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803B1 -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0803B1 KR100570803B1 KR1020030003961A KR20030003961A KR100570803B1 KR 100570803 B1 KR100570803 B1 KR 100570803B1 KR 1020030003961 A KR1020030003961 A KR 1020030003961A KR 20030003961 A KR20030003961 A KR 20030003961A KR 100570803 B1 KR100570803 B1 KR 1005708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glabridine
- licorice
- ethyl acetate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분쇄된 감초와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용매를 혼합하고 여과한 후, 상기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얻고, 상기 추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분쇄된 감초와 물을 혼합 교반하여 열수 추출한 후, 상기 추출액에 클로로포름을 첨가하고 물층을 분리하고, 상기 물층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에틸 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고 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얻고, 상기 추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출 방법은 글라브리딘의 순도가 높은 글라브리딘 추출물을 제공하여, 글라브리딘을 함유하는 한방제, 식품, 담배 또는 화장품 제조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감초, 글라브리딘, 추출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을 HPLC 로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추출물을 시료의 주입량을 고정하여 HPLC 로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추출물을 시료의 주입량을 증가시켜 HPLC 로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을 HPLC로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글라브리딘 분석용 표준 시료를 HPLC로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첫번째 태양에 따른 추출물을 HPLC로 분석하고, 각각의 크로마토그램을 겹쳐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추출물을 HPLC로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 분리된 물층을 HPLC로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이고,
도 9는 글라브리딘 분석용 표준 시료를 HPLC로 분석한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Glycyrrhiza glabra L.)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그 뿌리와 줄기는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된다. 특히 감초는 약용 식물로서 한방 및 민간에서 해독제, 진해거담제, 완화제, 소화성 궤양 치료제 및 위 궤양 치료제로 사용되며, 그 외에도 근육이나 조직의 급격한 긴장에 의하여 생기는 통증을 풀어주는 작용, 체중의 증가, 백혈구의 증가, 이뇨 작용, 항염 작용의 약효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약효를 이용하기 위하여 감초는 한약제로서 그대로 이용하거나 감초 추출물을 제조하여 식품, 담배, 화장품에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감초 추출물은 글리시리진(Glycyrrhizin), 글리시레틱 산(Glycyrrhetic acid), 리코리시딘(Licoricidin), 히스파글라브리딘 A(Hispaglabridin A), 히스파글라브리딘 B(Hispaglabridin B), 글라브리딘(Glabridin), 4-O-메틸글라브리딘(4-O-methylglabridin), 이소프레닐챨콘 유도체(Isoprenylchalcone derivative), 이소리퀴리티제닌(Isoliquiritigenin), 포르모노네틴(Formononetin) 등을 포함하고 있다. 감초 추출물 중 글리시리진은 항염 작용, 해독작용, 항궤양 작용, 수전해질 호르몬 작용이 있어 종래 글리시진만을 추출 정제하기 위한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다. 감초로부터 글리시리진을 추출하는 방법은 감초근을 물 또는 알칼리성 수용액으로 추출할 때 규산 소오다, 황산 알루미늄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pH를 4.5 ~ 6.5로 조절하여 정치시킴으로써 불순물을 침전시키고 여과 분리하는 방법, 감초 추출물을 메탄올 추출 공정, 음이온 교환 수지 탈색 공정, 에탄올 재결정 공정을 조합 또는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방법 등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감초로부터 글리시리진을 추출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추출된 글리시리진은 순도가 높다.
상기 감초 추출물 중 주 성분인 글라브리딘은 체내에서 인체에 해로운 저 밀도 인지질(Low Density Lipoprotein)의 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Belinky, P., A., Aviram, M., Fuhrman, B., Rosenblat, M., and Vaya, J.,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isoflavan glabridin on endogenous constituents of LDL during its oxidation", Atherosclerosis, Vol. 137, 49, (1998)). 저 밀도 인지질은 콜레스테롤을 몸 전체로 전달시키는 역활을 하는 것으 로 체내에서 저 밀도 인지질이 과량으로 존재할 경우 산화가 일어나며, 이로 인해 동맥 경화, 당뇨병, 성인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글라브리딘은 피부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소수성 물질의 하나로서, 피부 미백에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어, 이를 원료로 하여 미백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조하는 예가 증가되고 있다(대한민국 공개 특허 1993-21190호).
그러나 상기와 같이 많은 추출 방법이 연구되어져 순도가 높은 형태로 사용되는 글리시리진과는 달리, 글라브리딘은 감초로부터 추출하는 방법이 없어 한약, 식품, 담배 또는 화장품 제조시 순도가 낮은 감초 추출물의 상태로 사용되어져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순도가 높은 글라브리딘 추출물을 제공하기 위한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쇄된 감초와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용매를 혼합하고 여과한 후,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이하 "첫번째 태양" 이라 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쇄된 감초와 물을 혼합 교반하여 열수 추출한 후, 얻어진 추출액에 클로로포름을 첨가하고 물층을 분리한 다음, 상기 물층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고 감압 농축시켜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이하 "두번째 태양" 이라 함)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첫번째 태양은
1)분쇄된 감초와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용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여과하는 단계(단계1);
2)상기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2);및
3)상기 추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는 단계(단계 3)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 1은 분쇄된 감초에 들어있는 글라브리딘을 용출시키기 위하여 분쇄된 감초와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메탄올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 선택된 용매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여과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매로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한다. 또한, 분쇄된 감초에 들어 있는 글라브리딘의 용출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분쇄된 감초와 용매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혼합물을 초음파 처리할 수 있다. 초음파 처리는 분쇄된 감초와 물의 혼합물을 초음파 기기에 넣고 처리하는 것이다.
상기 단계 2는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서, 감압 농축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은 얻어진 추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글라브리딘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함으로써 그 함량이 높고 순도가 높은 글라브리딘을 얻을 수 있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두번째 태양은
1) 분쇄된 감초와 물을 혼합 교반하여 열수 추출하는 단계(단계 1);
2) 상기 추출액에 클로로포름을 첨가하고 물층을 분리하는 단계(단계 2);
3) 상기 물층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고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3);및
4) 상기 추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는 단계(단계 4)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 1은 분쇄된 감초와 물을 혼합 교반하면서, 열수 추출하는 단계이다. 열수 추출은 분쇄된 감초를 물에 넣고 가열함으로써, 분쇄된 감초에 들어있는 글라브리딘을 용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글라브리딘의 용출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쇄된 감초와 물을 혼합 교반하면서, 50 ℃의 온도로 3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의 추출액에 클로로포름을 첨가하고 물층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단계 1로부터 얻어진 추출액은 감초 분말의 친수성 및 소수성 불순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글라브리딘 이외의 성분들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추출액에 클로로포름을 첨가하여 층 분리하고 물층을 분리하여 얻음으로써, 감초 분말의 소수성 불순물이 클로로포름층을 통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의 분리된 물층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층 분리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얻은 다음, 얻어진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얻는 단계이다. 얻어진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감압 농축함으로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3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은 실험예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종래의 글라브리딘을 함유하는 감초 추출물에 비하여 다른 불순물을 적게 함유하고 있으며, 글라브리딘의 함량이 높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첫번째 태양에 따른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 추출
분쇄된 감초 20g와 에틸 아세테이트 100ml를 혼합하여 초음파 기기(Bransonic, U.S.A)에 넣고 1 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얻은 추출물을 막 여과기(membrane filter, 0.45 ㎛)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HPLC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여과액 중 20㎕를 역상 컬럼(15 ㎛, 250 x 4.6 mm, Licrospher 100RP-18)에 주입하고 이동상 용매(이동상 용매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50/50(부피/부피)로 혼합하여 제조됨.)로 용리시켰다. 이동상 용매의 용리 속도는 1.0㎖/min이었으며, 글라브리딘 검출 파장은 230 nm로 유지하였다. HPLC 분석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글라브리딘은 용리 시간 15 분 이내에 검출되었으며, 순도 57.8 %로 주요 피크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첫번째 태양에 따른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 추출
분쇄된 감초 20g와 에탄올 100ml를 혼합하여 초음파 기기(Bransonic, U.S.A)에 넣고 1 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분리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첫번째 태양에 따른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 추출
분쇄된 감초 20g와 메탄올 100ml를 혼합하여 초음파 기기(Bransonic, U.S.A)에 넣고 1 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첫번째 태양에 따른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 추출
분쇄된 감초 20g와 아세톤 100ml를 혼합하여 초음파 기기(Bransonic, U.S.A)에 넣고 1 시간 동안 초음파 처리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5> 두번째 태양에 따른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 추출
분쇄된 감초 20g와 물 100ml을 혼합 교반하면서, 50℃에서 3 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에 클로로포름 100ml를 첨가하고 층 분리 한 다음 물층을 얻었다. 상기 물층에 에틸 아세테이트 100ml를 첨가하고 층 분리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얻었다. 얻어진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얻었다. 얻은 추출물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1) 시료의 주입량을 고정한 경우
실시예 5의 단계 3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막 여과기(membrane filter, 0.45 ㎛)로 여과하여 HPLC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분석용 시료 중 20 ㎕를 준 제조용 컬럼(15 ㎛, 250 x 4.6 mm, Lichrospher 100RP-18)에 주입하고 이동상 용매 (이동상 용매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60/40(부피/부피)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됨.)로 용리시켰다. HPLC 분석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글라브리딘은 용리 시간 15 분 이내에 검출되었으며, 순도 95.35%로 주요 피크를 나타내었다.
(2) 시료의 주입량을 증가시킨 경우
실시예 5의 단계 3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막 여과기(membrane filter, 0.45 ㎛)로 여과하여 HPLC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분석용 시료 중 50, 100, 150 ㎕를 준 제조용 컬럼(15 ㎛, 250 x 4.6 mm, Lichrospher 100RP-18)에 주입하고 아세토니트릴 양을 5 부피% 가량 선형적으로 증가시키는(이동상 용매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0/100(부피/부피)에서 5/95(부피/부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방법으로 용리시켰다.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5의 물 층으로부터 분석용 시료를 제조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HPLC 분석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글라브리딘의 용출량이 비교적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주입량을 100 ㎕ 이상으로 했을 경우 주입량에 따른 글라브리딘의 효과는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 첫번째 태양에 따라 추출된 글라브리딘 분석
(1) 첫번째 태양에서 추출물에 글라브리딘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
실시예 1의 추출물을 막 여과기(membrane filter, 0.45 ㎛)로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HPLC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여과액 중 20 ㎕ 를 분석용 컬럼인 역상 컬럼(5 ㎛, 250 x 4.6 mm, Chrompack Omnispher C18, Varian, U.S.A)에 주입하고 이동상 용매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50:50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제조됨)로 용리시켰다. 이동상 용매의 용리 속도는 1.0㎖/min이었으며, 글라브리딘 검출 파장은 230 nm로 유지하였다. HPLC 분석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추출물이 글라브리딘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글라브리딘(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로부터 구입함)으로 분석용 표준 시료를 제조하고,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HPLC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첫번째 태양으로 추출한 물질은 용리 시간(retention time) 20분에서 순도 68.48%로 주요 피크를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글라브리딘 분석용 표준 시료도 동일한 위치에서 피크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번째 태양에 따른 추출물에 글라브리딘임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첫 번째 태양에서 추출 용매에 따른 추출 효율 비교
본 발명의 첫 번째 태양에 따라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할 때, 추출 용매에 따른 글라브리딘의 추출 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 1 ~ 4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동일한 농도의 분석용 시료를 제조하고, 제조한 시료를 HPLC 분석한 후, 이로부터 얻은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 전체를 막 여과기(membrane filter, 0.45 ㎛)로 여과한 여과액을 HPLC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분석용 시료 중 20㎕를 분석용 컬럼인 역상 컬럼(5 ㎛, 250 x 4.6 mm, Chrompack Omnispher C18, Varian, U.S.A)에 주입하고 이동상 용매(이동상 용매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50/50(부피/부피)로 혼합하여 제조됨.)로 용리시켰다. 이동상 용매의 용리 속도는 1.0㎖/min이었으며, 글라브리딘 검출 파장은 230 nm로 유지하였다. 실시예 2 ~ 4에서 얻은 추출물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용 시료를 제조하고, 동일한 HPLC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HPLC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글라브리딘의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추출 용매 | 글라브리딘(mg/kg) | |
실시예 1 | 에틸 아세테이트 | 1260.0 |
실시예 2 | 에탄올 | 1213.4 |
실시예 3 | 메탄올 | 990.2 |
실시예 4 | 아세톤 | 886.8 |
상기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태양에서 추출 용매로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였을 경우, 추출된 글라브리딘의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로부터 얻은 각각의 크로마토그램을 겹쳐 나타낸 것을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첫 번째 태양에 따라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할 때, 추출 용매로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할 경우 글라브리딘의 추출 효율이 높음을 알 수 있고, 순도 역시 메탄올을 73.80 %, 아세톤은 69.65%, 에틸 아세테이트는 80.06%로 에틸 아세테이트의 순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두번째 태양에 따라 추출된 글라브리딘 분석
두번째 태양에 따른 추출물에 글라브리딘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
실시예 5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막 여과기(membrane filter, 0.45 ㎛)로 여과하여 HPLC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상기 제조된 분석용 시료 중 20 ㎕ 를 역상 컬럼(5 ㎛, 250 x 4.6 mm, Chrompack Omnispher C18, Varian, U.S.A)에 주입하고 이동상 용매(이동상 용매는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60/40(부피/부피)로 혼합하여 제조됨.)로 용리시켰다. 이동상 용매는 1.0㎖/min으로 유지하였으며, 검출 파장은 230 nm로 유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5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층과 함께 분리된 물 층으로부터 분석용 시료를 제조하고 HPLC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글라브리딘(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로부터 구입함)을 이용하여 표준 시료를 제조하고 HPLC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시간(min) | 면적(uVxsec) | 높이(uV) | 나비(min) | |
실시예 5 | 2.1333 | 97011168 | 1463684 | 1.1046 |
물층 | 2.2833 | 5224168 | 1429694 | 0.6090 |
표준 시료 | 2.5533 | 29920114 | 1471680 | 0.3388 |
상기 표 2 및 도 7 ~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실시예 5에서 얻어진 물질과 물 층의 시료은 크로마토그램에서 용리 시간(retention time) 2 분대에서 물질 피크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존의 글라브리딘 표준 시료도 동일한 용리 시간에서 피크를 나타내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추출 방법으로 분리된 글라브리딘이 기존의 글라브리딘과 동일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물 층과 에틸 아세테이트 층의 시료의 경우, 글라브리딘은 비슷한 시간에 시간에 용출되었으나, 에틸 아세테이트 층의 경우 용출량이 거의 2 배에 가깝게 증가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글라브리딘을 함유하는 감초 추출물에 비하여 다른 불순물을 적게 함유하고 있으며, 글라브리딘의 함량이 높은 추출물을 제조하고, 그 추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글라브리딘의 함량이 높고 순도가 높은 글라브리딘을 추출할 수 있어, 한방, 식품, 담배 또는 화장품 제조시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6)
- 삭제
- 삭제
- 삭제
- 1) 분쇄된 감초와 물을 혼합 교반하여 40-60℃에서 2-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단계(단계 1);2) 상기 추출액에 클로로포름을 첨가하고 물층을 분리하는 단계(단계 2);3) 상기 물층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분리하고감압 농축시켜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3); 및4) 상기 추출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는 단계(단계 4)로 이루어진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의 추출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열수 추출은 5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브리딘의 추출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단계 1의 열수 추출은 3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라브리딘의 추출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03961A KR100570803B1 (ko) | 2003-01-21 | 2003-01-21 |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03961A KR100570803B1 (ko) | 2003-01-21 | 2003-01-21 |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7022A KR20040067022A (ko) | 2004-07-30 |
KR100570803B1 true KR100570803B1 (ko) | 2006-04-13 |
Family
ID=3735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03961A KR100570803B1 (ko) | 2003-01-21 | 2003-01-21 |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0803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1296B1 (ko) | 2009-11-09 | 2012-01-04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감초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방법 |
KR20160020261A (ko) * | 2014-08-13 | 2016-02-23 | (주)뉴트리 | 감초 유래 글라블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화기능 개선용 조성물 |
KR20230168420A (ko) | 2022-06-07 | 2023-12-14 | 농업회사법인 수블수블(주) | 미백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미백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 미백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비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7869B1 (ko) * | 2010-07-15 | 2011-01-14 | 주식회사 에스앤텍 | 식품보존성이 우수한 수용성 감초추출물의 제조방법 |
KR102070652B1 (ko) * | 2016-12-05 | 2020-03-02 | 주식회사 한국생활건강 | 감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항산화 활성 조성물 |
CN109395427A (zh) * | 2019-01-03 | 2019-03-01 | 湖州欧利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环保型光甘草定提取装置及其工艺 |
CN110559234A (zh) * | 2019-09-29 | 2019-12-13 | 李世� | 一种甘草提取物的制备方法和在祛斑美白中的应用 |
CN118307551B (zh) * | 2024-06-07 | 2024-10-15 | 上海奥利实业有限公司 | 一种高纯度光甘草定及其制备工艺 |
-
2003
- 2003-01-21 KR KR1020030003961A patent/KR10057080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1296B1 (ko) | 2009-11-09 | 2012-01-04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감초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방법 |
KR20160020261A (ko) * | 2014-08-13 | 2016-02-23 | (주)뉴트리 | 감초 유래 글라블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화기능 개선용 조성물 |
KR102014922B1 (ko) * | 2014-08-13 | 2019-08-27 | (주)뉴트리 | 감초 유래 글라블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화기능 개선용 조성물 |
KR20230168420A (ko) | 2022-06-07 | 2023-12-14 | 농업회사법인 수블수블(주) | 미백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미백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 미백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비누 제조방법과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비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7022A (ko) | 2004-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91414B2 (en) | Anti-inflammatory substances extracted from Echinacea | |
EP2668954B1 (en) | Extraction method, total saponin and use of ilex kudingcha c.j.tseng leaves | |
KR101251589B1 (ko) | 도라지 또는 도라지 추출물로부터의 순도 및 유효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조사포닌 조성물의 제조방법 | |
CN1833692B (zh) | 一种假马齿苋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 |
CN112870236A (zh) | 一种黄蜀葵花黄酮类有效部位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KR100570803B1 (ko) | 감초로부터 글라브리딘을 추출하는 방법 | |
CN101538296B (zh) | 过山蕨有效成分及其提取方法和用途 | |
WO2012019373A1 (zh) | 一种制备芍药内酯苷和芍药苷的方法 | |
KR101052574B1 (ko) | 인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g1 또는 Rb1이 강화된 추출물 분획을 제조하는 방법 | |
KR102500887B1 (ko) | 데커신 및 데커시놀 안젤레이트 함유 분획물의 제조방법 | |
Ghalib et al. | The investigation of some phytochemical compounds found in Anchusa strigosa L. grown naturally in Iraq | |
CN109453234B (zh) | 桑白皮制品及其制备方法 | |
WO2023227138A1 (zh) | 从文冠木中提取杨梅素的方法 | |
CN101199565B (zh) | 三七花蕾活性部位及其制备方法 | |
EP4039332A1 (en) | Method of extraction and enrichment of monoglycosylated flavonoids from chrysanthellum indicum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based polyarthritic disorders, for use in cosmetic, nutraceutical and medical devices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 |
CN102670935B (zh) | 一种从藠头中提取总皂苷的方法 | |
KR20060098480A (ko) | 천연 미백 생리활성 물질을 포함한 유용성 감초추출물의 제조. | |
CN115010618A (zh) | 一种可降尿酸的金色酰胺醇酯分离纯化方法及其应用 | |
CN114478661A (zh) | 一种由肉苁蓉萃取物中富集及分离苯乙醇苷类化合物的方法 | |
CN113521120A (zh) | 一种参吉果提取液及其制备工艺 | |
CN109053851B (zh) | 一种含冬青素a的提取物及其提取方法 | |
CN109553654B (zh) | 从甘草中提取甘草甜素、甘草黄酮及甘草多糖的方法 | |
CN107050095B (zh) | 一种绞股蓝皂苷侧链寡糖的制备方法 | |
CN110922438A (zh) | 一种从金花茶中制备鞣花酸衍生物冲山茶苷的方法 | |
JP4135933B2 (ja) | 鎮咳剤およびその調製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