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587B1 - 하수관로 준설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로 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587B1
KR101087587B1 KR1020090083436A KR20090083436A KR101087587B1 KR 101087587 B1 KR101087587 B1 KR 101087587B1 KR 1020090083436 A KR1020090083436 A KR 1020090083436A KR 20090083436 A KR20090083436 A KR 20090083436A KR 101087587 B1 KR101087587 B1 KR 101087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oduction
dredging
sediment
drive
intro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5392A (ko
Inventor
최인환
Original Assignee
청하원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하원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하원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5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5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492Heavy-type cleaning devices, e.g. crawlers with plural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495Nozzles propelled by fluid jets
    • B08B9/0497Nozzles propelled by fluid jets provided with additional mechanical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2Cleaning sewer pipe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botic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굴착바이트가 각기 회전되어지면서 하수관로 바닥에 고착된 퇴적물을 부상시키면서 완벽하게 준설할 수 있어 준설작업의 원활화 및 준설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하수관로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방에 설치되며 하수관로의 퇴적물을 유도 및 파쇄하게 되는 도입기(10)와, 상기 도입기(10)가 유도한 퇴적물을 배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110) 및 배출관(120)을 포함하는 이송수단(100)과, 상기 도입기(10)와 이송수단(100)이 탑재되며 신축적으로 위치설정이 가능한 암(210)과 캐터필러(220)가 구비되는 대차(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수관로 내부의 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한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입기(10)는 수용부(21)가 형성되어지며 상부에 그릴부(23)가 형성되어지고 후면에 상기 수용부(21)와 연통되어지도록 배출통공(22)이 형성되어진 몸통(20)과, 상기 몸통(20) 일측부에 형성되어지는 구동수단(30)과, 상기 몸통(20) 전면부에 구동수단(30)에 의해 회전되면서 퇴적물을 준설하게 되는 복수의 도입수단(40)과, 상기 몸통(20) 하부의 양쪽에 대각선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가이드레일(24)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4)을 따라 전후로 가이드되어지게 되는 가이드판(50)이 포함되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입수단(40)은 상기 몸통(20) 전방의 좌,우측에 제 1 도입장치(41) 및 제 2 도입장치(42)가 연결구(43)로 탈장착 가능하게 연결되어지며, 상기 제 1 도입장치(41)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수단(3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도 입수단(40)을 회전시키게 되는 회전판(47)이 연결되어지고, 상기 제 1, 2 도입장치(41,42)는 상기 연결구(43)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연결봉(44)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연결봉(44) 외주연에 다수의 굴착바이트(45)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각각의 연결봉(44) 사이에는 차단판(46)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하수관로 준설장치, 도입기, 몸통, 구동수단, 도입수단, 가이드판

Description

하수관로 준설장치{A DREDGERS FOR SEWER CONDUIT}
본 발명은 하수관로의 퇴적물을 준설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굴착바이트가 각기 회전되어지면서 하수관로 바닥에 고착된 퇴적물을 부상시키면서 완벽하게 준설할 수 있어 준설작업의 원활화 및 준설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하수관로 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간이 생활하며 생산 활동을 영위하는 곳에서는 대량의 물이 사용되므로 생활 하수 및 산업 폐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우리나라처럼 비가 많은 지역이나 집중 호우가 있는 경우에는 다량의 빗물이 하수관을 흐르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 하수관 내를 흐르는 생활 하수는 물론 빗물과 함께 떠내려 오는 하수에 실린 부유물이나 토사 등은 자연 퇴적하거나, 또는 굴곡 관로나 확대 관로 등에서 유속이 느려져 퇴적하기 쉽다.
이와 같이 퇴적량이 증가하게 되면 하수관로가 점차 막히게 되며 심지어는 역류하여 생활 환경을 해치게 된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려면 하수관 설치 및 유지 관리를 잘 해야 하며, 어느 경우든 도시 활동이나 산업 활동이 활발해져 갈수록 하수도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도시 환경 조성에 필수 요소이다.
또한, 하수도는 인체에 있어서의 정맥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하수도의 유지 관리를 위해서는 준설이 필요하고, 이 준설작업을 게을리하면 도시 전체가 인체와 같이 변비 현상을 일으켜 막대한 경제적 손해는 물론 인명까지 위해하는 재해를 초래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하수도의 관리는 도시 개발에 있어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부분이며 또 그 유지 관리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수도의 준설 작업에는 인력에 의한 준설 방법과 기계식 준설 방법이 있는데, 종래의 기계식 준설 방법은 인력을 단순히 기계력으로 대체하는 것에 불과하다.
이러한 기계식 준설 방법에 이용되는 종래의 준설 장치에는 하수관 양단에 윈치를 설치하고 그 윈치들 사이에 버킷을 매단 로프를 연결하여 토사가 완전히 준설될 때까지 왕복시켜 하수관을 준설하는 윈치 버킷식 준설기와 노즐 전방에 하나의 고압수 토출구와 노즐 측면에 경사지게 뚫린 여러 개의 고압수 토출구를 가진 고압수 분사식 준설 및 세척기가 있으나, 이들 종래의 장치들은 작업 안정성이 결여되어 있어 궂은 일을 회피하는 추세에 따라 이런 업종에 종사하려는 인원의 취업을 기피할 뿐 아니라, 준설의 효율성이 낮고 신속히 처리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또한,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곡관이나 대형관 등 난구간은 준설이 불가능하며, 종래에 사용되어지는 준설장치는 퇴적물을 저장챔버로 유도하며 파쇄하기 위하여 커터날개와 평날개를 포함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며 그릴이 전방의 개구부에 형성되고 후방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유입슬롯이 형성된 임펠러 하우징이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 하우징이 바닥면에 밀착되어 전진하고 상기 임펠러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하나의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퇴적물을 준설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준설장치는 임펠러 하우징이 바닥에 밀착되어지게 됨으로 하수관 바닥면이 굴곡지거나 딱딱한 이물질이 붙어 있으면 상기 임펠러 하우징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며, 퇴적물을 준설하게 되는 임펠러가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임펠러가 항상 일정하게 회전되어짐으로 퇴적물의 상태 등 준설 조건에 정확하게 맞출 수 없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결점이 있음은 물론 임펠러 하우징의 전방에 그릴이 형성되어지게 되어 퇴적물이 그릴 사이에 끼일 수 있어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몸통 전방에 구동수단의 구동으로 회전되어지는 다수의 굴착바이트를 양쪽으로 나누어서 구비하되 상기 굴착바이트가 각기 다르게 회전 동작되도록 하여 하수관로 바닥면에 쌓여 있는 토사 및 모래 등 퇴적물을 원활히 준설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통 하부에 대각선상으로 전후 가이드되어지는 가이드판을 형성하게 됨으로 바닥에 고착된 퇴적물도 부상시키면서 하수관로 바닥면의 굴곡 등의 변형에 따라 가이드판이 가이드되어져 기기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하수관로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어지며 상부에 그릴부가 형성되어지고 후면에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어지도록 배출통공이 형성되어진 몸통과, 상기 몸통 일측부에 형성되어지는 구동수단과, 상기 몸통 전면부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퇴적물을 준설하게 되는 복수의 도입수단과, 상기 몸통 하부의 양쪽에 대각선상으로 형성되어지는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로 가이드되어지게 되는 가이드판이 포함되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몸통 전방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몸통 내부로 퇴적물을 준설할 수 있도록 도입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도입수단을 복수로 나누어서 설치하며 각각의 도입수단에 각기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굴착바이트를 구비하게 됨으로 퇴적물의 준설을 용이하고 완벽하게 준설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통 하단부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레일에 하수관로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전진하게 되는 가이드판이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하수관로 바닥면의 돌출 상태에 따라 가이드되어지게 됨으로 기기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준설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준설장치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준설장치의 도입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입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도입기를 도시한 정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입기를 도시한 일측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입기의 도입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입수단의 일부를 도시한 사 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입기의 가이드판을 분리한 저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도입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입기의 가이드판이 가이드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방에 설치되며 하수관로의 퇴적물을 유도 및 파쇄하게 되는 도입기(10)와, 상기 도입기(10)가 유도한 퇴적물을 배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110) 및 배출관(120)을 포함하는 이송수단(100)과, 상기 도입기(10)와 이송수단(100)이 탑재되며 신축적으로 위치설정이 가능한 암(210)과 캐터필러(220)가 구비되는 대차(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수관로 내부의 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한 하수관로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입기(10)는 상기 이송수단(100)에 연결되어지는 몸통(20)과, 상기 몸통(20) 일측부에 설치되어지는 구동수단(30)과, 상기 몸통(20)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3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퇴적물을 유도 및 파쇄하게 되는 도입수단(40)과, 상기 몸통(20) 하단부에 형성되어 전후로 가이드되어지는 가이드판(50)을 포함하여 형성되어진다.
상기 몸통(20)은 내부에 도입수단(40)에 의해 유도 및 파쇄되어진 퇴적물을 수용하게 되는 수용부(21)가 형성되어지며, 후면부에 상기 이송수단(100)과 연결되어 퇴적물을 이송수단(100)의 펌프(110)의 작동에 의해 배출관(120)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통공(22)이 형성되어지고, 상단부에 다수의 그릴부(23)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몸통(20)의 양측 하부에는 대각선상으로 가이드레일(24)이 형성 되어진다.
한편, 상기 그릴부(23)는 하수관로의 크기나 퇴적물의 양 등의 준설 조건에 따라 간격 및 넓이를 다르게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몸통(20)의 수용부(21) 내에 구동모터(3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몸통(20) 외면에 상기 구동모터(3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다단의 평기어(32)로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평기어(32)는 몸통(20)의 넓이나 평기어(32)의 직경 등에 따라 복수로 연결할 수 있거나 3개 이상의 다단으로 연결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입수단(40)은 상기 몸통(20) 전방의 좌,우측에 제 1 도입장치(41) 및 제 2 도입장치(42)가 연결구(43)로 탈장착 가능하게 연결되어지며, 상기 제 1 도입장치(41)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모터(31)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지는 평기어(32)의 회전으로 상기 도입수단(40)을 회전시키게 되는 회전판(47)이 연결되어진다.
상기 제 1, 2 도입장치(41,42)는 상기 연결구(43)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연결봉(44)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연결봉(44) 외주연에 다수의 굴착바이트(45)가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연결봉(44) 사이에는 차단판(46)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가이드판(50)은 상기 가이드레일(24)에 결합되어 대각선상의 가이드레일(24)을 따라 전후로 가이드되어지게 되며,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51)가 형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상기 몸통(20)의 배출통공(22)을 상기 펌프(110)와 연결하여 상기 도입기(10)를 이송수단(100)에 연결시키고, 하수관로 내에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준설장치(1)를 투입하여 흐름방향을 거스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퇴적물을 준설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30)의 구동모터(31)를 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평기어(3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평기어(32)가 회전되어지면서 상기 평기어(32)에 연결되어지는 회전판(47)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제 1,2 도입장치(41,42)가 회전되면서 퇴적물을 유입 및 파쇄시켜 상기 몸통(20) 내의 수용부(21)로 보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도입장치(41,42)가 회전되어질 때 상기 제 1, 2 도입장치(41,42) 각각의 연결봉(44)에 구비되어지는 다수의 굴착바이트(45)가 각각 별도로 회전되어지게 되어 상기 각각의 굴착바이트(45)의 회전에 의하여 서로 다른 퇴적물이 용이하게 분쇄되면서 분쇄된 퇴적물이 상기 몸통(20)의 수용부(21)내로 수용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도입수단(40)의 제 1, 2 도입장치(41,42)가 상기 몸통(20)의 전방부에 설치되어지게 됨으로 하수관로의 퇴적물을 직접적으로 정체되지 않고 막힘 없이 원활하게 분쇄하여 상기 몸통(20) 내부로 유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입수단(40)의 제 1 도입장치(41) 및 제 2 도입장치(42)가 상기 연결구(43)로 연결되어 서로 탈,장착 가능하게 됨으로 상기 도입수단(40)의 각 부속품을 교체시 교체하고자 하는 해당 부속품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부품 교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연결봉(44) 사이에 차단판(46)이 형성되어지게 되어 퇴적물이 상기 차단판(46)에 의해 차단되면서 상기 굴착바이트(45)를 거쳐 분쇄되어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굴착바이트(45)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는 퇴적물은 상기 도입수단(40)의 회전에 의해 부상되면서 상기 그릴부(23)를 통해 몸통(20) 내부로 유입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입수단(40)에 의해 분쇄되어 상기 몸통(20) 내부로 유입되어지는 퇴적물은 상기 이송수단(100)의 펌프(110)의 작동에 따라 배출통공(22)을 통해 이송수단(100)의 배출관(120)으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준설장치(1)의 도입기(10)가 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해 전진할 때 상기 가이드판(50)의 바닥부에 형성되어지는 롤러(51)에 의해 상기 몸통(20)이 원활하게 전진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50)이 하수관로 바닥면에 밀착되어 바닥면을 긁으면서 전진되어지게 되는 데, 이때 상기 하수관로 바닥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게 되면 첨부된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50)이 가이드레일(24)을 따라 후방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가이드판(50)이 마모없이 돌출부분을 용이하게 넘어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준설장치(1)는 하수관로 내의 퇴적물을 분 쇄시켜 상기 몸통(20) 내로 유입시키게 되는 도입수단(40)을 상기 몸통(20) 전방에 형성하게 되어 퇴적물의 원활한 준설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준설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준설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로 준설장치의 도입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입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입기를 도시한 정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입기를 도시한 일측면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입기의 도입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입수단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입기의 가이드판을 분리한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도입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입기의 가이드판이 가이드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수관로 준설장치 10 : 도입기
20 : 몸통 21 : 수용부
22 : 배출통공 23 : 그릴부
24 : 가이드레일 30 : 구동수단
31 : 구동모터 32 : 평기어
40 : 도입수단 41 : 제 1 도입장치
42 : 제 2 도입장치 43 : 연결구
44 : 연결봉 45 : 굴착바이트
46 : 차단판 47 : 회전판
50 : 가이드판 51 : 롤러
100 : 이송수단 110 : 펌프
120 : 배출관 200 : 대차
210 : 암 220 : 캐터필러

Claims (9)

  1. 전방에 설치되며 하수관로의 퇴적물을 유도 및 파쇄하게 되는 도입기(10)와, 상기 도입기(10)가 유도한 퇴적물을 배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110) 및 배출관(120)을 포함하는 이송수단(100)과, 상기 도입기(10)와 이송수단(100)이 탑재되며 신축적으로 위치설정이 가능한 암(210)과 캐터필러(220)가 구비되는 대차(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수관로 내부의 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한 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입기(10)는
    상기 이송수단(100)에 연결되어지는 몸통(20)과,
    상기 몸통(20) 일측부에 설치되어지는 구동수단(30)과,
    상기 몸통(20)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수단(3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퇴적물을 분쇄하고 상기 몸통(20) 내부로 유도하게 되는 도입수단(40)과,
    상기 몸통(20) 하단부에 형성되어 전후로 가이드되어지는 가이드판(50)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몸통(20)은 내부에 상기 도입수단(40)에 의해 유도 및 파쇄되어진 퇴적물을 수용하게 되는 수용부(21)가 형성되어지며, 후면부에 상기 이송수단(100)과 연결되어 퇴적물을 이송수단(100)의 펌프(110)의 작동에 의해 배출관(120)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통공(22)이 형성되어지고, 상단부에 다수의 그릴부(23)가 형성되어지며, 양측 하부에는 대각선상으로 가이드레일(24)이 형성되며,
    상기 그릴부(23)는 하수관로의 크기나 퇴적물의 양 등의 준설 조건에 따라 간격 및 넓이를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몸통(20) 내에 구동모터(31)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몸통(20) 외면에 상기 구동모터(3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게 되는 다단의 평기어(32)로 형성되며,
    상기 도입수단(40)은 상기 몸통(20) 전방의 좌,우측에 연결구(43)로 탈,장착 가능하게 되며 상기 구동수단(30)의 구동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 1 도입장치(41) 및 제 2 도입장치(42)가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입장치(41)의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수단(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도입수단(4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판(47)이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도입장치(41,42)는 상기 연결구(43)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연결봉(44)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각각의 연결봉(44) 외주연에 다수의 굴착바이트(45)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도입장치(41,42)의 각 연결봉(44) 사이에는 차단판(46)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50)은 상기 가이드레일(24)에 결합되어 대각선상의 가이드레일(24)을 따라 전후로 가이드되어지게 되며,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51)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장치.
KR1020090083436A 2009-09-04 2009-09-04 하수관로 준설장치 KR101087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436A KR101087587B1 (ko) 2009-09-04 2009-09-04 하수관로 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436A KR101087587B1 (ko) 2009-09-04 2009-09-04 하수관로 준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392A KR20110025392A (ko) 2011-03-10
KR101087587B1 true KR101087587B1 (ko) 2011-11-29

Family

ID=4393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436A KR101087587B1 (ko) 2009-09-04 2009-09-04 하수관로 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5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650B1 (ko) * 2012-10-30 2014-02-10 주식회사 포스코 로봇의 정착 보조장치
CN104707825A (zh) * 2015-03-09 2015-06-17 苏州昆仑工业设计有限公司 多功能便利通气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400B1 (ko) 2020-12-21 2022-07-14 김정호 포터블 준설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065B1 (ko) 2001-05-03 2003-11-07 최재현 하수도 박스, 암거의 퇴적물 준설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065B1 (ko) 2001-05-03 2003-11-07 최재현 하수도 박스, 암거의 퇴적물 준설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650B1 (ko) * 2012-10-30 2014-02-10 주식회사 포스코 로봇의 정착 보조장치
CN104707825A (zh) * 2015-03-09 2015-06-17 苏州昆仑工业设计有限公司 多功能便利通气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392A (ko)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5505B2 (ja) 沈殿物を収集移送する設備
KR100920694B1 (ko) 수중로보트준설기를 이용한 차집관거 준설공법
CN110130434B (zh) 渠道长边坡清淤过滤机
KR20130000243A (ko) 버켓타입 관로 준설로봇
KR100802917B1 (ko) 원형관로의 보링ㆍ준설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원형관로의 보링ㆍ준설방법
CN212405447U (zh) 一种造纸厂用污水管道疏通清理装置
KR100405065B1 (ko) 하수도 박스, 암거의 퇴적물 준설장치
KR100550056B1 (ko) 수중 로보트 준설기
KR101087587B1 (ko) 하수관로 준설장치
JP2006214263A (ja) 浚渫装置
KR101201255B1 (ko) 원형관로의 준설 및 보수장치
KR100922777B1 (ko) 수중로보트준설기를 이용한 차집관거 준설공법
CN210342055U (zh) 渠道长边坡清淤过滤机
JP4663145B2 (ja) 静水圧を利用した水中堆積物の流送方法と開口付きパイプ並びに水中堆積物の流送設備
CN107654416A (zh) 一种带控制的排污泵新型冲洗防堵进水管道
JP6147010B2 (ja) 河川内の土砂等堆積防止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土砂等排出システム
JP7252099B2 (ja) 浚渫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浚渫システム
CN213508653U (zh) 一种水利水电施工水渠清淤装置
JP7319946B2 (ja) 浚渫装置と浚渫システム、及び浚渫方法
KR100713212B1 (ko) 하수박스 내부 퇴적토 방류시설
KR930005349Y1 (ko) 로보트 준설기
JP2009007787A (ja) 砂泥の固定式吸引搬送除去装置
KR0124142B1 (ko) 암거용 준설기
CN214401955U (zh) 一种具有防堵结构的防洪清淤用排沙装置
CN215330138U (zh) 一种具有防堵功能的泥沙绞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