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3552B1 - 회전식 감쇠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감쇠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3552B1
KR100573552B1 KR1020020064033A KR20020064033A KR100573552B1 KR 100573552 B1 KR100573552 B1 KR 100573552B1 KR 1020020064033 A KR1020020064033 A KR 1020020064033A KR 20020064033 A KR20020064033 A KR 20020064033A KR 100573552 B1 KR100573552 B1 KR 10057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coaxial connector
conta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3940A (ko
Inventor
마쯔오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3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2Attenuating devices
    • H01P1/225Coaxial attenuato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회전식 감쇠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원판형상을 이루어 둘레부에 입력단자 (20A) 와 출력단자 (20B) 가 복수 쌍 장착되고 입출력단자 사이에 전자부품 (29) 이 접속된 단자 기판 (3) 과, 단자 기판의 면에 대해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하우징 (1) 내에서 단자 기판에 연결되고 또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구동축 (13) 과, 복수 쌍 중 1쌍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슬라이딩 자유롭게 각각 탄성 접촉하는 입력 접촉자 (11) 및 출력 접촉자 (12) 와, 하우징 (1) 에 의해 지지되어 하우징 내에까지 도달해 위치하는 중심 도체를 갖는 입력 동축 커넥터 (9) 및 출력 동축 커넥터 (10) 를 구비한 회전식 감쇠기 장치에 있어서, 단자 기판 (3) 의 한쪽 측면에서 입력 접촉자 (11) 가, 그리고 다른 쪽 측면에서 출력 접촉자 (12) 가 각각 대응되는 입력단자, 그리고 출력단자와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감쇠기 장치 {ROTARY ATTENUATOR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회전식 감쇠기 장치의 평탄 외면에 평행하게 입출력 동축 커넥터 및 구동축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장치의 단자 기판을 나타내고, (A) 는 도 1 의 A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B) 는 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장치의 단자와 접촉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장치를 복수 배열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종래의 회전식 감쇠기 장치의 복수 배열시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장치의 단자 기판과 접촉자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의 단자와 접촉자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부분파단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우징 3 : 단자 기판
4A, 5A, 6A : 축선 7, 8 : 평탄 외면
9, 10 : 동축 커넥터 11, 12 : 접촉자
13 : 구동축 20A, 20B : 단자
29 : 전자부품
본 발명은 회전식 감쇠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로는,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94410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에 공지된 장치는, 첨부 도면의 도 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전자기기에 복수의 장치 (50) 가 배열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하나의 회전식 감쇠기 장치 (50) 는, 하우징 (51) 내에 회전가능한 원판형상의 단자 기판 (52) 을 갖고, 이것을 하우징 (51) 밖으로 돌출시키는 구동축 (53) 에 장착되는 손잡이 (도시생략) 에 의해 소정 각의 스텝마다 회전구동된다.
단자 기판 (52) 의 한쪽 면의 둘레부에는, 쌍을 이루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복수 쌍 설치되어 있다. 또 하우징 (52) 에는, 상기 구동축 (53) 과 반대측에, 입력 동축 커넥터 (54) 와 출력 동축 커넥터 (55) 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 (54, 55) 는, 이들 중심 도체에 접속된 접촉자 (56, 57) 가 하우징내에서, 도 6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1쌍의 입력단자 (58), 그리고 출력단자 (59) 와 접촉하고 있고, 단자 기판 (52) 의 정역의 스텝 회전에 의해, 다른 쌍의 입력단자 (58'), 그리고 출력단자 (59') 와 접촉하게 된다.
입력 동축 커넥터 (54), 그리고 출력 동축 커넥터 (55) 의 접촉자 (56, 57) 는 동일하게 만들어져 있고, 예컨대 접촉자 (54) 는, 도 7 과 같이, 중심 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축부 (56A) 에, 띠형상 금속판을 가로 U자형상으로 굴곡형성한 스키 드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접촉자 (54) 는 둘레방향, 즉, 인접시키는 다음의 입력단자 (58') 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접촉자 (54) 는, 그 탄성에 의해, 입력단자와 탄성 접촉하고, 양단부가 둥글게 되어 있어 인접시키는 입력단자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촉자는 출력 동축 커넥터에도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지된 장치에서는, 1쌍의 입력단자 (58) 와 출력단자 (59) 는, 단자 기판 (52) 의 한쪽 측면에서, 즉 동일 측에서 각각 접촉자 (56, 57) 와 접촉하기 때문에 너무 근접시켜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입력 동축 커넥터 (54) 와 출력 동축 커넥터 (55) 는, 더욱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입력단자 (58) 와 출력단자 (59) 의 거리는 비교적 크게 설정할 필요가 있고, 이와 같은 양 단자를 단자 기판 (52) 의 둘레부에 복수 쌍 배치하게 되면, 이 단자 기판 (52) 은 대형으로 된다.
따라서, 회전식 감쇠기 장치 (50) 를, 도 5 와 같이 복수 배열하면, 그 전체폭 (L) 은 매우 커지고, 이 장치를 사용하는 전자기기도 더욱 대형으로 될 수밖에 없다. 또한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접촉자에서는, 스프링을 이루는 접촉자의 탄성 가능 변위량이 작으므로, 이 변위량의 편차 허용량이 적고, 따라서 안정되게 접촉시키는 것이 어렵다. 나아가서는, 상기 접촉자는 그 형상에 의해, 한쪽의 회전방향에는 단자에 대해 원활하게 접촉하지만, 역방향 회전시에는, 단자와 걸리기 쉬워 접촉이 불안정해지기 쉽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특히 복수 배열되었을 때에 전자기기를 대형화하지 않는 회전식 감쇠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회전식 감쇠기 장치는, 원판형상을 이루고 둘레부에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복수 쌍 장착되어 각각의 쌍의 입출력단자 사이에 저항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이 접속된 단자 기판과, 이 단자 기판의 면에 대해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하우징내에서 이 단자 기판의 중심에 연결되고 또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구동축과, 복수 쌍 중 1쌍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각각 탄성 접촉하는 입력 접촉자 및 출력 접촉자와,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하우징내에까지 도달해 위치하는 중심 도체를 갖는 입력 동축 커넥터 및 출력 동축 커넥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회전식 감쇠기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 1 발명으로서, 단자 기판의 한쪽 측면에서 입력 접촉자가, 그리고 다른 쪽 측면에서 출력 접촉자가 각각 대응되는 입력단자, 그리고 출력단자와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 1 발명에서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서로 단자 기판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헤드부의 크기에 관계없이, 양자는 둘레방향으로 근접 배치가 가능해지고, 따라서, 복수 쌍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배치할 때, 큰 둘레방향 거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회로기판 상에서의 배치의 반경방향 거리도 작게 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단자 기판이 소형화되어 감쇠기 장치도 소형화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 접촉자 및 출력 접촉자는 단자 기판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의 각각의 탄성 아암체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 탄성 아암체가 타단에서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와 접속, 그리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접촉자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단자 기판의 둘레방향에는 접촉자만의 치수만을 고려하여, 접촉자를 지지하는 탄성 아암체를 위한 스페이스를 상기 둘레방향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고, 상기 둘레방향, 즉 단자간 방향에서의 단자간 거리가 작아도 되어, 이 점에서도 소형화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은 서로 평행하게 대향되는 1쌍의 평탄 외면을 갖고, 구동축, 입력 동축 커넥터, 그리고 출력 동축 커넥터의 각각의 축선은, 1쌍의 외면과 평행한 면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면, 외면끼리를 면접촉하여 복수의 감쇠기 장치를 배치할 수 있고, 그 경우, 전체폭이 현저하게 작아진다.
또 제 2 발명으로서는, 하우징은 서로 평행하게 대향되는 1쌍의 평탄 외면을 갖고, 구동축, 입력 동축 커넥터, 그리고 출력 동축 커넥터의 각각의 축선은, 1쌍의 외면과 평행한 하나의 면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2 발명에 의하면, 구동축, 입력 동축 커넥터, 그리고 출력 동축 커넥터의 축선이, 1쌍의 외면과 평행한 하나의 면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감쇠기는 제 1 발명보다도 배열방향으로 더욱 소형화되므로, 복수의 감쇠기 장치를 배치했을 때에, 배열방향 전체폭이 매우 작아져, 감쇠기를 사용하는 기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서도, 입력 접촉자 및 출력 접촉자는 단자 기판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의 각각의 탄성 아암체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 탄성 아암체가 타단에서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와 접속, 그리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첨부 도면의 도 1 내지 도 4 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의 회전식 감쇠기 장치는, 금속 블록상의 하우징 (1) 의 중공실 (2) 내에 원판형상의 단자 기판 (3) 이 수납되어 있다. 이 하우징 (1) 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분할가능하게 되어 있어, 상기 중공실 (2) 내에 상기 단자 기판 (3) 을 수납한 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단자 기판 (3) 을 포위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 은, 도 1 의 지면내에서 직교, 그리고 평행한 축선 (4A, 5A, 6A) 에 대해 각각 직교하는 외면 (4, 5, 6) 을 가짐과 동시에, 지면에 평행한 1쌍의 평탄 외면 (7, 8) 을 갖는다 (도 1 에서는 한쪽의 평탄 외면 (7) 이 도시되어 있고, 다른 쪽의 면 (8) 은 지면의 이면에 평행하게 위치함). 이렇게 하여 하우징 (1) 은 대략 직사각형 외형의 블록체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외면은 평탄하지 않아도 되며 임의의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상기 하우징 (1) 의 외면 (4, 5) 에는 동축 커넥터 (9, 10) 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동축 커넥터 (9, 10) 는, 사용시에는 한쪽이 입력 동축 커넥터, 그리고 다른 쪽이 출력 동축 커넥터로 사용된다. 이 동축 커넥터 (9, 10) 는 하우 징 밖에서 동축 케이블과의 접속을 위한 나사부 (9A, 10A)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동축 커넥터 (9, 10) 는 하우징내에서 돌출되는 중심 도체 (9B, 10B) 를 갖고, 이 중심 도체 (9B, 10B) 에는 접촉자 (11, 12) 가 유지되어 있다. 이 접촉자 (11, 12) 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서술한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외면 (6) 으로부터는, 구동축 (13) 이 연장되어 있고, 축선 (6A) 둘레의 회전구동용의 손잡이 (도시생략) 가 하우징 밖에서 장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구동축 (13) 은 하우징 (1) 내에도 돌입되어 있고, 단자 기판 (3) 을 그 중앙위치에서 지지하고 있다. 이 단자 기판 (3) 과 구동축 (13) 의 상호의 위치결정, 그리고 장착은 스페이서 (14), 너트 (15) 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또 구동축 (13) 과 하우징 (1) 의 전기적 도통은, 스프링 워셔 (16), 그리고 슬라이딩 부재 (17) 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단자 기판 (3) 은 도 2 의 (A), (B)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을 이루고, 중앙에는 구동축 (13) 이 관통되기 때문에 D자형상의 축구멍 (3A)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직선 가장자리부 (3A1) 에서 구동축 (13) 과 둘레방향으로 걸리게 된다. 상기 축구멍 (3A) 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구멍 (18) 이 형성되어 있고, 필요시에 기판 양면에서의 전선 통과에 사용한다. 상기 단자 기판 (3) 의 외주부에는, 복수 쌍의 단자구멍 (19A, 19B) 이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단자구멍 (19A) 에는 단자 기판 (3) 의 한쪽 측면에 돌출되어 단자 (20A) 가, 그리고 다른 쪽의 단자구멍 (19B) 에는 다른 쪽 측면에 돌출되어 단자 (20B) 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단자 기판 (3) 은, 상기 단자 (20A, 20B) 의 장착면에 파선 사선으로 나타낸 도통면 (22, 23) 이 인쇄되어 있다. 단자 (20B) 가 장착되어 있는 면의 도전면 (23) 은, 반경 내측으로 연장부 (24) 를 갖고 있고, 이 연장부 (24) 와 단자 (20A) 측의 연장부 (24) 사이, 그리고 중앙 도전면 (25) 사이에서, 감쇠기로서 필요한 저항 등의 전자부품 (26) 이 접속배치되어 있다. 각 쌍의 단자에 대해 설치되는 전자부품 (26) 의 저항값 등 전기특성값은 다르고, 따라서 구동축 (13) 을 각 쌍의 단자마다 스텝형상으로 회전함으로써, 입출력단자의 특성이 단락형상으로 변화한다.
동축 커넥터 (9, 10) 의 중심 도체 (9B, 10B) 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접촉자 (11, 12) 는, 도 1 및 도 3 과 같이 단자 기판 (3) 의 반경방향에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탄성 아암체 (27, 28) 의 일단에 장착되어 있다. 탄성 아암체 (27, 28) 는 타단측이 중심 도체 (9B, 10B) 에 접속 유지되어 있다. 탄성 아암체 (27) 는 단자 기판 (3) 의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중간부에서 굴곡되어 일단측과 타단측이 직각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탄성 아암체는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해도 됨). 또, 탄성 아암체 (28) 는 단자 기판 (3) 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약간 만곡되어 있지만, 그 방향은 단자 기판 (3) 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탄성 아암체 (27, 28) 의 일단에 장착되어 있는 접촉자 (11, 12) 자체는 동일하고, 도 3 에 나타낸 접촉자 (11) 에 대해 설명하면, 단자 (20A) 에 접촉하는 접촉자 (11) 는 단자 기판 (3) 의 둘레방향으로 파형을 이루어 동 방향의 양단부 (11A) 도 올라간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인접되는 단자로 이동할 때에, 용이하게 이 인접 단자에 올라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접촉자 (11) 의 중간부는 파형의 오목 하면 (11B) 을 형성하고 있고, 단자와의 접촉 위치를 유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접촉자 (11) 는, 단자 기판 (3) 의 스텝 회전 이동에 의해, 접촉 상대가 되는 단자가 있달아 이동해도, 이들과 확실하게 접촉할 수 있어 정규 접촉위치에서 정지하여 그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접촉자 (11) 의 둘레방향 (양단부 (11A) 사이의 거리) 은, 단자의 헤드부 직경보다도 크지만, 상기 오목 하면 (11B) 이 하나의 단자에 정규 위치에서 접촉하고 있을 때에 인접되는 단자에 접촉하지 않는 폭으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입출력 동축 커넥터 (9, 10) 에 동축 케이블이 접속된 상태에서, 구동축 (13) 을 스텝 회전함으로써, 입출력단자 사이의 저항값 등을 변화시켜 감쇠량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쌍의 입출력 단자가 단자 기판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양 단자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고, 따라서 단자 기판의 반경도 작아진다. 이것은 감쇠기 장치의 폭을 소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단자로의 접촉자의 접촉을 단자 기판의 반경방향으로 함으로써, 둘레방향에서의 접촉자의 폭이 좁아도 되므로, 이 점에서도 장치가 소형화로 된다. 또한 상기 동축 커넥터, 그리고 구동축의 축선이 모두 하나의 면 (가상면) 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점에서도 상기 폭방향의 치수가 작아진다.
본 발명의 감쇠기 장치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복수의 장치를 배열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고, 그 경우, 본 발명의 특징이 크게 활용된다. 도 4 와 같이, 동축 커넥터 (9, 10), 그리고 구동축 (13) 이 돌출되어 있지 않은 하우 징 외면끼리를 면접촉하여 복수의 감쇠기 장치를 배열하면, 하나의 장치 자체가 폭이 좁아지게 되므로, 전체폭 (L) 은 매우 좁아지고, 이들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상기 배열의 방향에서 소형화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입력단자를 단자 기판의 한 방향으로, 그리고 출력단자를 다른 쪽의 면에 설치했으므로, 쌍을 이루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는 그 거리를 좁게 할 수 있고, 또 이에 추가하여, 접촉자가 단자 기판의 반경방향으로부터 접촉하도록 하면, 둘레방향은 접촉자 유지를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1쌍의 양 단자간의 거리를 좁은 상태에서 복수 쌍의 단자간도 좁게 하여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단자 기판의 직경방향 치수가 매우 작아져, 감쇠기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입출력 동축 커넥터, 그리고 구동축의 축선이 평탄 외면과 평행한 하나의 면에 위치하도록 하면 장치의 폭치수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장치를 복수 배열할 때에는, 1쌍의 평탄 외면끼리를 면접촉하여 배치하면, 그 효과는 더 한층 현저해진다.

Claims (7)

  1. 원판형상을 이루고 둘레부에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복수 쌍 장착되어 각각의 쌍의 입출력단자 사이에 저항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이 접속된 단자 기판과, 이 단자 기판의 면에 대해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하우징내에서 이 단자 기판의 중심에 연결되고 또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구동축과, 복수 쌍 중 1쌍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각각 탄성 접촉하는 입력 접촉자 및 출력 접촉자와,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하우징내에 까지 도달해 위치하는 중심 도체를 갖는 입력 동축 커넥터 및 출력 동축 커넥터를 구비한 회전식 감쇠기 장치에 있어서, 단자 기판의 한쪽 측면에서 입력 접촉자가, 그리고 다른 쪽 측면에서 출력 접촉자가 각각 대응되는 입력단자, 그리고 출력단자와 접촉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감쇠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접촉자 및 출력 접촉자는 단자 기판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의 각각의 탄성 아암체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 탄성 아암체가 타단에서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와 접속, 그리고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감쇠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서로 평행하게 대향되는 1쌍의 평탄 외면을 갖고, 구동축, 입력 동축 커넥터, 그리고 출력 동축 커넥터의 각각의 축선은, 1쌍의 외면과 평행한 면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감쇠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접촉자 및 출력 접촉자는 단자 기판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의 각각의 탄성 아암체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 탄성 아암체가 타단에서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와 접속, 그리고 유지되고, 하우징은 서로 평행하게 대향되는 1쌍의 평탄 외면을 갖고, 구동축, 입력 동축 커넥터, 그리고 출력 동축 커넥터의 각각의 축선은, 1쌍의 외면과 평행한 면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감쇠기 장치.
  5. 원판형상을 이루고 둘레부에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복수 쌍 장착되어 각각의 쌍의 입출력단자 사이에 저항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이 접속된 단자 기판과, 이 단자 기판의 면에 대해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일단측이 이 단자 기판의 중심에 연결되고 타단측이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고 또한 중간부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구동축과, 복수 쌍 중 1쌍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각각 탄성 접촉하는 입력 접촉자 및 출력 접촉자와,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하우징내에까지 도달해 위치하는 중심 도체를 갖는 입력 동축 커넥터 및 출력 동축 커넥터를 구비한 회전식 감쇠기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은 서로 평행하게 대향되는 1쌍의 평탄 외면을 갖고, 구동축, 입력 동축 커넥터, 그리고 출력 동축 커넥터의 각각의 축선은, 1쌍의 외면과 평행한 하나의 면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감쇠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입력 접촉자 및 출력 접촉자는 단자 기판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의 각각의 탄성 아암체의 일단에 설치되고, 이 탄성 아암체가 타단에서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와 접속, 그리고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감쇠기 장치.
  7. 원판형상을 이루고 둘레부에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복수 쌍 장착되어 각각의 쌍의 입출력단자 사이에 저항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이 접속된 단자 기판과, 이 단자 기판의 면에 대해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하우징내에서 이 단자 기판의 중심에 연결되고 또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구동축과, 복수 쌍 중 1쌍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각각 탄성 접촉하는 입력 접촉자 및 출력 접촉자와,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하우징내에 까지 도달해 위치하는 중심 도체를 갖는 입력 동축 커넥터 및 출력 동축 커넥터를 구비한 회전식 감쇠기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은 대략 직사각형 외형의 블록체를 이루고 있고, 각각 직교하는 외면을 가짐과 동시에, 지면에 평행한 1쌍의 임의 외면을 갖고 있으며, 서로 직교하는 2개의 하우징의 외면의 각각에 입력 동축 커넥터와 출력 동축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감쇠기 장치.
KR1020020064033A 2001-10-22 2002-10-19 회전식 감쇠기 장치 KR100573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23773 2001-10-22
JP2001323773A JP3696540B2 (ja) 2001-10-22 2001-10-22 ロータリアッテネ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940A KR20030033940A (ko) 2003-05-01
KR100573552B1 true KR100573552B1 (ko) 2006-04-25

Family

ID=1914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033A KR100573552B1 (ko) 2001-10-22 2002-10-19 회전식 감쇠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62373B2 (ko)
EP (1) EP1304706B1 (ko)
JP (1) JP3696540B2 (ko)
KR (1) KR100573552B1 (ko)
CN (1) CN1244114C (ko)
DE (1) DE6022235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3687A (ja) * 2004-02-24 2005-09-08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可変抵抗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1649A (en) * 1945-04-25 1949-09-13 Daven Company Attenuator assembly
US2484126A (en) * 1948-05-04 1949-10-11 Daven Company Attenuator assembly
US2601372A (en) * 1948-08-11 1952-06-24 Gabriel Co Rotary coaxial switch
US3303296A (en) * 1964-12-08 1967-02-07 Mc Graw Edison Co Attenuator with improved housing structure
US3652812A (en) * 1970-09-28 1972-03-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Tap changer switch with radial pressurized movable contact structure
US3940584A (en) * 1974-06-19 1976-02-24 Arvin Industries, Inc. Coaxial switch for high frequency signals
DE2650018C2 (de) * 1976-01-28 1983-12-08 Alps Electric Co., Ltd., Tokyo Elektrische Abschwächereinrichtung für Tonwiedergabesysteme
JP3337999B2 (ja) 1999-04-07 2002-10-28 日本アンテナ株式会社 ロータリー式アッテネータ
US6353195B1 (en) * 1999-11-04 2002-03-05 Spencer G. Stanfield Mechanism for interrupting current flow through two electrical c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4574A (zh) 2003-04-30
EP1304706A3 (en) 2005-06-29
US6762373B2 (en) 2004-07-13
US20030075421A1 (en) 2003-04-24
CN1244114C (zh) 2006-03-01
JP2003133106A (ja) 2003-05-09
JP3696540B2 (ja) 2005-09-21
KR20030033940A (ko) 2003-05-01
EP1304706B1 (en) 2007-09-12
DE60222359D1 (de) 2007-10-25
EP1304706A2 (en) 2003-04-23
DE60222359T2 (de)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6390A (en) Rotary switch assembly with printed circuit rotor and multilayer housing features
KR19980070470A (ko) 전기 커넥터
JP6290391B2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CN106558786B (zh) 旋转接触件
JPH09102376A (ja) ボール接触子ロータリーコネクタ
EP1583123B1 (en) Safety switch assembly
US6435892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upporting mechanism
KR100573552B1 (ko) 회전식 감쇠기 장치
US7371094B1 (en) Aligned contact group and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KR100904802B1 (ko) 힌지용 커넥터 및 이 커넥터에 접속되는 회로 기판
JP7366737B2 (ja) コネクタ
CN221102494U (zh) 折弯旋转端子、连接器及电连接组件
EP4135131A1 (en) Rotatable plug socket
JP4496667B2 (ja)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KR101760797B1 (ko) 신호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조립체
JPH1167372A (ja) 信号線コネクタ
JP3101236B2 (ja) 多芯同軸コネクタ
JP2003133106A5 (ko)
KR20050080645A (ko) 가변형 커넥터
JPH0696822A (ja) 回転継電装置
JP2000294410A (ja) ロータリー式アッテネータ
JPH07254461A (ja) 回転式アングルタイプコネクタ
CN116830392A (zh) 电气插入式连接件和印刷电路板装置
KR100505650B1 (ko) 플렉시블 인쇄회로용 콘넥터
JP2004259543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