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920B1 - 컨베이어가이드레일지지부 - Google Patents

컨베이어가이드레일지지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920B1
KR100565920B1 KR1019970059953A KR19970059953A KR100565920B1 KR 100565920 B1 KR100565920 B1 KR 100565920B1 KR 1019970059953 A KR1019970059953 A KR 1019970059953A KR 19970059953 A KR19970059953 A KR 19970059953A KR 100565920 B1 KR100565920 B1 KR 100565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support
cam
cam membe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420A (ko
Inventor
이. 미첼 로버트
제이. 엔쉬 피터
에이. 워약 데니스
Original Assignee
렉스노드 인더스트리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노드 인더스트리즈, 인크 filed Critical 렉스노드 인더스트리즈, 인크
Publication of KR1998004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가이드 레일 지지체는 물품을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운송하기 위한 운송 체인 또는 벨트를 구비한 컨베이어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가이드 레일 지지체는 컨베이어의 운송 장치에 인접하게 가이드 레일을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유지 조립체, 가이드 레일 유지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조립체, 그리고 지지 조립체에 장착된 캠 레버의 조합체를 포함하며, 캠 레버는 상기 가이드 레일 유지 조립체를 브래킷에 대해서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위치와 상기 가이드 레일 유지 조립체를 브래킷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해제시키기 위한 제2 위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캠 레버를 이동시키면 공구의 사용 없이도 컨베이어의 운송 체인에 대한 가이드 레일의 신속한 위치 조정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컨베이어 가이드 레일 지지체
본 발명은 운송 기계(conveying machines),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송 기계 가이드 레일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운송 기계, 보다 구체적으로는 병과 캔 등의 식품 용기를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운송 기계는, 일반적으로 용기들을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운송하는 이동 벨트 또는 체인을 포함한다. 용기들이 운송 중에 컨베이어의 측면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이동 벨트의 측면을 따라 가이드 레일이 위치한다. 용기들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실질적인 횡방향 힘이 가이드 레일에 가해짐으로써 용기에는 그와 동일한 반작용력이 유발된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은 운송 중에 용기를 직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용기에 대하여 최적의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비교적 높이가 높은 용기의 경우에는, 보통 2개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채용된다. 또한, 목부(neck)의 직경이 축소된 병에 대해서는, 용기의 본체와 맞물리는 가이드 레일의 위쪽 및 일반적으로는 안쪽에 특별한 형태의 가이드 레일이 종종 채용된다. 가이드 레일의 위치는 용기에 부착된 종이 라벨(label)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컨베이어가 한 가지 유형의 용기로부터 상이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다른 유형의 용기용으로 전환되는 경우에, 종종 가이드 레일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가이드 레일 지지체는 일반적으로 가이드 레일 클램프를 운송 기계에 장착된 지지부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형성 파스너(threaded fastener)를 포함한다. 그 결과, 이러한 파스너들은 가이드 레일의 위치 조정이 필요할 때는 느슨하게 되었다가 다시 체결되어야 한다. 보통 수백 피트 길이인 운송 기계에서 수많은 브래킷(bracket)이 재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이것은 시간을 소비하는 노동 집약형 공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송 기계의 가이드 레일을 위한 신규의 개량된 지지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이드 레일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위치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운송 기계의 가이드 레일 지지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주어지는 상세한 설명으로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물품을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운송하기 위한 운송 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에 사용되는 가이드 레일 지지체로 구성된다. 가이드 레일 지지체는 컨베이어의 운송 수단에 인접한 가이드 레일을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 이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 그리고 유지 수단과 지지 수단 중 하나에 장착된 클램프 수단의 조합체를 포함하며, 클램프 수단은 유지 수단을 지지 수단에 대해서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제1 위치와 유지 수단이 지지 수단에 대해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제2 위치를 가지며,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클램프 수단을 이동시키면 공구의 사용 없이도 컨베이어의 운송 수단에 대하여 가이드 레일의 위치를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 지지체(12)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조립체(10)의 일부가 나타나 있다. 컨베이어 조립체(10)는 이송되는 제품을 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 또는 체인(16)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조립체(14)를 포함한다. 소정의 적당한 벨트 또는 체인을 채용할 수 있지만, 도시된 예에서 체인(16)은 복수의 링크(18)를 구비하며, 그 중 단지 두 개만 도시하였지만 당업자는 복수 개의 그러한 링크(18)가 무단 체인(endless chain)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링크(18)들은 양 단부에서 힌지 핀(hinge pin)(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체인(16)은 동력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스프로킷(sprocket)들과 구동 체인에 의해서 가이드 레일 지지체(12)에 대하여 이동한다. 단일의 가이드 레일 지지체(12)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 개의 간격을 두고 있는 가이드 레일 지지체(12)가 가이드 레일(20)을 체인(16)의 양측에 인접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운송되는 제품이 컨베이어 조립체(10)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시된 컨베이어 조립체(10)는 단지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다른 유형의 컨베이어에도 역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컨베이어 프레임 조립체(14), 체인(18) 및 체인 구동 기구는 통상의 것이기 때문에, 간결하게 하기 위해서 더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브래킷(30), 캠 레버(32) 및 로드(34)를 포함하는 가이드 레일 지지체(12)으 제1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로드(34)는 상단에서 가이드 레일 지지 수단을 수반하여 가이드 레일(20)을 지지한다. 브래킷(30)과 캠 레버(32)는 로드(34)를 수직 이동에 대하여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브래킷(30)은, 브래킷(30)이 볼트(40) 등에 의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프레임 조립체(14)에 고정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슬롯(38)이 있는 배판(背坂; 36)을 포함한다. 배판(36)의 상단에 설치된 요크(yoke)(42)는 상판(44) 및 하판(45)를 구비하며, 상판(44) 및 하판(45)은 각각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있는 표면(46, 47)을 형성한다. 측판(48)과 거싯(gusset; 49)이 요크(42)를 배판(36)에 지지한다. 로드(34)를 수용하기 위해 정렬된 구멍(50, 51)이 요크의 상판 및 하판(44, 45) 내에 각각 형성된다.
캠 레버(32)는 환형(環形) 외주부(53)와, 대향하는 평행면(54, 55)에 의해서 형성된 둥근 섹션(52)을 포함하며, 평행면(54, 55)은 둥근 섹션(52)이 요크(42)의 표면(46, 47) 사이에 헐겁게 끼워질 정도로 간격을 두고 있다. 또한, 둥근 섹션(52)을 편심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멍(56)은 로드(34)를 활주 가능하게 수용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둥근 섹션(52)의 일측면으로부터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핸들(57)은 둥근 섹션(52)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목부(58)를 구비한다. 구멍(56)의 중심은 둥근 섹션(52)의 중심으로부터 핸들(57)과 대향하는 측부쪽으로 변위되어 있다. 요크(42)상에서 상판(44)과 하판(45) 사이에는 아치형의 정면 벽(59)이 형성된다. 정면 벽(59)에 의해 형성된 원호(arc)의 반지름은 캠 레버(32)의 둥근 섹션(52)의 반지름보다 약간 더 크다. 측판(48)은 정면 벽(59)으로부터 배판(36)으로 연장된다. 또한, 측판(48)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형의 내부 벽(60)이 정면 벽(59) 및 표면(46, 47)과 함께 공동(空洞)(61)을 형성한다. 표면(46, 47) 사이의 공간에 의해 공동(61)의 두께가 결정되며, 정면 및 후면 벽(59, 60)의 곡률 반경은 캠 레버(32)의 둥근 섹션(52)이 공동(61) 내에 헐겁게 수용되는 정도이다.
정면 벽(59) 내에 슬롯(6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캠 레버(32)의 둥근 섹션(52)이 공동(61) 내에 있을 때 핸들(57)은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슬롯(62)의 폭은 둥근 섹션(52)에 인접한 핸들(57)의 목부(58)보다 약간 더 크므로, 캠 레버(32)가 공동(61) 내에서 기울어지는 것이 억제된다.
캠 레버(32)가 공동(61) 내어 수용되며 로드(34)가 구멍(56) 내에 수용될 때 캠 레버(32)가 로드(34)에 대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둥근 섹션(52)의 환형 외주부(53)가 내부 벽(60)과 접촉하게 된다. 캠 레버(32)가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게 되면, 구멍(56)의 편심 위치에 기인하여 환형 외주부(53) 및 내부 벽(60) 사이의 수직력이 증가하게 된다. 슬롯(62)의 일측에 폭이 증가된 부분(64)이 있으므로, 핸들(57)이 폭 증가 부분(64) 내에 있는 상태로 캠 레버(32)가 위치할 때, 캠 레버(32)는 공동(61)에 대하여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 지지체(12)를 도시하는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가이드 레일 지지체(12)는 또한 가이드 레일(20)을 로드(34) 상에 지지하며 가이드 레일(20)을 컨베이어 체인(16)에 인접 위치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 지지 수단은 로드(34)의 상단부에 장착된 교차 클램프를 포함한다. 교차 클램프는 통상의 것이며 간결하게 하기 위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교차 클램프가 로드(34)의 상단부에 고정된 원통형 본체 부분(72)을 포함하는 것을 언급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본체 부분(72) 내에 형성된 교차 구멍(76) 내에 배치된 제2 로드(74)는 일단에 가이드 레일(20)을 결합되어 지지하기 위한 클램프(78)를 구비한다. 본체 부분(72)의 상단부는 교차 구멍(76)과 교차하는 축방향 나사 형성 구멍(axially threaded bore; 80)을 구비한다. 나사 형성 잠금 부재(locking member; 82)가 제2 로드(74)와 맞물려 채워지도록 구멍(80) 안쪽에 나사 결합 가능하게 수용된다. 잠금 부재(82)를 제2 로드(74)와 맞물리게 채우거나 또는 풀도록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84)가 잠금 부재(82)의 상단부에 고정된다. 또한, 손잡이(84)에 부착된 너트(86)가 잠금 부재(82)를 조이고 헐겁게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2를 다시 보면, 핸들(57)이 슬롯(62)의 넓은 부분(64) 안쪽에 있도록 캠 레버(32)가 위치될 때, 캠 레버(32) 내의 구멍(56)은 각각 상판 및 하판(44,45) 내의 구멍(50,51)과 정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로드(34)과 가이드 레일(20)은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가이드 레일(20)이 이송되는 제품에 대해서 알맞은 높이에 위치할 때,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캠 레버(3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핸들(57)을 슬롯(62)의 폭이 좁은 부분으로 이동시킨다. 핸들(57)이 슬롯(62)의 넓은 부분(64)에서 좁은 부분으로 이동함에 따라, 둥근 섹션(52)이 공동(61)의 형상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그 섹션의 기하학적 중심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힘을 받게 되어 구멍(56)은 요크(42) 내의 구멍(50, 51)과의 정렬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이동된다. 이것은 구멍(56)의 가장자리를 로드(34)의 일측부에 대해서 힘을 가해서 로드(34)의 대향 측부가 구멍(50, 51)의 외주와 맞물리게 한다. 이것은 로드(34)를 적소에 끼워 넣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하며, 캠 레버(32)는 둥근 부분(52)의 상부 표면(54)에 형성된 제2 수직 캠(90)을 더 포함한다. 제2 캠(90)은 둥근 부분(52)과 핸들(57) 사이의 연결부의 일측면에 위치되며 일반적으로 쐐기형이며 약간은 아치형이다. 캠(90)의 경사진 표면(94)과 구멍(56)은 서로에 대해서 협동 동작하도록 위치된다. 캠 레버(3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편심 구멍(56)은 로드(34)를 유지하기 시작한다. 캠 레버(32)가 더욱 회전되면, 제2 캠(90)은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한다. 제2 캠(90)은, 캠 레버(32)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서 기인한 제1 캠 작용이 로드(34)를 적소에 잠그기에 불충분한 작은 힘을 로드에 인가하도록, 편심 구멍(56)에 대해서 위치된다. 제2 캠(90)은 수직 또는 축 방향으로 로드(34)에 작용하기 시작하며 그에 따라 제1 캠 작용의 수직력을 사용하여 로드(34)에 축 방향으로 제2 힘을 전달한다. 캠 레버(32)가 추가로 회전됨에 따라, 제1 캠 작용은 기하학적 형태에 의해 우세해지며 로드를 적소에 잠근다.
도 4a, 도 4b, 도 5 및 도 6은 브래킷(130)과 캠 레버(13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브래킷(130)은 슬롯(138)을 통해 연장되는 볼트(140)에 의해서 운송 기계에 고정 가능한 배판(136)를 포함한다. 배판(136)의 상단부에 설치된 요크(142)는 간격을 두고 있는 표면(146,147) 및 공동(161)을 각각 형성하는 상판(144)와 하판(145)를 포함한다. 요크(142)는 측판(148)에 의해 지지된다. 요크(142)는 아치형 정면 벽(163)을 포함한다. 측판(148)은 정면 벽(163)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바깥으로 연장된다.
상판 및 하판(144,145) 내에 각각 형성된 보스(149,150)는 각각 상판 및 하판(144,145) 사이의 공동(161)을 향해 안쪽으로 연장된다. 보스(149,150)에는 각각 정렬된 중심 구멍(151,152)이 있으며, 또한 아치형의 전면 단부 및 후면 단부(159,153)와 평행한 측부(154)가 구비된다.
캠 레버(132)는 상부 및 하부 표면(158,160)에 각각 오목부(156,157)가 형성된 둥근 섹션(155)을 포함한다. 오목부(156,157)는 일반적으로 원형이며 보스(149,150)를 수용하기 위한 간극(162)을 그 전방 단부에 구비한다. 또한, 오목부(156,157)의 직경은 보스(149,150)의 아치형 단부(159,153)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더 길며, 간극(162)의 폭은 보스의 측부(154)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더 길다. 이에 따라 캠 레버(132)는 보스(149,150) 사이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해지며 도 6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캠 레버(132)는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핸들(166)과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캠 레버(132)의 둥근 섹션(155)의 기하학적 중심에 대해서 치우친(offset) 편심 구멍(164)을 추가로 포함한다.
핸들(166)의 중심 선이 도 6의 선(168)을 따라 위치하는 경우에는, 캠 레버(132)가 요크(142)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구멍(164)이 구멍(151,152)들에 대해서 동축으로 위치함으로써, 로드(34)는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보스(149,150)가 각각 오목부(156,157) 안쪽에서 막히게 된다. 이에 따라 둥근 섹션(155)이 실질적으로 그 기하학적 중심 주위에서 회전하게 되며, 캠 레버(132) 내의 편심 구멍(164)은 구멍(151,152)과의 정렬에서 벗어나도록 이동함으로써 로드(134)는 적소에 잠기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로드(34,134)를 이동, 조정 또는 해제시키는 공구를 필요로 하는 표준의 나사 형성 파스너를 사용하지 않고도 로드를 적소에 잠그게 한다. 또한, 브래킷(30,130)은 쐐기나 립(lip)이 있는 로드(34,134)가 사용될 때 수직 하중을 인가하여 로드를 예비인장(pretension)시킬 수 있다.
캠 레버(32,132)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로드(34,134)를 잠글 때 편심 구멍(56,164)이 변형된다. 로드(34,134)에 나사산이 형성되었다면, 조여질 때 편심 구멍(56,164)과 자체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캠 레버(32,132)의 로드(34,134)에 대한 유지력(고정력)을 증가시키며, 제2 캠(90)의 맞물림에 의해서 로드(34,134)에 축방향력(軸方向力)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캠 레버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나사 형성 로드(34)에 축방향 하중을 인가하는 것을 돕는다. 캠 레버(32)가 완전히 회전하면, 편심되게 위치하는 구멍(56)에 의해 제공된 제1 캠 작용이 우세해지며 그에 따라 로드(34)를 예비 인장하는 위치로 잠근다. 이것은 공구가 필요 없이 구현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을 도시하며, 로드(134)는 그 로드(134)를 따라 간격을 두고 있는 위치 표시부(marker)(17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조작자는 임의의 추가적인 측정 장치도 필요 없이 가이드 레일(20)을 이송되는 상이한 크기의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 지지체를 구비한 컨베이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 레일 지지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변형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변형 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가이드 레일 지지체의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 레일 지지체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베이어 조립체
12 : 가이드 레일 지지체
16 : 체인(운송 수단)
20 : 가이드 레일
30,130 : 브래킷
32,132 : 캠 레버(캠 수단)
34,134 : 로드(세장형 부재)

Claims (16)

  1. 물품을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운송하기 위한 운송 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지지체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 지지체는
    상기 운송 수단에 인접하게 가이드 레일을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과,
    상기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으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과 상기 지지 수단 중 하나는 종축을 갖는 세장형 부재를 구비하며,상기 지지 수단은 운송 수단에 인접하게 컨베이어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 및 배치되는 것인 지지 수단과,
    상기 세장형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클램핑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세장형 부재가 상기 클램핑 수단에 대하여 이동할 수 없게 고정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세장형 부재가 상기 클램핑 수단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해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을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가이드 레일을 운송 수단에 대하여 수동으로 재배치할 수 있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이 상기 세장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세장형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지지 수단에 수용되며, 상기 클램핑 수단은, 클램핑 수단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세장형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잠그도록 세장형 부재와 맞물리고, 상기 클램프 수단이 제2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세장형 부재와 맞물림 해제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는 상기 지지 수단에 대한 상기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간격을 두고 있는 위치 표시부(marker)를 포함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수단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세장형 부재의 길이 방향 이동을 쐐기 고정시키고,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에 세장형 부재를 자유로이 이동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는 캠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피벗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 수단에 장착되고, 상기 캠 부재는 피벗 축선에 대해서 편심인 개구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세장형 부재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장형 부재는 상기 지지 수단과 캠 부재의 상기 개구들을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지지 수단의 상기 개구의 축선은 상기 피벗 축선과 동축인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는 대향하는 평탄면들에 의해 형성되는 둥근 부분을 구비하며, 이 캠 부재의 개구는 상기 표면들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둥근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간격을 둔 지지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수단의 개구는 상기 지지면에 형성된 동축의 개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피벗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 이동하도록 상기 캠 부재를 지지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에 형성되며 이 캠 부재가 피벗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들 사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는 상기 지지 수단에 대한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간격을 두고 있는 위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 중 하나와 맞물리도록 상기 캠 부재의 대향 표면 중의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캠 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피벗 이동할 때에 상기 종축과 평행한 캠 작용력을 전달하는 제2 캠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종축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레일을 해제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부재는 상기 지지 수단에 대한 상기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간격을 두고 있는 위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12. 물품을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운송하기 위한 운송 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지지체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 지지체는 컨베이어의 운송 수단에 인접하게 가이드 레일을 유지하는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과, 이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을 지지하는 지지 수단의 조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운송 수단에 인접하게 상기 컨베이어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 및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과 지지 수단 중 하나에 캠 수단이 장착되어 있고, 이 캠 수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을 상기 지지 수단에 대하여 이동하지 못하게 고정하는 제1 위치와, 상기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을 상기 지지 수단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해제하는 제2 위치를 가져서, 상기 캠 수단을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기 컨베이어의 운송 수단에 대하여 신속하게 재배치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 유지 수단은 상기 지지 수단에 대해 이동하도록 이 지지수단에 수용되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캠 수단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부재를 이동하지 못하게 잠그도록 상기 부재에 맞물리고, 제2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부재로부터 해제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부재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제1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 수단은 상기 제1 개구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 수단에 장착되며, 상기 캠 수단은 피벗 축선에 대해서 편심인 제2 개구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 부재는 대향 평탄면들에 의해 형성되는 둥근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캠 부재의 개구는 상기 표면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캠 부재의 둥근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간격을 두고 있는 지지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지지면 내의 동축 개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면은 피벗 축선을 중심으로 피벗 이동하도록 상기 캠 부재를 지지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 중 하나의 표면과 맞물리도록 상기 캠 부재의 대향 표면 중의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캠 부재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피벗 이동할 때에 상기 지지면의 축선과 수직인 캠 작용력을 전달하는 제2 캠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에 형성되고, 이 캠 부재가 피벗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면들 사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 중 하나 이상의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보스(boss) 수단과, 평탄면 중 하나 이상의 표면에 형성되는 오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스 수단과 오목부는, 곡률 중심이 상기 지지면들 내의 상기 개구들의 축선과 동축인 상보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아치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16. 물품을 한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운송하기 위한 운송 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에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 지지체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 지지체는
    상기 운송 수단에 인접하게 컨베이어 상에 장착되고, 제1 축선을 갖는 제1 구멍을 형성하는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축선과 동일선상에 있는 제2 축선을 갖는 제2 구멍을 형성하는 제2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축선과 동일선상에 있는 피벗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지지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벗 축선에 대하여 편심된 캠 구멍을 형성하는 캠 부재와,
    가이드 레일을 유지하고, 상기 제1 및 제2 구멍과 상기 캠 구멍을 통과하는 세장형 부분을 갖는 가이드 레일 유지 부재
    를 포함하여, 상기 피벗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캠 부재가 회전하게 되면, 캠 부재는 캠 부재에 대한 상기 가이드 레일 유지 부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억제 및 허용하는 것인 가이드 레일 지지체.
KR1019970059953A 1996-11-15 1997-11-14 컨베이어가이드레일지지부 KR100565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49,909 US5860511A (en) 1996-11-15 1996-11-15 Conveyor guide rail supports
US8/749,909 1996-11-15
US08/749,909 1996-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420A KR19980042420A (ko) 1998-08-17
KR100565920B1 true KR100565920B1 (ko) 2006-08-03

Family

ID=2501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953A KR100565920B1 (ko) 1996-11-15 1997-11-14 컨베이어가이드레일지지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860511A (ko)
EP (1) EP0842876B1 (ko)
JP (1) JP3964023B2 (ko)
KR (1) KR100565920B1 (ko)
AU (1) AU736158B2 (ko)
CA (1) CA2219246C (ko)
DE (1) DE69701556T2 (ko)
DK (1) DK084287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9685B1 (en) * 1999-09-28 2001-02-20 Valu Engineering, Inc. Guide rail support bracket for conveyor system
SE517188C2 (sv) 2000-04-03 2002-05-0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Metod för fastlåsning av stödräcken utmed en transportbana
US6427829B1 (en) * 2000-07-07 2002-08-06 Solus Industrial Innovations, Llc Conveyor bracket
IT249849Y1 (it) * 2000-07-18 2003-06-05 System Plast Stampaggio Tecnop Morsetto per organi di supporto e collegamento
US6579032B1 (en) * 2000-07-26 2003-06-17 Solus Industrial Innovations, Llc Low profile rod clamp
US6669009B2 (en) 2001-02-20 2003-12-30 Valu Engineering, Inc. Guide rail support bracket assembly for conveyor system
SE520235C2 (sv) * 2001-10-26 2003-06-10 Flexlink Components Ab Justerbart stödräcke till en transportör
DE202005008426U1 (de) * 2005-05-31 2005-09-15 Ricon Sieb Und Foerdertechnik Fördervorrichtung mit Fördertuch
US7368647B2 (en) * 2005-12-09 2008-05-06 Wu-Hong Hsieh Support for a musical keyboard instrument
ITMI20070031A1 (it) * 2007-01-11 2008-07-12 Rexnord Marbett Srl Morsetto per barra di supporto di componenti di trasportatori di articoli
US8408385B2 (en) * 2008-09-22 2013-04-02 Martin Engineering Company Bracket for bulk material transfer system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490780B2 (en) * 2009-10-02 2013-07-23 Septimatech Group Inc. Guide rail system
US20120228092A1 (en) * 2009-11-23 2012-09-13 Erlbacher Ii Edwin A Flexible track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US8464864B2 (en) * 2010-10-29 2013-06-18 Septimatech Group Inc. Guide rail system
DK177306B1 (en) 2010-11-02 2012-11-12 Flexmove System M Sdn Bhd Conveyor
US8695787B2 (en) 2011-09-26 2014-04-15 Septimatech Group Inc. Guide rail system
CA2882922C (en) 2014-02-21 2020-12-01 Septimatech Group Inc. Guide rail system with cover element
CN103803276B (zh) * 2014-03-05 2015-11-25 唐山学院 喂粕自动上料输送机
DE102015006979A1 (de) 2015-05-29 2016-12-15 BUKO Solutions GmbH Hydro-mechanisch einstellbare Seitenführung zum Fördern von Produkten
CN107434134A (zh) * 2017-09-12 2017-12-05 湖南帝豪船舶设备制造有限公司 多功能皮带线
CN109335609B (zh) * 2018-12-04 2024-04-02 佛山市尔托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凹印印版滚筒储存及提取设备
CA3172989A1 (en) 2020-03-30 2021-10-07 Flexlink Ab Conveyor guide rail attachment
KR102313061B1 (ko) * 2020-10-05 2021-10-1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인출장치
MX2022011413A (es) 2021-09-16 2023-03-17 Fogg Filler Company Llc Sistema de transferencia de material giratorio con ajuste y componentes de sistema relacionados.
DE202022100938U1 (de) 2022-02-18 2023-05-22 Düspohl Maschinenbau Gmbh Verstellbare Führ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70740A (en) * 1955-12-07 1959-01-27 Theodore B H Vogt Crayon holders
US3776350A (en) * 1972-06-08 1973-12-04 J Tice Guide rail support
DE2710683A1 (de) * 1977-03-11 1978-09-21 Holstein & Kappert Maschf Foerderer zum transportieren von gefaessen
US4225035A (en) * 1978-08-31 1980-09-30 Owens-Illinois, Inc. Guide rail system for use on inspection machines
DE3116334A1 (de) * 1981-04-24 1982-11-18 Gefra B.V.,, s'Gravenzan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seitenfuehrung, einer foerdereinrichtung an einer stuetze"
GB2101194B (en) * 1981-07-07 1985-09-04 Access Plant Fastening elongate members
US4934516A (en) * 1988-09-06 1990-06-19 Adolph Coors Company Apparatus for supporting an article conveying system
US4958725A (en) * 1988-09-12 1990-09-25 Simplimatic Engineering Company Conveyor guide railing assembly
DE4026737A1 (de) * 1990-08-24 1992-02-27 Montech Ag Vorrichtung zum loesbaren verbinden zweier profile
US5335782A (en) * 1993-05-13 1994-08-09 Herzog Kenneth J Conveyor post rail clamp
US5291988A (en) * 1993-08-23 1994-03-08 Leonard George E Adjustable guide rail apparatus for conveyor systems
US5492218A (en) * 1994-11-01 1996-02-20 Joseph E. Seagram & Sons, Ltd. Adjustable railing support post for conveyor line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5498098A (en) * 1994-11-10 1996-03-12 Nolu Plastics, Inc. Two-piece clamping assembly
US5533826A (en) * 1994-11-10 1996-07-09 Nolu Plastics, Inc. Clamping arrangement for securing guide rails with respect to a conveyor system
US5501544A (en) * 1994-11-10 1996-03-26 Nolu Plastics, Inc. Three-piece clamping assembly
US5692596A (en) * 1995-10-05 1997-12-02 Valu Engineering, Inc, Rail guide support assembly
US5626221A (en) * 1995-10-06 1997-05-06 Valu Engineering, Inc. Tapered clamp support rod
US5701991A (en) * 1996-02-06 1997-12-30 Hi-Speed Checkweigher Co., Inc. Clamping mechanism
US5682976A (en) * 1996-09-19 1997-11-04 Philip K. Fitzsimmons Guide rail supports for conveyors and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420A (ko) 1998-08-17
DE69701556D1 (de) 2000-05-04
CA2219246A1 (en) 1998-05-15
MX9708826A (es) 1998-08-30
EP0842876B1 (en) 2000-03-29
AU736158B2 (en) 2001-07-26
US5860511A (en) 1999-01-19
JPH10258921A (ja) 1998-09-29
CA2219246C (en) 2005-08-23
DE69701556T2 (de) 2000-09-07
AU4510297A (en) 1998-05-21
JP3964023B2 (ja) 2007-08-22
DK0842876T3 (da) 2000-09-04
EP0842876A1 (en) 1998-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920B1 (ko) 컨베이어가이드레일지지부
US7748522B2 (en) Conveyor device
US5479762A (en) Carrier puck
EP0578602B1 (en) Machine for automatically positioning and aligning containers
US5238099A (en) Conveying system
EP2332862B1 (en) Bracket for conveyor-belt tensioning
US4928808A (en) Machine for unscrambling and positioning containers
US4880098A (en) Receptacle handling machine
US56304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easably fastening a bar-like member to a conveyor belt
US3844405A (en) Quick adjusting guide rail for conveyor
US4266653A (en) Stoppering machine
AU737733B2 (en) Guide rail splice
US4029195A (en) Guide apparatus for an article conveying machine
KR930005057B1 (ko) 이송물품에 대한 체위(體位)변경장치
EP0060720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conveyors
US20200039752A1 (en) Conveyor track assembly for a mechanical chain
US20040144627A1 (en) Device for removable fastening of seats for housing containers to a metallic belt conveyor
US6037549A (en) Combination scale
US5386900A (en) Adjustable infeed design
US11554890B2 (en) Labeling system adapted for labeling syringes or vials
US6951271B2 (en) Flight lug
MXPA97008826A (en) Rail supports of transport machine guide
CN111573195A (zh) 能自动修正输送带偏移的输送设备
SU166824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нени направлени потока изделий на конвейере
JP2005255331A (ja) 物品仕分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