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1293B1 - 깔개바닥재의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깔개바닥재의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1293B1
KR100571293B1 KR1019980003306A KR19980003306A KR100571293B1 KR 100571293 B1 KR100571293 B1 KR 100571293B1 KR 1019980003306 A KR1019980003306 A KR 1019980003306A KR 19980003306 A KR19980003306 A KR 19980003306A KR 100571293 B1 KR100571293 B1 KR 100571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flooring
heat generating
fitting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1115A (ko
Inventor
유쇼 나가모토
가쓰노리 사코
세이지 다무라
마코토 미네오카
도모유키 마쓰마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주켄 산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04000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199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73762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0620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주켄 산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주켄 산교
Publication of KR1998007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1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 continuous tongue or groo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밑바탕재 위에 까는 바닥재의 설치에 있어서, 나란히 깔때에 서로 인접하는 바닥재의 각각 이면 단부에 바닥재끼리의 접합면과 평행한 줄홈을 가진 끼워맞춤 오목 부재를 매설하고, 그 각각의 끼워맞춤 오목 부재의 줄홈에 끼워 맞추는 돌기줄을 레일모양으로 양단에 가진 접합재의 그 돌기 줄을 상기 줄홈에 끼워맞춤으로써 서로 분리되지 않게 바닥재를 나란히 깐 구조 및 접합재의 레일 형상 돌기 줄 사이에 발열 부재를 배치하여 바닥재의 설치와 발열 부재의 설치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바닥 난방 구조. 바닥재의 아래면에는 필요에 따라 완충재 등을 설치하여도 좋다.
끼워맞춤 오목 부재의 줄홈에 접합재의 돌기 줄을 끼워 넣는 것만으로 바닥재를 설치할 수 있고, 접합재의 돌기 줄 사이에 발열 부재를 일체적으로 지지시켜둠으로써, 못박기 등의 수단을 요하지 않고 바닥 난방을 구성할 수 있다. 못 박기, 접착제등의 공정이 없기 때문에 재시공, 자재의 재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깔개 바닥재의 설치 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placing-and-laying flooring materials}
본 발명은 주택, 문교 시설, 사무실 등의 플로어링(바닥 시공)에 적용되는 깔개바닥재의 설치 구조 및 바닥 난방을 위한 발열 부재의 설치바닥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택, 문교시설, 사무실 등의 플로어링(바닥 시공)은 종래부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바닥재(1)에 볼록 돌기(2) 및 오목홈(3)을 형성하여, 미리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밑바닥재(4)위에 못(5)에 의한 고정, 또는 못(5)과 접착제(6)를 병용하여 고정시키고, 바닥재(1)를 까는 밑바닥재공법이라고 불리는 시공이 오래도록 일반적이었다. 그리고, 볼록 돌기와 오목홈은 접합수단(즉,「제혀쪽매」(rabbet joint)이다.
그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의 톱니홈(7)을 가공하여, 콘크리트슬래브(8) 위에 바로 깔기 바닥재용 접착제(9)를 사용하여 바닥재(10)를 직접 고정시키는 시공 방법(바로 깔기 공법이라고 불린다)이 일반화되어, 최근에 염가의 집합주택이나 사무실용 빌딩에 많이 사용되어 있다.
최근에 이르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재(10)를 고정시키지 않고 밑바탕지(11) 위에 까는 것 만으로 시공이 완료되도록(깔개 공법이라고 한다)한 바닥재(10)가 깔개 타일 카페트를 기초로 하여 개발되어 적용되어 왔다. 이 바닥재(10)는 바로 깔기 공법에 사용되는 바닥재의 경우와 똑같이, 볼록 돌기(2)와 오목홈(3) 및 이면의 톱니홈(7)을 가공 형성하여, 이면에 고밀도 수지 시이트(12)를 접착하여 일체화하고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바닥재와의 접합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 돌기(2)와 오목홈(3)을 끼워 맞추는 것이다. 다만, 단순한 볼록 오목 접합만으로는 시공후의 바닥재의 움직임에 의하여 틈새가 발생하기 때문에, 요소를 부분적으로 밑바탕지(11)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접착제를 볼록 돌기(2) 또는 오목홈(3)에 도포하여, 인접하는 바닥재의 볼록 오목 끼리를 접합하는 방법(이른바, 제혀쪽매)이 행하여져 왔다.
또, 깔개 공법의 볼록 오목의 접합방법의 다른 예로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 돌기(2)와 오목홈(3)의 구성을 변경하여, 목질 기재(4)와 고밀도 수지시이트(12)의 두께의 비를 대략 같게 하여, 볼록 돌기(2)와 오목홈(3)의 각각의 상반부를 목질 기재(4), 하반부를 고밀도 수지 시이트(12)로 한 것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볼록 돌기(2)와 오목홈(3)의 치수를 조정함으로써, 끼워 맞춘 경우에 목질 기재(4)와 고밀도의 수지 시이트(12)의 마찰력으로 종래의 볼록 오목 접합 보다 강고하게 끼워 맞출 수 있어서, 시공후의 바닥재의 움직임에 의하여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깔개 공법의 접합방법의 다른 예로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밀도의 수지 시이트(12)의 단부에 후크 형상의 돌기(13)를 설치하여, 목질 기재(4)에도 이 후크 형상의 돌기(13)가 끼워 맞추어지는 제2의 오목돌기(14)를 설치한 바닥재를 구성한 것이 있다. 이 경우, 시공후의 바닥재의 움직임에 의하여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이들 공지의 시공 방법 및 바닥재는 현재에도 도처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다음에 열거하는 바와 같이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① 밑바닥재 공법
(a) 흠이나 볼록의 발생의 염려 :
시공에 못과 망치를 사용하므로, 잘못하여 흠이 나거나 볼록 돌기가 망가지거나 하여 하자가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못을 박는 각도와 굵기가 부적절한 경우에는 화장면에 약간의 볼록이 생겨서, 빛의 가감으로 뚜렷이 눈에 띄어 크레임 사유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b) 시공시의 소음 :
통상의 망치에 의한 못 박을 때의 소음이 발생하나, 시공의 효율화를 위하여 압축기와 못 박는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더욱 큰 소음이 나서, 야간이나 주택지에서의 공사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c) 철거시의 장해(작업곤란과 재이용 불가) :
철거시에는 다대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철거후의 바닥재 및 밑바탕지의 밑바닥재는 통상은 파손이 심하여 재사용은 불가능하였다. 이 때문에 자원의 유효 이용상 문제점이 있었다. 또 철거후의 폐재는 굽거나 예리한 단면이 노출되어 있어서, 못도 박혀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재이용은 곤란하고 매우 위험하기도 하였다.
바로 깔기 공법
(a) 접착제의 유해성 :
현장시공용의 접착제로서는 에폭시 수지 접착제 또는 우레탄 수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들에는 함유량이 차이는 있지만 톨루엔 기타의 유기용제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사용할 때에 유해하고 인화성의 가스가 발생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높고, 작업환경이 악화되었다. 위험성의 면에서는 수성의 에틸렌변성아세트산 비닐수지 접착제등이 불연성이어서 안전성이 높으나, 경화시의 수축이나 접착강도에 문제점이 있어서 일반적이 아니었다.
(b) 작업성의 불량 :
일부의 접착제를 제외하고, 작업현장에 한꺼번에 반입할 수 있는 양은 (a)에서 설명한 이유로 소방법의 제한을 받기 때문에, 소량으로 제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규모의 시공 현장에서는 접착제를 몇 번으로 나누어 운반·보관할 필요가 있어서, 많은 시간과 수고를 필요로 하였다. 또 에폭시 수지 접착제는 여름철에는 포트 라이프(사용가능시간)가 20∼30분으로 단시간이기 때문에, 소량씩 혼잡 교반하여 사용하지 않을 수 없어서, 매우 번거로웠다.
(c) 주위의 오염 :
접착제가 잘못하여 쏟거나 떨어뜨려 주위에 묻어서, 오염될 염려가 있었다. 또 접착제의 도포량이 과잉의 경우에는, 표면으로 삐져나와 화장면을 현저히 오염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d) 양생 시간이 긴 것 :
접착제가 경화될 때까지의 양생 시간은 접착 불량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다음의 작업으로 옮길 수 없었다. 또 겨울철에는 경화가 현저히 느리기 때문에, 양생시간을 더욱 길게 잡을 필요가 있었다.
(e) 접착 불량의 염려 :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혼합 교반의 부족, 건조접착, 도포량 부족 기타의 원인으로 접착 불량이 생길 가능성이 있었다.
(f) 바닥 울림(삐걱 소리)이나 차음 성능 저하의 염려 :
(c)에서 설명한 접착제의 도포량이 과잉의 경우에는, 접착제가 완충제를 덮어 칠해진 상태가 되어, 완충제의 완충효과를 감쇄하여 바닥충격음 차음 성능이 저하되거나, 바닥 울림(삐걱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g) 철거시의 장해(곤란과 재이용 불가) :
철거시에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철거후의 바닥재는 재사용이 불가능할 정도로 파손되어 있다. 또 밑바닥재의 파손도 심하여, 시공용 접착제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였다.
(h) 시공시의 소음 :
시공시의 볼록 오목의 끼워맞춤에는 고무 해머로 타격할 필요가 있으나, 이 소음은 특히 아래층에 울리기 쉽다. 이 때문에 야간이나 주택지에서의 공사에는 문제가 있었다.
(i) 공기(시공시간 및 철거시간이 긴 것) :
이상과 같이, 손작업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양생 시간도 포함하여 많은 시간이 걸리고, 특히 작업시간이 한정되어 있는 점포인 경우에는 쉽지 않았다.
이러한 실정 가운데,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제·교반이 불필요한 한 방울로 시공시에 에폭시 수지 접착제보다도 유연성이 풍부하고, 유기용제 함유량이 적고, 소방법의 규제를 받지 않는 우레탄 수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도 일반화 되어가고 있으나, 상기의 많은 문제점 중, 접착제의 유해성의 완화나 작업성의 개선이 어느 정도 충족될 뿐이고,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는 것은 아니었다.
깔개 공법
(a) 1군데에 집중한 틈새의 발생 :
종래의 볼록 오목 접합을 사용한 경우, 볼록 오목 부분을 접착하지 않으면 수평 방향에 대한 강도가 전혀 없어, 쉽게 빠져버린다. 따라서, 끼워놓은 것만으로는 보행시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힘에 의하여 차츰 전체가 빠져버리기 쉽다. 건조에 의한 수축이 발생한 경우, 깔개바닥재는 이면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1군데에 집중한 틈새가 생겨, 큰 틈새가 되는 일이 있다.
예를 들면, 합판인 경우 함수율이 1% 변동하면, 길이방향의 치수 변화는 0.01%가 된다. 바닥재의 길이가 가령 900mm이고, 이것이 5매 연결되어 있다고 하자. 가령, 함수율이 5% 변동하면, 전체적으로 2.25mm의 치수 변화가 발생한다.
(b) 오목 볼록 가공 부분을 접착하는데 수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철거후의 재이용을 할 수 없게 되는 점 :
1군데에 집중한 틈새의 발생 방지를 위해서는, 볼록 돌기(2)와 오목홈(3)부분을 접착제로 고정시키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시공의 수고가 들 뿐만 아니라, 접착제가 삐져나와 주위를 오염시킬 염려도 있고, 철거시에 볼록 돌기(2)와 오목홈(3)의 파손이 생기기 때문에, 재이용을 할 수 없다(도 5, 도 6).
(c) 볼록 오목 가공 부분의 마찰력을 올려도 강도 부족 :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 돌기(2)와 오목홈(3)의 구성을 변경하여, 목질 기재(4)와 고밀도의 수지 시이트(12)의 밀착에 의한 마찰력의 향상을 기대하여도, 접착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 사용에 의한 열화(劣化)의 염려가 있다. 즉, 보행시에 가해지는 수평 방향의 힘에 의하여 차츰 전체가 빠져버릴 염려가 있다.
(d) 볼록 오목 가공 부분에 수평 방향의 걸림 장치를 하여도 강도의 부족이 생각되는 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의 강도를 지니게 하기 위하여 볼록 돌기(2)의 하부에 후크 형상의 돌기(13)를 형성하여, 이 후크 형상의 돌기(13)가 끼워 맞춰지는 제2의 오목홈(14)을 설치함으로써, 상기(c)의 방법보다는 끼워맞춤 강도는 향상될 수 있지만, 후크 형상의 돌기(13)의 설치 정밀도가 나쁘면 도리어 틈새가 생길 염려가 있다. 또 후크 형상의 돌기(13)의 재질이 연질 폴리 염화 비닐(PVC)의 시이트인 경우, 연질이기 때문에 덜그럭거림이 생길 염려가 있다.
(e) 1매만의 교환이 곤란 :
어느 경우에도 볼록 돌기(2)와 오목홈(3)이 있기 때문에, 바닥재 1매만을 교환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1매만의 교환은 오목홈(3)의 하부를 깎아내고 끼워 넣는 방법이 일반적이나, 수고가 들뿐만 아니라 당연히 볼록 오목 접합의 강도는 거의 없어지므로, 밟으면 울림이나 어긋남의 발생 가능성이 생긴다.
(f) 굴곡 시공(기러기 비행형)이 곤란 :
굴곡하여 시공하는 기러기 비행형이라고 불리는 방법에서는, 인접하는 바닥재 끼리를 방향을 바꾸어 서로 폭 방향과 길이 방향을 접합할 필요가 있으나, 이 경우의 각도가 잘못되기 쉬워, 전체가 휘거나 틈새가 생기는 경우가 많았다.
제1의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의 깔개바닥재의 특징은 그대로 살리면서, 결점인 큰 틈새의 발생을 접합재를 사용하여 방지하고, 작업성 및 시공성을 개선한 깔개바닥재의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의 본 발명은 또 제1의 본 발명에 의거한 바닥재 설치 구조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바닥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주택·사무실 등의 건물의 바닥 난방의 바닥재와 방열부재(전열재·온수 파이프 등)의 조합에는, 대별하면 발열 부재 분리형과 발열 부재 일체형이 있다.
발열 부재 분리형은, 밑바탕지재의 위 또 밑바닥재의 사이에 부설되는 발열부재가 조립되어 넣어진 발열 패널과, 그 발열 패널의 위에 부설되는 발열 부재와는 별체의 바닥재로 구성된다. 이 발열 부재 분리형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발열 패널과 바닥재가 별체이기 때문에 각각의 종류, 사이즈의 선택의 자유도가 높고, 또한 발열 패널의 면적이 크면 클수록 전 면적에 대한 발열 부분의 비율을 크게 할 수 있어서, 발열 부재의 접속부분이 적어져 시공이 쉽고, 고장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발열 부재 분리형에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가) 못 박음에 의한 발열 부재의 손상
못 박는 위치·방향을 잘못하면 발열 부재, 온도 제어 장치, 코넥터 등을 손상시켜, 수전·누수·기타의 사고발생의 원인이 된다.
(나) 바닥재만의 교환은 곤란, 재이용 불가능
바닥재만의 교환은 가능하나, 설치시에 못·접착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철거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한다. 더욱이 완전 철거는 곤란하다. 그 때, 못 뻬는 장도리(바아)·스크레이퍼의 날에 의하여 바닥재·발열 패널이 함께 손상되기 때문에 재사용·재이용은 불가능하다. 또 폐재는 못 등이 노출되어 위험하다.
(다) 발열 패널 고장만으로도 바닥재의 교환이 필요
고장난 발열 패널을 수리할 때, 그 부분의 바닥재의 철거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나)에서 설명한 문제점이 있다.
(라) 설치후의 난방 구역의 부분 변경은 곤란
상기 (나)의 이유 때문에 설치후의 난방 구역의 부분 변경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가구의 이동 등 방 배치의 변경에 의한 난방 구역의 부분 변경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당시 난방의 불필요한 부분까지 발열 패널의 부설이 바람직하다.
이밖에 깔개바닥재의 설치 공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마) 밟아 울림(삐걱 소리)의 발생
(바) 시공시의 소음
(사) 접착제에 의한 건강·화재에 대한 위험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발열 부재 일체형은 바닥재 내부에 발열 부재가 설치된 것인데, 통상은 차례로 밑바닥재 위에 못·접착제 등으로 고정되고, 바닥재 사이의 발열 부재끼리 코넥터를 통하여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발열 부재 일체형에는, 바닥재의 부설과 발열 부재끼리의 접속만에 의하여 시공이 이루어지는 간편성이 있다.
그러나, 이 발열 부재 일체형에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즉,
(가) 발열 부재끼리의 접속 위치가 많다
각 바닥재에 대하여 발열 부재 끼리를 코넥터를 통하여 접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접속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하고, 다수의 코넥터로 인한 접촉 불량 등의 고장의 빈도가 높다.
(나) 바닥재의 교환은 곤란 내지 불가능
바닥재와 발열 부재가 일체화되어 있어서 고가이고, 바닥재만의 교환은 불가능하다. 또한, 바닥재가 못·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철거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한다. 더욱이 완전 철거는 곤란하다.
그 때, 못 빼는 장도리(바아)·스크레이퍼의 날에 의하여 바닥재·발열 패널이 함께 손상을 받아, 재사용·재이용은 불가능하다. 또 폐재는 못 등이 노출되어 위험하다. 그리고, 일부의 바닥재는 화장재부분이 나사 고정되어 있어, 붙이고 떼기가 가능하나, 더욱 고가가 될 뿐만 아니라, 나사 가림의 흔적이 노출되어 있어서 외관이 좋지 않다.
(다) 설치후의 난방 구역의 부분 변경은 곤란
상기 (나)의 이유 때문에 설치후의 난방 구역의 부분 변경은 극히 곤란하다. 따라서 가구의 이동 등 방 배치의 변경에 의한 난방 구역의 부분 변경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당시 난방이 불필요한 부분까지 발열 부재가 설치된 바닥재의 부설이 바람직하다.
기타, 발열 부재 분리형의 (라) 내지 (사)와 똑같은 문제점이 있다.
제1의 본 발명의 깔개바닥재의 설치 구조는, 부설시에 인접하는 바닥재가 그 설치 이면 단부에 접합면과 평행으로 끼워맞춤 오목 부재를 장착하는 끼워 넣는 홈을 가지며, 끼워맞춤 오목 부재가 바닥부 길이방향으로 줄홈을 가지며, 접합재가 끼워맞춤 볼록부를 형성하는 레일 형상의 돌기 줄을 가지고 있어서 접합재를 인접바닥재의 각 끼워맞춤 오목 부재 사이에 걸쳐 설치하여 바닥재를 연결하며, 필요에 따라 완충재 또는 비중이 큰 시이트를 통하여 바닥재를 부설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재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바닥재의 설치 이면 단부에 설치된 끼워 넣는 홈이 접합 단면에 평행한 2 군데 또는 4주위에 새겨 설치되어 있다. 또 바닥재의 설치 이면에는, 밑바탕지재의 면고르기 불량의 영향을 흡수하고, 불륙대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폭 방향 또는 격자 형상으로 톱니 홈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닥재에는 종래 예에 있는 볼록 돌기나 오목홈의 방향성을 부여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접합재가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소재로 하는 것이고, 완충재가 폴리에틸렌 폼 및 폴리 우레탄 폼을 포함한 플라스틱 폼 또는 펠트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 설치 구조를 개변함으로써 종래의 깔개바닥재의 결점을 해소하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바닥재의 설치 구조의 1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기본적인 끼워맞춤 방법에 관해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재의 본체(기재)로서 합판, MDF(middle density fiber board), 집성재, 스트랜드 보드, 기타의 목질 기재(15)를 사용하고, 또한 그 표면 쪽에 화장재(16)를 접착하여 일체화한 것을 제조한다.
이때, 밑바탕재(23)로의 불륙대응성을 더욱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목질 기재(15)의 이면 쪽에 일정간격으로 톱니홈(7)을 새겨 설치하여, 유연성을 내둔다. 목질 기재(15)의 이면 쪽에는 폴리 에틸렌 폼, 폴리 우레탄 폼 등의 완충재(17)를 접착하여 일체화한다.
이 완충재(17)로는 유연하고 무게가 있는 차음 시이트 등의 비중이 큰 시이트를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또 차음 시이트 등의 비중이 큰 시이트와 폴리 에틸렌폼, 폴리 우레탄 폼 등의 완충제와의 조합이라도 상관없다. 이렇게 함으로써 밑바탕지(재)의 면고르기 불량의 영향을 흡수하여, 불륙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바닥재로 할 수 있다.
또, 목질 기재(15)의 설치 이면에 끼워맞춤 오목 부재(20)를 장착하기 위한 끼워 넣는 홈(22)을 가공 형성한다. 끼워맞춤부재(20)는 접합재(18)의 돌기 줄(19)의 한쪽이 끼워 맞춰질 수 있는 줄홈(201)을 가지게 된다. 접합재(18)의 돌기 줄(19)은 정단이 약간 넓어진 반구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끼워맞춤 오목 부재(20)의 줄홈(201)에 끼워 맞춘 경우, 꼭 맞게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정단이 양간 넓어진 형상이면, 선단이 쪼개진 형상도 생각할 수 있다.
1매의 깔개바닥재(목질 기재)(15)의 설치 이면의 끼워 넣는 홈(22)은, 접합단면에 평행한 2 군데 또는 단부 4주위에 새겨 설치되어 있어서, 어느 것이나 끼워맞춤 오목 부재(20)를 장착할 수 있어서, 접합재(18)를 통하여 어느 위치에서도 인접하는 다른 깔개바닥재(24)와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양쪽의 깔개바닥재(24, 24)에 걸치도록 접합재(18)의 끼워맞춤 볼록부(19)를 끼워맞춤 오목 부재(20)의 줄홈(201)에 삽입하면, 깔개바닥재(24)의 연결이 완성된다. 이렇게 하여 차례차례로 연결해가면 바닥재의 시공이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 오목 부재(20)의 측면에는 탈락방지의 돌기(21)가 설치되고, 목질 기재(15)의 설치 이면에 새겨 설치된 끼워 넣는 홈(22)에 미리 압입 또는 접착 등의 수단으로 고정시켜 일체화 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 오목 부재(20)는 알맞기는 연질염화비닐(PVC) 기타의 수지 성형품으로 되고, 줄홈(201)의 안쪽이 양간 넓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접합재(18)의 끼워맞춤 볼록부(19)가 빠질 때에는 저항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실제의 시공 현장에서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의 중앙에 접합재(18)를 일직선으로 나란히 놓고 양면 테이프 등으로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밑바탕재(23)에 고정시킨다. 이 접합재(18)의 설치는 종래의 바닥재와 같이 접합재(18)에 도 7에 도시한 끼워맞춤 오목 부재(20)의 줄홈(201)을 끼워 맞추면 깔개바닥재(24)는 자동적으로 틈새 없이 직선적으로 배열할 수 있다. 2열째 이상도 똑같이 접합재(18)와 줄홈(201)을 끼워맞춤으로써 바닥 시공을 진행할 수 있다.
깔개바닥재(24)의 이면의 4주위에 끼워 넣는 홈(22)을 설치한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바닥재의 길이방향의 말단에서, 바닥재의 방향이 변화하는 파도형(기러기 비행형)시공도 쉽게 가능하다. 이것은 깔개바닥재(24)의 짧은변(25)의 이면의 끼워맞춤 오목 부재(20)와 긴변(26)의 이면의 끼워맞춤 오목 부재(20)를 접합재(18)를 사용하여 끼워 맞추는 것만으로, 종래에 각도의 잘못 때문에 시공이 곤란하였던 직각의 접합이 쉬워져서 시공성이 향상된다.
접합재(18)를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로 하고, 밑바탕재(23)의 위에 바로 깔아도 상관없으나,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에 완충재(27), 알맞기는 폴리 에틸렌 폼, 폴리 우레탄 폼, 기타의 플라스틱 폼 또는 펠트 등을 붙여 두면 차음 바닥재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닥재 설치 구조는 이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인데, 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나타낸다.
(1) 시공 및 철거가 자유롭게 가능 :
접착제나 못 등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바닥재 본체를 파손시키지 않고 철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분깔개의 카페트와 같이 계절에 따라 바꾸어가는 것도 용이하다.
(2)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건강상의 문제 및 오염이나 화재의 위험성이 없다.
(3) 시공에 있어서의 접합은 접합재와 바닥재(의 끼워 맞춤재)를 손으로 끼워 넣거나, 가볍게 고무 해머로 타격하는 것만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서, 못을 박음으로써 생기는 흠이나 올록 볼록 등의 흠 발생이나 이에 따르는 소음이 해소된다.
(4) 시공에 특수한 기술이나 공구는 불필요하다. 즉, 압축기, 못박는 기계, 쇠망치 등의 숙련을 요하는 공구는 필요 없고, 기껏해야 톱을 사용하는 정도이고, 전문가에 의하지 않더라고 (DIY라도) 시공가능하다. 종래의 접착시공과 같이, 접착제의 오픈 타임 안에 시공을 완료할 필요도 없으므로, 작업자의 페이스로 시공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5) 기러기 비행형 등 직각으로 접합시키는 경우라도 접합재를 끼워 넣음으로써, 힘들이지 않고 직각이 나와서 틈새 없이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다.
(6) 만일 잘못 접합하여도 즉시 철거하여 몇 번이라도 수정할 수 있다. 1매라도 교환 가능하다.
(7) 철거후의 바닥재에는 못이나 접착제가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위험성도 없고, 재이용 가능하다. 더욱이 부피가 작으므로 접어서 상자에 넣어 보관할 수 있다.
제2의 본 발명의 바닥 난반용 바닥 구조는, 바닥재(10)와 발열 부재(40)가 조합됨으로써 구성된 것인데, 발열 부재(40)가 붙이고 떼기가 쉽게 지지되고, 또한 그 발열 부재(40)가 지지된 상태에서 바닥재(10)의 하면에 붙이고 떼기 쉽게 걸리는 걸림 기구(3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걸림 기구(30)가 수평 기판(31)의 윗면 중앙에 그 수평 기판(31)과 일체로 1쌍의 볼록 줄(32, 32)이 돌출 설치됨으로써, 그 1쌍의 볼록 줄(32, 32)과 수평 기판(31)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발열 부재(40)를 붙이고 떼기 쉽게 끼워맞춤 가능한 발열재 지지부(33)가 형성되고, 또한 수평 기판(31)의 윗면에 인접하는 2매의 바닥판(10, 10)의 각각의 아래면 또는 1매의 바닥재(10)의 아래면에 형성된 적어도 1쌍의 오목 형상 받이 기구(20, 20)에 붙이고 떼기 쉽게 걸리는 걸림부(35, 35)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 난방용 바닥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걸림 기구(30)는, 상기 바닥재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사용되는 접합재(18)에 대응하는 것인데, 접합재(18)를 폭넓게 형성하여 그 돌기 줄(끼워맞춤 볼록부)(19)의 사이에 발열재 지지부(33)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 부재(40)의 장착을 쉽게 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2매의 바닥재(10, 10)의 각각의 아래면 또는 1매의 바닥재의 아래면에, 발열재 지지부(33)를 수납할 수 있는 오목부(10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바닥재와 걸림 기구를 접합한 두께가 대략 바닥재의 두께와 같게 되어, 설치의 자유도가 증대하여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 걸림부(35, 35)가 볼록 줄(32, 32)에 평행한 직선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걸림부를 볼록 줄에 평행한 직선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오목 형상 받이 기구의 걸림부로의 걸림이 매우 쉽게 되어, 바닥재의 부설이 매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바닥 난방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면 합판·콘크리트 등의 밑바탕재의 윗면에 적당한(후술하는 바닥재의 부설시에 인접하는 바닥재가 틈새 없이 접하는)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각 걸이기구(30)가 설치된다. 다음에 그 각 걸이기구의 방열재지지부에 전열재·온수 파이프 등의 방열 부재가 끼워 부착된다. 또한 각 걸이기구의 걸림부에 바닥재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 받이 기구가 접합되어 걸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재를 고정시킬 때에는 못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못 박는 위치·방향의 잘못에 의한 발열 부재의 손상은 생기지 않으며, 따라서 누전·누수·기타의 사고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 시공시의 못을 박을 때에 생기는 소음도 없다. 더욱이 접착제도 사용되지 않으므로, 어느 바닥재·발열 부재도 붙이고 떼기가 쉽고, 철거교환에 따르는 손상이 없어, 보관·재이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설치후의 가구 등의 이동에 따르는 난방 구역의 부분 변경(철거, 위치변경, 증설등)도 쉽고, 당시에는 불필요한 구역에 미리 발열 부재를 설치하는 등의 여분의 공사는 불필요하다.
그리고, 기본적으로는 못·접착제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바닥재는 온도·수분의 변화에 의한 신축에 대해서도 쉽게 추종하기 때문에, 틈새가 거의 변화하지 않아, 밟아서 울리는 일이 없다. 발열 부재는 미리 접속된 것을 발열재 지지부에 끼워 맞추는 것만으로 되어, 코넥터 등의 접속 시공 개수도 적고, 또 그것에 의한 접촉불량등의 고장도 적다.
제2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닥 난방용 바닥구조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재(10)와 발열 부재(40)가 조합됨으로써 구성된 것에, 추가 설치된 걸림 기구(30)에 의하여 방열부재(40)가 붙이고 떼기가 쉽게 지지된 상태로, 바닥재(10)의 아래면에 붙이고 떼기 쉽게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바닥재(10)의 아래면에는 오목부(10a)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발열재 지지부(33)가 수납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바닥재(10)와 걸림 기구(30)를 합친 두께가 대략 바닥재의 두께와 같게 되어, 설치의 자유도가 증대하여, 설치가 쉬워진다. 그리고 발열 부재(40)로서는 전열재·온수 파이프 등과 똑같은 발열 기능을 가지며, 1방향으로 긴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걸림 기구(3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금속·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고, 수평 기판(31)의 윗면 중앙에 그 수평 기판(31)과 일체로 1쌍의 탄성적으로 좌우에 개폐할 수 있는 볼록 줄(32, 32)이 돌출 설치되어 있는데, 그것에 의하여 그 1쌍의 볼록 줄(32, 32)과 수평 기판(31)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발열 부재(40)를 붙이고 떼기 쉽게 끼워맞춤 가능한 발열재 지지부(33)가 형성된다. 그리고 발열재 지지부(33)로서는, 왕복분의 2개의 발열 부재(40)를 지지할 수 있는 것 외에,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만의 1개의 발열 부재(40)를 지지할 수 있는 것도 있으며, 그 지지할 수 있는 개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평 기판(31)의 윗면에는 각각 선단에 머리부분이 큰 걸림부(35, 35)가 돌출 설치되어 있어서, 인접하는 2매의 바닥판(10, 10)의 각각의 아래면에 형성된 적어도 1쌍의 탄성적으로 좌우로 개폐 가능한 단면 C자의 오목 형상 받이 기구(20a, 20a)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림부(35, 35)는 볼록 줄(32, 32)에 평행한 직선적으로 형성되어, 오목 형상 받이 기구(20a, 20a)의 걸림부(35, 35)로의 걸림을 쉽게 하고 있다. 그리고, 걸림 기구(30)는 도 7에 도시한 접합재(18)에 대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걸림부(35, 35)는 접합재(18)의 돌기 줄(끼워맞춤 볼록부)(19)과 같게 형성하여도 좋다. 걸림부(35, 35)로서는 1매의 바닥재의 아래면에 형성된 적어도 1쌍의 오목 형상 받이 기구에 걸릴수 있는 것이면 된다(도시는 생략).
시공에 있어서는, 먼저 예를 들면 합판·콘크리트 등의 밑바탕지재의 윗면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각 걸림 기구(30)가 설치된다. 다음에 그 각 걸림 기구(30)의 발열재 지지부(33)에 발열 부재(40)가 끼워 부착된다. 또한 각 걸림 기구(30)의 걸림부(35, 35)에 바닥재(10)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 받이 기구(20a, 20a)가 접합되어 걸린다. 이상으로 공사는 완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고정시키기 위하여 못·접착제는 사용되지 않는다.
기타, 바닥충격음을 저감 또는 차음시키기 위하여 바닥재(10)의 아래면 또는 걸림 기구(30)의 아래면에, 폴리 우레탄 폼이나 펠트 등의 완충재(12) 등(차음재를 포함)이 일체로 접착된 것이 사용되어도 좋다. 또 바닥재(10)와 걸림 기구(30)와의 사이에 열확산용의 알루미늄시이트, 완충판, 차음판 등이 삽입되어도 좋다(도시생략).
본 발명의 바닥 난방용 바닥구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 문제점으로 되어있던 시공시에 있어서의 못 박기, 접착제 사용의 문제나, 바닥재, 발열 부재의 재이용, 또 난방 구역의 부분 변경 등의 문제점은 생기지 않고, 더욱이 쉽게 바닥 난방을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밑바닥재 공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바로 깔기 공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깔개 공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깔개 공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깔개 공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깔개 공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설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끼워맞춤 오목 부재의 장착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9는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0은 기러기 비행형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1은 접합재의 다른 구성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분해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있어서 걸림 기구에 발열 부재를 지지시키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 걸림 기구에 발열 부재를 지지시키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재(床材) 2 : 볼록 돌기
3 : 오목홈 4 : 밑바닥재(根太)
5 : 못 6 : 접착제
7 : 톱니홈 8 : 콘크리트 슬래브
9 : 바로 깔기 바닥재용 접착제 10 : 바닥재(床材)
11 : 밑바탕지(床下地) 12 : 고밀도 수지 시이트
13 : 후크 형상의 돌기 14 : 제2의 오목홈
15 : 목질 기재 16 : 화장재
17 : 완충재 18 : 접합재
19 : 돌기 줄(突條)(끼워맞춤 볼록부)
20 : 끼워맞춤 오목 부재 201 : 줄홈(條溝)
21 : 탈락방지용 돌기 22 : 끼워넣는 홈(收設溝)
23 : 바탕재 24 : 깔기 바닥재
25 : 짧은 변 26 : 긴변
27 : 완충재 20a : 오목 형상 받이 기구
30 : 걸림기구 31 : 수평 기판
32 : 볼록 줄 33 : 발열 부재 지지부
35 : 걸림부 40 : 발열 부재

Claims (8)

  1. 깔개 바닥재의 설치 구조에 있어서,
    부설시에 인접하는 바닥재가 그 설치 이면 단부에 접합면과 평행으로 끼워맞춤 오목 부재를 장착하는 끼워 넣는 홈을 가지며, 바닥재의 접합면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바닥부 길이 방향으로 줄 홈을 가지는 끼워맞춤 오목 부재가 상기 끼워 넣는 홈에 장착되고 있으며, 접합재는 끼워맞품 볼록부를 형성하는 레일 형상의 돌기 줄을 가짐과 더불어, 접합재의 끼워맞춤 볼록부를 인접하는 각 바닥재의 각 끼워맞춤 오목 부재에 끼워 맞춤으로써 바닥재를 연결 부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개 바닥재의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재의 설치 이면 단부에 설치된 끼워 넣는 홈이 접합 단면에 평행한 2 군데 또는 4주위에 새겨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깔개 바닥재의 설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바닥재의 설치 이면에 폭 방향 또는 격자 형상으로 톱니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개 바닥재의 설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접합재가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소재로 하는 것이고, 완충재가 폴리 에틸렌 폼 및 폴리 우레탄 폼을 포함한 플라스틱 폼 또는 펠트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깔개 바닥재의 설치 구조.
  5. 바닥재와 발열 부재가 조합됨으로써 구성된 것으로서, 발열 부재가 붙이고 떼기 쉽게 지지되고, 또한 그 발열 부재가 지지된 상태로 바닥재의 아래면에 붙이고 떼기 쉽게 걸리는 걸림 기구(접합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걸림 기구가 수평기판의 윗면 중앙에 그 수평기판과 일체로 1쌍의 볼록 줄이 돌출 설치됨으로써, 그 1쌍의 볼록 줄과 수평 기판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발열 부재를 붙이고 떼기 쉽게 끼워맞춤 가능한 발열재 지지부가 형성되고, 또한 수평 기판의 윗면에 인접하는 2매의 바닥판의 각각의 아래면 또는 1매의 바닥재의 아래면에 형성된 적어도 1쌍의 오목 형상 받이 기구에 붙이고 떼기 쉽게 걸리는 걸림부(돌기 줄)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난방용 바닥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하는 2매의 바닥재의 각각의 아래면 또는 1매의 바닥재의 아래면에 발열재 지지부를 수납 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난방용 바닥 구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볼록 줄에 평행한 직선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난방용 바닥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깔개 바닥재를 깔아 늘어놓은 경우에, 바닥 아래 지면 위에 완충재 또는 비중이 큰 시이트를 깔고 그 위에 상기 바닥재를 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깔개 바닥재의 설치 구조.
KR1019980003306A 1997-02-07 1998-02-05 깔개바닥재의설치구조 KR100571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40006 1997-02-07
JP9040006A JPH10219975A (ja) 1997-02-07 1997-02-07 置き敷き床材の設置構造
JP97-040006 1997-02-07
JP97-273762 1997-09-19
JP27376297A JP3406203B2 (ja) 1997-09-19 1997-09-19 床暖房用床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115A KR19980071115A (ko) 1998-10-26
KR100571293B1 true KR100571293B1 (ko) 2006-10-11

Family

ID=2637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306A KR100571293B1 (ko) 1997-02-07 1998-02-05 깔개바닥재의설치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71293B1 (ko)
CN (2) CN1110612C (ko)
HK (1) HK105980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877B1 (ko) * 2020-06-24 2020-12-30 (주)허그컴퍼니 조립식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912Y1 (ko) * 2004-06-30 2004-09-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합부가 수지로 체결된 난방용 패널
CN100398765C (zh) * 2005-02-25 2008-07-02 天津锐新科技开发有限公司 可更换面层的空调式地板
KR100762943B1 (ko) * 2006-05-19 2007-10-02 주식회사 한솔홈데코 결합구를 이용한 조립식 바닥재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0878141B1 (ko) * 2008-04-11 2009-01-12 (주)그린아트산업 변형방지 목재데크
CN102373783A (zh) * 2010-08-10 2012-03-14 吕锋滨 一种用于电热地板的连接构件
CN102226353A (zh) * 2011-04-15 2011-10-26 李渊 冷热装饰板
KR101754194B1 (ko) * 2016-02-22 2017-07-19 주식회사 한샘 시공, 철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비접착식 바닥밀착형 조립식 마루판 및 이를 이용한 마루판의 밀착 시공 방법
CN106906983B (zh) * 2017-03-24 2022-12-02 扬州富铭新材料有限公司 一种带有定位基板的塑料地板
KR102105082B1 (ko) * 2019-05-20 2020-04-29 (주)스테이지프라임 조립식 덧마루
CN110409751B (zh) * 2019-08-29 2024-05-24 南京林业大学 实木地板电热系统及其安装方法
CN110779068B (zh) * 2019-10-26 2021-09-10 天一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房屋地暖结构及其施工方法
EP4298294A1 (en) 2021-02-23 2024-01-03 Dalla Riva Srl Coupling system for wooden panels for the construction of removable sports flooring
CN115233932A (zh) * 2022-08-11 2022-10-25 厦门万里石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大理石石材铺贴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9688A (en) * 1976-03-15 1979-10-02 Sato Toshio Artificial skating-rink floor
US4461131A (en) * 1982-05-21 1984-07-24 Aar Corporation Panel interconnection system
JPS6414839U (ko) * 1987-07-18 1989-01-25
US4819932A (en) * 1986-02-28 1989-04-11 Trotter Jr Phil Aerobic exercise floor system
WO1993013280A1 (en) * 1991-12-27 1993-07-08 Junckers Industrier A/S A device for joining floor boards
JPH06292318A (ja) * 1993-02-02 1994-10-18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床構造物の床支持材
KR100209979B1 (ko) * 1996-06-21 1999-07-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반도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78846B (de) * 1978-06-28 1985-10-10 Pvg Patentverwertung Fussbodenheizung
DE7921324U1 (de) * 1979-07-26 1981-01-29 Baufa-Werke Richard Rinker, 5750 Menden Deckenstrahlheizkörper für die Klimatisierung von Räumen, Turnhallen u.dgl
DE8022673U1 (de) * 1980-08-26 1981-01-08 Feist, Artus, 5060 Bergisch Gladbach Halteschiene für die Heizrohre einer Fußbodenheizung
DE3116872A1 (de) * 1981-04-28 1982-11-11 Thermoval Fußbodenheizungen Entwicklungs- und Forschungsgesellschaft mbH, 1150 Wien Klimaboden
CN2059216U (zh) * 1989-12-06 1990-07-11 朴文奉 多功能家用锅炉
DE4427147A1 (de) * 1994-07-30 1996-02-01 Hewing Gmbh Verlegbare Rohranordnu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9688A (en) * 1976-03-15 1979-10-02 Sato Toshio Artificial skating-rink floor
US4461131A (en) * 1982-05-21 1984-07-24 Aar Corporation Panel interconnection system
US4819932A (en) * 1986-02-28 1989-04-11 Trotter Jr Phil Aerobic exercise floor system
JPS6414839U (ko) * 1987-07-18 1989-01-25
WO1993013280A1 (en) * 1991-12-27 1993-07-08 Junckers Industrier A/S A device for joining floor boards
JPH06292318A (ja) * 1993-02-02 1994-10-18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床構造物の床支持材
KR100209979B1 (ko) * 1996-06-21 1999-07-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반도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877B1 (ko) * 2020-06-24 2020-12-30 (주)허그컴퍼니 조립식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59808A1 (en) 2004-07-16
CN1110612C (zh) 2003-06-04
CN1318712C (zh) 2007-05-30
CN1448602A (zh) 2003-10-15
CN1191261A (zh) 1998-08-26
KR19980071115A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1293B1 (ko) 깔개바닥재의설치구조
JPH10219975A (ja) 置き敷き床材の設置構造
JP4331676B2 (ja) 建築板材取付用のレール式固定具
CA3009640C (en) Assembly-type non-adhesive floorboard that tightly contacts floor and can be easily installed, dismantled, and maintained and method for tightly installing floorboard using same
JP4396535B2 (ja) 置敷床材及びこれを用いた床施工構造
JP3831715B2 (ja) 断熱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CN217998739U (zh) 一种可降噪的装配式板材结构
JP2700443B2 (ja) 床暖房装置
US5251419A (en) Stone-paved floor construction, and method of paving floor with stone
US20070289232A1 (en) Composite decking board fastening system
JP3387844B2 (ja) 幅木材と床材の納まり構造
KR100467910B1 (ko) 마루 조립체
JP3551287B2 (ja) 断熱床材
JP3406203B2 (ja) 床暖房用床構造
KR20190101232A (ko) 마루바닥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EP1416105B1 (en) Sound-insulating subfloor-assembly for floor elements of ceramic or natural stone
JP2007315165A (ja) ユニット床材
JPH0821074A (ja) 下地パネル、加温装置、床暖房床および施工方法
JP2006077506A (ja) 防水構造
KR20180048114A (ko) 조립식 목제 데크 보수용 브라켓
JP2022087723A (ja) 耐火目地構造及び耐火目地構造の施工方法
JP2023117125A (ja) 建材パネルの施工方法
JP3968172B2 (ja) 断熱材の保持部材
US20020129579A1 (en) Tool and method for installing glueless floors
JP2606674Y2 (ja) 床暖房用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