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661B1 -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661B1
KR100438661B1 KR1020040015068A KR20040015068A KR100438661B1 KR 100438661 B1 KR100438661 B1 KR 100438661B1 KR 1020040015068 A KR1020040015068 A KR 1020040015068A KR 20040015068 A KR20040015068 A KR 20040015068A KR 100438661 B1 KR100438661 B1 KR 10043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bucket
lifting
lifting device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5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및 중계펌프장의 침사지에 설치되는 침사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사의 누적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침사를 일시에 인양하여 반출되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하수처리장 및 중계펌프장에 구비된 침사지의 수로에 설치되는 침사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로를 따라 내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주행레일이 구비되는 철골구조물과; 상기 주행레일에 재치되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주행레일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횡행레일이 구비되는 주행부와; 상기 횡행레일에 재치되어 상기 횡행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횡행부와; 상기 횡행부에 설치되는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권상기와 연결되는 인양버킷부로 구성되어 상기 수로의 침사를 준설하여 인양하는 크레인 인양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침사의 누적에 의한 기기의 손상 및 파손과 과도한 부하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고 안정적이면서 원활한 침사의 인양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Crane type apparatus for pulling up sand deposited in a grit chamber}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및 중계펌프장의 침사지에 설치되는 침사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사의 누적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침사를 일시에 인양하여 반출되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사 인양장치는 하수처리장이나 중계펌프장의 침사지에 설치되어 상기한 침사지의 하면으로 침전된 모래를 그 외부로 인양하여 배출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침사 인양장치의 일례를 도 13과 도 14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침사 인양장치는 침전지의 수로(100) 내부의 침전부(101)에 침전되는 모래 등을 상기 수로(100)의 외부로 인양하도록 다수의 버킷(200)을 체인(300)과 스프로킷(400)으로 이루어진 구동부에 의해 무한궤도로 구동하고, 상기 수로(100)의 내부로 승강구(500)를 설치하여 상기 버킷(200)의 상승을 보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로(100)의 바닥면으로 침전되는 모래 등을 수평으로 길게 구비되는 버킷(200)으로 끌어서 퍼낸 후에 상기 버킷(200)을 체인(300)과 스프로킷(400) 및 승강구(500)에 의해 상승시켜 상기 수로(10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버킷이 수로의 하면에 배치됨으로써, 침사가 장시간 누적되면 이 누적된 침사가 상기한 버킷을 누르고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인양장치를 가동하면 누적된 침사의 무게에 의해 상기 버킷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량으로 누적된 침사로 인해 버킷이 가중되어 인양장치의 구동부에 부하가 발생되고, 이와 같은 부하의 발생에 의해 인양장치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부속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유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의 문제점으로 인해 인양장치의 정상적인 운전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침사지의 사용이 중지되는 등 부가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침사의 누적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침사를 일시에 인양하여 반출되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행부가 간단하면서 견고한 구조로 구비되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횡행부가 안정적이면서 간단한 구조로 구비되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권상기가 간단한 구조이면서 안정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양버킷부가 간단한 구조이면서 침사의 정밀한 인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양버킷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의 꼬임이방지되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양버킷부의 개폐작동이 간단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양된 침사에 포함된 물이 적절히 배출되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양된 침사가 외부로 적절히 배출되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사배출부가 간단하면서 작동이 손쉬운 구조로 구비되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의한 직접 작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기의 작동에 대한 설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이 설정에 의한 기기의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수처리장 및 중계펌프장에 구비된 침사지의 수로에 설치되는 침사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로를 따라 내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주행레일이 구비되는 철골구조물과; 상기 주행레일에 재치되어 상기 주행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주행레일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횡행레일이 구비되는 주행부와; 상기 횡행레일에 재치되어 상기 횡행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횡행부와;상기 횡행부에 설치되는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권상기와 연결되는 인양버킷부로 구성되어 상기 수로의 침사를 인양하는 크레인 인양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행부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주행바퀴를 갖고 각각의 주행레일에 재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주행대차와, 상기 주행대차가 상호 결합되도록 그 내측에 장착되고 횡행레일이 상면에 설치되는 거더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횡행부는 횡행레일에 재치되는 횡행대차와, 상기 횡행레일의 상면에 맞닿고 상기 횡행대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횡행바퀴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권상기는 횡행대차에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드럼에 감기거나 풀리고 인양버킷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양버킷부는 와이어로프가 감기는 시브를 상면에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는 좌측버킷 및 우측버킷과, 상기 좌측버킷 및 우측버킷이 개폐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개폐작동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드럼과 와이어로프는 상기 인양버킷부와 한 쌍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작동부는 본체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우측버킷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부 끝단이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 끝단과 힌지결합되는 돌출턱과, 상기 돌출턱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좌측버킷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링크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측버킷 및 우측버킷의 측면으로 내부와 관통되는 다수의 배수통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양버킷부에 의해 인양된 침사가 배출되도록 철골구조물의 내측으로 상기 수로의 상면에 침사배출부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침사배출부는 인양버킷부에 의해 인양되어 배출되는 침사를 포집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에 포집된 침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호퍼의 하부에서 수로의 외부로 구비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하면과 상기 수로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와 전동기 및 유압실린더의 전원을 단속하여 주행부 및 횡행부와 크레인 인양부의 동작을 직접 조작하는 조작반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작반에는 주행부 및 횡행부와 크레인 인양부의 동작을 임의로 설정하는 설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동작을 따라 상기 주행부 및 횡행부와 크레인 인양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하수처리장 및 중계펌프장에 구비된 침사지의 수로에 설치되는 침사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상면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주행레일을 따라 이동되고 일측방이 개방된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의 내부에서 개방된 일측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횡행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횡행부와; 상기 횡행부에 설치되는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권상기와 연결되는 인양버킷부로 구성되어 상기 수로의 침사를 인양하는 크레인 인양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행부는 주행레일에 각각 재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주행바퀴를 갖는 주행대차와, 한 쌍의 상기 주행대차를 상호 결합시키고 일측방이 개방된 철골구조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횡행부는 횡행레일이 상면에 설치되도록 철골구조체의 내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거더와, 상기 횡행레일에 재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횡행바퀴를 갖는 횡행대차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철골구조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거더가 지지되도록 상기 거더의 일단 하부와 상기 철골구조체의 일측면 사이에 지지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철골구조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거더가 지지되도록 상기 거더의 하면과 상기 철골구조체의 내부면 사이에 고정대가 구비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버킷부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인양버킷부의 열린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측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평단면도.
도 13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4는 도 4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철골구조물
11 : 주행레일
20 : 주행부
21 : 횡행레일 22 : 주행대차 23 : 주행바퀴
24 : 거더
30 : 횡행부
31 : 횡행대차 32 : 횡행바퀴
40 : 크레인 인양부
41 : 권상기
411 : 드럼 412 : 전동기 413 : 와이어로프
42 : 인양버킷부
421 : 본체 422 : 시브 423 : 좌측버킷
424 : 우측버킷 425 : 개폐작동부
50 : 침사배출부
51 : 호퍼 52 : 이송컨베이어 53 : 지지대
60 : 조작반
61 : 설정부 62 : 자동제어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상기 도 1과 도 2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침사 인양장치는 침사지의 수로(100) 상부에 설치되는 철골구조물(10)과,상기 철골구조물(10)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주행부(20)와, 상기 주행부(20)에 재치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횡행부(30)와, 상기 수로(100)의 침전부(101)에 적층된 모래를 일정량으로 일시에 인양하는 크레인 인양부(40)와, 인양된 침사를 외부로 배출하는 침사배출부(50)로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 상기 철골구조물(10)은 수직과 수평의 철골이 결합되어 수로(100)의 상면에 구조물을 형성한 것으로, 그 내측에 수평으로 이격된 한 쌍의 주행레일(11)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행부(20)는 주행레일(11)에 재치되도록 주행바퀴(23)를 갖는 주행대차(22)가 각각의 상기 주행레일(11)에 구비되고, 상기 주행대차(22)의 내측으로 상호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이격된 거더(24)가 장착되며, 상기 거더(24)의 상부에 횡행레일(21)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주행대차(22)는 거더(24)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로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바퀴(23)에 의해 주행레일(1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함으로써, 크레인 인양부(40)를 수로(100)를 따라 이동시켜 인양된 침사를 침사배출부(50)로 옮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횡행부(30)는 횡행레일(21)의 상부에 재치되는 횡행대차(31)가 구비되고, 상기 횡행레일(21)의 상면에 맞닿도록 상기 횡행대차(31)에 다수의 횡행바퀴(32)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횡행대차(31)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횡행바퀴(32)에 의해 횡행레일(2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크레인 인양부(40)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크레인 인양부(40)는 횡행대차(31)에 권상기(41)가 설치되고, 상기 권상기(41)와 와이어로프(413)로 연결되는 인양버킷부(42)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권상기(41)는 인양버킷부(4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인양버킷부(42)는 모래방지턱(102)에 의해 침전부(101)에 적층된 모래를 준설하여 인양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 상기 권상기(41)는 횡행대차(31)에 설치되는 드럼(411)과, 상기 드럼(411)을 회전시키는 전동기(412)와, 상기 드럼(411)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로프(413)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권상기(41)는 전동기(412)의 구동에 의해 드럼(411)을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로프(413)를 감거나 풀어 상기 와이어로프(413)에 연결된 인양버킷부(4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드럼(411)과 와이어로프(413)는 한 쌍으로 이격되게 인양버킷부(42)와 연결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드럼(411)의 회전으로 상기 와이어로프(413)를 따라 상기 인양버킷부(42)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상기 와이어로프(413)의 꼬임이 적절히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양버킷부(42)는 와이어로프(413)가 감기는 시브(422)를 상면으로 갖는 본체(42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421)의 하부에 상단이 힌지결합된 좌측버킷(423) 및 우측버킷(424)이 맞닿은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좌측버킷(423)과 우측버킷(424)이 개폐되도록 상기 본체(421)에 개폐작동부(425)가 구비되고, 상기좌측버킷(423)과 우측버킷(424)의 측면에 다수의 배수통공(426)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인양버킷부(42)는 시브(422)에 의해 와이어로프(413)와 연결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되고 본체(42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좌측버킷(423)과 우측버킷(424)이 개폐작동부(425)에 의해 작동되어 맞닿거나 벌어지면서 침사를 준설하여 인양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수통공(426)은 인양버킷부(42)의 개폐에 의해 침사를 준설할 때 함께 포집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개폐작동부(425)는 본체(421)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427)와, 우측버킷(424)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부 끝단이 상기 유압실린더(427)의 로드 끝단과 힌지결합되는 돌출턱(428)과, 상기 돌출턱(428)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좌측버킷(423)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링크(429)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개폐작동부(425)는 유압실린더(427)의 로드가 후진되면서 돌출턱(428)을 내측으로 당겨 우측버킷(424)이 본체(421)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벌어지고, 상기 우측버킷(424)이 벌어짐과 동시에 상기 우측버킷(424)과 링크(429)로 연결된 좌측버킷(423)이 벌어지면서 개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427)의 로드가 처음의 상태로 전진되면서 상기 좌측버킷(423)과 우측버킷(424)이 반대로 작동하여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작동부(425)는 좌측버킷(423)과 우측버킷(424)을 개방한후에 폐쇄함으로써, 수로(100)의 침전부(101)에 적층된 침사를 일정량만큼 포집하거나 포집된 침사를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침사배출부(50)는 인양버킷부(42)에 의해 인양되어 배출되는 침사를 포집하는 호퍼(51)와, 상기 호퍼(51)에 포집된 침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호퍼(51)의 하부에서 수로(100)의 외부로 구비되는 이송컨베이어(52)와, 상기 이송컨베이어(52)의 하면과 상기 수로(100)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53)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침사배출부(50)는 인양버킷부(42)의 개방으로 낙하하는 침사를 호퍼(51)로 수집하여 이송컨베이어(52)를 통해 수로(100)의 외부로 이송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침사 인양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침사의 누적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침사를 일시에 인양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사지의 수로(100)는 다수개로 형성됨으로 이 각각의 수로(100)에 침전된 모래를 권상기(41)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인양버킷부(42)로 퍼내기 위해 거더(24)의 상면으로 구비되는 횡행레일(21)을 따라 횡행대차(31)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거더(24)는 이격된 한 쌍의 주행대차(22)를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주행대차(22)와 거더(24)가 일체로 철골구조물(10)에 설치된 주행레일(1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다.
상기 도 4와 도 5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철골구조물(10)은 수로(100)의 상면에 사각형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철골구조물(10)의 내측으로 이격되게 한 쌍의 주행레일(11)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주행레일(11)을 따라 주행대차(22)가 거더(24)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바퀴(23)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거더(24)의 상면으로 구비되는 횡행레일(21)을 따라 횡행대차(31)가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횡행바퀴(32)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주행대차(22)와 횡행대차(31)가 전후좌우로 이동되면서 다수의 수로(100)에서 하나의 수로(100)를 선택하여 침사를 인양한 후에 호퍼(51)로 배출하고, 상기 호퍼(51)에 배출된 침사는 이송컨베이어(52)에 의해 상기 수로(100)의 외부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 침사 인양장치는 모터(M)와 전동기(412) 및 유압실린더(미도시)의 전원을 단속하여 주행부 및 횡행부와 크레인 인양부의 동작을 직접 조작하는 조작반(60)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직접 조작으로 침사의 인양 및 배출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반(60)에는 주행부 및 횡행부와 크레인 인양부의 동작을 임의로 설정하는 설정부(61)가 구비되고, 상기 설정부(61)에 의해 설정된 동작을 따라 상기 주행부 및 횡행부와 크레인 인양부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부(62)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설정부(61)를 통해 침사 인양장치의 작동을 적절히 설정하면 상기 설정부(61)에 의해 설정된 작동과정에 따라 상기 침사 인양장치가 작동되도록 자동제어부(62)가 모터(M)와 전동기(412) 및 유압실린더(미도시)의 전원을 단속하여 그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양버킷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인양버킷부의 열린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413)가 감기는 시브(422)에 의해 본체(421)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본체(421)의 하부로 좌측버킷(423) 및 우측버킷(424)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측버킷(423)과 우측버킷(424)은 침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오목한 주걱형태의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좌측버킷(423) 및 우측버킷(424)은 서로 맞물려 폐쇄된 상태로 있게 되고, 이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태로 바뀌기 위해 상기 우측버킷(424)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턱(428)이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유압실린더(427)의 로드가 압축 즉 후진되는 것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진된 유압실린더(427)는 돌출턱(428)을 당겨 우측버킷(424)이 본체(421)와 힌지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들어올려져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우측버킷(424)의 벌어짐과 동시에 상기 우측버킷(424)에 링크(429)로 연결된 좌측버킷(423)이 상기 링크(429)에 의해 밀리면서 본체(421)와힌지결합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좌측버킷(423)이 외측으로 들어올려져 벌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좌측버킷(423)과 우측버킷(424)이 유압실린더(427)와 링크(429)에 의해 상호 대칭되게 들어올려짐으로써, 상기 좌측버킷(423)과 우측버킷(424)이 벌어져 개방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좌측버킷(423)과 우측버킷(424)이 벌어진 상태에서 유압실린더(427)의 로드가 전진되면 돌출턱(428)이 밀리면서 링크(429)에 의해 상기 좌측버킷(423)과 우측버킷(424)이 서로 맞물리는 상태로 되어 그 폐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좌측버킷(423)과 우측버킷(424)의 개폐작동으로 일정량의 침사가 일시에 준설되어 인양되면서 인양된 침사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사지의 수로(100)에 모래가 침적되어 누적되면 다수의 상기 수로(100) 중에서 침사의 양에 따라 선별적으로 인양하거나 순차적으로 인양하기 위해 거더(24)의 구비된 횡행레일(21)을 따라 횡행대차(31)가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횡행대차(31)가 수평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수로(100)의 상부에서 정지함으로써, 상기 횡행대차(31)에 연결된 인양버킷부(42)가 상기 수로(100)의 상부에 정지하여 침사를 인양하기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수로(100)의 상면에서 정지한 인양버킷부(42)는 권상기(41)의 작동 즉 전동기(412)에 의해 드럼(411)이 회전되면서 와이어로프(413)가 풀려 개폐작동부(425)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수로(100)의 하면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로(100)의 하면에 개방된 상태로 내려간 인양버킷부(42)는 폐쇄되면서 침사를 움켜잡게 되고, 이와 같이 침사를 움켜잡은 상태에서 권상기(41)에 의해 처음의 위치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인양버킷부(42)가 처음의 위치로 상승된 다음에 주행대차(22)가 철골구조물(10)에 설치된 주행레일(11)을 따라 호퍼(51)의 상부까지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행대차(22)가 호퍼(51)의 상부에서 정지하면 인양버킷부(42)가 개방되면서 인양한 침사를 상기 호퍼(51)로 배출하게 되고, 상기 호퍼(51)에 배출된 침사는 이송컨베이어(52)를 통해 외부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인양 및 배출작업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침사의 양이나 누적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수로(100)에 침전된 침사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평단면도이다.
상기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침사 인양장치는 수로(100)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부(10a)와, 상기 주행부(10a)의 내부에서 횡행으로이동되는 횡행부(20a)와, 상기 수로(100)에 침전된 모래 즉 침사를 인양하는 크레인 인양부(30a)로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 상기 주행부(10a)는 수로(100)의 상면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주행레일(11a)과, 상기 주행레일(11a)에 재치되고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주행바퀴(13a)를 갖는 주행대차(12a)와, 한 쌍의 상기 주행대차(12a)를 상호 결합시키고 일측방이 개방된 철골구조체(14a)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주행부(10a)는 수로(100)를 따라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주행대차(12a)가 이동됨으로써, 상기 수로(100)를 따라 철골구조체(14a)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횡행부(20a)는 횡행레일(21a)을 상면으로 갖고 철골구조체(14a)의 내부 양측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장착되는 거더(22a)와, 상기 횡행레일(21a)에 재치되고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횡행바퀴(24a)를 갖는 횡행대차(23a)와, 상기 거더(22a)의 일단 하부와 상기 철골구조체(14a)의 일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25a)과, 상기 거더(22a)의 하면과 상기 철골구조체(14a)의 내부면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대(26a)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횡행부(20a)는 모터(M)의 구동에 의해 횡행레일(21a)을 따라 주행레일(11a)과 직교되게 철골구조체(14a)의 내부에서 외부로 횡행대차(23a)를 이동함으로써, 상기 횡행대차(23a)에 설치되는 크레인 인양부(30a)를 상기 철골구조체(14a)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5a)과 고정대(26a)는 철골구조체(14a)의 내부에서일측으로 돌출된 거더(22a)를 지지하면서 상기 거더(22a) 자체가 상기 철골구조체(14a)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크레인 인양부(30a)는 횡행대차(23a)에 설치되는 권상기(31a)와, 상기 권상기(31a)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권상기(31a)와 연결되는 인양버킷부(32a)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크레인 인양부(30a)는 횡행대차(23a)에 설치되는 권상기(31a)를 통해 인양버킷부(32a)를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인양버킷부(32a)를 통해 수로(100)에 침전된 모래를 준설하여 인양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침사 인양장치는 주행대차(12a)로 철골구조체(14a)를 수로(1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침사가 있는 곳에 위치한 다음에 횡행대차(23a)로 다수의 수로(100)중에 침사를 인양할 수로(100)로 인양버킷부(32a)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인양버킷부(32a)의 전후 및 좌우의 이동이 완료된 다음에 권상기(31a)를 통해 상기 인양버킷부(32a)를 하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로(100)의 침사를 준설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수로(100)의 침사를 인양버킷부(32a)가 준설하면 처음의 위치로 권상기(31a)에 의해 상승되고 상기 인양버킷부(32a)의 상승이 완료되면 횡행대차(23a)가 상기 인양버킷부(32a)를 철골구조체(14a)의 외부로 이동시켜 준설한 침사를 외부로 인양한 다음에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침사 인양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수로(100)의 하면에 침전된 모래를 그 누적에 관계없이 손쉽게 인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침사의 누적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침사를 일시에 인양하여 반출되도록 함으로써, 침사의 누적에 의한 기기의 손상 및 파손과 과도한 부하의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고 안정적이면서 원활한 침사의 인양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부가 간단하면서 견고한 구조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주행부의 제작 및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지고 제작 및 설치가 단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횡행부가 안정적이면서 간단한 구조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횡행부의 제작 및 설치가 단시간에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권상기가 간단한 구조이면서 안정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권상기의 제작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인양버킷부의 상하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버킷부가 간단한 구조이면서 침사의 정밀한 인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인양버킷부의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고 정밀한 작동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버킷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인양버킷부의 보다 안정적인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버킷부의 개폐작동이 간단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침사의 인양률이 현저히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된 침사에 포함된 물이 적절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물의 인양이 방지되고 침사만이 대량으로 인양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된 침사가 외부로 적절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침사의 인양 및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침사의 제거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침사배출부가 간단하면서 작동이 손쉬운 구조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침사배출부의 제작 및 설치가 빠른 시간 안에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직접 작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동 조작으로 인한 침사 인양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기의 작동에 대한 설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이 설정에 의한 기기의 제어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침사의 자동배출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주기적이고 연속적인 가동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6)

  1. 하수처리장 및 중계펌프장에 구비된 침사지의 수로(100)에 설치되는 침사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로(100)를 따라 내측으로 이격된 한 쌍의 주행레일(11)이 구비되는 철골구조물(10)과;
    상기 주행레일(11)에 재치되어 상기 주행레일(1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고, 상기 주행레일(1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횡행레일(21)이 구비되는 주행부(20)와;
    상기 횡행레일(21)에 재치되어 상기 횡행레일(21)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횡행부(30)와;
    상기 횡행부(30)에 설치되는 권상기(41)와, 상기 권상기(41)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권상기(41)와 연결되는 인양버킷부(42)로 구성되어 상기 수로(100)의 침사를 준설하여 인양하는 크레인 인양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2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주행바퀴(23)를 갖고 각각의 상기 주행레일(11)에 재치되도록 한 쌍으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주행대차(22)와, 상기 주행대차(22)가 상호 결합되도록 그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횡행레일(21)이 상면에 설치되는 거더(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행부(30)는, 상기 횡행레일(21)에 재치되는 횡행대차(31)와, 상기 횡행레일(21)의 상면에 맞닿고 상기 횡행대차(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횡행바퀴(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41)는, 상기 횡행대차(31)에 설치되는 드럼(411)과, 상기 드럼(411)을 구동하는 전동기(412)와, 상기 전동기(412)의 구동에 의해 상기 드럼(411)에 감기거나 풀리고 상기 인양버킷부(42)와 연결되는 와이어로프(4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버킷부(42)는, 상기 와이어로프(413)가 감기는 시브(422)를 상면에 갖는 본체(421)와, 상기 본체(421)의 하부에 상단이 힌지결합되고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는 좌측버킷(423) 및 우측버킷(424)과, 상기 좌측버킷(423) 및 우측버킷(424)이 개폐되도록 상기 본체(421)에 설치되는 개폐작동부(4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413)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상기 드럼(411)과 와이어로프(413)는 상기 인양버킷부(42)와 한 쌍으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작동부(425)는, 상기 본체(421)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427)와, 상기 우측버킷(424)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부 끝단이 상기 유압실린더(427)의 로드 끝단과 힌지결합되는 돌출턱(428)과, 상기 돌출턱(428)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좌측버킷(423)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는 링크(42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버킷(423) 및 우측버킷(424)의 측면으로 내부와 관통되는 다수의 배수통공(42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양버킷부(42)에 의해 인양된 침사가 배출되도록 상기 철골구조물(10)의 내측으로 상기 수로(100)의 상면에 침사배출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배출부(50)는, 상기 인양버킷부(42)에 의해 인양되어 배출되는 침사를 포집하는 호퍼(51)와, 상기 호퍼(51)에 포집된 침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호퍼(51)의 하부에서 상기 수로(100)의 외부로 구비되는 이송컨베이어(52)와, 상기 이송컨베이어(52)의 하면과 상기 수로(100)의 상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전동기(412) 및 유압실린더(427)의 전원을 단속하여 상기 주행부(20) 및 횡행부(30)와 크레인 인양부(40)의 동작을 직접 조작하는 조작반(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반(60)에는 상기 주행부(20) 및 횡행부(30)와 크레인 인양부(40)의 동작을 임의로 설정하는 설정부(61)가 구비되고, 상기 설정부(61)에 의해 설정된 동작을 따라 상기 주행부(20) 및 횡행부(30)와 크레인 인양부(40)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자동제어부(6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13. 하수처리장 및 중계펌프장에 구비된 침사지의 수로(100)에 설치되는 침사 인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100)의 상면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는 주행레일(11a)을 따라 이동되고 일측방이 개방된 주행부(10a)와;
    상기 주행부(10a)의 내부에서 개방된 일측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횡행레일(21a)을 따라 이동되는 횡행부(20a)와;
    상기 횡행부(20a)에 설치되는 권상기(31a)와, 상기 권상기(31a)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권상기(31a)와 연결되는 인양버킷부(32a)로 구성되어 상기 수로(100)의 침사를 준설하여 인양하는 크레인 인양부(30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10a)는, 상기 주행레일(11a)에 각각 재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주행바퀴(13a)를 갖는 주행대차(12a)와, 한 쌍의 상기 주행대차(12a)를 상호 결합시키고 일측방이 개방된 철골구조체(14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횡행부(20a)는, 상기 횡행레일(21a)이 상면에 설치되도록 상기 철골구조체(14a)의 내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거더(22a)와, 상기 횡행레일(21a)에 재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횡행바퀴(24a)를 갖는 횡행대차(23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구조체(14a)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기 거더(22a)가 지지되도록 상기 거더(22a)의 일단 하부와 상기 철골구조체(14a)의 일측면 사이에 지지프레임(25a)이 구비되고, 상기 철골구조체(14a)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거더(22a)가 지지되도록 상기 거더(22a)의 하면과 상기 철골구조체(14a)의 내부면 사이에 고정대(26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KR1020040015068A 2004-03-05 2004-03-05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KR10043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068A KR100438661B1 (ko) 2004-03-05 2004-03-05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068A KR100438661B1 (ko) 2004-03-05 2004-03-05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8661B1 true KR100438661B1 (ko) 2004-07-03

Family

ID=3734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068A KR100438661B1 (ko) 2004-03-05 2004-03-05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66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710B1 (ko) 2012-10-04 2014-10-07 송종현 준설선용 버킷 구동장치
KR101549928B1 (ko) 2013-12-23 2015-09-03 주식회사 포스코 시험용 소결광 이송 장치
CN109518589A (zh) * 2018-10-16 2019-03-26 叙镇铁路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市政工程交通事故应急处理装置及方法
CN109701300A (zh) * 2019-02-25 2019-05-03 中铁十六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沉淀池泥浆清理装置
CN111945814A (zh) * 2020-08-28 2020-11-17 章登辉 固定轨道式码头航道清淤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710B1 (ko) 2012-10-04 2014-10-07 송종현 준설선용 버킷 구동장치
KR101549928B1 (ko) 2013-12-23 2015-09-03 주식회사 포스코 시험용 소결광 이송 장치
CN109518589A (zh) * 2018-10-16 2019-03-26 叙镇铁路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市政工程交通事故应急处理装置及方法
CN109518589B (zh) * 2018-10-16 2021-03-23 叙镇铁路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bim技术的市政工程交通事故应急处理装置及方法
CN109701300A (zh) * 2019-02-25 2019-05-03 中铁十六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沉淀池泥浆清理装置
CN109701300B (zh) * 2019-02-25 2024-02-13 中铁十六局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沉淀池泥浆清理装置
CN111945814A (zh) * 2020-08-28 2020-11-17 章登辉 固定轨道式码头航道清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661B1 (ko)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KR100646158B1 (ko) 펌프장 협잡물 처리장치
CN217391671U (zh) 一种含碳酸钙废水沉淀池的污泥清掏装置
KR890002197Y1 (ko) 이동식 침사 인양장치
KR200201940Y1 (ko) 오니 제거기
CN215364536U (zh) 一种通沟污泥分体式液压双瓣抓斗
JPS6313767Y2 (ko)
CN110593342A (zh) 一种带清污导槽的清污机
KR101059390B1 (ko) 주행대차식 체인버켓 침사인양기
JPH0534726Y2 (ko)
CN219260939U (zh) 一种带偏心液压耙斗的单轨多功能清污机
KR960003947Y1 (ko) 수몰식 로프 견인형 오니 제거장치
CN215465118U (zh) 一种洗砂平台的升降式洗砂装置
CN214653212U (zh) 物料转运装置和作业机械
JPS64969Y2 (ko)
JPS63119812A (ja) 揚砂装置
JPS625065Y2 (ko)
KR910005067Y1 (ko) 준설기의 준설장치
JPH062723Y2 (ja) 沈砂掻揚装置
JPS5835288Y2 (ja) 屈曲自在なる掻揚ガイドフレ−ムを具備した沈砂掻揚機
JPS625205Y2 (ko)
KR900002983Y1 (ko)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장치
KR0184989B1 (ko) 권양기용 버켓장치
JPS6034704A (ja) 沈砂掻揚機
JPH042984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