layout
JP3978530B2 (ja) 1999-12-07 2007-09-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
US6862038B1 (en) * 2000-02-11 2005-03-01 Ipac Acquisition Subsidiary I, Llc Efficient image categorization
JP3750462B2 (ja) 2000-02-22 2006-03-01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記録媒体
US7414746B2 (en) 2000-05-23 2008-08-19 Fujifilm Corporation Image data communication method
JP3945985B2 (ja) * 2000-12-28 2007-07-18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カメラ装置
US6937275B2 (en) * 2001-12-20 2005-08-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act sheet file-generating digital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34875A1 (en) 2003-12-25
JP4093544B2 (ja) 2008-06-04
EP1377006A1 (en) 2004-01-02
US7483060B2 (en) 2009-01-27
KR20040002620A (ko) 2004-01-07
CN1243445C (zh) 2006-02-22
TW200404227A (en) 2004-03-16
JP2004023669A (ja) 2004-01-22
DE60323298D1 (de) 2008-10-16
CN1469642A (zh) 2004-01-21
TWI231429B (en) 2005-04-21
EP1377006B1 (en) 200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1902B1 (en) Imaging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634565B1 (ko)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US8004592B2 (en) Imaging device, through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through image display control program is recorded in computer-readable manner
CN100389598C (zh) 照相机和照相机的控制方法
US8885056B2 (en) Digital camera
KR101058025B1 (ko) 이중 썸네일 모드를 이용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4159293A (ja) 撮像記録装置、画像処理装置、撮像記録制御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撮像記録方法並びに画像処理方法
KR100576770B1 (ko) 촬상장치,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앨범파일작성방법 및 앨범파일작성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09070374A (ja) 電子機器
JP3081583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8085671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8206137A (ja) 撮影装置
JP4355852B2 (ja) カメラ装置、カメラ制御プログラム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4860495B2 (ja) 撮像装置
JP4792529B2 (ja) 画像再生装置
JP5393416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136697A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594134B2 (ja) 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215072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6115045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2006014217A (ja) 撮像装置
JP2005229532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5086761A (ja) 画像表示制御装置、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6005474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05303817A (ja) 撮像装置、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及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