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525Y1 -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525Y1
KR200356525Y1 KR20-2004-0010064U KR20040010064U KR200356525Y1 KR 200356525 Y1 KR200356525 Y1 KR 200356525Y1 KR 20040010064 U KR20040010064 U KR 20040010064U KR 200356525 Y1 KR200356525 Y1 KR 200356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ariable
variable frame
dredging
se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환
Original Assignee
최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환 filed Critical 최인환
Priority to KR20-2004-0010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5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10Wheeled apparatus for emptying sewers or 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E03F9/002Cleaning sewer pipes by mechanical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관로 전체면적에 걸쳐 퇴적된 토사슬러지뿐만 아니라 잔존 고형물을 완벽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의 퇴적물 준설효과가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맨홀을 통하여 하수관로 내로 진입하기 위해 고정설치되는 채널형 수직부재를 포함하여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가이드되고 윈치장치에 의하여 수직 승강되며 로프걸대가 구비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에 지지 및 가이드되고 작동수단에 의하여 수평으로 출몰 가능한 가변프레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승강프레임유니트와: 상기 가변프레임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되는 작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A AID-DREDGERS FOR INTERCEPTING SEWER AND SEWER CONDUIT}
본 고안은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의 퇴적물 준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수관로 전체면적에 걸쳐 퇴적된 토사슬러지뿐만 아니라 잔존고형물을 완벽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의 퇴적물 준설효과가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로의 퇴적물을 준설하기 위하여 하수관로에서 준설용 대차, 윈치 및 지상에 설치되는 펌프를 이용하여 준설작업을 해오고 있다.
종래 기술은 하수차집관거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하수차집관거의 맨홀 침사지에 모은 다음 흡입관을 통하여 퇴적물을 흡입 토출시켜 제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프가 장착되고 이 로프를 권취하는 지상의 윈치작동에 따라 이동되며 블레이드가 구비된 대차를 이용하여 하수관로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맨홀 하방에 형성된 침사지 또는 맨홀근처로 밀어 이동시키고 침사지 또는 맨홀근처에 모아진 퇴적물을 흡입펌프 및 흡입관을 이용하여 지상으로 이송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상기 흡입관을 통하여 토사 슬러지만 흡입 가능할 뿐, 나무토막, 또는 부피가 큰 돌멩이와 같은 고형물의 흡입이 불가능함으로써 침사지 및 그 주위에는 이와 같은 고형물이 잔존하게 되어 완전청소가 불가능하고 준설효과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수차집관거 내의 유속이 상당히 빠름으로 대차가 침사지로 끌어오는슬러지 및 고형물이 유속에 의하여 떠밀려 다시 건너편 하수차집관거 내로 유입 산포되고 침사지가있는 경우는 고형물이 침사지에 침전되어있어 청소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로프권취장치가 지상에 설치됨으로 맨홀을 개방한 상태로 장시간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추락사고 발생가능성 있었다.
또한, 하수차집관거의 폭이 맨홀개방 면적의 폭보다 2배 가까이 크게 형성되어 있는데 반하여 맨홀을 통하여 투입되는 기기의 크기가 한정되는 관계로 폭이 넓은 하수차집관거 바닥면 일부만 준설가능할 뿐이어서 부분적인 준설에 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3-0064130(명칭: 준설장치 및 방법), 10-2003-0087082(명칭: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장치) 등을 기출원한 바 있다.
상기 본 출원인의 선출원 기술의 특징 중 하나는 준설장치에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암이 구비되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하수관로 바닥 전체면적을 남김없이 준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동안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준설작업을 해온 결과 상기한 바와 같이, 침사지 및 그 주위에 고형물이 산포되어 있는 상태여서 본 출원인의 상기 선출원 기술에 따른 준설장치의 진입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침사지 및 맨홀하단 주위에 산포되어있는 고형물의 제거가 선결과제로 떠올랐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방법에있어 하수관로에 퇴적된 토사슬러지뿐만 아니라 고형물을 완벽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의 퇴적물 준설효과가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은 본 고안의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1b는 도 1a의 A-A선 일부 생략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생략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승강프레임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서 결합후 제2가변프레임 인출상태도
도 3c는 도 3a에서 결합후 제1가변프레임 인출 상태도
도 3d는 도 3a에서 결합후 제1가변프레임과 제2가변프레임 인출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가이드롤러 장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펜스 장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승강프레임유니트의 가변 사시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1차 고형물수거단계 평단면도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2차 고형물수거단계 평단면도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3차 고형물수거단계 평단면도
도 7d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3차 고형물수거단계 평단면도
도 7f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준설장치 설치단계를 보이는 단면도
도 7g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1차 퇴적물준설단계 평단면도
도 7h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2차 퇴적물준설단계 평단면도
도 7e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잔존물 수거단계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2: 하수관로
3; 맨홀 4: 윈치장치
2a: 침사지 5: 견인로프
6: 준설장치 10: 메인프레임
20,20': 승강프레임 21; 하부프레임(채널형 수평부재)
23: 로프걸대 30: 제1가변프레임
31: 행거프레임 33: 채널형 수평부재
35: 제1실린더 40: 제2가변실린더
41: 제2실린더 20a,30a,40a: 이동롤러
50: 버켓 55: 버켓작동 실린더
60: 가이드롤러 71: 고정펜스
73: 가변펜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는,
맨홀을 통하여 하수관로 내로 진입하기 위해 고정설치되는 채널형 수직부재를 포함하여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가이드되고 윈치장치에 의하여 수직 승강되며 로프걸대가 구비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프레임에 지지 및 가이드되고 작동수단에 의하여 수평으로 출몰 가능한 가변프레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승강프레임유니트와:
상기 가변프레임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되는 작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변프레임은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부 프레임에 지지 및 가이드되어 하수관로 길이 방향으로 출몰하는 제1가변프레임과, 상기 제1가변프레임에 지지 및 가이드되고 하수관로 폭방향으로 출몰하며 상기 작업수단이 설치되는 제2가변프레임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승강프레임은 양측 하부 프레임인 상기 제1가변프레임이 지지 및 가이드되기 위한 채널형 수평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가변프레임은 상부 양측으로 상기 승강프레임의 수평부재에 삽치되어 지지 및 슬라이드되기 위해 수평으로 설치되는 행거프레임이 구비되고 내측으로 대향하여 오목형성된 채널형 수평부재가 상하 양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대향하는 채널형 수평부재의 일단은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고 타단은 개방단으로 형성되며 승강프레임 수직승강시는 메인프레임에 의하여 가이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가변프레임은 상기 제1가변프레임의 상하 양측 채널형 수평부재에 삽치되어 지지 및 슬라이드되며 제1가변프레임의 내부공간의 출입구인 상기 개방단을 통하여 출몰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채녈형 수직부재에 삽치되어 승강가이드되는 승강프레임과 제1가변프레임의 슬라이드면, 상기 제1가변프레임에 지지 및 가이드되는 제2가변프레임의 슬라이드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이동롤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승강프레임의 하방에는 제1가변프레임의 출몰 작동수단으로서 제1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제1실리더의 피스톤에 상기 제1가변프레임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1가변프레임에는 제2가변프레임의 출몰 작동수단으로서 제2실린더가 설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의 피스톤에 상기 제2가변프레임의 일측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가변프레임에 설치되는 작업수단은두 버켓부재가 대향하여 힌지결합되는 버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켓은 각 버켓부재의 일단에 피스톤이 결합되는 실린더에 의하여 작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가변프레임에는 준설장치의 견인로프 가이드를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가 착탈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가변프레임과 제2가변프레임에는 각각 고형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펜스가 착탈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승강프레임유니트의 하방에는 준설장치 견인구가 착탈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윈치장치는 지하공간인 상기 메인프레임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하수관로 폭방향으로 출몰하며 상기 작업수단이 설치되는 제2가변프레임이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 도 1b는 도 1a의 A-A선 일부 생략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메인프레임 및 승강프레임 유니트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승강프레임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서 결합후 제2가변프레임 인출 상태, 도 3c는 도 3a에서 결합후 제1가변프레임 인출상태, 도 3d는 도 3a에서 결합후 제1가변프레임과 제2가변프레임이 인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1)는, 맨홀(3)을 통하여 하수관로(2) 내로 진입하기 위해 고정설치되는 채널형 수직부재(11)를 포함하여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메인프레임(10), 상기 메인프레임(10)을 타고 가이드되며 윈치장치(4)에 의하여 수직 승강되는 승강프레임유니트(A), 상기 승강프레임유니트(A)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되는 작업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립식 메인 프레임에는 상기 승강프레임유니트(A)의 승강로프용 가이드롤러(13)가 양측으로 다수 설치된다.
상기 승강프레임유니트(A)는 로프걸대(23)가 구비되는 승강프레임(20)과,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지지 및 가이드되고 작동수단에 의하여 수평으로 출몰 가능한 가변프레임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변프레임은 상기 승강프레임(20)의 하부 프레임(21)에 지지 및 가이드되어 하수관로 길이 방향(L)으로 출몰하는 제1가변프레임(30)과,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에 지지 및 가이드되고 하수관로 폭방향(W)으로 출몰하며 상기 작업수단(50)이 설치되는 제2가변프레임(40)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프레임(20)은 양측 하부 프레임(21)으로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이 지지 및 가이드되기 위한 채널형 수평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은 상부 양측으로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수평부재(21)에 삽치되어 지지 및 슬라이드되기 위해 수평으로 설치되는 행거프레임(31)이 구비되고, 내측으로 대향하여 오목형성된 채널형 수평부재(33)가 상하 양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대향하는 채널형 수평부재(33)의 일단은 연결부재(34)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고 타단은 개방단(36)으로 형성되며 승강프레임(20) 수직승강시는 메인프레임(10)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상기 제2가변프레임(40)은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의 상하 양측 채널형 수평부재(33)에 삽치되어 지지 및 슬라이드되며 제1가변프레임(30)의 내부공간의 출입구인 상기 개방단(36)을 통하여 출몰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채널형 수직부재(11)에 삽치되어 승강가이드되는 승강프레임(20) 및 제1가변프레임(20)의 슬라이드면, 상기 제1가변프레임(20)에 지지 및 가이드되는 제2가변프레임(40)의 슬라이드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이동롤러(20a)(30a)(40a)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메인프레임(10)의 네 귀에 설치되는 채널형 수직부재(11)에 삽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승강프레임(20)과 제1가변프레임(30)의 수직 슬라이드면에 설치되는 이동롤러(20a)(30a)는 메인프레임의 각 채널형 수직부재(11) " ㄷ" 자형 내부공간 양측면에 접촉되는 타입(20aa)(30aa)과 중간면에 접촉되는 타입(20ab)(30ab)의 두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동롤러의 설치방향이 두 방향으로 구성됨으로써 승강이동시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며 유동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의 수평 슬라이드면인 행거프레임(31)은 상기 승강프레임의 채널형 수평부재(하부프레임)(21)에 상에서 슬라이드되는 레일타입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슬라이드면, 제1가변프레임(30)의 수직 슬라이드면, 제2가변프레임(40)의 슬라이드면에도 이동롤러 대신 상기 채널형 부재(11)(21)(33)에 삽치되는 레일타입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승강프레임(20)의 하방에는 제1가변프레임(30)의 출몰 작동수단으로서 제1실린더(35)가 설치되며, 상기 제1실리더의 피스톤(35a)에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에는 제2가변프레임(40)의 출몰 작동수단으로서 제2실린더(41)가 설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의 피스톤(41a)에 상기 제2가변프레임(4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변프레임(40)에 설치되는 작업수단은 두 버켓부재(51)가 대향하여 힌지(53)결합되는 버켓(50)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켓(50)은 각 버켓부재(51)의 일단에 피스톤이 결합되는 실린더(55)에 의하여 작동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가변프레임(4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설장치의 견인로프(5) 가이드를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60)가 착탈 가능토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60)는 견인로프(5)의 방향전환을 위하여 제2가변프레임(40) 상부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롤러(61), 제2가변프레임(40)의 하부인 제1가이드롤러(61)와 대각선상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롤러(62), 상기 제2가이드롤러(62)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롤러(62)를 경유한 수직방향 견인로프(5)를 수평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3가이드롤러(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변프레임(30)과 제2가변프레임(40)에는 각각 고형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펜스(71) 및 가변펜스(73)가 착탈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프레임유니트(A)의 하방 제2가변프레임에는 준설장치 견인구(미도시)가 착탈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윈치장치(4)는 지하공간인 상기 메인프레임(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윈치장치(4)를 지하공간 내에 설치하는 것은 주로 준설작업이 장시간 진행되는 경우에 실시하며, 맨홀 뚜껑을 닫을 수 있어 추락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유니트(A)는 상기 승강프레임(20')에 하수관로 폭방향(W)으로 출몰하며 상기 작업수단이 설치되는 제2가변프레임(40)이 직접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승강프레임(20')은 내측으로 대향하여 오목형성된 채널형 수평부재(25)가 상하 양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대향하는 채널형부재의 일단은 연결부재(26)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고 타단은 개방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설치되는 제2가변프레임(40)은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상하 양측 채널형 수평부재(25)에 삽치되어 지지 및 슬라이드되며 승강프레임(20')의 내부공간의 출입구인 상기 개방단을 통하여 출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1)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관로 준설방법을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맨홀(3)을 통하여 하수관로(2)로 하강하는 메인프레임(10) 및 윈치장치(4)를 설치한다.
다음, 상기 메인프레임(10)에 윈치장치에 의하여 승강되는 승강프레임(20), 상기 승강프레임(20)의 하부 프레임에 지지 및 가이드되어 하수관로 길이 방향(L)으로 출몰가능한 제1가변프레임(30),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에 지지 및 가이드되고 하수관로 폭방향(W)으로 출몰 가능한 제2가변프레임(40)으로 이루어진 승강프레임유니트(A)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프레임유니트(A)의 제2가변프레임(40) 하방에는 작동수단이 구비된 버켓(50)을 장착한 후 하강시키는 승강프레임유니트를 설치한다(도 1a, 도 7a 참조).
다음, 본격적인 준설작업에 앞서 맨홀하방에 널려있는 고형물을 준설하는 준설예비 고형물수거단계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버켓(50)을 작동시켜 하수관로 바닥의 고형물을 파지한 후 상기 승강프레임유니트(A)를 상승시켜 맨홀 직하방(2b)의 고형물을 준설하는 1차 고형물수거가 수행된다(도 1a, 도 7a참조)
이 때, 버켓(50)의 고형물 파지 및 승강프레임유니트(A)의 승강동작은 수회에 걸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상에는 버켓이 수거해온 고형물을 받기 위한 이동식 수거받이(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을 작동수단(35)을 이용하여 승강프레임(20)으로부터 인출시킴으로 하수관로 길이 방향(L)으로 버켓(50)을 이동시켜 준설장치(6)착지자리(2c)의 고형물을 준설하는 2차 고형물수거가 이루어진다(도 3b, 도 7b 참조).
상기 2차 고형물수거단계의 동작싸이클은 제1가변프레임(30) 인출 - 버켓(50)의 고형물 파지작동 - 제1가변프레임(30)의 복귀 - 승강프레임유니트(A) 상승 - 버켓(50)의 고형물 해지작동 - 승강프레임유니트(A) 하강의 순으로 이루어지며 수회 반복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을 승강프레임(20) 하방으로 복귀시킨 상태에서 제2가변프레임(40)을 하수관로 폭방향(W)으로 인출시켜 하수관로 바닥에서 폭방향(W)으로 맨홀 직하방 타측 영역(2d)의 고형물을 준설하는 3차 고형물수거가 이루어진다(도 3c, 도 7c 참조).
3차 고형물수거시의 동작싸이클은 제2가변프레임(40) 인출 - 버켓(50)의 고형물 파지작동 - 제2가변프레임(40)의 복귀 - 승강프레임유니트(A) 상승 - 버켓의 고형물 해지작동 - 승강프레임유니트(A) 하강의 순으로 이루어지며 수회 반복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승강프레임유니트(A)를 지상으로 올려 메인프레임(10)으로부터 탈거시키고 윈치장치(4)의 견인로프(5)에 연결되는 준설장치(6)를 하수관로(2) 내에 설치한다(도 7d 참조).
준설장치(6)는 맨홀의 단면적(2b)에 비하여 길이가 길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세워서 맨홀(3)을 통과시키고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바닥에 인접하면 방향을 돌려서 작업가능한 포지션으로 자리를 잡게 된다. 상기 2차 고형물수거단계에서 고형물을 수거한 위치(2c)가 바로 이 때 준설장치가 착지되는 영역이다.
여기서, 고형물이 제거되어 있지 않으면 준설장치(6)가 하수관로바닥에 착지 할 수 없어 준설작업 착수가 어렵게된다.
다음 지상에 올려져 있는 승강프레임유니트(A)의 상기 제2가변프레임(40)으로부터 버켓(50)을 탈거시킨 후 준설장치의 견인로프(5) 가이드를 위한 가이드롤러(60)를 장착하며, 상기 제1가변프레임(30)과 제2가변프레임(40)에 각각 볼트 등을 이용하여 펜스(71)(73)를 장착한 승강프레임유니트(A)를 다시 메인프레임에 삽치하여 하강시키고 상기 제2가변프레임(40)을 인출시켜 펜스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변프레임과 제2가변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펜스(71)(73)는 승강프레임유니트 승강시는 절첩된 상태로 되고 제2가변프레임(40)을 인출함으로 가변펜스(73)가 펼쳐지게 되어 하수관로 폭방향(W) 전체에 걸쳐 설치된다.
상기 펜스(71)(73)는 하수관로의 침사지(2a) 일측에 위치시켜 하수흐름에 따라 밀려오는 고형물을 포집하게 된다.
다음, 본격적인 하수차집관 및 하수관로의 퇴적물준설작업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준설장치(6)가 투입 착지된 위치에서 하수관로 내를 하수관로 길이 방향(L)으로 이동하면서 하수관로 바닥면 일측 폭의 퇴적물을 준설하는 1차 퇴적물준설작업이 수행된다(도 7e 참조).
그리고, 상기 준설장치를 하수관로 바닥면의 타측 폭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상기 승강프레임유니트(A)의 제2가변프레임(40)을 인출시켜 견인로프 가이드롤러(60)의 위치를 하수관로 바닥면 타측 폭으로 이동시킨 후 준설장치(6)를 하수관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퇴적물을 준설하는 2차 퇴적물준설이 이루어진다(도 7f 참조).
퇴적물준설작업은 준설장치(6)에 설치된 흡입펌프 및 배출관을 통하여 퇴적물이 지상의 수집조(9)로 수거되거나 또는 배출관이 직접 지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퇴적물준설작업시 준설장치(6)는 하수 흐름방향에 대하여 거스르는 역류방향으로 진행된다.
다음, 상기 준설장치(6)에 설치된 고형물밀대(6a)를 펼쳐 하수관로 바닥에 잔존하는 고형물을 상기 펜스가 설치된 맨홀하방(침사지)으로 끌어모으는 잔존물 수거작업이 이루어진다(도 7g).
상기 준설장치(6)에 설치되는 고형물밀대(6a)는 블레이드타입으로 되고 예컨대 상기 펜스(71)(73)와 같이 접철가능토록 설치되며, 이 잔존물 수거단계에서 펼쳐져 하수관로 바닥 폭방향(W) 전체를 가로막을 수 있도록 되어 1회 진행으로 1,2차 퇴적물준설작업 중 준설장치 옆으로 비켜나간 잔존 고형물을 말끔히 밀고나가 침사지(2a)또는 맨홀하단으로 모은다. 이 때는 1,2차 퇴적물준설작업시와는 달리 하수흐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된다.
다음, 상기 승강프레임유니트(A)를 지상으로 올려 펜스(71)(73)를 탈거시킨 후 상기 버켓(50)을 장착하고 하강시켜 맨홀 하방(침사지)에 모아진 고형물을 지상으로 준설하는 마무리 고형물수거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마무리 고형물수거작업은 먼저, 맨홀 직하방(2b)에 모아진 4차 고형물수거단계와 상기 제2가변프레임(40)을 인출시켜 하수관로 바닥에서 폭방향(W)으로 맨홀 직하방 타측 영역(2c)에 모아진 고형물을 지상으로 준설하는 5차 고형물수거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4차 고형물수거단계는 1차 고형물수거단계, 5차 고형물수거단계는 3차 고형물수거단계와 동일한 동작싸이클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그리고, 후속하여 승강프레임유니트(A) 및 준설장치(6)의 철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하수관로내로 준설장치를 하강 진입시 또는 지상으로 인양시에는 승강프레임(A)에 상기 준설장치 견인구를 장착하여 준설대차의 승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방법은 하수관로 전체면적에 걸쳐 퇴적된 토사슬러지뿐만 아니라 잔존고형물을 완벽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의 퇴적물 준설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는 하수관로 전체면적에 걸쳐 퇴적된 토사슬러지뿐만 아니라 잔존고형물을 남김없이, 완벽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하수차집관거 및 하수관로의 퇴적물 준설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Claims (15)

  1. 맨홀(3)을 통하여 하수관로(2) 내로 진입하기 위해 고정설치되는 채널형 수직부재를 포함하여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메인프레임(10)과;
    상기 메인프레임(10)에 가이드되고 윈치장치(4)에 의하여 수직 승강되며 로프걸대(23)가 구비되는 승강프레임(20)과,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지지 및 가이드되고 작동수단에 의하여 수평으로 출몰 가능한 가변프레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승강프레임유니트(A)와;
    상기 가변프레임에 착탈가능토록 설치되는 작업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프레임은 상기 승강프레임(20)의 하부 프레임(21)에 지지 및 가이드되어 하수관로 길이 방향(L)으로 출몰하는 제1가변프레임(30)과,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에 지지 및 가이드되고 하수관로 폭방향(W)으로 출몰하며 상기 작업수단(50)이 설치되는 제2가변프레임(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20)은 양측 하부 프레임(21)으로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이 지지 및 가이드되기 위한 채널형 수평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은 상부 양측으로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수평부재(21)에 삽치되어 지지 및 슬라이드되기 위해 수평으로 설치되는 행거프레임(31)이 구비되고 내측으로 대향하여 오목형성된 채널형 수평부재(33)가 상하 양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대향하는 채널형 수평부재(33)의 일단은 연결부재(34)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고 타단은 개방단(36)으로 형성되며 승강프레임(20) 수직승강시는 메인프레임(10)에 의하여 가이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가변프레임(40)은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의 상하 양측 채널형 수평부재(33)에 삽치되어 지지 및 슬라이드되며 제1가변프레임(30)의 내부공간의 출입구인 상기 개방단(36)을 통하여 출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채널형 수직부재(11)에 삽치되어 승강가이드되는 승강프레임(20)과 제1가변프레임(20)의 슬라이드면, 상기 제1가변프레임(20)에 지지 및 가이드되는 제2가변프레임(40)의 슬라이드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이동롤러(20a)(30a)(40a)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네 귀에 설치도는 채널형 수직부재(11)에 삽치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승강프레임(20)과 제1가변프레임(30)의 수직 슬라이드면에 설치되는 이동롤러(20a)(30a)는 메인프레임의 채널형 수직부재(11) " ㄷ" 자형 내부공간 양측면에 접촉되는 타입(20aa)(30aa)과 중간면에 접촉되는 타입(20ab)(30ab)의 두 방향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의 수평 슬라이드면인 행거프레임(31)은 상기 승강프레임의 채널형 수평부재(하부프레임)(21)에 상에서 슬라이드되는 레일타입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슬라이드면, 제1가변프레임(30)의 수직 슬라이드면, 제2가변프레임(40)의 슬라이드면은 상기 채널형 부재(11)(21)(33)에 삽치되는 레일타입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20)의 하방에는 제1가변프레임(30)의 출몰 작동수단으로서 제1실린더(35)가 설치되며, 상기 제1실리더의 피스톤(35a)에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의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1가변프레임(30)에는 제2가변프레임(40)의 출몰 작동수단으로서 제2실린더(41)가 설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의 피스톤(41a)에 상기 제2가변프레임(40)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변프레임(40)에 설치되는 작업수단은 두 버켓부재(51)가 대향하여 힌지(53)결합되는 버켓(50)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켓(50)은 각 버켓부재(51)의 일단에 피스톤이 결합되는 실린더(55)에 의하여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변프레임(40)에는 준설대차의 견인로프 가이드를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60)가 착탈 가능토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프레임(30)과 제2가변프레임(40)에는 각각 고형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펜스(71) 및 가변펜스(73)가 착탈가능토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유니트(A)의 하방에는 준설대차 견인구가 착탈가능토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장치(4)는 지하공간인 상기 메인프레임(10) 내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20')에는 하수관로 폭방향(W)으로 출몰하며 상기 작업수단이 설치되는 제2가변프레임(40)이 직접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프레임(20')은 내측으로 대향하여 오목형성된 채널형 수평부재(25)가 상하 양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대향하는 채널형부재의 일단은 연결부재(26)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고 타단은 개방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프레임(20')에 설치되는 제2가변프레임(40)은 상기 승강프레임(20)의 상하 양측 채널형 수평부재(25)에 삽치되어 지지 및 슬라이드되며 승강프레임(20')의 내부공간의 출입구인 상기 개방단을 통하여 출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KR20-2004-0010064U 2004-04-12 2004-04-12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KR200356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064U KR200356525Y1 (ko) 2004-04-12 2004-04-12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064U KR200356525Y1 (ko) 2004-04-12 2004-04-12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088A Division KR100661007B1 (ko) 2004-04-12 2004-04-12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및 그 준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525Y1 true KR200356525Y1 (ko) 2004-07-15

Family

ID=4943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064U KR200356525Y1 (ko) 2004-04-12 2004-04-12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5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4230A (zh) * 2018-01-30 2019-08-06 岭东核电有限公司 隧洞贴壁穿梭平台及隧洞监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4230A (zh) * 2018-01-30 2019-08-06 岭东核电有限公司 隧洞贴壁穿梭平台及隧洞监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943B1 (ko) 견인 흡입식 관로 준설공법
CN212294809U (zh) 一种水利工程的河道淤泥抽吸设备
KR101022423B1 (ko) 이동식 분리형 하수구 준설장치
KR200356525Y1 (ko)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KR100661007B1 (ko) 하수관로 준설보조장치 및 그 준설방법
KR100642977B1 (ko) 대차식 슬러지 수집장치
CN211646673U (zh) 一种市政道路下水结构
KR101486040B1 (ko)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KR20110054421A (ko) 하수 집수정 슬러지 처리시설
KR20110045793A (ko) 하수관거의 준설토 준설장치 및 방법
JP3372095B2 (ja) 地下下水道保全装置及び該地下下水道保全装置に用いる作業台
CN107178143B (zh) 市政雨、污水泵站用污泥提升系统
KR101387699B1 (ko) 배수로 슬러지 준설 재활용 설비와 준설 재활용 공법
CN107503431A (zh) 捞渣装置及设有捞渣装置的弃流或分流井
JP3914323B2 (ja) 揚砂装置
KR900004248B1 (ko) 하수도내의 퇴적물 회수장치
KR20110130654A (ko) 접이식 대차를 구비한 하수관로 준설장치 및 준설공법
CN211257262U (zh) 一种快速干湿分离窨井清淤车
CN219450784U (zh) 移动式道路基坑排水设备
KR100438661B1 (ko)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CN215290212U (zh) 一种水利工程施工排水结构
CN214219798U (zh) 一种水利用河底清淤装置
CN218931669U (zh) 一种地沟槽盖板开启装置
CN216108366U (zh) 一种水利闸门升降装置
CN219430958U (zh) 一种环保型检查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