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159B1 - 이송펌프를 구비한 준설기를 이용하여 하수차집관거 및하수박스를 준설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송펌프를 구비한 준설기를 이용하여 하수차집관거 및하수박스를 준설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159B1
KR100565159B1 KR1020030068154A KR20030068154A KR100565159B1 KR 100565159 B1 KR100565159 B1 KR 100565159B1 KR 1020030068154 A KR1020030068154 A KR 1020030068154A KR 20030068154 A KR20030068154 A KR 20030068154A KR 100565159 B1 KR100565159 B1 KR 100565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dger
dredging
introduction
pipe
sed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890A (ko
Inventor
최인환
Original Assignee
세대토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대토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대토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27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수관로의 퇴적물을 제거하는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상에 제1 로프와 제2 로프가 연장되는 윈치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하수관로에 이송펌프가 구비된 준설기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준설기가 설치되는 단계 전 또는 후에 상기 이송펌프와 연결되는 이송관을 연결하여 퇴적물을 이송하는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1 수직관로와 제2 수직관로에 각각 롤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로프와 제2 로프를 상기 제1, 제2 수직관로의 롤러를 거쳐 상기 준설기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윈치장치로 제1 로프를 당겨 상기 준설기를 하수관로 상에서 이동시켜가며 상기 준설기의 이송펌프에 의해 퇴적물을 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수관로 준설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퇴적물을 준설하는 단계는 이송펌프로 퇴적물을 맨홀침사지 또는 맨홀로 이송하는 단계와, 맨홀침사지 또는 맨홀 내의 퇴적물을 지상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준설기, 윈치, 도입장치, 이송펌프, 회전날개, 지지롤러

Description

이송펌프를 구비한 준설기를 이용하여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박스를 준설하는 방법 {METHOD OF DREDGING FOR INTERCEPTING SEWER AND SEWAGE BOX USING DREDGER HAVING TRANSFER PUMP}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박스의 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한 준설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준설기의 측면도
도3은 도1의 준설기의 평면도
도4는 도2의 도입장치의 내부가 보이도록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5는 도1의 준설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6은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박스의 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7은 도6의 준설기의 측면도
도8은 도6의 준설기의 평면도
도9는 도7의 제1 피스톤 펌프와 제1 흐름제어부의 내부가 보이도록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도로서, 퇴적물이 흐름제어부로부터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도7의 제1 피스톤 펌프와 제1 흐름제어부의 내부가 보이도록 절개하여 도시한 측면도로서, 퇴적물이 흐름제어부로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지지롤러 설치구조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제2 지지막대는 접혀지고, 제3, 제4 지지막대는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도11에서 제1, 제2 지지막대는 펼쳐지고, 제3, 제4 지지막대는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도입장치에 고형물 저장탱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준설기 20, 20a : 도입장치
30 : 이송펌프 50 : 제1 지지롤러
52 : 제2 지지롤러 60 : 제1 윈치
61 : 제1 로프 62 : 제2 윈치
63 : 제2 로프 70 : 임시저장조
80 : 수집조 85a : 제1 흐름제어부
86a : 제2 흐름제어부 100 : 호스권취부
102 : 배출호스
본 발명은 준설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수차집관거 또는 하수박스의 퇴적물을 제거하는 준설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로의 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하여 하수관로에서 준설용 대차, 윈치, 및 지상의 펌프를 이용하여 종래부터 준설작업을 해왔다. 그후 이를 대형화하여 하수차집관거용으로 한국특허 제 112570호에 준설용 대차를 밀어내어 하수차집관거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하수차집관거의 맨홀 침사지에 쌓은 다음 흡입관을 통해 맨홀 침사지에 쌓인 퇴적물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맨홀을 통해 수직관로 안으로 흡입관을 삽입하여 설치하고 지상의 준설차와 연결된 지상의 펌프와 결합시킨다. 수직관로에는 지지프레임을 설치한다. 지지프레임의 소정위치에는 지지롤러가 구비된다. 지상의 윈치로부터 연장된 로프는 지지롤러를 거쳐 하수관로 안에 설치된 대차와 결합된다. 지상의 윈치를 회전시켜 로프를 당기면 대차가 이동하면서 하수차집관거 내의 퇴적물을 맨홀 침사지로 밀어서 이동시킨다. 맨홀 침사지에 쌓인 퇴적물은 흡입관을 통해 지상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으로는 하수차집관거 바닥의 퇴적물이 깨끗하게 준설되지 못한다. 대차로는 하수차집관거의 퇴적물을 모두 맨홀 침사지로 이동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대차의 이동구간이 길 경우에는 퇴적물을 이동시키는데 무리가 있다. 또한 대차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폭이 넓은 하수차집관거 내의 모든 퇴적물을 이동시키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차집관거 또는 하수박스의 퇴적물을 깨끗하게 준설하는 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준설구간이 길더라도 준설작업이 용이한 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폭 넓은 하수관로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준설작업을 할 수 있는 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수차집관거 또는 하수박스의 퇴적물을 맨홀 또는 침사지로 이동시킬 필요없이 바로 제거하는 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상에 제1 로프와 제2 로프가 연장되는 윈치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하수관로에 이송펌프가 구비된 준설기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준설기가 설치되는 단계 전 또는 후에 상기 이송펌프와 연결되는 이송관을 연결하여 퇴적물을 이송하는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1 수직관로와 제2 수직관로에 각각 롤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로프와 제2 로프를 상기 제1, 제2 수직관로의 롤러를 거쳐 상기 준설기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윈치장치로 제1 로프를 당겨 상기 준설기를 하수관로 상에서 이동시켜가며 상기 준설기의 이송펌프에 의해 퇴적물을 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수관로 준설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퇴적물을 준설하는 단계는 이송펌프로 퇴적물을 맨홀침사지 또는 맨홀로 이송하는 단계와, 맨홀침사지 또는 맨홀 내의 퇴적물을 지상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준설방법은 상기 퇴적물을 준설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송관이 형성하는 상기 퇴적물의 이송경로 상에 이송방향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수관로에 설치되어 퇴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펌프를 구비하는 준설기와,
상기 준설기의 앞뒤 각각에 결합된 제1, 제2 로프가 연결되는 윈치장치와,
상기 준설기와 연결되어 퇴적물이 이송되는 배출관과,
상기 준설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와,
수집된 퇴적물이 저장되는 수집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로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준설기가 하수관로를 이동하면서 상기 이송펌프에 의해 퇴적물을 배출관을 통해 이송시키는 준설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준설장치는 상기 준설기와 수집조 사이에 마련되는 퇴적물 임시저장조와, 상기 임시저장조에 저장된 퇴적물을 상기 수집조로 이송하는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관은 상기 준설기와 상기 임시저장조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프는 제1 수직관로를 통해 지상으로부터 하수관로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로프는 제2 수직관로를 통해 지상으로부터 하수관로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제2 수직관로에는 각각 제1, 제2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제2 로프가 각각 지지되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임시저장조는 상기 제2 수직관로와 마주보며 하수관로 바닥에 마련된 맨홀침사지 또는 맨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준설기와 임시저장조 사이에는 이송펌프를 구비하는 중계기가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준설기의 이송펌프는 상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준설기는 하수관로의 퇴적물을 도입하는 도입장치와, 상기 도입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입장치는 다수의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도입날개와, 상기 도입날개를 회전시키는 유압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유압펌프와, 상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유압펌프를 구동시키는 전기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입장치는 상기 도입날개가 수용되며 하수관로의 퇴적물이 유입되는 개구부가 마련된 도입 케이스와, 상기 도입 케이스의 퇴적물이 저장되고 상기 이송펌프와 연결되는 저장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입 케이스와 저장챔버는 다수의 작은 통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준설기는 하수관로의 양측벽에 각각 접하는 제1 지지롤러와 제2 지지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준설을 위하여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준설기로서,
퇴적물을 도입하는 도입장치와,
상기 도입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도입장치를 통해 도입된 퇴적물을 배출관을 통해 이송시키는 이송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도입장치는 다수의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도입날개와, 상기 도입날개를 회전시키는 유압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유압모터를 구동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를 구동시키는 전기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펌프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펌프일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펌프는 실린더와 피스톤을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이 후퇴하면 상기 도입장치에 의해 수집된 퇴적물이 상기 실린더 안으로 흡입되고, 상기 피스톤이 전진하면 상기 실린더 내의 퇴적물이 상기 배출관 쪽으로 배출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피스톤이 후퇴할 때는 상기 도입장치 쪽 통로는 개방하고 상기 배출관 쪽 통로는 폐쇄하고, 상기 피스톤이 전진할 때는 상기 도입장치 쪽 통로는 폐쇄하고 상기 배출관 쪽 통로는 개방하는 흐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흐름제어부는 상기 도입장치 쪽으로 통하며 대체로 아래로 연장되는 제1 통로와, 상기 배출관 쪽으로 통하며 대체로 위로 연장되는 제2 통로와, 상기 피스톤 펌프 쪽으로 통하는 제3 통로와, 상기 제1 통로 상을 이동하며 개폐하는 볼을 구비하는 볼밸브와, 상기 볼밸브의 볼이 상기 제2 통로 또는 제3 통로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차단봉과, 상기 제2 통로와 교차하며 지나가고 상기 제2 통로를 여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차단막대와, 상기 차단막대를 직선이동시키는 피스톤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펌프와 흐름제어부는 두 개씩 구비되며, 상기 각 피스톤 펌프와 흐름제어부는 퇴적물의 흡입과 배출이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서로 반대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퇴적물의 이송경로 상에는 퇴적물의 이송방향으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준설기는 고형물이 저장되며 입구가 상기 도입날개의 상부에 마련되는 고형물 저장탱크와, 상기 고형물 저장탱크 내부 입구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형물이 상기 고형물 저장탱크로 안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이송날개와, 상기 고형물이 상기 고형물 저장탱크의 입구 쪽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받침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은 경사지며 상기 도입장치의 회전날개에 의해 올라가고 자중에 의해 내려올 수 있다.
상기 준설기는 하수관로의 양측벽에 각각 접하도록 상기 도입장치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지지롤러와 제2 지지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롤러는 상기 제1 지지롤러보다 상기 도입장치로부터 더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롤러는 상기 도입장치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도록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 지지롤러가 도입장치로부터 멀어지도록 힘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준설기는 상기 도입장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롤러 쪽에 설치되는 제3 지지롤러와, 상기 제2 지지롤러 쪽에 설치되는 제4 지지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롤러는 상기 제1 지지롤러보다 상기 도입장치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고, 상기 제4 지지롤러는 상기 제2 지지롤러보다 상기 도입장치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며, 상기 제2 지지롤러가 설치되는 지지막대와, 상기 제3 지지롤러가 설치되는 지지막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막대는 설치된 지지롤러가 반대쪽으로 이동하도록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준설기는 상기 제2 지지롤러가 설치되는 지지막대를 접고 펴는 구동모 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하수관로의 구성과, 하수관로의 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해 설치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준설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하수관로는 하수차집관거이다. 도1을 참조하면, 하수관로(5)가 지하에서 대략 수평으로 길게 연장된다. 하수관로(5)는 통상 맨홀이라고도 하는 제1, 제2 수직관로(6, 7)에 의해 지상과 연결된다. 제1, 제2 수직관로(6, 7)의 지상쪽 입구가 맨홀이 된다. 하수관로(5) 바닥에는 제1, 제2 수직관로(6, 7)와 마주보는 위치에 움푹 파여서 형성된 제1, 제2 맨홀침사지(8, 9)가 마련된다. 도면에는 수직관로와 맨홀침사지가 두 개씩 도시되어 있으나, 하수관로(5)가 길게 연장됨에 따라 수직관로와 맨홀침사지가 계속 구비된다. 하수관로(5)에는 하수가 흐르며 바닥에는 퇴적물(4)이 쌓여 있다. 퇴적물(4)은 대부분 토사로 이루어진다.
도1을 참조하면, 준설장치는 준설기(10)와, 제1, 제2 윈치(winch)(60, 62)와, 임시저장조(70)와, 수집조(80)와, 전력공급장치인 발전기(90)와, 호스권취부(100)를 구비한다. 도2와 도3에 준설기(10)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준설기(10)는 도입장치(20)와, 이송펌프(30)와, 유압구동장치(40)와, 제1, 제2 지지롤러(50, 52)를 구비한다. 도입장치(20)와 이송펌프(30)와 유압구동장치(40)는 바닥판(12) 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바닥판(12)의 일단부에는 도입장치(20)가 설치되고, 반대편 단부에는 수직벽(14)이 세워진다. 이하, 도입장치(20)가 설치된 쪽을 준설기(10)의 앞쪽으로 하고, 수직벽(14)이 세워진 쪽을 준설기(10)의 뒤쪽으로 한다. 바닥판(12)에는 준설기(10)가 앞뒤로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회전하는 바퀴(16)가 장착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퀴(16)는 앞뒤에 각각 두 개씩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도입장치(20)는 도입부(22)와, 저장챔버(24)를 구비한다. 도입부(22)는 도입 케이스(26)와, 도입날개(28)와, 구동모터(29)를 구비한다. 도입 케이스(26)는 편평한 하판부(261)와, 편평한 상판부(262)와, 반원형의 후판부(263)와, 편평한 두 측판부(265)를 구비하며, 앞쪽은 퇴적물이 들어올 수 있도록 개방되어 개구부(266)를 형성한다. 하판부(261)는 바닥판(12)에 고정되며 상판부(262)와 서로 마주본다. 상판부(262)의 양측에는 각각 수직벽(14)과 연결되는 연결막대(18)가 결합된다. 후판부(263)는 뒤쪽(즉, 수직벽(14) 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도록 상판부(262) 및 하판부(261)와 연결된다. 후판부(263)의 반경은 후술하는 회전날개(282)의 반경과 대체로 일치한다. 후판부(263)에는 저장챔버(24)로 연결되는 다수의 작은 통로(2631)가 마련된다. 이 통로(2631)를 통해 회전날개(282)에 의해 들어온 퇴적물이 저장챔버(24) 안으로 들어간다. 통로(2631)가 마련된 구간은 연속된 두 회전날개(282)의 끝단 사이의 거리와 대체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두 회전날개(282)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 퇴적물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저장챔버(24)로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두 측판부(264, 265)는 수직으로 세워져 상판부(262), 하판부(261), 및 후판부(263)의 양측을 연결한다. 두 측판부(264, 265)에는 각각 로프가 결합되는 결합부(11)가 마련된다. 두 결합부(11)에 각각 로프가 결합되고 두 로프가 하나로 합쳐져서 제1 윈치(60)와 연결되는 제1 로프(61) 를 형성한다. 저장챔버(24)는 도입 케이스(26)의 후판부(263)에 접하여 설치된다. 저장챔버(24)에 도입 케이스(26)의 후판부에 마련된 다수의 통로(2631)를 통해 들어온 퇴적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저장챔버(24)는 이송펌프(30)와 연결되는데, 저장챔버(24) 내의 퇴적물은 이송펌프(30)에 연결된 배출관(32)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도4를 참조하면, 도입 케이스(26) 내부에 도입날개(28)가 구비된다. 도입날개(28)는 회전샤프트(281)와, 네 개의 회전날개(282)를 구비한다. 회전샤프트(281)는 도입 케이스(26)의 상판부(262)와 하판부(261) 사이의 중간 위치에 두 측판부(264, 265)를 가로지르며 구비된다. 회전샤프트(281)는 구동모터(29)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네 개의 회전날개(282)는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서, 회전샤프트(28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약간 연장된 후 회전샤프트(281)의 회전방향(시계방향) 조금 꺾여서 연장된다. 이것은 회전날개(282)가 회전할 때 퇴적물을 보다 확실히 끌어올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전샤프트(281)로부터 회전날개(282) 끝단까지의 길이는 도입 케이스(26)의 후판부(263)의 반경과 대체로 일치한다. 또한, 인접한 두 회전날개(282)의 끝단 사이의 거리는 도입 케이스(26)의 후판부(263)에 마련된 통로(2631)가 형성된 구간과 대체로 일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날개(282)가 네 개인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된 것이 아니며, 그 이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도입 케이스(26)의 두 측판부(264, 265) 중 하나에 구동모터(29)가 설치된다. 구동모터(29)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모터이다. 구 동모터(29)는 도입날개(28)의 회전샤프트(28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동한다. 구동모터(29)는 유압구동장치(40)에 의해 작동한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유압구동장치(40)는 유압펌프(42)와, 유압펌프(42)를 작동시키는 전기모터(44)를 구비한다. 유압펌프(42)는 도입장치(20)의 구동모터(29)가 작동하도록 유압을 제공한다. 전기모터(44)는 수중에서 작동되는 수중모터이다. 전기모터(44)는 지상에 설치된 발전기(90)로부터 연결된 전선(92)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이송펌프(30)는 물 속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중펌프이다. 이송펌프(30)는 지상의 발전기(90)로부터 연장된 전선(92)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송펌프(30)는 도입장치(20)의 저장챔버(24)와 연결된다. 이송펌프(30)는 저장챔버(24)에 저장된 퇴적물을 배출관(32)을 통해 준설기(10) 밖으로 배출한다. 배출관(32)은 수직벽(14)을 통해 준설기(10)의 뒤쪽으로 연장된다. 배출관(32)은 배출호스(102)와 연결된다. 이송펌프(30)는 퇴적물을 배출관(32)과 배출호스(102)를 통해 임시저장조(70)로 보낸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수직벽(14)의 양측에는 각각 로프가 결합되는 결합부(11)가 마련된다. 두 결합부(11)에 각각 결합된 로프는 하나로 합쳐져서 제2 윈치(62)와 연결되는 제2 로프(63)를 형성한다. 지상의 발전기(90)로부터 연장된 전선(92)은 수직벽(14)을 통과하여 이송펌프(30)와 유압구동장치(40)의 전기모터(44)에 연결된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준설기(10)의 상부 양측에는 수직벽(14)과 도입장치(20)의 도입 케이스(26)의 상부를 연결하며 앞뒤로 연장되는 두 개의 연결막대(18)가 구비된다. 두 연결막대(18) 위에는 두 연결막대(18)를 가로질러 좌우로 연장되는 제1, 제2 지지막대(54, 56)가 앞뒤에 각각 고정 결합된다. 제1 지지막대(54)와 제2 지지막대(56)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일단부에는 회전가능한 제1 지지롤러(50)가 설치되고, 반대편 단부에는 직선이동이 가능한 보조막대(58)가 삽입된다. 보조막대(58)의 끝단에는 회전이 가능한 제2 지지롤러(52)가 설치된다. 제1, 제2 지지막대(54, 56) 내부에는 보조막대(58)를 바깥쪽으로 미는 탄성부재(59)가 구비된다. 제1, 제2 지지롤러(50, 52)는 하수관로(5)의 양 측벽에 맞닿아 준설기(10)가 이동하면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보조막대(58)가 직선이동이 가능하므로 하수관로(5)의 폭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으며, 보조막대(58)가 탄성부재(59)에 의해 밀리므로 제1, 제2 지지롤러(50, 52)가 하수관로(5)의 양 측벽에 밀착하여 준설기(10)가 흔들리지 않는다. 제1, 제2 지지막대(54, 56)는 연결막대(18)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며 좌우를 바꿔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폭이 넓은 하수관로(5)의 경우에도 일측을 먼저 준설한 후 지지막대(54, 56)를 바꿔 설치하여 나머지 반대측을 준설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제1 수직관로(6)와 제2 수직관로(7)에는 각각 지상의 입구로부터 하수관로(5)의 바닥까지 연장되는 제1 지지프레임(130)과 제2 지지프레임(140)이 설치된다. 제1 지지프레임(130)과 제2 지지프레임(140)의 하부에는 제1 로프(61)와 제2 로프(63)를 각각 지지하는 롤러(131, 141)가 마련된다. 제2 지지프레임(140)의 롤러(141)는 지상의 발전기(90)로부터 연장되는 전선(92)을 함께 지지한다.
도1을 참조하면, 제1 윈치(60)는 제1 수직관로(6)의 입구 근처에 설치된다. 제1 윈치(60)에 감긴 제1 로프(61)는 제1 수직관로(6)의 입구에 마련된 롤러(64)에 지지되며 제1 수직관로(6)를 통해 하수관로(5) 안으로 들어가고, 제1 지지프레임(130)의 하부에 구비된 롤러(131)에 지지되며 준설기(10)의 앞쪽에 결합된다. 제1 로프(61)와 준설기(10)의 결합구조는 앞서 도2와 도3을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윈치(60)에는 구동모터(66)가 연결된다. 구동모터(66)가 제1 윈치(60)를 회전시켜 제1 로프(61)를 잡아당기면 준설기(10)가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제2 윈치(62)는 제2 수직관로(7)의 입구 근처에 설치된다. 제2 윈치(62)에 감긴 제2 로프(63)는 제2 수직관로(7)의 입구에 마련된 롤러(65)에 지지되며 제2 수직관로(7)를 통해 하수관로(5) 안으로 들어가고, 제2 지지프레임(140)의 하부에 구비된 롤러(141)에 지지되며 준설기(10)의 뒤쪽에 결합된다. 제2 로프(63)와 준설기(10)의 결합은 앞서 도2와 도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제2 윈치(62)에는 구동모터(67)가 연결된다. 구동모터(67)는 평상시에는 작동하지 않다가 준설작업시 문제가 발생하여 준설기(10)를 거꾸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작동시켜 제2 윈치를 회전시킨다.
호스권취부(100)는 후술하는 임시저장조(70) 위에 설치된다. 호스권취부(100)에는 준설기(10)로 연결되는 배출호스(102)가 감겨있다. 배출호스(102)와 준설기(10)의 연결은 앞서 도2와 도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준설기(10)가 앞으로 이동함에 따라 호스권취부(100)는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감겨 있던 배출호스(102)를 풀게 된다. 호스권취부(100)에는 구동모터(101)가 연결된다. 구동모터(101)는 평상시에는 작동하지 않다가 준설기(10)를 거꾸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작동시켜 배출호스(102)를 되감는다. 배출호스(102)를 통해 이송된 퇴적물은 호스권취부(100) 아래에 구비된 임시저장조(70) 안으로 보내진다.
도1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저장탱크와 같은 임시저장조(70)는 제2 맨홀침사지(9) 안에 설치된다. 임시저장조(70) 안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펌프(72)가 구비된다. 펌프(72)는 임시저장조(70) 내부에 저장된 퇴적물을 제2 수직관로(7)를 따라 지상으로 연장된 연결관(82)을 통해 지상의 수집조(80)로 이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임시저장조(70)가 제2 맨홀침사지(9)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맨홀침사지가 없는 경우에는 임시저장조(70)를 맨홀의 바닥쪽에 그냥 설치할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수집조(80)는 제2 수직관로(7)의 입구 근처에 설치된다. 수집조(80)에는 임시저장조(70)로부터 퇴적물이 이송퇴는 연결관(82)과, 내부의 물을 하수관로(5)로 다시 내보내는 배출관(84)이 연결된다.
도1을 참조하면, 발전기(90)는 제2 수직관로(7)의 입구 근처에 설치된다. 발전기(90)로부터 연장된 전선(92)은 제2 수직관로(7)의 입구에 마련된 롤러(65)에 의해 지지되며 제2 수직관로(7)를 통해 하수관로(5) 안으로 들어가고, 제2 지지프레임(140)의 하부에 구비된 롤러(141)에 지지되며 준설기(10)의 뒤쪽으로 연결된다. 발전기(90)는 전선(92)을 통해 준설기(10)로 전력을 공급하여 이송펌프(도2의 30)와 전기모터(도2의 44)를 구동시킨다.
도2와 도3을 참조하면, 제2 로프(63)와 배출호스(102)는 분리가능한 다수의 체결부재(12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제,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을 참조하여 준설장치(10)를 하수관로(5)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하수관로(5)의 준설을 위하여 먼저 지상에 제1, 제2 윈치(60, 62)와, 발전기(90)와, 수집조(80)를 설치한다. 제1 윈치(60)는 제1 수직관로(6)의 입구 근처에 설치되고, 제2 윈치(62)와, 발전기(90)와 수집조(80)는 제2 수직관로(7)의 입구 근처에 설치된다. 이때, 제1 수직관로(6)와 제2 수직관로(7)의 입구에는 각각 롤러(64, 65)가 설치된다. 다음, 제2 맨홀침사지 (9)(맨홀 침사지가 없는 경우 맨홀바닥)에 임시저장조(70)를 설치하고, 그 위에 호스권취부(100)를 설치한다. 이때, 임시저장조(70)와 지상의 수집조(80)를 연결관(82)으로 연결하고, 수집조(80)와 하수관로(5)를 연결하는 배출관(84)을 설치한다. 다음, 제1 수직관로(6)와 제2 수직관로(7)에 각각 제1 지지프레임(130)과 제2 지지프레임(140)을 설치한다. 제1 지지프레임(6)과 제2 지지프레임(7)의 하부에는 각각 롤러(131, 141)가 설치된다. 제2 지지프레임(7)에는 호스권취부(10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101)가 함께 설치된다. 다음, 준설기(10)를 제2 수직관로(7)를 통해 내려보내 하수관로(5)에 위치시키고, 준설기(10)의 앞뒤에 마련된 결합부(도2, 도3의 11)에 제1 윈치로부터 연장된 제1 로프(61)와 제2 윈치로부터 연장된 제2 로프(63)를 결합한다. 이때, 준설기(10)의 뒤쪽으로 배출호스(102)와 전선(92)이 연결된다. 제1 로프(61)는 제1 수직관로(6)의 입구 쪽에 설치된 롤러(64)와 제1 지지프레임(130)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131)를 거쳐 준설기(10) 앞부분으로 연결된다. 제2 로프(63)와 전선(92)은 제2 수직관로(7)의 입구 쪽에 설치된 롤러(65)와 제2 지지프레임(140)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141)를 거쳐 준설기(10) 뒷부분으로 연결된다.
이제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준설과정을 설명한다. 준설장치의 설치가 끝나면 준설기(10)는 호스권취부(100) 근처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발전기(90)를 통해 준설기(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준설기(10)에 전력이 공급되면 준설기(10)의 유압구동장치(40)의 전기모터(44)와 이송펌프(30)가 작동하게 된다. 전기모터(44)는 유압펌프(42)를 작동시키고 유압펌프(42)는 도입장치(20)의 구동모터(29)를 작동시킨다. 구동모터(29)는 도입장치(20)의 회전날개(282)를 회전시킨다. 회전날개(282)는 회전하면서 하수관로(5)의 퇴적물(4)을 도입 케이스(26)의 후판부(263) 쪽으로 이동시킨다. 도입 케이스(26)의 후판부(262) 쪽으로 이동된 퇴적물은 후판부(263)에 형성된 다수의 통로(2631)를 거쳐 저장챔버(24)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통로(2631)보다 큰 물질은 다시 밖으로 배출된다. 저장챔버(24)의 퇴적물은 이송펌프(30)에 의해 배출관(32)을 통해 준설기(10) 밖으로 이송되고, 배출관(32)에 연결된 배출호스(102)를 거쳐 임시저장조(70)에 저장된다. 임시저장조(70)에 저장된 퇴적물은 펌프(72)에 의해 연결관(82)을 거쳐 수집조(80)로 이송된다.
제1 윈치(60)는 모터(66)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제1 로프(61)가 당겨지면서 준설기(10)는 제1 맨홀침사지(8)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준설기(10)가 이동함에 따라 하수관로(5)의 퇴적물을 제거된다. 준설기(10)가 이동할 때 제1, 제2 지지롤러(50, 52)가 하수관로(5)의 양 측벽에 접하므로 준설기(10)는 흔들리지 않고 준설하게 된다. 만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로(5)의 폭이 넓을 경우에는 제1, 제2 지지막대(54, 56)의 좌우를 바꿔 설치하고 준설작업을 하면 준설되지 않은 부분도 준설할 수 있다.
도5는 도1의 준설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준설기(10)와 연결된 중계기(200)를 구비하는데, 다른 구성은 도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중계기(200)는 도입장치(20) 대신 저장실(202)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면 준설기(10)와 동일한 구성이다. 중계기(200)는 준설기(10)와 임시저장조(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구비된다. 준설기(10)로부터 배출된 퇴적물은 중계기(200)의 저장실(202)로 보내지고, 중계기(200)의 이송펌프(204)는 저장실(202)의 퇴적물을 임시저장조(도시되지 않음)로 보낸다. 이와 같이 중계기를 추가함으로써 준설구간이 길더라도 준설작업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계기를 하나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아니다. 두 개 이상의 중계기가 구비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을 참조하면, 준설장치는 준설기(10a)와, 제1, 제2 윈치(60a, 62a)와, 호스권취부(100a)와, 수집조(80a)와, 발전기(90a)와, 콤프레서(95a)를 구비한다. 도7과 도8에 준설기(10a)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7과 도8을 참조하면, 준설기(10a)는 유압펌프(42a)와, 유압펌프(42a)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4a)와, 제1, 제2 피스톤 펌프(30a, 31a)와, 도입장치(20a)와, 제1, 제2 흐름제어부(85a, 86a)와, 제1, 제2 지지롤러(50a, 52a) 를 구비한다. 유압펌프(42a)와, 구동모터(44a)와, 도입장치(20a)는 바닥판(12a) 위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바닥판(12a)의 일단부에는 도입장치(20a)가 설치되고, 반대편 단부에는 수직벽(14)이 세워지는데, 이것은 도2에 도시된 준설기(1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7과 도8을 참조하면, 유압펌프(42a)는 제1, 제2 피스톤 펌프(30a, 31a)와, 도입장치(20a)의 유압모터(29a)와, 제1, 제2 흐름제어부(85a, 86a)의 피스톤 밸브(87a, 88a)로 각각 유압을 제공하도록 연결된다. 구동모터(44a)는 수중전기모터로서, 지상의 발전기(90a)로부터 연장된 전선(92a)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구동모터(44a)는 유압펌프(42a)를 작동시킨다.
도7과 도8을 참조하면, 도입장치(20a)는 도입부(22a)와, 저장챔버(24a)를 구비하는데, 그 구성이 도2의 도입장치(2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저장챔버(24a)에는 제1 배출관(321a)과 제2 배출관(322a)이 연결된다. 제1 배출관(321a)과 제2 배출관(322a) 중간에는 후술하는 제1 흐름제어부(85a)와 제2 흐름제어부(86a)가 각각 구비된다. 제1 배출관(321a)과 제2 배출관(322a)은 다시 하나로 합쳐져서 배출관(32a)을 형성한다. 배출관(32a)은 준설기(10a)의 뒤쪽 수직벽(14a) 바깥으로 연장된다. 배출관(32a)은 배출호스(102a)와 연결된다.
도9를 참조하면, 제1 흐름제어부(85a)에는 도입장치(20a)의 저장챔버(24a) 쪽으로 통하는 제1 통로(851a)와, 제1 배출관(321a) 쪽으로 통하는 제2 통로(852a)와, 제1 피스톤 펌프(30a) 쪽으로 통하는 제3 통로(853a)가 마련된다. 제1 통로(851a)와 제2 통로(852a)와 제3 통로(853a)가 만나는 지점에는 가느다란 차단 봉(854a)이 마련된다. 차단봉(854a)은 후술하는 볼밸브(855a)가 제1 통로(851a)로부터 제2 통로(852a) 또는 제3 통로(853a)로 넘어가는 것을 막는다. 제1 통로(851a)에는 통로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볼밸브(855a)가 구비된다. 제1 통로(851a)의 끝단은 볼밸브(855a)의 직경보다 작아지도록 좁아진다. 따라서 제1 통로(851a)는 볼밸브(855a)에 의해 개폐된다. 제2 통로(852a)는 피스톤 밸브(87a)에 의해 개폐된다. 피스톤 밸브(87a)는 실린더(871a)와 피스톤(872a)을 구비한다. 실린더(871a) 양단으로 제1, 제2 유압라인(873a, 874a)이 연결된다. 유압은 유압펌프(도8의 42a)에 의해 제공되는데, 유압이 제공되는 방향에 따라 피스톤(872a)의 운동방향이 바뀌게 된다. 피스톤(872a)에는 제2 통로(852a)를 가로막으며 지나가는 차단막대(875a)가 구비된다. 차단막대(875a)에는 관통구멍(876a)이 마련된다. 관통구멍(876a)이 제2 통로(852a) 상에 위치하면 제2 통로(852a)가 열리고, 관통구멍(876a)이 다른 곳에 위치하면 차단막대(875a)에 의해 제2 통로(852a)는 막히게 된다. 제2 통로(852a)는 차단막대(875a)를 향하면서 위와 아래가 좁아진다. 그것은 좁아지는 부분이 차단막대(875a)에 마련된 관통구멍(876a)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차단막대(875a) 위의 제2 통로는 넓어지도록 경사지는데, 이 부분에 고압의 공기가 위로 분사되는 분사구(8521a)가 구비된다. 분사구(8521a)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는 지상의 콤프레서(95a)로부터 공급되는 것이다. 고압의 공기가 위로 분사됨으로써, 퇴적물이 보다 잘 배출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흐름제어부(86a)는 제1 흐름제어부(85a)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7과 도8을 참조하면, 제1 흐름제어부(85a)와 제2 흐름제어부(86a)에는 각각 제1 피스톤 펌프(30a)와 제2 피스톤 펌프(31a)가 연결된다. 제1 피스톤 펌프(30a)와 제2 피스톤 펌프(31a)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도9에 제1 피스톤 펌프(30a)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9를 참조하면, 제1 피스톤 펌프(30a)는 실린더(301a)와, 제1, 제2의 피스톤(302a, 303a)을 구비한다. 실린더(301a) 내부 중간에는 분리벽(304a)이 마련된다. 분리벽(304a)에 의해 실린더(301a) 내부는 제1 공간(305a)과 제2 공간(306a)으로 분리된다. 제2 공간(306a)은 제1 흐름제어부(85a)의 제3 통로(853a)와 연결된다. 제1 공간(305a)의 양단부로는 제1, 제2 유압라인(307a, 308a)이 연결된다. 분리벽(304a)을 사이에 두고 제1 피스톤(302a)와 제2 피스톤(303a)이 양쪽에 하나씩 수용된다. 즉, 제1 피스톤(302a)은 제1 공간(305a)에 구비되고, 제2 피스톤(303a)은 제2 공간(306a)에 구비된다. 제1 피스톤(302a)과 제2 피스톤(303a)은 연결막대(309a)로 연결되어 있다. 제1 공간(305a)으로 제공되는 유압의 방향에 따라 제1 피스톤(302a)의 운동방향이 달라지고, 그에 따라 제2 피스톤(303a)의 운동방향이 달라지게 된다. 제1 유압라인(307a)으로 유압이 제공되면 제1, 제2 피스톤(302a, 303a)은 제1 흐름제어부(85a) 쪽을 향하여 움직이고, 제2 유압라인(308a)으로 유압이 제공되면 제1, 제2 피스톤(302a, 303a)은 제1 흐름제어부(85a)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6을 참조하면, 제1 수직관로(6a)와 제2 수직관로(7a)에는 각각 지상의 입구로부터 하수관로(5a)의 바닥까지 연장되는 제1 지지프레임(130a)과 제2 지지프레임(140a)이 설치된다. 제1 지지프레임(130a)의 하부에는 제1 로프(61a)를 지지하는 롤러(131a)가 마련된다. 제2 지지프레임(140a)의 하부에는 제1, 제2 롤러(141a, 142a)가 마련된다. 제1 롤러(141a)에는 제2 로프(63a)와 전선(92)과 공압라인(97a)이 지지되고, 제2 롤러(142a)에는 배출호스(102a)가 지지된다.
도6을 참조하면, 제1 윈치(60a)는 제1 수직관로(6a)의 입구 근처에 설치된다. 제1 윈치(60a)에 감긴 제1 로프(61a)는 제1 수직관로(6a)의 입구에 마련된 롤러(64a)에 지지되며 제1 수직관로(6a)를 통해 하수관로(5a) 안으로 들어가고, 제1 지지프레임(130a)의 하부에 구비된 롤러(131a)에 지지되며 준설기(10a)의 앞쪽에 결합된다. 제2 윈치(62a)는 제2 수직관로(7a)의 입구 근처에 설치된다. 제2 윈치(62a)에 감긴 제2 로프(63a)는 제2 수직관로(7a)의 입구에 마련된 롤러(65a)에 지지되며 제2 수직관로(7a)를 통해 하수관로(5a) 안으로 들어가고, 제2 지지프레임(140a)의 하부에 구비된 제1 롤러(141a)에 지지되며 준설기(10a)의 뒤쪽에 결합된다. 호스권취부(100a)는 제2 수직관로(7a)의 입구 근처에 설치된다. 호스권취부(100a)로부터 연장되는 배출호스(102a)는 제2 수직관로(7a)의 입구에 마련된 롤러(66a)에 지지되며 제2 수직관로(7a)를 통해 하수관로(5a) 안으로 들어가고 제2 지지프레임(140a)의 하부에 구비된 제2 롤러(142a)에 지지되며 준설기(10a)의 뒤쪽에 결합된다. 수집조(80a)는 제2 수직관로(7a)의 입구 근처에 설치된다. 수집조(80a)에 배출호스(102a)를 통해 이송된 퇴적물이 저장된다.
도6을 참조하면, 발전기(90a)는 제2 수직관로(7a)의 입구 근처에 설치된다. 발전기(90a)로부터 연장된 전선(92a)은 제2 수직관로(7a)의 입구에 마련된 롤러(65a)에 의해 지지되며 제2 수직관로(7a)를 통해 하수관로(5a) 안으로 들어가 고, 제2 지지프레임(140a)의 하부에 구비된 제1 롤러(141a)에 지지되며 준설기(10a)의 뒤쪽으로 연결된다. 발전기(90a)는 전선(92a)을 통해 준설기(10a)로 전력을 공급하여 구동모터(도7의 44a)를 구동시킨다. 콤프레서(95a)는 제2 수직관로(7a)의 입구 근처에 설치된다. 콤프레서(95a)로부터 연장된 공압라인(97a)은 제2 수직관로(7a)의 입구에 마련된 롤러(65a)에 의해 지지되며 제2 수직관로(7a)를 통해 하수관로(5a) 안으로 들어간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수관로(5a) 안에서 공급라인(97a)을 통해 고압의 공기가 퇴적물의 이송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퇴적물의 이송이 보다 쉽게 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압라인(97a)은 하수관로(5a) 안에서 배출호스(102a) 안으로 삽입되어 배출호스(102a)와 함께 준설기(10a) 쪽으로 연장되고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배출호스(102a)로부터 빠져나와 제1, 제2 흐름제어부(85a, 86a)로 연결된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도6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6을 참조하여 준설장치(10a)를 하수관로(5a)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하수관로(5a)의 준설을 위하여 먼저 지상에 제1, 제2 윈치(60a, 62a)와, 발전기(90a)와, 수집조(80a)와, 호스권취부(100a)와, 콤프레서(95a)를 설치한다. 제1 윈치(60a)는 제1 수직관로(6a)의 입구 근처에 설치되고, 제2 윈치(62a)와, 발전기(90a)와 수집조(80a)와 호스권취부(100a)와 콤프레서(95a)는 제2 수직관로(7a)의 입구 근처에 설치된다. 이때, 제1 수직관로(6a)의 입구에는 하나의 롤러(64a)가 설치되고, 제2 수직관로(7a)의 입구에는 두 개의 롤러(65a, 66a)가 설치된다. 다음, 제1 수직관로(6a)와 제2 수직관로(7a)에 각각 제1 지지프레임(130a)과 제2 지지프레임(140a)을 설치한다. 제1 지지프레임(6a)의 하부에는 하나의 롤러(131a)가 설치되고, 제2 지지프레임(7a)의 하부에는 두 개의 롤러(141a, 142a)가 설치된다. 다음, 준설기(10a)를 제2 수직관로(7a)를 통해 내려보내 하수관로(5a)에 위치시키고, 준설기(10a)의 앞뒤에 제1 윈치로부터 연장된 제1 로프(61a)와 제2 윈치로부터 연장된 제2 로프(63a)를 결합한다. 이때, 준설기(10)의 뒤쪽으로 배출호스(102a)와 전선(92a)이 연결된다. 제1 로프(61a)는 제1 수직관로(6a)의 입구 쪽에 설치된 롤러(64a)와 제1 지지프레임(130a)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131a)를 거쳐 준설기(10a) 앞부분으로 연결된다. 제2 로프(63a)와 전선(92a)과 공압라인(97a)은 제2 수직관로(7a)의 입구 쪽에 설치된 롤러(65a)와 제2 지지프레임(140a)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141a)를 거쳐 준설기(10a) 뒷부분으로 연결된다. 배출호스(102a)는 제2 수직관로(7a)의 입구 쪽에 설치된 다른 롤러(66a)와 제2 지지프레임(140a)의 하부에 설치된 다른 롤러(142a)를 거쳐 준설기(10a) 뒷부분으로 연결된다.
이제 도6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준설과정을 설명한다. 준설장치의 설치가 끝나면 준설기(10a)는 제2 수직관로(7a) 부근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발전기(90a)를 통해 준설기(10a)에 전력을 공급하고, 콤프레서(95a)를 통해 준설기(10a)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한다. 준설기(10a)에 전력이 공급되면 준설기(10a)의 구동모터(44a)가 작동하게 된다. 구동모터(44a)는 유압펌프(42a)를 작동시키고 유압펌프(42a)는 제1, 제2 피스톤 펌프(30a, 31a)와, 도입장치(20a)의 구동 모터(29a)와, 제1, 제2 흐름제어부(85a, 86a)의 피스톤 밸브(87a, 88a)를 작동시킨다. 도입장치(20a)는 도2에 도시된 준설기(20)의 경우와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도10을 참조하여, 저장챔버(24a)로부터 퇴적물을 제1 피스톤 펌프(30a)의 제2 공간(306a)으로 흡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10을 참조하면, 피스톤 밸브(87a)의 제1 유압라인(873a)으로 유압이 제공된다. 따라서 피스톤 밸브(87a)의 피스톤(87a)이 우측으로 밀리면서 차단막대(875a)는 제1 흐름제어부(85a)의 제2 통로(852a)를 막게된다. 이때, 제1 피스톤 펌프(30a)의 제2 유압라인(308a)으로 유압이 제공된다. 그러면 제공된 유압에 의해 제1 피스톤(302a)과 제2 피스톤(303a)이 좌측(제1 흐름제어부(85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통로(851a) 상의 볼밸브(855a)는 위로 올라가고 차단봉(854a)에 걸리게 된다. 제2 피스톤(303a)이 좌측으로 움직이므로 저장챔버(24a)의 퇴적물은 제1 흐름제어부(85a)의 제1 통로(851a)와 제3 통로(853a)를 거쳐 제1 피스톤 펌프(30a)의 제2 공간(306a)으로 흡입된다.
이제, 도9를 참조하여, 제1 피스톤 펌프(30a)의 제2 공간(306a)에 흡입된 퇴적물을 제1 배출관(321a) 쪽으로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9를 참조하면, 피스톤 밸브(87a)의 제2 유압라인(873a)으로 유압이 제공된다. 따라서 피스톤 밸브(87a)의 피스톤(87a)이 좌측으로 밀리면서 차단막대(875a)의 관통구멍(876a)이 제2 통로(852a) 상에 위치하게 되어 제2 통로(852a)가 열리게 된다. 이때, 제1 피스톤 펌프(30a)의 제1 유압라인(307a)으로 유압이 제공된다. 그러면 제공된 유압에 의해 제1 피스톤(302a)과 제2 피스톤(303a)이 우측(제1 흐름제어부(85a)와 가까워 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통로(851a) 상의 볼밸브(855a)는 자중에 의해 내려가 제1 통로(851a)를 막게 된다. 제2 피스톤(303a)이 우측으로 움직이므로 제1 피스톤 펌프(30a)의 제2 공간(306a)의 퇴적물은 제3 통로(853a)와 제2 통로(852a)를 거쳐 제1 배출관(321a)으로 나가게 된다. 이때, 분사구(8521a)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위로 분사되므로 퇴적물은 보다 잘 배출되게 된다. 분사구(8521a)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는 지상의 콤프레서(95a)로부터 연장된 공압라인(97a)을 통해 공급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피스톤 펌프(30a)와 제2 피스톤 펌프(31a)는 반대로 작동한다. 즉 제1 피스톤 펌프(30a)가 퇴적물 흡입하는 작동을 하면, 제2 피스톤 펌프(31a)는 퇴적물을 배출하는 작동을 한다. 반대로 제1 피스톤 펌프(30a)가 퇴적물을 배출하는 작동을 하면, 제2 피스톤 펌프(31a)는 퇴적물을 흡입하는 작동을 한다. 이때, 제1 피스톤 밸브(87a)와 제2 피스톤 밸브(88a)는 이에 상응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피스톤 펌프(30a)와 제2 피스톤 펌프(31a)가 반대로 작용함으로써, 퇴적물이 배출관(32a)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퇴적물은 배출관(32a)과 배출호스(102a)를 거쳐 이송되어 지상의 수집조(80a)에 수집된다. 그 밖의 작용은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1과 도12는 지지롤러 설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과 도12를 참조하면, 제1 지지막대(54b)는 제1 롤러(50b)가 설치된 제1 고정막대(541b)와, 제2 롤러(52b)가 설치된 제1 회전막대(542b)를 구비한다. 제1 고정막대(541b)와 제2 회전막대(542b)는 제1 힌지(543b)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 합되어 있다. 제2 지지막대(56b) 역시 제1 롤러(50b)가 설치된 제2 고정막대(561b)와, 제2 롤러(52b)가 설치된 제2 회전막대(562b)를 구비한다. 제2 고정막대(561b)와 제2 회전막대(562b)는 제2 힌지(563b)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1 회전막대(542b)와 제2 회전막대(562b)가 함께 회전하도록 제1 힌지(543b)와 제2 힌지(563b)가 제1 연결봉(570b)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연결봉(570b)은 후술하는 제2 연결봉(580b)과 밸트(590b)로 연결되어 구동모터(550b)에 의해 함께 회전한다. 제1 지지막대(54b) 바깥쪽 근접한 위치에 제3 지지막대(19b)가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2 지지막대(56b) 바깥쪽 근접한 위치에 제4 지지막대(21b)가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3, 제4 지지막대(19b, 21b) 끝단에는 각각 제3, 제4 지지롤러(210b, 220b)가 구비된다. 제3, 제4 지지막대(19b, 21b)가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 제3 지지롤러(210b)가 제1 지지롤러(50b) 쪽의 것이고, 제4 지지롤러(220b)가 제2 지지롤러(52b) 쪽의 것이다. 제3, 제4 지지막대(19b, 21b)는 제1, 제2 지지막대(54b, 56b)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단지 좌우가 바뀐 형태이다. 즉, 제3, 제4 지지롤러(210b, 220b)가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3 지지막대(19b)는 제4 롤러(220b)가 설치된 제3 고정막대(191b)와, 제3 롤러(210b)가 설치된 제3 회전막대(192b)를 구비한다. 제3 고정막대(191b)와 제3 회전막대(192b)는 제3 힌지(250b)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4 지지막대(21b) 역시 제4 롤러(220b)가 설치된 제4 고정막대(211b)와, 제3 롤러(210b)가 설치된 제4 회전막대(212b)를 구비한다. 제4 고정막대(211b)와 제4 회전막대(212b)는 제4 힌지(252b)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3 회전막대(192b)와 제4 회전 막대(212b)가 함께 회전하도록 제3 힌지(250b)와 제4 힌지(252b)가 제2 연결봉(580b)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연결봉(580b)은 제1 연결봉(570b)과 밸트(590b)로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모터(550b)에 의해 회전한다. 구동모터(550b)에 의해 제2 연결봉(580b)이 회전하며, 제2 연결봉(580b)이 회전함에 따라 제1 연결봉(570b)이 회전하며 제1, 제2 회전막대(542b, 562b)가 접거나 펼쳐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 제3 지지롤러(52b, 210b)를 모두 접거나 펼 수 있으며, 제2 지지롤러(52b) 또는 제3 지지롤러(210b)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펼칠 수도 있다. 도11은 제3 지지롤러(210b)는 펼쳐지고 제2 지지롤러(52b)는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제2 지지롤러(52b)는 펼쳐지고 제3 지지롤러(210b)는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제3 지지롤러(210b)는 구동모터(550b)에 의해 자동으로 접거나 펼쳐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보다 넓은 하수관로에 대해 효과적으로 준설작업을 할 수 있다.
도13을 참조하면, 도입장치(20)는 고형물 저장탱크(700)와, 이송날개(720)와, 받침판(730)을 더 구비한다. 고형물 저장탱크(700))의 입구(701)는 도입 케이스(26)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송날개(720)는 고형물 저장탱크 내부 입구(701) 쪽에 구비된다. 이송날개(720)는 구동모터(710)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방향은 입구(701) 쪽 고형물을 고형물 저장탱크(700) 안으로 집어넣는 방향이다. 받침판(730)은 고형물을 받치며 고형물 저장탱크(700)의 입구(701)로 안내하도록 경사져 있다. 받침판(730)은 회전날개(282)에 의해 위로 올라가며, 자중에 의해 내려간다. 회전날개(282)에 의해 도입 케이스(26)로 들어온 퇴적물 중 후판부(263)를 통과하지 못 한 퇴적물(고형물)은 회전날개(282)에 의해 위로 올라가며 그 때 받침판(730)에 의해 고형물 저장탱크(700)의 입구(701)로 안내되고 회전하는 이송날개(720)에 의해 고형물이 저장탱크(700) 안으로 들어가 저장된다.
상기의 모든 실시예에서 준설기는 전방에 결합되는 제1 로프에 의해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준설기는 자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장치를 함께 구비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하수차집관거를 예로 들어 준설작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수박스형태의 하수관을 비롯하여 다른 형태의 하수관로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수관로를 이동하는 준설기에 이송펌프가 구비되므로 하수관로의 퇴적물이 바로 제거되어 준설작업의 질이 보다 높아진다. 그리고, 준설기가 지지롤러에 의해 하수관로 안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되므로 준설기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지지롤러의 폭이 변경가능하므로 하수관로의 폭이 변화에도 적응하며 준설기의 이동을 보장한다. 그리고, 지지롤러가 설치된 지지막대의 좌우를 바꿀 수 있으므로, 폭이 넓은 하수관로에서도 빠짐없이 준설이 가능하다. 또한, 중계기가 더 구비되므로 준설구간이 길더라도 퇴적물을 수집조까지 확실하게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퇴적물이 이송되는 경로상에 퇴적물의 이송방향으로 고압의 공기 가 분사되므로 퇴적물이 보다 잘 이송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5)

  1. 지상에 제1 로프와 제2 로프가 연장되는 윈치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하수관로에 이송펌프가 구비된 준설기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준설기가 설치되는 단계 전 또는 후에 상기 이송펌프와 연결되는 이송관을 연결하여 퇴적물을 이송하는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1 수직관로와 제2 수직관로에 각각 롤러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로프와 제2 로프를 상기 제1, 제2 수직관로의 롤러를 거쳐 상기 준설기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윈치장치로 제1 로프를 당겨 상기 준설기를 하수관로 상에서 이동시켜가며 상기 준설기의 이송펌프에 의해 퇴적물을 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수관로 준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물을 준설하는 단계는 이송펌프로 퇴적물을 맨홀침사지 또는 맨홀로 이송하는 단계와, 맨홀침사지 또는 맨홀 내의 퇴적물을 지상으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수관로 준설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물을 준설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송관이 형성하는 상기 퇴적물의 이송경로 상에 이송방향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수관로 준설방법.
  4. 하수관로에 설치되어 퇴적물을 이송시키는 이송펌프를 구비하는 준설기와,
    상기 준설기의 앞뒤 각각에 결합된 제1, 제2 로프가 연결되는 윈치장치와,
    상기 준설기와 연결되어 퇴적물이 이송되는 배출관과,
    상기 준설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장치와,
    수집된 퇴적물이 저장되는 수집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로프의 이동에 의해 상기 준설기가 하수관로를 이동하면서 상기 이송펌프에 의해 퇴적물을 배출관을 통해 이송시키는 준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기와 수집조 사이에 마련되는 퇴적물 임시저장조와, 상기 임시저장조에 저장된 퇴적물을 상기 수집조로 이송하는 펌프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관은 상기 준설기와 상기 임시저장조를 연결하는 준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프는 제1 수직관로를 통해 지상으로부터 하수관로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로프는 제2 수직관로를 통해 지상으로부터 하수관로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제2 수직관로에는 각각 제1, 제2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 지지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제2 로프가 각각 지지되는 롤러가 구비되는 준설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조는 상기 제2 수직관로와 마주보며 하수관로 바닥에 마련된 맨홀침사지 또는 맨홀 내에 설치되는 준설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기와 임시저장조 사이에는 이송펌프를 구비하는 중계기가 더 연결되는 준설장치.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기의 이송펌프는 상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준설기는 하수관로의 퇴적물을 도입하는 도입장치와, 상기 도입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준설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장치는 다수의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도입날개와, 상기 도입날개를 회전시키는 유압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유압펌프와, 상기 전력공급장치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기 유압펌프를 구동시키는 전기모터를 구비하는 준설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장치는 상기 도입날개가 수용되며 하수관로의 퇴적물이 유입되는 개구부가 마련된 도입 케이스와, 상기 도입 케이스의 퇴적물이 저장되고 상기 이송펌프와 연결되는 저장챔버를 포함하는 준설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케이스와 저장챔버는 다수의 작은 통로에 의해 연결되는 준설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기는 하수관로의 양측벽에 각각 접하는 제1 지지롤러와 제2 지지롤러를 구비하는 준설장치.
  14. 준설을 위하여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준설기로서,
    퇴적물을 도입하는 도입장치와,
    상기 도입장치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도입장치를 통해 도입된 퇴적물을 배출관을 통해 이송시키는 이송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도입장치는 다수의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도입날개와, 상기 도입날개를 회전시키는 유압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유압모터를 구동시키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를 구동시키는 전기모터를 구비하는 준설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펌프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 펌프인 준설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펌프는 실린더와 피스톤을 구비하며, 상기 피스톤이 후퇴하면 상기 도입장치에 의해 수집된 퇴적물이 상기 실린더 안으로 흡입되고, 상기 피스톤이 전진하면 상기 실린더 내의 퇴적물이 상기 배출관 쪽으로 배 출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피스톤이 후퇴할 때는 상기 도입장치 쪽 통로는 개방하고 상기 배출관 쪽 통로는 폐쇄하고, 상기 피스톤이 전진할 때는 상기 도입장치 쪽 통로는 폐쇄하고 상기 배출관 쪽 통로는 개방하는 흐름제어부를 포함하는 준설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제어부는 상기 도입장치 쪽으로 통하며 대체로 아래로 연장되는 제1 통로와, 상기 배출관 쪽으로 통하며 대체로 위로 연장되는 제2 통로와, 상기 피스톤 펌프 쪽으로 통하는 제3 통로와, 상기 제1 통로 상을 이동하며 개폐하는 볼을 구비하는 볼밸브와, 상기 볼밸브의 볼이 상기 제2 통로 또는 제3 통로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차단봉과, 상기 제2 통로와 교차하며 지나가고 상기 제2 통로를 여는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차단막대와, 상기 차단막대를 직선이동시키는 피스톤 밸브를 포함하는 준설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펌프와 흐름제어부는 두 개씩 구비되며, 상기 각 피스톤 펌프와 흐름제어부는 퇴적물의 흡입과 배출이 교대로 이루어지도록 서로 반대로 작동하는 준설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물의 이송경로 상에는 퇴적물의 이송방향으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되는 준설기.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고형물이 저장되며 입구가 상기 도입날개의 상부에 마련되는 고형물 저장탱크와, 상기 고형물 저장탱크 내부 입구측에 위치하며 상기 고형물이 상기 고형물 저장탱크로 안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이송날개와, 상기 고형물이 상기 고형물 저장탱크의 입구 쪽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받침판을 구비하는 준설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경사지며 상기 도입장치의 회전날개에 의해 올라가고 자중에 의해 내려오는 준설기.
  22.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하수관로의 양측벽에 각각 접하도록 상기 도입장치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지지롤러와 제2 지지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롤러는 상기 제1 지지롤러보다 상기 도입장치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는 준설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롤러는 상기 도입장치와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도록 직선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 지지롤러가 도입장치로부터 멀어지도록 힘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준설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장치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지지롤러 쪽에 설치되는 제3 지지롤러와, 상기 제2 지지롤러 쪽에 설치되는 제4 지지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롤러는 상기 제1 지지롤러보다 상기 도입장치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고, 상기 제4 지지롤러는 상기 제2 지지롤러보다 상기 도입장치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며, 상기 제2 지지롤러가 설치되는 지지막대와, 상기 제3 지지롤러가 설치되는 지지막대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막대는 설치된 지지롤러가 반대쪽으로 이동하도록 접혀지는 준설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롤러가 설치되는 지지막대를 접고 펴는 구동모터를 더 구비하는 준설기.
KR1020030068154A 2003-09-16 2003-10-01 이송펌프를 구비한 준설기를 이용하여 하수차집관거 및하수박스를 준설하는 방법 KR100565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130 2003-09-16
KR20030064130 2003-09-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996U Division KR200344472Y1 (ko) 2003-09-16 2003-10-01 이송펌프를 구비한 준설기를 이용하여 하수차집관거 및하수박스를 준설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890A KR20050027890A (ko) 2005-03-21
KR100565159B1 true KR100565159B1 (ko) 2006-04-05

Family

ID=373850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996U KR200344472Y1 (ko) 2003-09-16 2003-10-01 이송펌프를 구비한 준설기를 이용하여 하수차집관거 및하수박스를 준설하는 장치
KR1020030068154A KR100565159B1 (ko) 2003-09-16 2003-10-01 이송펌프를 구비한 준설기를 이용하여 하수차집관거 및하수박스를 준설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996U KR200344472Y1 (ko) 2003-09-16 2003-10-01 이송펌프를 구비한 준설기를 이용하여 하수차집관거 및하수박스를 준설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3444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597B1 (ko) * 2010-03-17 2010-10-12 윤진효 오수박스용 준설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3376A (en) 1986-05-27 1988-08-16 Pene-Tech, Inc. Maintenance inspection submersible transport apparatus
JPH0296033A (ja) * 1988-09-30 1990-04-06 Sumiyoshi Heavy Ind Co Ltd 下水道管内清掃方法
KR19990080160A (ko) * 1998-04-14 1999-11-05 조성현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3376A (en) 1986-05-27 1988-08-16 Pene-Tech, Inc. Maintenance inspection submersible transport apparatus
JPH0296033A (ja) * 1988-09-30 1990-04-06 Sumiyoshi Heavy Ind Co Ltd 下水道管内清掃方法
KR19990080160A (ko) * 1998-04-14 1999-11-05 조성현 하수관 슬러지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597B1 (ko) * 2010-03-17 2010-10-12 윤진효 오수박스용 준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472Y1 (ko) 2004-03-10
KR20050027890A (ko) 200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731B1 (ko) 버켓타입 관로 준설로봇
JP4944541B2 (ja) グラブバケット式揚土装置およびスラリ状土砂の空気圧式輸送システム
KR100934943B1 (ko) 견인 흡입식 관로 준설공법
CA2138266A1 (en) Improved pipe cleaning modul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their use
KR102018647B1 (ko) 오수 처리차
KR100727854B1 (ko) 준설차
KR100565159B1 (ko) 이송펌프를 구비한 준설기를 이용하여 하수차집관거 및하수박스를 준설하는 방법
KR100928073B1 (ko) 복합식 준설차
KR101104345B1 (ko) 개방회로형 유압시스템을 가지는 다목적 준설장치
KR101170515B1 (ko) 하수관거의 준설토 준설장치 및 방법
KR100922777B1 (ko) 수중로보트준설기를 이용한 차집관거 준설공법
CN211621910U (zh) 一种便于清理泥沙的雨水检查井
KR101193157B1 (ko) 상하수관 퇴적물 준설장치 및 공법
EP3943671B1 (en) Method and system of dredging of an underground conduit
KR101087587B1 (ko) 하수관로 준설장치
KR101387699B1 (ko) 배수로 슬러지 준설 재활용 설비와 준설 재활용 공법
KR100778552B1 (ko) 준설차
CN219219172U (zh) 一种沟渠清理装置
KR100399216B1 (ko)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JP2005220598A (ja) 河川底の堆積土砂清浄装置
KR200356525Y1 (ko)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KR100733293B1 (ko) 하수관로 준설장치
CN113431599B (zh) 一种盾构隧道施工用运土设备
KR960015774B1 (ko) 혼기젯트 펌프와 활차를 이용한 차집관로 준설방법
KR100391344B1 (ko) 주행식 임펠러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고양정 대이송 준설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