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0356B1 -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 Google Patents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0356B1
KR100570356B1 KR1020020070170A KR20020070170A KR100570356B1 KR 100570356 B1 KR100570356 B1 KR 100570356B1 KR 1020020070170 A KR1020020070170 A KR 1020020070170A KR 20020070170 A KR20020070170 A KR 20020070170A KR 100570356 B1 KR100570356 B1 KR 10057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member
seat
carriage
seat plate
sedi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320A (ko
Inventor
클루코브스키슬라보미르
Original Assignee
포레시아 시에쥐 도또모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레시아 시에쥐 도또모빌 에스.아. filed Critical 포레시아 시에쥐 도또모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30039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 B60N2/42754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cushion
    • B60N2/42763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substantially rigid displacement of the cushion with anti-submarin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 좌석의 좌판(3)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정상위치에서 신장 위치로 후방을 향하여 이동되며 신장 위치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이동되는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를 포함한다. 상기 크로스멤버(6)는 상기 좌판 골격 상에서 안내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딩 왕복대(7) 상의 가로 축(A) 주위로 선회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신장 수단(10)은 상기 크로스멤버(6)와 상기 왕복대(7)를 연결하여 상기 크로스멤버가 상기 왕복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선회하여 정상 위치에서 신장 위치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에너지 분산 수단(9)이 상기 왕복대(7)를 상기 좌판 골격(5)에 연결시켜 상기 왕복대의 전방 운동시 상기 왕복대에 대하여 유지 힘을 가하도록 한다.
Figure 112005016100625-pat00001
자동차 좌판, 침강방지 크로스멤버

Description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SEAT PAN OF AN AUTOMOBILE VEHICLE SEAT INCLUDING AN ANTI-SUBMARINING CROSSMEMBER}
도1 내지 도3은 충격에 의해 탑승자가 전방으로 편중된 때에, 본 발명에 따른 좌판 내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4는 좌석 내에서 정상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침강방지 크로스멤버의 우측 후방 사시도이다.
도5는 좌석 내에서 정상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침강방지 크로스멤버의 좌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6은 침강방지 크로스멤버 내에서 프리텐셔너의 설치와 프리텐셔너 가이드를 도시한 상세 사시도이다.
도7은 크로스멤버를 그 피봇에 연결하는 러그 중 하나를 기준면으로 하여 도시한 상기 침강방지 크로스멤버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탑승자 2: 등받침
3: 좌판 4: 자동차 바닥
5: 좌판 골격 6: 크로스멤버
7: 왕복대 8: 슬라이드
9: 에너지 분산 수단 10: 프리텐셔너
12: 지지대 13: 당김 케이블
14: 가이드 61: 피봇 튜브
63: 러그 71: 샤프트
72: 라이더 73: 러그
75: 정지부 93: 스트립
본 발명은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 좌판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좌석벨트는 좌석을 사용하는 탑승자의 가슴 및 골반에 대하여 각각 일정한 장력을 가하는 경사 부분과 복부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사고와 같은 차량에 대한 충격으로 탑승자가 차량 전방으로 급하게 쏠리는 경우에, 상기 좌석벨트는 공지의 방법으로 봉쇄되어 탑승자를 좌석 쪽으로 가능한 한 단단히 붙들게 된다. 그러나, 이 때, 탑승자는 급격한 감속에 놓이게 되고, 관성 때문에 상기 좌석벨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운동하게 된다. 탑승자의 엉덩이가 좌판 상에서 활주함으로써 골반이 상기 좌석벨트의 복부 부분 아래로 통과하게 될 때, 이러한 관성 운동은 신체에 특히 복부상과 같은 심각한 부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현상은 침강(submarining)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좌석 쿠션 아래의 좌판에 가로 방향으로 놓여지는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라고도 불리는 가로 봉을 사용하는 방법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봉은 상술한 경우에 탑승자의 골반이 좌석의 전방으로 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설치되고, 골반의 운동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면서 골반이 가하는 힘에 의해 변형 또는 이동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봉이 변형만 하는 경우에는, 상기 봉의 변형에 대응되는 운동의 가능성도 낮아진다. 결과적으로, 작은 이동거리에 대하여 높은 에너지 흡수율을 가지면서 탑승자 골반에 가해지는 힘은 필연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히 FR-A-2747080에서는, 좌판 내부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충격시 신장하여 탑승자 골반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해물을 형성하는 침강방지 크로스멤버의 설계가 개시되어 있다. 최대로 신장된 위치로부터, 상기 크로스멤버는 에너지 흡수 수단의 제어하에서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골반의 일정한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문헌에 개시된 시스템에 있어서, 크로스멤버의 단부는 좌판 골격 상에서 선회하는 두 개의 링크에 연결되고, 충격시, 이 크로스멤버는 좌석벨트 파이로테크니컬 프리텐셔너(pyrotechnical pretensioner)의 동작하에 상방으로 기울어져 후퇴된 위치에 도달함으로써 탑승자의 엉덩이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크로스멤버가 후퇴된 위치에 있을 때, 탑승자의 골반은 크로스멤버에 대하여 추력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탑승자의 요추부에 과도한 압축이 일어나게 된다. 그 다음, 미리 설정된 역치값으로부터, 상기 골반의 움직임을 억제하며 그러나 일정한 움직임은 가능케 하면서 좌판 내부로 크로스멤버를 점진적으로 후퇴시킴으로써 크로스멤버가 탑승자에 전달하는 힘을 제한하기 위한 에너지 분산 수단이 제공된다. 에너지 흡수 과정에서 상기 크로스멤버의 가능한 운동은 상대적으로 크고, 이에 따라 주어진 에너지에 대하여 앞의 경우보다 더 작은 힘을 생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의 단점은 에너지 흡수 과정 전에 상기 크로스멤버가 충격에 따른 감속 초기에 얻고자 하는 골반 유지 효과와 일치하지 않는 전방 선회에 의하여 신장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제공개공보 제01/19641호에 개시된 시스템은, 침강방지 크로스멤버가 에너지 분산 수단의 조절하에 전방으로 선회하여 탑승자의 골반을 구속하기 전에 좌석의 후방 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파이로테크니컬(pyrotechnical) 프리텐셔너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프리텐셔너와 에너지 흡수 수단은 공지 형태의 에너지 분산 파이로테크니컬(pyrotechnical) 액튜에이터로 이루어진 하나의 주어진 유니트로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 형태의 좌석에 대하여 보다 나은 적응성(adaptability)을 가지며, 파이로테크니컬(pyrotechnical) 액튜에이터로 인한 전체적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술한 침강방지 크로스멤버 시스템에 대한 대체적인 해결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탑승자의 골반이 좌석의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는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멤버는 가로방향으로 좌판 골격으로 연장되고, 정상위치에서 신장 위치로 후방을 향하여 이동되며, 좌석 전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골반 유지 힘을 가하면서 신장 위치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좌판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크로스멤버를 정상 위치에서 신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장 수단과, 미리 설정된 역치값으로부터 상기 크로스멤버에 의하여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상기 유지 힘을 제어하기 위한 에너지 분산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좌석의 좌판은 상기 크로스멤버가 상기 좌판 골격에 거의 세로 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딩 왕복대 상의 가로 축 주위로 선회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신장 수단이 상기 크로스멤버와 상기 왕복대를 연결하여 상기 크로스멤버가 상기 왕복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선회하도록 배치되고, 에너지 분산 수단이 상기 왕복대를 상기 좌판 골격에 연결시켜 상기 왕복대의 전방 운동시 상기 왕복대에 대하여 유지 힘을 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격에 의하여 상기 신장 수단이 작동되기 시작하는 동안, 상기 신장 수단은 상기 크로스멤버가 상기 가로방향 선회축 주위로 상기 왕복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하는 것을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크로스멤버는 후방으로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선회하여 이동하고, 이러한 선회 이동은 좌석에 앉아 있는 사람 골반의 뼈 부분의 이동을 저지하여 본 명세서의 도입부에서 언급한 침강(submarining)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제한하게 된다. 상기 크로스멤버의 이동 후에, 탑승자 몸체의 관성의 영향 하에서, 탑승자의 골반이 상기 크로스멤버에 가하는 힘이 미리 설정된 역치값에 도달하자마자, 이러한 힘은 상기 왕복대에 직접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왕복대는 상기 좌판 골격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활주하여 이동하기 시작하고, 상기 에너지 분산 수단은 상기 탑승자 몸체의 운동 에너지를 점진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이러한 왕복대의 이동을 줄이게 된다. 주목할 점은, 상기 신장 수단은 신장된 위치에서 상기 왕복대에 대하여 상기 크로스멤버를 구속하여 상기 크로스멤버가 이동 후 그 반대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상기 크로스멤버는 그 선회축의 후방에 도달할 때까지, 즉 상기 선회축에 수직한 위치에서의 최대 높이 보다 약간 아래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나중에 탑승자의 골반이 상기 크로스멤버에 가하는 힘에 의하여 상기 크로스멤버에 발생되는 토크(torque)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힘은 상기 크로스멤버가 상기 신장 수단의 동작에 거슬러 선회하게 하는 작용을 하지 않거나 단지 약간만 그러한 작용을 하고, 따라서 이러한 유지 힘의 대부분은 상기 왕복대 상에 있는 크로스멤버 힌지 수단을 경유하여 상기 왕복대에 직접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신장 수단은 에너지 분산 과정 중에 상기 크로스멤버에 가해지는 힘보다 작은 힘만을 견디도록 설계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전체적 크기의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는 힌지 수단에 단단히 부착되는 튜브형 또는 윤곽 형성 부재(tubular or profiled element)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 수단은 상기 튜브형 또는 윤곽 형성 부재가 상기 왕복대에 고정된 피봇 샤프트 주위로 선회하도록 하며, 또한, 이 피봇 샤프트는 상기 좌판 골격에 고정된 슬라이드에서 안내되어 이동되는 두 개의 라이더를 연결하는 강화 크로스멤버를 형성한다.
상기 신장 수단은 큰 감속력에 의하여 작동하는 파이로테크니컬(pyrotechnical) 액튜에이터와 같은 하나 이상의 프리텐셔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장 수단은 몸체와 유연성 당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크로스멤버 내부에 수용되고, 케이블과 같은 상기 유연성 당김 부재는 축 단부에서 상기 크로스멤버를 빠져나가고, 상기 크로스멤버에 고정된 가이드 위를 통과하며, 그 단부가 상기 왕복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신장 수단은 케이블 자체와 상기 왕복대에 케이블을 부착시키기 위한 공간 외에 다른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에너지 분산 수단은 상기 왕복대를 상기 좌판 골격에 연결시키며 소성 변형으로 신장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는 신장시 상기 왕복대가 상기 좌석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멤버에 가해지는 힘이 미리 설정된 역치값에 도달하면 소성 변형에 의하여 신장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성 부재는 상기 좌판의 각각의 측면에 사용되어 상기 크로스멤버가 가능한한 멀리 평행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크로스멤버가 상기 좌판 골격의 슬라이드에 대하여 기울어지거나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신장성 부재의 한쪽은 상기 왕복대에 부착되고, 다른 쪽은 상기 좌판 골격의 후방으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신장성 부재에 대하여 충분한 길이를 부여할 수 있고, 또한 이에 따라 상기 신장성 부재는 충분하게 신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신장성 부재는 상기 좌판 골격의 측면 플랜지에 기대어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이들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각각의 신장성 부재는 가로 방향으로 물결모양 또는 컷아웃(cutout)이 형성된, 강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스트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결모양의 스트립의 경우, 에너지 흡수량은 스트립을 평평하게 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량에 상당한다. 주목할 점은 물결모양이라는 용어가 갖는 의미는 광의로 해석되어야 하며, 스트립에 대한 굽힘 또는 접힘 작업을 통하여 단부 사이의 거리가 본래의 길이에 대비해서 줄어든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가로 방향의 컷아웃이 있는 스트립의 경우, 에너지 흡수량은 스트립을 다소간 그 평면 내에 유지하면서 변형시키는 데에 필요한 에너지량에 상당하고, 이 경우 상기 스트립의 변형은 컷아웃의 배치와 형상에 의하여 개시 및 제어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컷아웃은, 예를 들면, 스트립의 중앙 축 섹션에 형성되지만 스트립의 가장자리까지는 통하지 않는 컷(cut)을 포함하고 또한 나중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트립의 신장시 상기 가장자리의 변형에 의하여 떨어져 이동된다.
이러한 에너지 흡수 신장성 부재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상술한 국제공개공보 제01/1964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좌석에 대한 침강방지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 내지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자동차 좌석은 좌판(3) 상에 힌지 결합된 등받침(2)을 포함하고, 이 좌판은 좌석 위치의 세로 방향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수단과 같이 이미 알려진 방법으로 자동차의 바닥(4)에 부착된다.
좌판(3)은 좌판 골격(5)과, 좌판 골격(5)의 측면 플랜지들 사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단면 윤곽을 갖는 부재와 같은 침강방지 크로스멤버(6)를 포함한다.
도1 내지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멤버(6)는 왕복대(7) 상의 축 A 주위를 선회하도록 설치되며, 이 왕복대는 좌판 골격(5)에 고정된 슬라이드 시스템(8)에 의하여 세로 방향으로 안내된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에너지 분산 수단(9)은 왕복대(7)를 좌판 골격(5)의 후방을 향하여 위치한 고정점에 연결시킨다.
도4 내지 7에 도시된 설계에 있어서, 왕복대(7)는 좌판 골격(5)의 플랜지에 부착된 두 개의 슬라이드(8) 상에서 이미 알려진 방법으로 각각 안내되어 이동되는 두 개의 라이더(72)에 단단히 부착된 축 A를 갖는 샤프트(71)를 주로 하여 구성된다. 주목할 점은 상기 슬라이드가 도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의 전방 아래쪽으로 약간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탑승자가 전방으로 급격히 움직여 탑승자의 골반이 에너지 분산 과정 중에 아래로 눌려질 때 탑승자의 자연스런 움직임을 더 잘 동반하게 된다는 것이다.
각각의 라이더(72)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부착 러그(73)에 의해 종결되고, 이 부착 러그에 에너지 분산 수단(9)의 일단부(92)가 부착되고, 그 타단부(91)는 상기 좌판 골격의 후방으로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서 상기 좌판 골격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에너지 분산 수단에 대하여 최대한의 신장 능력을 부여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설계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분산 수단 또는 에너지 흡수체는 강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물결모양의 스트립(93)으로 이루어진 신장성 부재(9)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물결모양은 본래 평평한 시트를 교대로 굽히는 작업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물결모양의 형태, 수 및 진폭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재(9) 상에 형성되는 물결모양의 피치 또는 진폭은 점진적인 충격 흡수 효과를 얻기 위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립은 충분한 단면적을 갖는 유사한 물결모양의 와이어로 대체될 수 있다.
침강방지 크로스멤버(6)는 샤프트(71) 상에서 선회하는 피봇 튜브(61)와 같은 힌지 결합 수단에 의하여 왕복대(7)의 샤프트(71) 상에서 선회하도록 설치된다. 크로스멤버(6)는 지지대(62)에 의하여 피봇 튜브(61)에 단단하게 부착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크로스멤버에 용접되며, 예를 들어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피봇 튜브(61)에 고정된 지지 러그(63)에 리벳 이음되어 있다.
상기 신장 수단은 파이로테크니컬(pyrotechnical) 액튜에이터와 같은 프리텐셔너(10)로 구성되고, 상기 프리텐셔너의 몸체(11)는 침강방지 크로스멤버(6)를 구성하는 상기 튜브 내부로 수용되며 상기 크로스 멤버에 단단히 부착된 지지대(12)에 부착된다. 또한, 프리텐셔너(10)는, 상기 몸체(11)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석의 후방으로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크로스멤버(6) 또는 피봇 튜브(61)에 고정된 가이드(14)를 경유하는 당김 케이블(13)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의 단부는 신장성 부재(9)의 부착 지점에서 왕복대(7), 예를 들면 라이더(72)의 부착 러그(73)에 부착되며, 상기 라이더는 상기 프리텐셔너가 놓여 있는 좌석의 측부에 위치한다. 축 A 주위로 선회할 때 상기 크로스멤버의 각 위치(angular position)에 관계없이 상기 케이블을 올바르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14)는 토러스(torus)의 부분의 형상을 갖는다.
사고의 경우와 같이 차량이 급속히 감속하는 경우에 상기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상태의 경우, 침강방지 크로스멤버(6)는 왕복대 상에 있는 선회축 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좌석의 전방 쪽으로 위치하고, 상기 왕복대는 신장성 부재(9)에 의하여 후퇴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상기 크로스멤버는 좌석에 앉아 있는 탑승자의 허벅지 아래에 놓이고, 탑승자가 감지할 수 없도록 충분히 아래로 당겨져 있다.
차량의 전방 충돌이 있으면, 이에 따른 급격한 감속은 공지의 방법으로 프리텐셔너(1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 다음, 케이블(13)은 가이드(14) 상에서 활주함으로써 상기 프리텐셔너의 몸체(11) 및 크로스멤버(6)의 내부를 향하여 도6에 도시된 화살표 F1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에 따라 상기 크로스멤버는, 왕복대(7) 상에 구비된 정지부(75)에 접촉될 때까지, 도2에 도시된 화살표 F2 방향으로 후방을 향하여 축 A 주위를 선회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크로스멤버(6)는 탑승자(1)의 골반 쪽으로 이동되어 탑승자의 전방 이동을 매우 신속하게 방지함으로써, 좌석벨트의 요추 부분 아래에서 탑승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좌석에 앉아 있는 탑승자 골반이 상기 크로스멤버에 가하는 힘이 미리 설정된 역치값에 도달하면, 이 힘은 왕복대(7)에 전달되고, 왕복대는 슬라이드(8) 상에서 도3에 도시된 화살표 F3과 같이 전방으로 활주하기 시작함으로써 신장성 부재(9)의 신장을 유발시키고, 이에 따라 신장성 부재는 소성 변형되어 탑승자 몸체의 운동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주목할 점은 상기 침강방지 크로스멤버가 상기 프리텐셔너에 의하여 작동되지 않는 경우, 즉 도1에 도시된 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어느 정도의 에너지 분산 효과가 담보된다는 것이다. 게다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골반이 좌석의 전방으로 활주되면 종국적으로 정상 위치에 있는 크로스멤버와 접촉하게 되고, 이때 가해지는 힘이 충분히 커서 미리 설정된 역치값을 초과하면 상기 왕복대는 전방으로 활주하여 상기 신장성 부재의 신장을 유발함으로써 일정 정도의 에너지를 분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앞에서 단순히 예시적으로 설명된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프리텐셔너는, 상기 튜브 내부 또는 크로스멤버(6)를 포함하는 단면 부재 상에 위치되는 대신에, 왕복대와 상기 크로스멤버에 부착된 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국제공개공보 제01/19641호에 개시된 것들과,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로부터 받는 운동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왕복대의 운동을 억제하기에 적당한 기타의 다른 에너지 분산 수단이 다른 에너지 분산 부재로서 사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형태의 좌석에 대하여 보다 나은 적응성을 가지며, 파이로테크니컬(pyrotechnical) 액튜에이터로 인한 전체적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종래의 침강방지 크로스멤버 시스템에 대한 대체적인 해결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탑승자(1)의 골반이 좌석의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는 침강방지 크로스멤버(6)로서, 가로방향으로 좌판 골격(5) 쪽으로 연장되고 정상 위치에서 신장 위치로 후방을 향하여 이동가능하며 좌석 전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골반 유지 힘을 가하면서 신장 위치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이동가능한 침강방지 크로스멤버(6)를 포함하고,
    이를 위하여 크로스멤버(6)를 정상 위치에서 신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장 수단(10)과, 미리 설정된 역치값으로부터 상기 크로스멤버에 의하여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상기 유지 힘을 제어하기 위한 에너지 분산 수단(9)을 또한 포함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3)으로서,
    상기 크로스멤버(6)는 상기 좌판 골격에 대체로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안내되어 이동되는 슬라이딩 왕복대(7) 상의 가로 축(A) 주위로 선회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신장 수단(10)은 상기 크로스멤버(6)와 상기 왕복대(7)를 연결하여 상기 크로스멤버가 상기 왕복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선회하도록 배치되고,
    에너지 분산 수단(9)이 상기 왕복대(7)를 상기 좌판 골격(5)에 연결시켜 상기 왕복대의 전방 운동시 상기 왕복대에 대하여 유지 힘을 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강방지 크로스멤버(6)는 그 선회축(A)의 뒤쪽에 도달할 때까지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대(7)는 상기 침강방지 크로스멤버(6)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정지부(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는 힌지 수단(61)에 단단히 부착되는 튜브형 또는 윤곽 형성 부재(tubular or profiled element)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 수단(61)은 상기 튜브형 또는 윤곽 형성 부재가 상기 왕복대(7)에 고정된 피봇 샤프트(71) 주위로 선회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대(7)는 상기 좌판 골격(5)에 고정된 슬라이드(8)에서 나란히 안내되어 이동되는 라이더(72)들에 연결된 강화 크로스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는 힌지 수단(61)에 단단히 부착되는 튜브형 또는 윤곽 형성 부재(tubular or profiled element)로 이루어지고,
    상기 힌지 수단(61)은 상기 튜브형 또는 윤곽 형성 부재가 상기 왕복대(7)에 고정된 피봇 샤프트(71) 주위로 선회할 수 있게 하며,
    상기 강화 크로스멤버는 상기 침강방지 크로스멤버(6)의 피봇 샤프트(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수단은 큰 감속력에 의하여 동작 개시되는 하나 이상의 프리텐셔너(pretensioner)(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수단은 몸체(11)와 유연성 당김 부재(13)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11)는 상기 침강방지 크로스멤버(6)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유연성 당김 부재는 축 단부에서 상기 크로스멤버 밖으로 돌출되고, 상기 크로스멤버에 고정된 가이드(14) 위를 통과하며, 그 단부가 상기 왕복대(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분산 수단은 상기 왕복대(7)를 상기 좌판 골격(5)에 연결시키며 소성 변형으로 신장할 수 있는 부재(93)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93)는 상기 부재의 신장시 상기 왕복대가 상기 좌석의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멤버에 가해지는 힘이 미리 설정된 역치값에 도달하면 소성 변형에 의하여 신장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KR1020020070170A 2001-11-12 2002-11-12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KR100570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4569A FR2832106B1 (fr) 2001-11-12 2001-11-12 Assise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traverse d'anti-sousmarinage
FR0114569 2001-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320A KR20030039320A (ko) 2003-05-17
KR100570356B1 true KR100570356B1 (ko) 2006-04-12

Family

ID=886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170A KR100570356B1 (ko) 2001-11-12 2002-11-12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46077B2 (ko)
JP (1) JP3751278B2 (ko)
KR (1) KR100570356B1 (ko)
DE (1) DE10251258B4 (ko)
FR (1) FR28321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4626B2 (en) 2019-09-12 2021-04-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assembly with integrated belt member
US11518278B2 (en) 2019-06-19 2022-1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displaceable platform
US11904795B2 (en) 2022-06-21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assembly with deployable belt member
US11958435B2 (en) 2022-06-21 2024-04-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assembly with deployable belt member
US11975680B2 (en) 2022-06-21 2024-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assembly with deployable belt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29293T1 (de) * 2001-08-09 2011-11-15 Virgin Atlantic Airways Ltd Eine sitzanordnung und eine passagier-sitzeinheit für ein flugzeug
FR2832106B1 (fr) * 2001-11-12 2005-02-18 Faurecia Sieges Automobile Assise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traverse d'anti-sousmarinage
JP4290701B2 (ja) * 2006-01-13 2009-07-0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FR2897566B1 (fr) * 2006-02-23 2008-04-25 Faurecia Sieges Automobile Assise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traverse d'anti-sousmarinage.
EP2091777A1 (en) * 2006-11-14 2009-08-26 Chard Safety B.V. A deceleration responsive vehicle seat
JP5182843B2 (ja) * 2007-02-15 2013-04-1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8579371B2 (en) * 2007-02-28 2013-11-12 Eiji Masutani Seat bottom pretensioner for vehicle seat
JP5473322B2 (ja) * 2008-12-29 2014-04-1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395457B2 (ja) * 2009-02-25 2014-01-2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10062550A1 (de) * 2009-12-09 2011-09-01 Tk Holdings, Inc. Insassensicherheitssystem
US8550564B1 (en) * 2010-04-01 2013-10-08 The Boeing Company Composite seat pan structure for a lightweight aircraft seat assembly
JP5956592B2 (ja) * 2012-09-26 2016-07-27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9409504B2 (en) 2013-01-24 2016-08-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US9399418B2 (en) 2013-01-24 2016-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extension and thigh support
US9415713B2 (en) 2013-01-24 2016-08-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lexible seatback system
EP2805850B1 (en) * 2013-05-22 2016-02-17 Tachi-S Co., Ltd. Vehicle seat
US9199560B2 (en) * 2013-09-13 2015-12-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adjusting seat stiffness system
US9315131B2 (en) 2014-01-23 2016-04-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spension seat back and cushion system having an inner suspension panel
US9421894B2 (en) 2014-04-02 2016-08-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manual independent thigh supports
US9789790B2 (en) 2014-10-03 2017-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uned flexible support member and flexible suspension features for comfort carriers
US9718387B2 (en) 2015-08-03 2017-08-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cushion modul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US10046682B2 (en) 2015-08-03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ck cushion module for a vehicle seating assembly
US10286818B2 (en) 2016-03-16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suspension seating assembly
US9849817B2 (en) 2016-03-16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te seat structure
US9994135B2 (en) 2016-03-30 2018-06-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ependent cushion thigh support
US10220737B2 (en) 2016-04-01 2019-03-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inematic back panel
US9889773B2 (en) 2016-04-04 2018-0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hropomorphic upper seatback
US9802512B1 (en) 2016-04-12 2017-10-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orsion spring bushing
US9845029B1 (en) 2016-06-06 2017-12-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ive conformal seat with hybrid air/liquid cells
US9834166B1 (en) 2016-06-07 2017-12-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9849856B1 (en) 2016-06-07 2017-12-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energy management system
US10377279B2 (en) 2016-06-09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ecking arm support feature
US10166895B2 (en) 2016-06-09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 comfort carrier
US10286824B2 (en) 2016-08-24 2019-05-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eader plate load distribution
US10279714B2 (en) 2016-08-26 2019-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climate control features
US10239431B2 (en) 2016-09-02 2019-03-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tube attachment hook features for modular assembly and support
US10391910B2 (en) 2016-09-02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dular assembly cross-tube attachment tab designs and functions
US9914378B1 (en) 2016-12-16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corative and functional upper seatback closeout assembly
US10596936B2 (en) 2017-05-04 2020-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retaining elastic strap for vent blower attachment to a back carrier
JP7035515B2 (ja) * 2017-12-25 2022-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18200024A1 (de) * 2018-01-02 2019-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Justierbare Schenkel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JP6962845B2 (ja) * 2018-03-29 2021-11-05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10829015B2 (en) 2018-10-11 2020-1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ssembly
JP7040407B2 (ja) * 2018-11-05 2022-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10821863B1 (en) * 2019-06-24 2020-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tention member for vehicle seating assembly
US11104252B2 (en) 2019-07-19 2021-08-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ushion support assembly for vehicle seating assembly
KR20220014920A (ko) * 2020-07-29 202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지지 조립체
US20230286426A1 (en) * 2022-03-14 2023-09-14 Institute For Injury Research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ccupant in a rear impact of a vehicl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6387A (ja) * 1992-04-10 1993-11-0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
US5577790A (en) * 1994-09-14 1996-11-26 Buell; William S. Shock absorbing seat mount
JP2000103272A (ja) * 1998-09-29 2000-04-11 Nhk Spring Co Ltd 車両用座席
US6050635A (en) * 1997-12-24 2000-04-18 Bertrand Faure Equipements S.A. Seat pan of an automobile vehicle seat including an anti-sub-marining device
US6254181B1 (en) * 1999-01-28 2001-07-03 Bertrand Faure Equipements Sa Vehicle seat having a movable safety bar
KR20010101019A (ko) * 1999-09-16 2001-11-14 르끌레르 쟝 루이 안티-서브-마리닝 교차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팬
JP2003154881A (ja) * 2001-11-12 2003-05-27 Faurecia Sieges D'automobile サブマリン現象防止クロスメンバを含む自動車シートのシート・パ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0862A (en) * 1959-04-22 1961-02-07 Protect O Matic Corp Safety vehicle seat mechanism
GB1348873A (en) * 1972-02-11 1974-03-27 Ford Motor Co Motor vehicle seat
JPH01275230A (ja) * 1988-04-27 1989-11-02 Honda Motor Co Ltd 車輌用シート
DE3841688A1 (de) * 1988-12-10 1990-06-21 Daimler Benz Ag Kraftwagensitz mit einem dem sitzkissen zugeordneten, etwa u-foermigen buegel
FR2747081B1 (fr) * 1996-04-05 1998-05-07 Renault Assise de siege a deformation controlee passive
FR2747080B1 (fr) 1996-04-05 1998-05-07 Renault Assise de siege automobile comportant une barre d'antisoumarinage deployable
JP3715106B2 (ja) * 1998-06-16 2005-11-09 日本発条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456555B1 (ko) * 2001-08-14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서브마린 방지용 패널 구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6387A (ja) * 1992-04-10 1993-11-0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
US5577790A (en) * 1994-09-14 1996-11-26 Buell; William S. Shock absorbing seat mount
US6050635A (en) * 1997-12-24 2000-04-18 Bertrand Faure Equipements S.A. Seat pan of an automobile vehicle seat including an anti-sub-marining device
JP2000103272A (ja) * 1998-09-29 2000-04-11 Nhk Spring Co Ltd 車両用座席
US6254181B1 (en) * 1999-01-28 2001-07-03 Bertrand Faure Equipements Sa Vehicle seat having a movable safety bar
KR20010101019A (ko) * 1999-09-16 2001-11-14 르끌레르 쟝 루이 안티-서브-마리닝 교차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팬
JP2003154881A (ja) * 2001-11-12 2003-05-27 Faurecia Sieges D'automobile サブマリン現象防止クロスメンバを含む自動車シートのシート・パン
US6746077B2 (en) * 2001-11-12 2004-06-08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A. Seat pan of an automobile vehicle seat including an anti-submarining crossmemb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8278B2 (en) 2019-06-19 2022-1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assembly with displaceable platform
US10974626B2 (en) 2019-09-12 2021-04-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assembly with integrated belt member
US11904795B2 (en) 2022-06-21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assembly with deployable belt member
US11958435B2 (en) 2022-06-21 2024-04-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assembly with deployable belt member
US11975680B2 (en) 2022-06-21 2024-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assembly with deployable belt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51278B2 (ja) 2006-03-01
DE10251258A1 (de) 2003-05-28
US6746077B2 (en) 2004-06-08
KR20030039320A (ko) 2003-05-17
DE10251258B4 (de) 2005-06-09
FR2832106A1 (fr) 2003-05-16
US20040051353A1 (en) 2004-03-18
FR2832106B1 (fr) 2005-02-18
JP2003154881A (ja)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356B1 (ko) 침강방지 크로스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 좌석의 좌판
KR100543955B1 (ko) 안티-서브마리닝 횡단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 좌판
US8297697B2 (en) Vehicle seat having an anti-submarining device and method
US6050635A (en) Seat pan of an automobile vehicle seat including an anti-sub-marining device
US6837541B2 (en) Vehicle seat having a lumbar support system
US8393681B2 (en) Vehicle seat having an anti-submarining device and method
US7445181B2 (en) Variable energy attenuating apparatus
US8272687B2 (en) Vehicle seat having an anti-submarining device and method
US8882195B2 (en) Base for a person's seat
US20020074843A1 (en) Vehicle seat
EP0556884A2 (en) Vehicle seat assembly
US20060042850A1 (en) Seat belt restraint and energy absorber
JPH1059126A (ja) 車両搭乗者用拘束システム
DE102018130323B4 (de) Fahrzeugsitz
EP0865960A1 (de) Fahrzeugsitz
US11052796B2 (en) Vehicle seat
US20200391637A1 (en) Multiple stage headrest
DE102017203421A1 (de) Rückhaltesystem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Rückhaltesystems in einem Fahrzeug
DE10143881B4 (de) Verformungselement und Sitz
GB2397865A (en) Aircraft seat arrangement including energy attenuating apparatus
GB2330068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ccessory for a vehicle seat
CN112009327A (zh) 机动车辆座椅
EP4108520A1 (en) Seat restraint system for use in a vehicle seat, a vehicle seat using such seat restraint system, a retraction arrangement, and a method of restricting upward movement of a vehicle seat during a frontal crash
JP2019055733A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