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8013B1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8013B1
KR100568013B1 KR1020037001870A KR20037001870A KR100568013B1 KR 100568013 B1 KR100568013 B1 KR 100568013B1 KR 1020037001870 A KR1020037001870 A KR 1020037001870A KR 20037001870 A KR20037001870 A KR 20037001870A KR 100568013 B1 KR100568013 B1 KR 100568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cine
influenza virus
polyamines
heterochain
derivati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9096A (ko
Inventor
렘 빅또로비치 뻬뜨로브
라힘 무싸에비치 하이또브
아르까디 바씰리에비치 네끄라쏘브
나딸야 그리코리에브나 뿌취꼬바
알베르따 세르게에브나 이바노바
Original Assignee
렘 빅또로비치 뻬뜨로브
라힘 무싸에비치 하이또브
아르까디 바씰리에비치 네끄라쏘브
나딸야 그리코리에브나 뿌취꼬바
알베르따 세르게에브나 이바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렘 빅또로비치 뻬뜨로브, 라힘 무싸에비치 하이또브, 아르까디 바씰리에비치 네끄라쏘브, 나딸야 그리코리에브나 뿌취꼬바, 알베르따 세르게에브나 이바노바 filed Critical 렘 빅또로비치 뻬뜨로브
Publication of KR2003005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0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85Haptens or antigens, bound to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45Orthomyxoviridae, e.g. influenza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6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tics by the carrier linked to the antigen
    • A61K2039/6093Synthetic polymers, e.g. polyethyleneglycol [PEG], Polymers or copolymers of (D) glutamate and (D) lys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6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negative-sense
    • C12N2760/00011Details
    • C12N2760/16011Orthomyxoviridae
    • C12N2760/16111Influenzavirus A, i.e. influenza A virus
    • C12N2760/161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n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lmo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과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 제공된다. 상기 화합물은 아지드 방법에 의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과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의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하기 화학식을 갖는 접합체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Figure 712005002794210-pct00020
상기 식에서: R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을 나타내고;
n은 350 내지 1000이고;
q는 70 내지 400이고;
z는 140 내지 800이고;
x는 2 또는 4이고;
y는 1 또는 2이고;
A는 CH 또는 N이다.
본 발명의 백신은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과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과의 복합체 화합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복합체화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강한 정전기적 결합을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 폴리머 캐리어, 백신성 항원

Descriptio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및 그 제조방법 {Vaccine against influenza vir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의료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면역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인플루엔자 및 급성 호흡기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인플루엔자 (influenza)는 모든 군락의 그룹들에 작용하며, 가장 널리 퍼진 감염성 바이러스성-병인 (viral-etiology) 질병으로 인식된다. 질병 전파의 신속성과 인플루엔자 게놈의 고도의 다양성은 심각한 범유행성 (pandemics)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들은 이러한 질병의 예방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전체 비리온 (virion)의 제조를 포함하는, 생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들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Peradze T.V. et al., "Anti-influenza Prophylactic Praparations", Moscow, Meditsina Publishers, 1986, pp. 79-81 (in Russian)). 생백신들의 무해성, 그들에 대한 실제 균주를 신속히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 저비용 및 투여의 간편성은, 그와 같은 백신들을 인플루엔자의 예방용 백신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생백신들의 약독화 바이러스들 (attenuated viruses)은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으며, 발병력 (virulence) 및 다른 예기치 못한 특성들을 다시 획득할 수도 있다. 생백신들의 비표준적인 반응원성 (reactogenecity) 및 최소한 두 배의 경비투여 (nasal administration)를 필요로 하는 그들의 불충분한 항원적 활성은, 대규모 면역화 환경 하에서 생백신들의 사용을 제한시킨다.
이러한 불리한 점들은 불활성화 백신들을 사용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 (Barry D.W., Mayner R.E., Staton E., et al., Comparative trial of influenza vaccines. Immunogenicity of whole virus and split product vaccines in man. -Amer. J. Epidemiol., 1976, vol. 104, No. 1, pp. 34-46).
그러나, 생백신 및 불활성화 백신들은, 부작용 및 합병증을 야기할 수도 있는 다량의 밸러스트 (ballast) 물질들을 포함하며, 이러한 연유로 대규모 예방에 사용하기에 불안전하다.
비리온으로부터 분리된 주된 항원 성분들: 헤마글루티닌 (hemagglutinin, H) 및 뉴라미니다아제 (neuraminidase, N)를 포함하는 스플릿 (split) 및 서브-유닛 (sub-unit) 백신들이 공지되어 있다. 스플릿 인플루엔자 백신들은 충분히 높은 수준의 면역성을 유도하며, 주된 밸러스트 물질들도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Pasteur Merieux (France)에 의하여 제조된 백신이, "Vaxigrip"이라는 상표명으로 상업화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Vaxigrip" 백신은 고면역원적 활성 (high immunogenic activity) 및 낮은 반응원성을 특징으로 하며, 6개월된 유아부터 어린이 및 고위험군의 사람들을 위한 백신접종에 추천된다.
서브-유닛 백신들은 가장 반응원성이 낮지만, 또한 덜 효과적이고, 따라서 필요한 면역 반응을 얻기 위하여는 2 내지 3주 간격으로 충분히 많은 복용량을 최소한 2회 투여할 것을 요하며, 이는 대규모 항-인플루엔자 백신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곤란하게 한다. 면역원적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서브-유닛 백신들은 흡착제 (sorbents) 또는 완전한 비리온들을 첨가하여 제조되는데, 이 또한 제제의 안전성 및 반응원성 조건들과 부합함에 있어서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공지된 모든 백신들 중에서, 여기에 서술된 본 발명과 가장 근접하는 것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과 폴리머 캐리어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 항-인플루엔자 백신이다 (RU 1580617, IPC A61K 39/145, publ. 1996). 화학적 결합에 의하여 제조된 항원-폴리머 백신은 면역세포들의 활성화 및 면역 반응의 유전자 조절의 표현형적 수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백신은 약한 반응원성을 특징으로 하며, 어린이 및 고위험군의 사람들에게 백신접종하는 데에도 무해하다.
그러나, 공지된 백신에서, 낮은 분자량을 갖는 폴리머 캐리어에 결합된 백신 단백질들은, 제제를 사용 및 저장하는 데에 있어서 충분히 안정적이지 못하고, 따라서 공지된 백신은, 비록 그에 대한 특수한 저장 환경이 제공된다 하더라도, 엄격한 유효 사용기간 요건들을 항상 만족시키는 것은 아니다. 공지 백신은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면역원적 활성을 갖고, 필요한 면역 반응을 얻기 위하여 충분히 높은 제제 복용량의 투여를 필요로 한다.
더욱이, 공지의 백신에서 이용되는 폴리머 캐리어는 생리적 조건 하에서 백신 항원들과 안정한 정전기적 복합체를 형성할 수가 없고, 따라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제조하기 위한 간편하고, 안전하며 경제적인 복합체화 기술의 사용 가능성이 배제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과 폴리머 캐리어를 반응시킴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제조하기 위한 공지의 방법은 차세대 백신: 면역 반응의 유전적 조절과 무관한 접합체 (conjugate)의 항원 부분에서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제공하는 접합된 폴리머 서브-유닛 백신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공지 방법의 수행은 독성 숙신이미드 에스테르 (succinimide ester)의 사용을 포함하는데, 이는 백신 제조 기술을 복잡하게 하고, 노동 조건 및 안전 기술들에 대하여 고도의 요구사항들을 부과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생태학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환경들을 야기하고, 정밀한 정제를 수행하기 위한 특별한 수단을 취할 것을 필요로 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공지 방법의 불충분한 기술적 효과는, 상당한 재료 및 노동 자원의 소요를 수반하지만, 목표 산물의 수율은 20 내지 30%를 넘지 않는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은 백신 제조의 모든 단계에서 효과적이고 객관적인 조절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제조 파라미터의 반복가능성에 대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모든 연령군에 대하여 안전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제공에 관한 것이며, 상당히 낮은 제제의 백신접종량으로도 백신의 예방적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백신 제조 공정의 기술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고, 폴리머 캐리어와 백신성 항원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술적 잠재성을 넓히는 것이며, 안전 기술과 생태학적 제조 조건들에 대한 요건들을 감소시키는 것이고, 목표 산물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폴리머 캐리어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과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에 의하여 달성되며, 폴리머 캐리어로는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이형사슬 (heterochain) 폴리아민류의 유도체가 사용된다:
Figure 712005002794210-pct00012

상기 식에서: n은 350 내지 1000이고;
q는 70 내지 400이고;
z는 140 내지 800이고;
x는 2 또는 4이고;
y는 1 또는 2이고;
A는 CH 또는 N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자량 50000 내지 150000 달톤 (Da)을 갖는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원/캐리어 비율을 1:5 내지 30이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n = 350 내지 1000, q = (0.2 내지 0.4)n, z = (0.4 내지 0.8)n, x = 2 또는 4, y = 1 또는 2로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과제는, 하기 화학식 2의 접합체 형태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에 공유결합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을 포함하는 화합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Figure 712005002794210-pct00013

상기 식에서, R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을 나타낸다.
상기 과제는 또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에 정전기적 결합에 의하여 결합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합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로는 하기 화학식 3의 1,4-에틸렌피페라진 N-옥사이드 및 (N-카르복시에틸)-1,4-에틸렌피페라지늄 브로마이드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712005002794210-pct00014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로는 하기 화학식 4의 1,4-에틸렌피페리딘 N-옥사이드 및 (N-카르복시에틸)-1,4-에틸렌피페리디늄 브로마이드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Figure 712005002794210-pct00015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으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들 (surface proteins)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들로서 헤마글루티닌 및/또는 뉴라미니다아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내부 단백질, 기질 단백질 (M-protein) 및 핵산 단백질 (NP-protein)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및 내부 단백질들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과제는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과 폴리머 캐리어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달성되며, 폴리머 캐리어로는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이 사용되고, 그들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과의 반응은 아지드 (azide)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자량 50000 내지 150000 달톤을 갖는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과의 반응은 항원/캐리어 비율을 1:5 내지 30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을 미리 활성화 (pre-activate)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의 활성화는, 바람직하게는 히드라지드 (hydrazide) 기들을 도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과제는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과 폴리머 캐리어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달성되며, 폴리머 캐리어로는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이 사용되고, 그들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과의 반응은 복합체화 (complexation) 반응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과의 복합체화 반응은 항원/캐리어 비율을 1:5 내지 30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과제는 반대로 대전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 및 인플루엔자 바이스의 백신성 항원들의 거대분자들 사이에서 수행되는 복합체화 반응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로는 1,4-에틸렌피페라진 N-옥사이드 및 (N-카르복시에틸)-1,4-에틸렌피페라지늄 브로마이드의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백신성 항원들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인 헤마글루티닌 및 뉴라미니다아제를 사용하고, 복합체화 반응을 2 내지 4℃의 온도에서, pH 5.8의 인산염 완충용액 조건 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폴리머 캐리어로서 그 자체로 면역속성 (immunotropic) 활성을 갖는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의 고 면역원성 및 안정성을 제공하고, 면역 기억의 형성, 항원 접종량의 실질적 감소 (인플루엔자 백신에 대한 세계 표준과 비교하여 대략 3배) 및 다른 감염들에 대한 생물체의 내성 증가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들의 단순화 및 가속화, 에너지 밀도의 감소 및 제조의 생태학적 안전성 향상을 제공함으로써, 목표 산물의 질을 향상시키고, 그 수율을 증진시킨다.
본 발명은 또한, 물리화학적 파라미터 및 외부 요인들에 대하여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생리적 특성들을 안정적으로 재현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들 및 장점들은 하기 서술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및 그 제조방법의 상세한 설명 및 상기 방법 및 제조된 백신의 특정 구현예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과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수용성 유도체들 사이에 강한 공유결합을 갖는 접합체 (conjugate) 또는 이러한 성분들 사이에 안정한 정전기적 결합을 갖는 복합체 제제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은, 분자량 1 내지 3 mln 달톤 및 분자 직경 50 내지 80nm의 고분자 화합물이며, 7.25의 등전점 (isoelectric point)을 갖는다.
통상적으로, 인플루엔자 백신들에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들: 비리온의 표면 단백질들 (수퍼캡시드 서브-유닛들)이며 각각 6.9 및 7.1의 등전점을 갖는, 분자량 77000 달톤의 헤마글루티닌 (HA) 및 분자량 220000 달톤의 뉴라미니다아제가 이용된다.
이러한 항원들은 HA 항체들이 바이러스-중화 활성을 갖기 때문에, 항체 면역 반응의 형성을 야기하며, 동족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에 대항하여 생명체를 보호한다.
백신 제조에 사용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내부 항원들 (뉴클레오캡시드 서브-유닛들) - 분자량 170000 달톤 및 등전점 6.5를 갖는 핵산 단백질 (NP-단백질) 및 분자량 64000 달톤 및 등전점 6.8을 갖는 기질 단백질 (또는 M-단백질) - 또한 감염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인플루엔자에 감염되거나 또는 그에 대항하여 완전한 비리온 백신들로 접종된 인간들에 있어서, 표면 HA와 NA 항원 및 내부 M-단백질과 NP-단백질 양자 모두에 대한 항체들이 생성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응 균주의 바이러스로부터 백신성 항원들을 분리하기 위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들을 사용하는 기술들이 이용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들은 10일 동안 발육된 계란의 요막 공간 (allantoic cavity)에서 성장되어, 수크로오즈 밀도 단계 구배 (sucrose density step gradient) 기술에 의하여 정제 및 농축된다.
이형사슬 폴리아민류 유도체들은 수용성, 비독성이며, 현저한 면역조절 특성들을 갖는 완전 생체 화합물이다.
이형사슬 폴리아민류 유도체들은 "라이브 (live)" 양이온성 폴리머화 방법에 의하여 폴리에틸렌피페리딘류를 합성하고, 합성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를 산화 및 알킬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이렇게 얻어진 물질들은 적당한 생리적 및 약리적 활성들을 갖는다.
상기 고분자 수용성 면역조절 캐리어에 의한 백신성 항원들의 변형은 서브-유닛들의 면역원적 활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서술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 유도체들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과의 안정한 공유 또는 정전기적 결합들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다름)의 형성으로 인하여, 상기 항원들의 고안정성 및 그들의 면역원성의 증진이 가능하며, 따라서 항원의 접종량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들에 대한 면역 기억의 형성은 더욱 효과적이 된다. 동시에, 다른 감염들에 대한 생명체의 보호 특성들은 증가되며, 결과적으로, 백신의 전반적인 예방 활성의 증진이 야기된다. 그 외에도, 비독성 수용성 캐리어의 사용은 백신의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데에 기여하여, 6개월 유아에서부터 어린이까지의 백신접종에 적합하게 한다.
이형사슬 폴리아민류 유도체들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예방적 항원들과의 접합체에 기초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 본 발명에 따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제조 방법을 서술하는 데에 있어서, 명확성을 위하여, 1,4-에틸렌피페라진 N-옥사이드 및 (N-카르복시에틸)-1,4-에틸피페라지늄 브로마이드 (CPL)의 공중합체인, 상업적으로 제조된 "폴리옥시도늄 (polyoxidonium)"이 이형사슬 폴리아민의 출발 유도체로서 선택된다.
예비적으로, 활성화된 형태의 이형사슬 폴리아민 유도체 CPL이 제조된다. 이를 위하여, 출발 CPL은 히드라진 수화물에 의하여 변형된다.
활성화 이후에 얻어진 CPL 히드라지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보호 항원들과 5 내지 30:1의 비율로 혼합되어 아지드 방법에 의하여 반응되고, 결과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 항원들과 고분자 합성 캐리어의 공유 결합물이며, 폴리머 캐리어의 카르복실기와 단백질 분자들의 라이신 잔기의 일차 아미노기 사이에 안정한 공유 아미드 결합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합성은 엄격하게 조절된 환경 하에서 수행되어, 예정된 구조 및 단백질/폴리머 비율을 갖는 제제들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반응 조건들을 철저히 관찰하면서 아지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분자간 및 분자내 가교화를 완전히 회피할 수 있게 하며, 활성 중심을 보존하고, 목표 산물의 높은 수율 및 질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수용성 유도체군으로부터의 고분자 폴리머 캐리어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보호 항원들과의 복합체 화합물에 기초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CPL을 pH 5.8의 인산염 완충용액 중에 용해시킨다. 동일한 완충용액 중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의 용액을 상기 CPL 용액에 가한다.
복합체의 강도는, 반응에 가해지는 특정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 및 보호 항원들의 선택에 따라서 변화한다. 강한 정전기적 결합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용액 중의 성분들의 최적 비율이 선택되어야 한다. 복합체화 반응은 1:5 내지 30의 항원/캐리어 비율로 단백질 용액을 폴리머 용액에 서서히 가함으로써 수행된다. 지시된 pH 값에 의해, 폴리머 캐리어 CPL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면 항원들의 거대분자들이 반대로 대전되고, 본 반응의 결과로서 그들이 안정한 정전기적 결합을 형성한다.
제제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해 분리된다.
얻어진 화합물들의 조성 및 그들의 특정 특성들의 분석은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PAAG) 중에서의 SDS-전기영동, 전자 현미경, 형광 스펙트로스코피 및 환상 이색 방법 (circular dichroism methods)과 같은 방법들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단백질과 캐리어의 결합 정도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결합의 위치를 결정하며, 접합체 조성물 중의 단백질의 입체형태적 안정성을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얻어진 화합물들의 면역원적 및 보호적 특성들은 면역 체계의 반응 및 실험 동물들 전체로서 생물체의 반응을 조사하고, 또한 지원자들에 대하여 백신을 테스트함으로써 평가되었다.
수행된 조사들은, 여기에 서술된 발명에 따라서 접합체 또는 복합체 제제의 형태로 제조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 하기 장점들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면역원적 활성이 서브-유닛 백신들에 비하여 10배 높고,
- 최적 활성 pH가 7.25로서, 이는 생리적 체액의 pH 값과 유사하여 높은 생체이용가능성을 제공하며,
- 오직 고도로 정제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만 이용되고, 단백질의 관점에서 백신접종량이 통상적인 백신들에 비하여 3 내지 5배 낮기 때문에, 제제를 사용하기에 절대적으로 안전하고,
- 역학적 계절 (epidemiological season)을 통털어 1회 면역접종의 경우에도 백신이 효과적이며,
- 접합체 또는 복합체 제제 조성물 중의 백신성 항원들의 안정성이 천연 단백질들의 안정성 보다 100배 이상 높고,
-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고분자 수용성 유도체들에 기초한 폴리머 캐리어들이 매우 적절한 면역조절 활성을 갖는 관계로, 백신의 면역원성 및 예방적 활성의 두드러진 증진을 얻을 수 있다.
지원자들에 대한 조사들은, 1회 백신화의 경우에는 인플루엔자 및 급성 호흡기 질환 (acute respiratory disease, ARD)으로 인한 이환율 (morbidity)이 계절적으로 증가하는 시기 동안 수행되었다. 성인들 사이에서의 인플루엔자 및 ARD로 인한 이환율 분석으로부터, 외부 대조군에서 인플루엔자 이환율은 1000명의 관찰자 당 92.3명이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백신으로 접종된 개체군 (1000명의 접종 개체 당 26.7명) 및 내부 대조군 (1000명의 관찰자 당 36명)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다는 것이 명백하다. 인플루엔자의 병인 진단의 혈청학적 해석이 수행되었다.
역학 실험 데이터들로부터 확립된 특성들은, 적당한 공식들을 사용함으로써, 백신으로서 가장 중요한 특성들을 결정할 수 있게 하며, 즉:
- 효율 지수 (efficiency index)가 3.4이고,
- 예방 효율 인자 (prophylactic efficiency factor)는 77%이며,
- 집단 내 50% 면역 중간층 (immune interlayer)의 존재 하에서, 항-유행 보호 인자 (anti-epidemic protection factor)가 68%이다.
하기 서술된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들에서, 실시예 1 내지 12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제조하는 방법들을 수행함에 있어서 특정의 여러가지 변수들을 설명하며, 실시예 13 내지 15에서는 실시예 1 내지 12에서 얻어진 제제들의 효율성에 대한 실험적 평가가 제공된다. 제제의 효율성 평가 결과는 표 1 내지 4에 반영되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 1. 아지드 접합 방법을 이용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 HA 및 NA를 구비한 CPL 접합체에 기초한 백신의 제조
1 단계: 활성화된 형태의 캐리어-CPL 히드라지드 합성.
500 mg의 CPL (n = 700, q = 0.2, z = 0.8, MW = 80000, MWD = 1.33)을 25 ml의 메틸 알콜에 용해시켰다. 20℃의 온도에서 0.2 ml (2 ×10-3M)의 히드라진 수화물을 가하였다. 반응은 24시간 동안 수행되었다. 회전 증발기 상에서 메탄올이 증류 제거된 후에, 잔류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에테르 추출을 수행하였다. 최종 산물을 "밀리포어 (Millipore)" 막을 사용한 한외여과 (ultrafiltration) 기술 및 연이은 냉동건조에 의하여 분리하였다.
히드라지드기들의 함량은 일차 아미노기를 2,4,6-트리니트로벤젠술폰산으로 적정하는 표준 방법에 의하여 결정하였다. 히드라지드기들의 함량은 15%이었다.
2 단계: CPL 히드라지드와 HA 및 NA와의 축합 반응에 의한 접합체의 제조.
100 mg의 CPL 히드라지드를 1N HCl 4 ml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0 내지 2℃까지 냉각시켰다. 다음으로 1.15 ml의 3% 소듐 나이트라이트 용액을 교반 및 냉각하면서 가하였다. 15분 후에, 2N NaOH를 가함으로써 용액의 pH를 8.5로 조정하였다.
CPL 히드라지드 용액에, pH 8.5의 0.05M 완충용액 10 ml 중의 HA 및 NA 단백질 혼합물 (95:5 비율) 20 mg 용액을 가하였다. 2N NaOH를 가함으로써 반응 pH를 8.5로 유지시켰다. 반응은 12시간 동안 교반 및 0 내지 2℃로 냉각시키면서 수행되었다. 접합체를 분리 및 정제하기 위하여, 반응 혼합물을 Sephadex G-100으로 충진된 컬럼 (2.6 ×90)에 가하였고, 용출용매는 0.05M NaCl을 포함하고 pH 7.5의 0.05M 인산염 완충용액이었다. 접합체의 수율은 λ= 226 nm에서 플로우 스펙트로미터에 의하여 조절되었다. 항원의 함량이 결정되었으며, 접합체는 형광 스펙트로스코피 및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PAAG)에서의 전기영동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단백질/CPL 접합체 몰비는 1:5이었다. 접합체의 수율은 97%이었다.
공중합체 조성은 NMR-스펙트로스코피 및 IR-스펙트로스코피 기술에 의하여 결정되었고, 분자량 및 분자량 분배는 스몰-앵글 레이저 방사 스캐터링 (small-angle laser radiation scattering) 방법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실시예 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 HA 및 NA를 갖는 CPL 복합체에 기초한 백신의 제조.
100 mg의 CPL (n = 1000, q = 0.4, z = 0.4, MW = 145000, MWD = 1.7)을 pH 5.8의 0.05M 인산염 완충용액 10 ml에 용해시켰다. 동일한 완충용액 2ml 중의 HA 및 NA 혼합물의 10 mg 용액을 2 내지 4℃의 온도에서 가하였다. 상기 pH 값에서 폴리머 캐리어 및 항원들의 거대분자들은 반대로 대전된다.
복합체화 반응은 침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항원들의 용액을 폴리머의 용액에 서서히 가함으로써 수행되었다. 반응 혼합물은 24시간 동안 2 내지 4℃의 온도로 유지되었다. 반응 완료 시에, 수산화 나트륨의 용액을 가함으로써 용액의 pH를 7.1로 조정하였다. 단백질/CPL 몰비는 1:10이었다. 목표 산물의 수율은 96%이었다. 단백질 함량이 결정되었으며, 화합물을 형광 스펙트로스코피 및 PAAG에서의 전기영동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3.
항원 캐리어로서 하기 특성들을 갖는 CPL을 사용하고: n = 400, q = 0.3, z = 0.7, MW = 60000, MWD = 1.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내부 단백질인 M-단백질 및 NP-단백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단백질/CPL 몰비는 1:6이었다. 접합체 중의 단백질은 로우리 (Lowry)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4.
캐리어로서 하기 특성들을 갖는 CPL을 사용하고: n = 900, q = 0.35, z = 0.65, MW = 100000, MWD = 1.6,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HA와 NA 단백질들 및 내부 M-단백질과 NP-단백질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단백질/CPL 몰비는 1:5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브래드포드 (Bradford) 방법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실시예 5.
캐리어로서 하기 특성들을 갖는 CPL을 사용하고: n = 540, q = 0.25, z = 0.75, MW = 78000, MWD = 1.8,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내부 M-단백질 및 NP-단백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단백질/CPL 몰비는 1:30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브래드포드 방법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실시예 6.
캐리어로서 하기 특성들을 갖는 CPL을 사용하고: n = 900, q = 0.3, z = 0.7, MW = 135000, MWD = 1.7,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HA와 NA 단백질들 및 내부 M-단백질과 NP-단백질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단백질/CPL 몰비는 1:25이었다.
실시예 7.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의 캐리어로서 하기 특성들을 갖는 1,2-에틸렌피페리딘 N-옥사이드와 (N-카르복시에틸)-1,2-에틸렌피페리디늄 브로마이드의 공중합체 (CPL-A)를 사용하고: n = 100, q = 0.4, z = 0.4, MW = 145000, MWD = 1.7, 항원으로서 HA 및 NA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단백질/캐리어 몰비는 1:10이었다. 단백질은 로우리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8.
캐리어로서 하기 특성들을 갖는 CPL-A를 사용하고: n = 400, q = 0.3, z = 0.7, MW = 60000, MWD = 1.1,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내부 단백질들인 기질 M-단백질 및 NP-단백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항원-캐리어 몰비는 1:8이었다. 단백질은 로우리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9.
캐리어로서 하기 특성들을 갖는 CPL-A를 사용하고: n = 900, q = 0.35, z = 0.65, MW = 110000, MWD = 1.6,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HA와 NA 단백질들 및 내부 M-단백질과 NP-단백질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항원-캐리어 몰비는 1:5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브래드포드 방법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실시예 10.
캐리어로서 하기 특성들을 갖는 CPL-A를 사용하고: n = 540, q = 0.25, z = 0.75, MW = 78000, MWD = 1.8,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들인 HA-단백질 및 NA-단백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항원-캐리어 몰비는 1:30이었다. 단백질은 로우리 방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11.
캐리어로서 하기 특성들을 갖는 CPL-A를 사용하고: n = 950, q = 0.3, z = 0.7, MW = 120000, MWD = 1.7,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내부 M-단백질 및 NP-단백질을 사용하여,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항원/캐리어 몰비는 1:25이었다. 제제 중의 단백질 함량은 로우리 방법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실시예 12.
캐리어로서 하기 특성들을 갖는 CPL-A를 사용하고: n = 600, q = 0.4, z = 0.4, MW = 90000, MWD = 1.7,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HA와 NA 단백질들 및 내부 M-단백질과 NP-단백질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2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항원/캐리어 몰비는 1:20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로우리 방법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실시예 1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효능 연구.
특이성을 확립하고 비 항체 역가 (specific antibody titers)의 상승을 결정하기 위하여, 적혈구응집-저해 반응 (hemagglutination-inhibition reaction, HAIR)으로 생쥐의 혈액 혈청 및 지원자의 혈액 혈청에 대해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항원 활성을 평가하였다.
비특이적 저해인자들을 제거한 후에, 혈청의 2배 희석액을 플렉시글라스 플레이트 (Plexiglass plate)의 웰 중에 0.2 ml 부피로 준비하였다. 각각의 혈청 희석액에 0.2 ml의 상동 항원 (homologous antigen)을 4 AU의 양으로 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고, 20 ±2℃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각각의 웰에 닭 적혈구의 1% 현탁액 0.4 ml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다시 교반하고, 20 ±2℃의 온도에서 40 내지 45분 동안 (대조군에서 적혈구가 침전될 때까지) 방치하였다. 그 후 반응 결과물들을 4-크로스 시스템에 따라서 계산하였다. 명백히 현저한 적혈구 응집을 야기하는 최대 항원 희석을 항원 역가 또는 1 응집 단위 (1 AU)로 가정하였다. 혈청 내에 특정 항체들이 존재한다면, 적혈구의 응집에 있어서 지연이 발생한다. 혈청 내의 항체 역가는 적혈구응집의 완전한 저해를 야기하는 항원의 한계 희석으로 채택되었다.
체중 18 내지 20g을 갖는 (CBA ×C57B1/6) F1주의 성적으로 성숙한 생쥐들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대응되는 H3N2형, H1N1형, B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주로부터 분리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HA, NA, M-단백질 및 NP-단백질뿐만 아니라, 폴리머 캐리어 CPL 및 CPL-A와의 그들의 화합물에 기초하여 제조된 제제가 항원으로서 사용되었다.
항원 투여량은 생쥐에 대한 예비 실험에서 선택되었다. 각각의 군은 8 내지 10마리의 생쥐들로 구성되었다. 모든 제제들은 0.5 ml의 부피로 복강 내로 (intraperitoneally) 투여되었다. 대조군의 생쥐들에게는 0.5 ml의 생리적 용액이 투여되었다. 2주 후 재접종하는 이중 백신화 방법이 사용되었다. 2차 면역화 후 12일이 경과한 다음, 조사 대상인 제제의 면역원성을 적혈구응집-저해 반응 (HAIR)으로 분석하였다.
얻어진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에서 대조군의 항원 활성을 13번 위치에 나타내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HAIR 역가 640 160-320 80 2560 20-40 640 1250 40 2560 160-320 20 1280 10 미만

표 1에 나타낸 데이터들은, 본 발명의 제제가 투여된 모든 테스트 군들에서 적혈구응집-저해 반응으로부터 결정된 항체 역가들이 대조군의 그것을 초과하며, 즉, 제제 투여에 대한 두드러진 항원성 반응이 관찰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면역원성 분석.
근친교배된 (CBA ×C51B1) F1 생쥐에, 다양한 계획에 따라서 다양한 양으로 제제를 투여하였다. 그 후, 면역화된 동물들의 혈청 중 HA-특이적 항체들의 함량 결정을 포함하는, 항원 특이적 면역 반응들에 대한 다중파라미터 조사를 수행하였다.
제제들을 완충용액 중에서 희석하여, 단백질의 관점에서 0.1 내지 10mg/생쥐의 양으로 복강 내로 또는 생쥐들의 꼬리 기저 영역에 피하로 투여되었다. 2차 면역 반응을 유도하기 위하여, 1차 투여 후 21일이 경과한 다음 2차 주사를 수행하였다. 면역화 이후 정해진 기간 내에 생쥐들을 단두시키고 (decapitate), 혈액을 채집하고, 혈청을 얻었다.
혈청 내의 HA-특이적 항체들의 함량을 면역-효소 분석 (IEA)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분석은 96-웰 폴리스티렌 플레이트에서 통상적인 방법을 따름으로써 수행하였다.
항체들의 IEA-역가는 테스트 및 대조군에서 1차 및 2차 면역화 후에 결정되었고, 비 면역 기억 인자 (specific immune memory factor) Kim 및 비 면역 자극 인자 (specific immunostimulation factor) Kss를 계산하였다. 대조군의 생쥐에서는 면역 기억이 형성되지 않았다.
이러한 인자들은 역가들의 절대값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며, 백신 제제의 면역원적 특성들의 객관적 특성이다. 분석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삭제
제제 면역 기억 인자 비 자극 인자
1 65 80
2 40 35
4 70 100
6 45 50
7 60 70
9 70 95
10 30 40
12 35 30

표 2에 나타낸 결과들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모든 제제들이 면역원적 특성들을 지니며, 면역 기억을 형성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15.
승인된 테스트 기록 용지에 부합하여, 지원자들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신의 면역원성을 분석하였다. 백신접종을 위한 지원자들은 30 내지 40 연령대의 혈청-음성 개체들 (10 이하의 HAIR 역가) 중에서 선택되었다. 테스트 군들은 10 내지 12명의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백신접종은 근육 내, 왼쪽 팔 삼각근에, 1회용 주사기를 사용하여, 0.5 ml의 일회 투여로 수행되었다. 각각의 주사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1N1)의 헤마글루티닌 (5 ±1) ㎍ 및 실시예 1, 2, 4, 6에 기재된 양에 해당하는 캐리어 CPL-1을 포함하였다. 대조군의 개인들에게는 0.5 ml의 생리적 용액이 투여되었다.
조사 대상인 제제들의 면역원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백신접종 이전 및 백신접종 한 달 후에 채취된, 접종된 개체들의 혈청 쌍 (paired sera)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균주를 사용하여 적혈구응집-저해 반응 (HAIR)으로 분석하였다. 제제의 효율성은 보호 항체 역가를 갖는 개체들의 백분율로부터 평가하였다. 개체들은, HAIR에서의 항체 역가가 1:4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면역보호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백신의 면역원성 연구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제제 백신화 1개월 후 HAIR 역가 백신화의 효율성 (보호 항체 역가를 갖는 개인들의 %)
1 80-1280 95
2 80-320 91
4 160-1280 100
6 160-640 97
생리적 용액 10 이하 -

표 3에 나타낸 실험 데이터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제제로 백신화된 개체들에서 높은 보호 항체 역가를 갖는 고수준의 면역 반응이 형성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6. 바이러스 중화 테스트를 이용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효과 분석.
전술한 제제들로 면역화된 생쥐 혈청의 바이러스-중화 활성 (virus-neutralizing activity)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따라서 "보호" 항체들의 역가를 결정하였다.
삭제
실험은 실시예 14와 같이 수행되었다. 백신의 최적 면역원량을 생쥐에 이중 투여 (21일 간격으로)한 후에, 그들의 혈액 혈청을 채집하고, 생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불활성화 테스트로 그들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혈청 희석액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현탁액과 혼합하고, 통상적으로 채택되는 방법을 따름으로써 바이러스-중화 항체들의 역가를 분석하였다. 설치류 혈청의 바이러스-중화 역가는 배아 중 50%에서 요막공간액의 적혈구응집 활성을 없애는 그의 최대 희석치로 간주되었다. 분석의 결과들을 표 4에 나타내었다.
제제 바이러스-중화 역가
1 1:400
2 1:80
4 1:400
6 1:160
7 1:160
9 1:400
10 1:160
12 1:320
13 1:10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화 테스트에서 1:400의 역가 및 40의 혈청변환 인자 (seroconversion factor)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효과에 있어서 신뢰할 만한 특성이며, "보호" 역가로 간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 4에 나타낸 데이터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제제로 면역화된 생쥐의 혈청이, 정상 설치류 혈청과 비교하여, 최소한 40배 양의 바이러스-중화 항체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차세대 항-인플루엔자 백신의 제조에 있어서 그 응용가능성을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차세대 항-인플루엔자 백신은, 폴리머 면역조절 캐리어로 인하여, 두드러진 면역원적 활성, 고수준의 안전성 및 예방 효과를 갖고, 이는 어린이 및 고위험군의 사람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집단에 대해 인플루엔자를 예방하기 위한 차세대 백신의 사용 가능성을 넓혀 준다.

Claims (21)

  1. 폴리머 캐리어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과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캐리어로서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화학식 1>
    Figure 712005002794210-pct00016
    상기 식에서: n은 350 내지 1000이고;
    q는 70 내지 400이고;
    z는 140 내지 800이고;
    x는 2 또는 4이고;
    y는 1 또는 2이고;
    A는 CH 또는 N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은 50000 내지 150000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1:5 내지 30의 항원/캐리어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과 공유결합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의 접합체를 포함하고, 하기 화학식 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화학식 2>
    Figure 112005034097013-pct00017
    상기 식에서, R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을 나타낸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정전기적 결합의 형성에 의하여 얻어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과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과의 복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7. 제1항에 있어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로서, 하기 화학식 3을 갖는, 1,4-에틸렌피페라진 N-옥사이드 및 (N-카르복시에틸)-1,4-에틸렌피페라지늄 브로마이드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화학식 3>
    Figure 112005034097013-pct00018
  8. 제1항에 있어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로서, 하기 화학식 4를 갖는, 1,4-에틸렌피페리딘 N-옥사이드 및 (N-카르복시에틸)-1,4-에틸렌피페리디늄 브로마이드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화학식 4>
    Figure 112005034097013-pct00019
  9. 제1항에 있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들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10. 제1항에 있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으로서, 헤마글루티닌 및/또는 뉴라미니다아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11. 제1항에 있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내부 단백질, 기질 단백질 (M-protein) 및 핵산 단백질 (NP-protein)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12. 제1항에 있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으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및 내부 단백질들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1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과 폴리머 캐리어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캐리어로는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이 사용되고, 상기 폴리머 캐리어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과의 반응이 아지드 (azide)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50000 내지 150000 달톤의 분자량을 갖는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과의 반응은 항원/캐리어 비율이 1:5 내지 30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을 미리 활성화 (pre-activate)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의 활성화는 히드라지드 (hydrazide) 기들을 도입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과 폴리머 캐리어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캐리어로는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이 사용되고, 상기 폴리머 캐리어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과의 반응이 복합체화 (complexation) 반응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과의 복합체화 반응은 항원/캐리어 비율이 1:5 내지 30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화 반응이 반대로 대전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백신성 항원들의 거대분자들 사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이형사슬 폴리아민류의 유도체들로서, 1,4-에틸렌피페라진 N-옥사이드 및 (N-카르복시에틸)-1,4-에틸렌피페라지늄 브로마이드의 공중합체가 사용되고, 백신성 항원들로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표면 단백질인 헤마글루티닌 및 뉴라미니다아제가 사용되고, 복합체화 반응이 2 내지 4℃의 온도에서, pH 5.8의 인산염 완충용액 조건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7001870A 2000-08-09 2001-06-1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및 그 제조방법 KR100568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00120902/14A RU2164148C1 (ru) 2000-08-09 2000-08-09 Вакцина против вируса грипп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RU2000120902 2000-08-09
PCT/RU2001/000229 WO2002011758A1 (fr) 2000-08-09 2001-06-13 Vaccin contre le virus de la grippe et procede de fabrication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096A KR20030059096A (ko) 2003-07-07
KR100568013B1 true KR100568013B1 (ko) 2006-04-05

Family

ID=2023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870A KR100568013B1 (ko) 2000-08-09 2001-06-1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568013B1 (ko)
CN (1) CN1464789B (ko)
AU (2) AU2001269640B2 (ko)
RU (1) RU2164148C1 (ko)
WO (1) WO2002011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28991C9 (ru) 2010-06-24 2011-1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ПО Петровакс Фарм" Сополимеры гетероцепных алифатических поли-n-оксидов, вакцинирующие и лекарственные средства на их основе
RU2446824C2 (ru) * 2010-07-20 2012-04-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о медицинским иммунобиологическим препаратам "Микроген"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и социального развит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акцина против грипп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CA2850407C (en) * 2011-09-30 2021-11-23 Medicago Inc. Increasing virus-like particle yield in plants
RU2740751C1 (ru) * 2019-08-28 2021-01-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азвитие БиоТехнологи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етравалентной субъединичной противогриппозной вакцин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1580617A1 (ru) * 1988-05-13 1997-02-10 Институт иммунологи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акцины против вируса гриппа
RU2073031C1 (ru) * 1990-08-06 1997-02-10 Некрасов Аркадий Васильевич Производные поли-1,4-этиленпиперазина, обладающие иммуномодулирующей, противовирусной и антибактериальной активностями
RU2112542C1 (ru) * 1997-02-28 1998-06-10 Аркадий Васильевич Некрасов Препарат для лечения патологических состояний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ткани
RU2153354C1 (ru) * 1999-03-31 2000-07-27 Московский городской научно-практический центр борьбы с туберкулезом Вакцина против туберкулез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164148C1 (ru) 2001-03-20
WO2002011758A8 (fr) 2003-07-24
WO2002011758A1 (fr) 2002-02-14
AU2001269640B2 (en) 2005-12-22
AU6964001A (en) 2002-02-18
CN1464789B (zh) 2010-12-01
CN1464789A (zh) 2003-12-31
KR20030059096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5221B2 (ja) タンパク質マトリックスワクチンおよびそのようなワクチンの製造方法および投与方法
EP0186576B1 (en) Covalently-modified neutral bacterial polysaccharides, stable covalent conjugates of such polysaccharides and immunogenic proteins, and methods of preparing such polysaccharides and conjugates
EP0914134B1 (en) Adjuvant properties of poly(amidoamine) dendrimers
EP0467714A1 (en) The class II protein of the outer membrane of neisseria meningitidis
JP6072777B2 (ja) ポリカチオンを含むタンパク質マトリックスワクチン組成物
JP2013504588A (ja) 免疫原性の高いタンパク質マトリックスワクチン
KR101623994B1 (ko) 안정하게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일본뇌염 백신의 제조방법 및 그 백신의 용도
BRPI0708868A2 (pt) composiÇÕes e mÉtodos para imunizaÇço com o uso de ligantes de cd1d
BE1024148B1 (fr) Compositions et utilisations
KR100568013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및 그 제조방법
JPH05506234A (ja) ワクチン組成物
EP1667634A2 (en) Anthrax vaccine
JP2023523716A (ja) ウイルス及び抗原のコンジュゲーションによって形成されるワクチン
RU202181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акцины против холеры
JP2001505763A (ja) Hiv p―17ペプチドフラグメント、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並びにその製造及び使用方法
RU2427385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й комплекс, обладающий протектив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против вируса гриппа
JPH0616569A (ja) 免疫学的担体特性および免疫促進特性を有するナイセリア・メニンギチジスの外膜のクラスii蛋白、およびそれを含むワクチン
PT98383A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uma proteina de classe ii da membrana exterior de neisseria meningitidis tendo propriedades de veiculo e de intensificacao imunologic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