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057B1 - 이송물품에 대한 체위(體位)변경장치 - Google Patents

이송물품에 대한 체위(體位)변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057B1
KR930005057B1 KR1019850006567A KR850006567A KR930005057B1 KR 930005057 B1 KR930005057 B1 KR 930005057B1 KR 1019850006567 A KR1019850006567 A KR 1019850006567A KR 850006567 A KR850006567 A KR 850006567A KR 930005057 B1 KR930005057 B1 KR 93000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guide
food packaging
guide member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411A (ko
Inventor
유다까 가네꼬
Original Assignee
에이버이 테트라 팩
게스터 세브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버이 테트라 팩, 게스터 세브렐 filed Critical 에이버이 테트라 팩
Publication of KR86000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B65B61/20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for adding drinking straws to a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송물품에 대한 체위(體位)변경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사용해서 반송로의 옆쪽에 띠형상 연속포장물의 절단장치와 상하 1쌍의 접착제 분사노즐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a, b도는 띠형상 연속포장물의 절단장치만의 정면도.
제3도는 그 내부기구를 나타내는 일부종단확대 정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이 절단장치로의 띠형상 연속포장물의 공급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체위변경장치의 한가지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7도는 그 일부인 피안내부재만의 이면도.
제8도, 제9도는 이 체위변경장치에 띠형상 연속포장물의 절단장치를 부착하고, 그 체위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체위변경장치에 상하 1쌍의 접착제 분사노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1도는 반송로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이송물품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체위변경장치의 2종류의 부착방법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12도는 스트로오의 띠형상 연속포장물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3도, 제14도는 띠형상 연속포장물로부터 절단된 개개의 포장물을 크기가 다른 2개의 식품포장용기에 접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단드럼 2 : 절단기
13 : 브래킷 13a : 안내면
13b : 안내홈 14 : 피안내부재
A,A′ : 식품포장용기 B : 띠형상 연속포장물
C : 반송로 D : 접착제 분사노즐
E : 절단장치
O,O′ : 식품포장용기의 측면중심
H,H′ : 방송로로부터 용기의 중심까지의 거리
본 발명은, 반송로를 따라서 이송되어 오는 이송물품의 옆쪽에 배치되는 장치의 체위를 이송물품에 대하여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한 장치의 체위를 이송물품의 측면중심에 대하여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서, 제1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팩용기라고 일컫는 식품포장용기(A)나 이것보다 용량이 큰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용기(A′)에 우유나 주우스 등의 음료를 넣고, 그 외측면의 대각선상에 스트로오가 밀봉된 포장물(b)을 접착하여 판매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 포장물(b)을 식품포장용기(A)나 식품포장용기(A′)의 외측면에 자동적으로 접착하기 위해서, 종래, 제1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로우가 소정간격을 두고 밀봉된 띠형상 연속포장물(B)을 미리 제조하고, 이것을 스트로오와 스트로오와의 사이의 부분(C)에서 개개의 포장물(b)로 순차적으로 절단하면서 반송로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식품포장용기(A)(A′)의 외측면에 눌러붙어서 접착하는 방식이 채용되며, 또 그 앞 공정으로서 식품포장용기(A)(A′)의 외측면이 대각선상의 적어도 2군데에 특수한 접착제를 도포하는 작업이 행해진다.
이와 같은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는, 세워진 상태로 이송되어 오는 식품포장용기(A)(A′)에 대하여 포장물(b)이나 접착제 도포위치를 비스듬하게, 즉 용기의 대각선 상에 위치하도록 가져오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띠형상 연속포장물의 절단장치나 상하 1쌍의 접착제 분사노즐을 식품포장용기의 반송로의 옆쪽에 비스듬하게 설치하고 있었지만, 용기의 크기가 바뀌면 그것에 따라서 상기한 장치를 일일이 다른 것으로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극히 귀찮은 것이었다.
또, 취급하는 용기의 크기가 바뀌면, 반송로로부터 용기의 측면 중심까지의 거리가 다르므로, 동일한 브래킷을 이용해서 그 중심을 통과하는 대각선상에 각각 포장물(b)을 가지고 갈 수가 없는 경우도 있다.
또, 포장물(b)을 제13도, 제14도와 다른 대각선, 즉 양쪽 도면의 1점쇄선상에 부착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 경우에도 상기한 장치의 체위를 바꾸지 않으면 안된다.
또, 도시하지는 않지만, 요구르트나 빙과를 넣은 식품포장용기의 외측면에, 스푼이 밀봉된 포장물을 접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한 것과 동일한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반송로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이송물품의 측면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게 되는 안쪽으로 오목한 반달모양의 안내부를 보유하는 브래킷(13)을 반송로의 옆쪽에 배치하고, 그 브래킷(13)에는 전기한 안내부를 따라서 미끄럼운동시킬 수 있는 피안내부재(14)를 착탈자재하게 부착하고, 그 피안내부재(14)에 상기한 절단장치나 상하 1쌍의 접착제 분사노즐을 부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피안내부재(14)를 반송로의 옆쪽에 배치된 브래킷(13)의 안내부를 따라서 이동시킬 수가 있음으로, 피안내부재(14)에 띠형상 연속포장물의 절단장치나 상하 1쌍의 접착제 분사노즐을 부착한 경우에는, 반송로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물품에 대하여 그 체위를 변경할 수가 있다.
특히, 이 경우에 있어서, 브래킷(13)의 안내부는 반송로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물품의 측면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한 안쪽으로 오목한 반달모양이므로, 피안내부재(14)는 브래킷(13)의 안내부의 위치에 있는 한, 비록 그 위치가 다르게 되어 있어도 끊임없이 반송로를 따라서 이송되어 오는 물품의 측면중심을 통과하는 선(線)상으로 향하게 되므로, 피안내부재(14)에 부착한 띠형상 연속포장물의 절단장치나 상하 1쌍의 접착제 분사노즐에 의해서, 반송로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물품의 측면중심을 통과하는 선상에 포장물(b)을 눌러붙이거나, 그 선단의 2군데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하나의 반송로(C)의 옆쪽에 상하 1쌍의 접착제 분사노즐(C)(D)과 띠형상 연속포장물 절단장치(E)를 서로 앞뒤로 하여 배치한 경우를 나타낸다.
실시예에 있어서 띠형상 연속포장물의 절단장치(E)란,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절단드럼(1)과 그 절결홈(1a)에 돌입(突入)시켜지는 절단기(2)로 구성된다.
절단드럼(1)은 그 간헐회전에 의하여 띠형상 연속포장물(B)을 일정한 거리(1피치)씩 공급하는 것으로서, 그 정지시에 실린더(3)에 의하여 절단기(2)가 개개의 절결홈(1a) 마다에 돌입시켜져서 띠형상 연속포장물(B)을 개개의 포장물(b)로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드럼(1)의 회전에 의하여 포장물(b)을 차례로 송출할 수가 있다.
그때, 띠형상 연속포장물(B)의 팽출부분(d)은 절단드럼(1)의 절결홈(1a)(1a)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방송홈(1b)(1b)에 각각 끼워넣어진다.
또한, 절단기(2)는 실린더에 의하여 진퇴하는 형식의 것 이외에, 자전(自轉)하면서 공전(公轉)하여 이것이 절결홈(1a)을 통과할 때 띠형상 연속포장물(B)을 개개의 포장물(b)로 절단하는 형식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절단드럼(1)을 간헐회전시킴에 있어서, 실시예에서는 제2도,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드럼(1)의 축(1c)에 이것과 동심적으로 캠차륜(4)을 고정하고, 그 바깥쪽에 배치한 2개의 핀(5a)(5b)을 2개의 실린더(6a)(6b)에 의하여 캠차륜(4)의 다수의 홈의 흡입구(4a)와 이것과는 다른 홈의 홈속(4b)에 교대로 끼워넣어지는 경우를 예시한다.
제2a도에서는, 핀(5b)에 캠차륜(4)의 홈속(4b)에 끼워넣어진 상태에 있으며, 이때 캠차륜(4)은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6b)가 복동(復動)하면, 그 핀(5b)은 제2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으로부터 빠진다.
이 순간 다른 쪽의 실린더(6a)가 작동해서, 핀(5a)이 제2a도의 위치로부터 캠차륜(4) 쪽으로 진출하여 와서 제2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쪽 홈의 흡입구(4a)를 밀어누른다.
따라서, 캠차륜(4)이 제2a, b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캠차륜(4)이 1피치만큼 회전하자마자 실린더(6b)가 작동하여 핀(5b)이 앞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음 홈의 홈속(4b)에 끼워져서, 캠차륜(4)을 정지시킨다.
이 순간 다른 쪽 실린더(6a)가 복동해서, 그 핀(5a)의 제2a도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실린더(6b)가 다시 복동하면, 핀(5b)은 앞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홈에서 빠진다.
이 순간 다른 쪽의 실린더(6a)를 다시 작동시키면, 핀(5a)이 앞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음 홈의 흡입구(4a)를 밀어누른다.
따라서, 캠차륜(4)이 앞서의 경우와 같이 제2a, b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것이 1피치만큼 회전하자마자 실린더(6b)를 다시 작동시킨다. 그러면, 핀(5b)이 다음 홈의 홈속(4a)에 끼워져서, 캠차륜(4)을 다시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2개의 실린더(6a)(6b)의 교대작동에 의해 캠차륜(4)이 간헐회전해서, 이것과 동축상에 있는 절단드럼(1)을 간헐회전시킬 수가 있다.
띠형상 연속포장물(B)은, 제3도에 나타내는 안내로울러(7) 및 부속장치(8)의 안내면(9)을 경유하여 절단드럼(1)으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절단기(2)와 반대쪽에 있어서, 절단드럼(1)의 바깥쪽에는, 절단기(2)에 의하여 절단된 개개의 포장물(b)을 절단드럼(1)의 외주면으로부터 취출하여 그 옆쪽으로 이송되어 오는 식품포장용기(A)(A′)의 옆쪽으로 눌러 붙이는 레버(1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레버(10)는 실린더(11)의 작동에 의하여 축(10a)을 지지점으로 해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절단드럼(1)의 외주면에는 제4도에 부호(1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방향의 홈이 좌우에 형성되어 있으며, 좌우 1쌍의 레버(10)(10)의 앞부분이 양쪽 홈(1d)(1d) 내에 끼워져 있다.
좌우 1쌍의 레버(10)(10)는 실린더(11)의 작동에 의해 1개의 공통적인 축(10a)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요동에 의해 절단드럼(1)의 외주면상에 있는 개개의 포장물(b)(절단기(2)에 의해 절단된 것)을 외주면으로부터 취출해서 그 옆쪽으로 이송되어 오는 식품포장용기(A)(A′)의 옆쪽에 눌러 붙일 수가 있다.
이 절단장치(E)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장의 판(12)에 부착되어서 하나의 유니트로 되어 있는데, 이것을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로(C)의 옆쪽에 배치한다.
이 절단장치(E)를 반송로(C)의 옆쪽에 배치함에 있어서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로(C)의 옆쪽인 프레임(F)에 고정하는 브래킷(13)과, 그 브래킷(13)에 부착하는 피안내부재(14)와, 양자를 고정하는 고정구(15)를 사용한다.
브래킷(13)에는, 반송로(C)(콘베이어로 할 수가 있다)를 따라서 이송되어 오는 식품포장용기(A)의 측면에 있어서의 중심(제8도 내지 제10도에 (O)로 나타낸다)으로부터 거리가 동일하게 되도록 안쪽으로 오목한 반달모양의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안쪽으로 오목한 반달모양의 안내면(13a)과 안쪽으로 오목한 반달모양의 안내홈(13b)을 나란히 설치한 경우를 예시한다.
이 브래킷(13)에는 피안내부재(14)를 고정하는데,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안내홈(13b)의 뒤쪽으로부터 고정구(볼트)(15)를 끼워넣고, 그 앞쪽 끝부분을 피안내부재(14)의 뒷면에 설치한 나사구멍(14a)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고정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 경우, 피안내부재(14)의 하면은 브래킷(13)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면(13a)에 접합할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볼록한 반달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피안내부재(14)를 브래킷(13)의 안내면(13a) 위로 미끄럼운동시키는 것만으로 그 부착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다.
즉, 고정구(볼트)(15)를 느슨하게 한 후 브래킷(13)의 안내면(13a)을 따라 피안내부재(14)를 이동시켜서 소정위치로 되었을 때에 고정구(볼트)(15)를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브래킷(13) 위에서 피안내부재(14)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가 있으므로, 그 피안내부재(14)에 띠형상 연속포장물의 절단장치(E)를 부착한 경우에는, 그 체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제8도는 피안내부재(14)를 브래킷(13)의 맨왼쪽 끝에 고정한 경우를, 또 제9도는 반대로 브래킷(13)의 맨오른쪽 끝에 고정한 경우를 나타내는데, 그것에 따라서 피안내부재(14)에 부착되어 있는 절단장치(E)의 체위는 완전히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지만, 어느 경우에도 절단장치(E)의 절단드럼(1)의 축선은, 반송로(C)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식품포장용기(A)의 측면중심(O)을 통과하는 선상으로 온다.
특히, 브래킷(13)에 대하여 피안내부재(14)를 제8도, 제9도의 위치에 오도록 고정한 경우에는, 절단드럼(1)의 축선은, 식품포장용기(A)의 대각선(L1)(L2) 상으로 오므로, 이 절단장치(E)를 사용하여 식품포장용기(A)의 외측면의 대각선(L1) 혹은 대각선(L2)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어서 포장물(b)을 접착할 수가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한 절단장치(E) 대신에 상하 1쌍의 접착제 분사노즐(D)(D)을 피안내부재(14)에 부착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상기한 절단장치(E)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하 1쌍의 접착제 분사노즐(D)(D)를 반송로(C)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식품포장용기(A)의 측면에 있어서의 중심(O)을 통과하는 선상에 위치시킬 수가 있으며, 특히 브래킷(13)에 대하여 피안내부재(14)를 제10도의 실선위치에 혹은 이것과는 반대로 브래킷(13)의 맨오른쪽 끝의 위치에 고정한 경우에는, 이것에 부착되어 있는 상하 1쌍의 접착제 분사노즐(D)(D)을 식품포장용기(A)의 대각선(L1)(L2) 상에 위치시킬 수가 있음으로, 대각선(L1)(L2) 상의 2군데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여기에 포장물(b)을 눌러 붙이는 것에 의해서, 식품포장용기(A)의 외측면의 대각선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어서 포장물(b)을 접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브래킷(13)에 대하여 피안내부재(14)를 원활하게, 또 반송로접착제 분사노즐(C)을 따라 이송되어 오는 식품포장용기(A)의 측면중심(O)과의 위치가 전혀 어긋나지 않도록, 그리고 피안내부재(14)를 브래킷(13)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브래킷(13)에 형성되는 안내부로서 안쪽으로 오목한 반달모양의 안내면(13a)과 안쪽으로 오목한 반달모양의 안내홈(13b)을 병용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그 안내부는 그 중에서 한쪽만으로 하여도 좋다.
안내홈(13b)을 설치하지 않고 안내면(13a)만을 형성한 경우에는, 피안내부재(14)의 하면은 그 안내면(13a)과 동일한 안쪽으로 오목한 반달모양으로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 이 경우의 고정수단은 고정부(볼트)(15)를 브래킷(13)의 안내홈(13b)에 끼워넣을 수가 없음으로, 적당한 클램프를 사용해서 고정하거나, 피안내부재(14)의 표면쪽으로부터 브래킷(13)에 볼트를 체결하도록 하면 된다.
한편, 안내면(13a)을 설치하지 않고 안내홈(13b)만을 형성한 경우에는, 피안내부재(14)의 뒷면에 나사구멍(14a)을 형성하고, 이것에 안내홈(13b)의 뒷쪽으로부터 끼워넣은 고정구(볼트)(15)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브래킷(13)에 피안내부재(14)를 간단하게 부착할 수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피안내부재(14)의 하면을 굳이 아래쪽으로 볼록한 반달모양으로 해둘 필요는 없을 것이다.
제11도는, 반송로(C)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식품포장용기의 크기가 다른 경우의 브래킷(13) 부착방법을 나타낸다.
작은 식품포장용기(A)가 이송되어 오는 경우와 이것보다 큰 식품포장용기(A′)가 이송되어 오는 경우에서는, 반송로(C)로부터 양쪽 식품포장용기(A)(A′)의 중심(O)(O′)까지의 거리(H)(H′)가 다르므로, 작은 식품포장용기(A)를 취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브래킷(13)을 그대로 큰 식품포장용기(A′)를 취급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식품포장용기(A′)를 취급하기 위한 다른 브래킷을 사용할 필요가 있지만,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와 H′의 차(h=H′-H)만큼의 두께를 보유하는 보조대(16)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작은 식품포장용기(A)를 취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브래킷을 그대로 이용할 수가 있다.
즉, 제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F) 위에 h두께를 보유하는 보조대(16)를 놓고, 그 위에 작은 식품포장용기(A)를 취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브래킷(13)을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반송로(C)로부터 2개의 식품포장용기(A)(A′)의 중심(O)(O′)까지의 거리(H)(H′)가 다르게 되어 있어도, 양쪽 중심(O)(O′)으로부터 브래킷(13)의 안내부까지의 거리는, 모두 동일하게 되어서, 작은 식품포장용기(A)를 취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브래킷(13)을 큰 식품포장용기(A′)를 취급하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가 있으므로, 극히 편리하여서 다른 브래킷을 제작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로를 따라 이송되어 오는 이송물품의 옆쪽에 배치되는 장치의 체위를 이송물품에 대하여 용이하게 또한 정확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이송물품의 측면중심을 통과하는 선상에 상기한 장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배치할 수가 있다.

Claims (2)

  1. 반송로(C)를 따라서 이송되어 오는 이송물품의 측면중심(O)(O′)으로부터의 거리(H)(H′)가 동일하게 되도록 안쪽으로 오목한 반달모양의 안내부를 보유하는 브래킷(13)을 반송로(C)의 옆쪽에 배치하고, 그 브래킷(13)에는 전기한 안내부를 따라서 미끄럼운동시킬 수 있는 피안내부재(14)를 착탈자재하게 부착해서 피안내부재에 장착하는 장치의 위치를 이송물품에 대해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품에 대한 체위변경장치.
  2. 제1장에 있어서, 안내부가 안쪽으로 오목한 반달모양의 안내면(13a) 또는 안내홈(13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품에 대한 체위변경장치.
KR1019850006567A 1984-09-10 1985-09-09 이송물품에 대한 체위(體位)변경장치 KR930005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90450A JPS6169528A (ja) 1984-09-10 1984-09-10 移送物品に対する体位変更装置
JP???59-190450 1984-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411A KR860002411A (ko) 1986-04-24
KR930005057B1 true KR930005057B1 (ko) 1993-06-15

Family

ID=1625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567A KR930005057B1 (ko) 1984-09-10 1985-09-09 이송물품에 대한 체위(體位)변경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69699A (ko)
EP (1) EP0176000B1 (ko)
JP (1) JPS6169528A (ko)
KR (1) KR930005057B1 (ko)
DE (1) DE356638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63865B (sv) * 1987-09-04 1991-02-04 Profor Ab Anordning och saett att faesta och vika boejbara sugroer utmed sidan av en foerpackning
JP2738438B2 (ja) * 1988-11-25 1998-04-08 義章 清水 ストローアプリケート装置
US5037366A (en) * 1990-05-17 1991-08-06 Gilliland Industrials Corporation Device for attaching a straw to a carton container
SE468008B (sv) * 1991-02-01 1992-10-19 Tetra Alfa Holdings Anordning foer att styra banformigt sammanhaengande foeremaal vid applicering paa foerpackningsbehaallare
DE4114191C1 (en) * 1991-05-01 1992-04-23 Ostma Maschinenbau Gmbh, 5352 Zuelpich, De Application of long strip of material - involves conveyor belt and associated pressure and counter-pressure belts
DE4220634C2 (de) * 1992-06-24 1996-04-11 Daimler Benz Aerospace Ag Justiervorrichtung
US5556217A (en) * 1994-07-11 1996-09-17 Clark Equipment Company Auger mount
DE19745855C2 (de) * 1997-10-16 2002-06-20 Indag Gmbh Trinkhalmanbring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bringen von Trinkhalmen an Getränkefolienbeutel
US6526725B1 (en) * 1999-06-23 2003-03-04 Shrink Packaging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straws to containers
DE19952008A1 (de) * 1999-10-28 2001-05-10 Indag Gmbh Vorrichtung zum Anbringen von Trinkhalmen
JP5509682B2 (ja) * 2009-06-03 2014-06-04 株式会社コオエイ ストロー貼着装置
EP4029796A1 (en) * 2021-01-13 2022-07-20 Ecolean AB Device for applying an article to a moving objec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140C (de) * M. NEUERBURG in Köln und C. TRAUTZ in Dillstein bei Pforzheim Neuerung an Gestellen für Gesteinbohrmaschinen
US1703099A (en) * 1923-07-31 1929-02-26 Frederick L Craddock Mixing device
US2255514A (en) * 1939-10-07 1941-09-09 Mixing Equipment Co Inc Supporting bracket
US2298087A (en) * 1940-08-02 1942-10-06 Bell & Howell Co Adjustable support mechanism
US2386906A (en) * 1943-12-04 1945-10-16 Western Electric Co Tilting apparatus
US2594404A (en) * 1949-04-07 1952-04-29 Debrie Andre Victor Le Clement Support for motion-picture apparatus and the like
SE424847B (sv) * 1978-01-30 1982-08-16 Tetra Pak Int Maskin for applicering av sugror pa forpackningsbehallare
DE3204011A1 (de) * 1982-02-05 1983-08-11 Geyssel, Jürgen, 5000 Köln Vorrichtung zum anbringen von gegenstaenden an packungen, flaschen oder anderen objekten
MX157277A (es) * 1982-12-24 1988-11-09 Tetra Pak Int Mejoras en maquina para el empaque de mercancias y metodo de empacar
SE454681B (sv) * 1983-06-23 1988-05-24 Tetra Pak Ab Anordning for applicering av foremal pa forpackningsbehall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71775B2 (ko) 1992-11-16
EP0176000A1 (en) 1986-04-02
US4669699A (en) 1987-06-02
KR860002411A (ko) 1986-04-24
EP0176000B1 (en) 1988-11-23
JPS6169528A (ja) 1986-04-10
DE3566382D1 (en) 1988-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8099A (en) Conveying system
KR930005057B1 (ko) 이송물품에 대한 체위(體位)변경장치
EP0944528B1 (en) Roll-fed labelling apparatus
US4878971A (en) Method of continuously assembling chemical analysis slides
JP2006089138A (ja) 物品にラベルを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およびユニット
US491536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rranging sheets
JP2692493B2 (ja) 物品処理装置
JPH07309318A (ja) ラベルを容器に貼り付ける貼り付け装置
JPH0413208B2 (ko)
JP3067413B2 (ja) ロールラベラ
US4569185A (en) Self-adjusting packaging machine
JP4175706B2 (ja) 物品の回転位置決め装置
JPH0128003Y2 (ko)
CA1228322A (en) Transfer device in a conveyor system
JP2001315734A (ja) 薄切りハムパックのラベル連貼り装置
JP2000109210A (ja) スクリュー搬送装置
JP3463927B2 (ja) ラベル取付け装置
JPH0471776B2 (ko)
JP2002060049A (ja) 物品の回転位置決め装置
JP4815059B2 (ja) ラベル搬送装置
JPH07285523A (ja) 帯状体への小袋の添着装置
JPS61152537A (ja) 包装物を包装容器に貼付ける方法
US6013150A (en) Article tagging apparatus and method
JPS6216411Y2 (ko)
JPH04549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