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983Y1 -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983Y1
KR900002983Y1 KR2019870012017U KR870012017U KR900002983Y1 KR 900002983 Y1 KR900002983 Y1 KR 900002983Y1 KR 2019870012017 U KR2019870012017 U KR 2019870012017U KR 870012017 U KR870012017 U KR 870012017U KR 900002983 Y1 KR900002983 Y1 KR 900002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s
rake
stagnation
trolle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2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287U (ko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장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장락순 filed Critical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2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983Y1/ko
Publication of KR8900022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2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9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55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거장치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 제거장치의 작용도로서, 제4도는 레이크 대차가 상승되는 과정에서 그 레이크암의 제거판에 의하여 걷어올려지는 정체물이 스크레이퍼에 제제거되는 상태를 보인 작용도.
제5도는 상승된 레이크 대차의 레이크암이 소정높이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하강되는 과정을 보인 작용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레이크 대차의 승강에 따른 방향전환 과정을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침사지 2 : 스크린
10 : 구동부 12, 14' : 와이어 로우프
15, 15' : 드럼 21, 21', 22, 22' : 가이드레일
23, 23' : 상승레일 24, 24' : 하강레일
25, 25', 26, 26' : 방향전환레일 27, 27', 28, 28' : 방향전환판
30 : 레이크 대차 31, 31' : 기준대차
32 : 밸런스 웨이트 34 : 대차본체
34c, 34c' : 회동간 34d, 34d' : 차륜
본 고안은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스크린바에 걸려 통수의 장애요인이 되는 각종 정체물을 걷어올리는 정체물 자동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크가 구비된 대차를 드럼에 권취되는 와이어 로우프로 승강시킴과 아울러 반복적으로 승강되는 레이크 대차가 하강레일을 따라 회전 하강되게 하여 레이크에 걸린 각종 정체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침사지의 스크린바에 걸린 정체물을 제거하는 제거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그 대표적인 종래의 제거 장치로서는 상·하체인 스프로켓 사이에 걸쳐 엔드레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링크체인에 레이크 구조물을 연결 설치하고, 그 링크체인을 따라 일정방향으로 회전되는 레이크로써 스크린에 채집된 정체물을 제거하는 방식의 제거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체인 구동식 레이크에 의한 제거장치에 있어서는 장치 본체의 상·하단부에 설치되는 각 스프로켓이 켄틸레버형 축받침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고, 이들 상·하 스프로켓 사이에 걸쳐 연결되는 링크체인이 중간축의 개재하여 2열로 설치되는 복잡한 동력 전달구조를 가지로 있으므로, 양측 켄틸레버형 축받침에 핀하중이 작용되는 불안정한 지지구조를 갖게되고 부싱의 마모가 심할뿐만 아니라, 대차용 가이드레일의 제작 및 설치가 복잡하며 제작후의 변형이 쉽게 발생되고, 대차의 이동시 레일과 차륜간의 간섭부분이 많아 과부하로 인한 체인의 파단과 체인 자체의 부식 및 마모에 따른 잦은 교체 및 조정작업이 소요됨과 아울러, 수중에 설치된 체인, 스프로켓, 축받침 및 부싱등의 보수가 거의 불가능한 등의 단점과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단점 및 문제점을 갖지 않는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레이크가 구비된 대차를 일단이 밸런스 웨이트에 의하여 견인되고 그 중간부가 드럼에 권회되는 와이어 로우프로 왕복 승강이동 시킴으로써 경량화된 레이크 대차를 적은 동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하고, 왕복 승강되는 레이크 대차 및 그 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채널타입형강제를 사용하여 변형 요인을 최소화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승된 레이크 대차의 하강시에는 하강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레이크암이 소정폭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이동되게 하여 스크린에 걸린 수중의 정체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걷어올릴 수 있게한 것인 바,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침사지용 정체물 제거장치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인 전체 사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그 정면도 및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제거장치는 각 단위 침사지(1)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구동부(10)와, 그 상측구동부(10)와 침사지(1) 내부 사이에 걸쳐 소정경사도를 가지고 설치되는 이송안내부(20) 및 상기 구동부(1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10)의 구동에 의하여 이송안내부(20)를 따라 승강 이동되며 침사지(1)의 경사 스크린(2)에 걸린 각종 정체물(A)을 걷어올리는 레이크 대차(30)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동부(10)에는 구동모우터(11)에 의하여 회전되는 체인 스프로켓(12)이 회전축(13)의 중간부에 설치되고 그 회전축(13)의 양단부에는 와이어 로우프(14) (14')가 권회되는 드럼(15) (1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된 구동부(10)은 침사지(1)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이송안내부(20)는 레이크 대차(30) 양측의 기준 대차(31) (31')에 설치된 전·후 차륜(31a) (31'a)이 각기 안내되는 좌·우 대차 가이드레일(21) (21')과 밸런스 웨이트(32)의 양측 차륜(32a) (32a')이 안내되는 밸런스 웨이트 가이드레일(22) (22')이 침사지(1)의 양측벽(1a) (1a') 사이에 걸쳐 일정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가이드레일(21) (21') (22) (22')을 따라 상·하로 이송되는 레이크 대차(30)와 밸런스 웨이트(32)는 상기 드럼(15) (15')에 권회되는 각 와이어 로우프(14) (14')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있어 구동모우터(11)의 정 또는 역회전에 의하여 연동되는 드럼(15) (15')의 회전에 따라 레이크 대차(30)와 밸런스 웨이트(32)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좌·우 대차 가이드레일(21) (21')의 후측 즉, 침사지(1)의 상측벽과 바닥면 사이에 걸쳐 설치되는 스크린(2)과 그 스크린(2)의 전방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양측 대차 가이드레일(21) (21')의 사이에는 별개의 레이크 상승 레일(23) (23')과 레이크 하강 레일(24) (24')이 각기 설치되어 있고,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는 상승, 하강레일(23) (24), (23') (24')의 상·하단부가 소정 경사도를 가지는 방향전환레일(25) (25') (26) (26')에 의하여 상호 연통되어 있으며, 이들 상. 하 방향 전환레일(25) (25') (26) (26')의 내측에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크기의 방향전환판(27) (27') (28) (28')이 축핀(27a) (28a)으로 각기 유착되어 있고 각 축핀(27a) (28a)의 외측단부 일측에는 중량추(27b) (28b)가 설치되어 있어, 이들 각 중량추(27b) (28b)가 가지는 자중에 의하여 각 상·하 방향전환판(27) (27') (28) (2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자유단이 상기 상·하 방향전환레일(25) (25'), (26) (26')의 외측 경사면부 내면에 각기 접촉되어 있다.
한편, 이와같이된 이송안내부(20)을 따라 승강되는 레이크대차(30)는 상기한 기준대차(31) (31')의 사이에 걸쳐 연결설치된 횡축(33)에 구형(矩形) 레이크 대차 본체(34)의 양측 지지프레임(34a) (34a') 중간부가 유착되어 있어 레이크 대차 본체(34)가 횡축(33)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그 대차 본체(34)의 하측 프레임(34b)에는 제거판(35)이 하단에 구비된 절곡 레이크암(36) (36')의 상단부가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크 대차본체(34)의 양측 지지프레임(34a) (34a') 상단에는 소정형상으로 절곡된 회동간(34c) (34c')이 각기 연장 형성되어 있어 각 회동간(34c) (34c')의 외측단부 설치된 차륜(34d) (34d')이 상기한 이송 안내부(20)의 상승레일(23) (23') 및 하강레일(24) (24')을 따라 승강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양측 가이드 레일(21) (21')의 중간부 사이에는 상향 이동되는 레이크 대차(30)이 제거판(35)에 걸린 정체물(A)을 걷어내는 공지 형태의 스크레이퍼(37)가 설치되어 있어 그 스크레이퍼(37)의 양측 지지간(37a) (37a')이 가이드레일(21) (21')의 외면에 설치된 회전축(37b) (37b')에 각기 연결 되어 있고 이들 회전축(37b) (37b')에는 중량추(37c) (37c')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같이 설치되는 스크레이프(37)의 하측에는 그 스크레이프(37)에 의하여 낙하되는 정체물(A)을 침사지(1)의 외부로 이송배출시키는 벨트 컨베이어(38)가 침사지(1)의 상부에 그 폭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9 및 39'는 왕복 승강되는 레이크 대차(30) 및 밸런스 웨이트(31)가 최상의 위치에 도달하면 구동모우터(11)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그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전환시킬 수 있게 하는 리미트 스위치를 각기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동 상태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도 내지 제3도에서는 상기 이송안내부(20)를 따라 승강되는 레이크 대차(30)가 하강되어 스크린(2)에 걸린 정체물(A)을 걷어올리기 직전의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때에는 레이크 대차 본체(34)의 양측 지지프레임(34a) (34a')이 대차 가이드레일(21) (21')을 따라 이동되는 기준대차(31) (31')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프레임(34a) (34a')의 상단에 연장 형성된 절곡 회동간(34c) (34c')의 차륜(34b) (34b')이 상기 상승레일(23) (23')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어, 대차본체(34)의 하측프레임(34b)에 설치된 레이크암(36) (36')의 선단 및 그 제거판(35)이 스크린(2)의 하단에 인접되어 그 제거판(35)에 스크린(2)에 걸린 정체물(A)이 실린 상태에 있으며, 또한 상기 상·하방향 전환레일(25) (25'), (26) (26')부에 설치된 각 방향전환판(27) (27'), (28) (28')의 자유단이 전환레일(25) (25'), (26) (26')의 경사면부에 접촉지지되어 있어 각 전환레일(25) (25'), (26) (26')의 진입부분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구동모우터(11)가 정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 양측 드럼(15) (15')이 각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레이크 대차(3) 양측의 기준대차(31) (31')에 연결된 와이어 로우프(14) (14')를 끌어당기게 되므로, 레이크대차(30) 즉, 그 기준대차(31) (31')와 레이크 대차본체(34) 및 레이크암(36) (36') 이 함께 상승하며 그 레이크암(36) (36')의 제거판(35)에 실린 정체물(A)을 상측으로 걷어올리게 됨과 아울러, 와이어 로우프(14) (14')의 타단에 연결된 밸런스 웨이트(32)는 가이드레일(22) (22')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되는 레이크 대차(30)는 그 기준대차(31) (31')의 차륜(31d) (31d')이 대차 가이드레일(21) (21')을 따라 이동되고 그와함께 상승되는 레이크 대차 본체(34)는 그 양측 지지프레임(34a) (34a')에 연장형성된 회동간(34c) (34c')의 차륜(34d) (34d')이 상승레일(23) (23')을 따라 이동되므로 레이크암(36) (36') 및 그 제거판(35)은 상기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크린(2)에 대한 평행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승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상승되는 레이크대차(30)가 제4도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각 레일(21) (21') (23) (23')의 중간부에 이르게 되면 상승되는 레이크암(36) (36') 단부의 제거판(35)이 좌·우 하강레일(24) (24')의 사이에 설치된 스크레이퍼(37)의 내측프레임 하측단부에 접촉하게 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제거판(35)의 상승동작은 계속되므로, 그 스크레이퍼(37)는 축(37b) (37b')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되며 제거판(35)상에 실려있는 정체물(A)을 후방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에따라 제거판(35)으로부터 낙하되는 정체물(A)은 하부에 설치된 벨트 컨베이어(38)에 의하여 침사지(1)의 밖으로 이송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정체물(A)이 제건된 레이크 대차(30)가 점차 상승되어 그 회동간(34c) (34c')이 상승레일(23) (23')의 상단에 경사방향으로 설치된 의 차륜(34d) (34d')의 진로가 방향전환레일(25) (25')의 외측 경사면에 접촉 안내되어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제6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상태에 있던 상측 방향전환레일(27) (27')은 그 축핀(28a)에 설치된 중량추(27b)의 자중에 의하여 본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회동간(34c) (34c')의 선단부간 리미트스위치(30)에 접촉됨에 따라 모우터(11)의 구동이 일시정지되며 이어 수초후 모우터(11)의 역방향 구동이 개시된다.
이와같은 모우터(11)의 역방향 구동에 의하여 드럼(15) (1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동간(34c) (34c')의 차륜(34d) (34d')은 하강레일(24) (24')을 따라 하강하게 되므로, 레이크대차(30) 및 그 레이크암(36) (36')은 상기와 같은 회전상태를 유지한채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강하게 되고, 이어 그 회동간(34c) (34c')이 치륜(34d) (34d')이 하강레일(24) (24') 하단의 방향전환레일(26) (26')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한 레일크 대차(30)의 상승시와 같은 작용으로 그 방향전환판(28) (28')을 밀치고 상승레일(23)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와같이 쳐들려진 레이크암(36) (36') 및 제거판(35)이 상승레일(23) (23') 하단의 연장단부에 도달하여 수중에 잠김과 동시에 상기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회전 복원되므로 그 제거판(35)으로써 스크린(2)에 걸린 각종 정체물(A)을 보다 효율적으로 거두어들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같은 상태에서 밸런스 웨이트 가이드레일(22) (22')을 따라 상승된 밸런스 웨이트(32)가 최상위치로 상승되어 구동부(10) 하단에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39')를 동작시키게 됨에 따라 모우터(11)의 역방향 구동이 정지되고, 곧이어 모우터(11)의 정회전이 재게되므로 상기한 바와같은 레이크대차(30)의 상승 작동 및 이에 따른 정체물(A)이 원활한 제거 작용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한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장치는 침사지용 스크린의 설치방향을 따라 평행 하게 설치되는 전·후 가이드레일에 밸런스 웨이트와 레이크차를 각각 설치하고 이를 드럼에 권회되는 와이어 로우프의 양단에 각기 연결하여, 단일구동모우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연동되는 드럼의 회전력으로 레이크 대차가 원활히 승강이동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이와같이 승강되는 대차 본체에 연장 형성한 회동간의 차륜 상·하 방향 전환레일로 연결된 승강 레일을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되게 함으로써 레이크 대차의 하강시에는 레이크암 및 그 제거판을 소정높이로 들어올릴 수 있게 구성한 것이므로, 레이크 대차와 이송부 및 구동부의 제작이 간단하고, 경량화된 레이크 대차를 적은 동력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되어, 저렴한 제작비용으로 유지보수가 간편한 침사지용 정체물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될 뿐만 아니라, 장치의 반복 사용에 따른 변형요인을 최소화하여 그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스크린에 걸린 각종 정체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침사지(1)의 경사 스크린(2)에 걸린 정체물을 제거하는 침사지용 정체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의 전방과 상측 구동부(10) 사이에 걸쳐 평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1) (21'), (22) (22')에 구동부(10)의 드럼(15) (15')에 권회되는 와이어 로우프(14) (14')에 의하여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는 레이크 대차(30)와 밸런스 웨이트(32)를 각기 설치하여, 레이크암(36) (36') 및 제거판(35)이 구비된 레이크대차본체(34)가 상기 가이드레일(21) (21')을 따라 이동되는 기준대차(31) (31') 사이의 횡축(33)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가이드레일(21) (21')의 후측에는 대차본체(34)의 양측 지지프레임에 연장 형성한 절곡 회동간(34c) (34c')의 차륜(34d) (34d')이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될 수 있는 상승레일(23) (23')과 하강레일(24) (24')을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레일(23) (23')가 하강레일(24) (24')의 상·하단부 사이에는 방향전환판(27) (27'), (28) (28')이 구비된 경사방향 전환레일(25) (25'), (26) (26')이 연결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 장치.
KR2019870012017U 1987-07-23 1987-07-23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장치 KR900002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017U KR900002983Y1 (ko) 1987-07-23 1987-07-23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017U KR900002983Y1 (ko) 1987-07-23 1987-07-23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287U KR890002287U (ko) 1989-03-28
KR900002983Y1 true KR900002983Y1 (ko) 1990-04-10

Family

ID=1926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2017U KR900002983Y1 (ko) 1987-07-23 1987-07-23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9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813B1 (ko) * 1999-04-13 2002-01-18 강호석 제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287U (ko) 198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3901B1 (ko) 스컴제거장치
KR900002983Y1 (ko) 하수처리용 침사지의 정체물 제거장치
EP0076240A1 (en) Arrangement of extended sedimentation basins
CN115404932A (zh) 一种清污设备
CN113023568A (zh) 一种电动单梁悬挂桥式起重机
KR100438661B1 (ko) 크레인형 침사 인양장치
KR930002433Y1 (ko) 수몰식 로프견인형 오니 제거장치
KR940003173Y1 (ko) 체인 후라이트식 오니 제거장치
JPH10128011A (ja) 汚泥掻寄機
JPS625065Y2 (ko)
KR0121747Y1 (ko) 침전지의 오니 제거장치
KR960007011Y1 (ko) 침사지의 침사 인양기
CN217828988U (zh) 桁车刮泥机
KR960003947Y1 (ko) 수몰식 로프 견인형 오니 제거장치
KR930000023Y1 (ko) 수몰식 로우프견인형 오니 제거장치
JPH0319922Y2 (ko)
JPS6313768Y2 (ko)
KR890002197Y1 (ko) 이동식 침사 인양장치
JPS6345844B2 (ko)
KR840001949Y1 (ko) 수몰식 로오프 견인형 오니 제거장치
JPS6384609A (ja) 沈砂掻揚機
JPH062722Y2 (ja) 沈砂掻揚装置
JPS625205Y2 (ko)
JPS6313769Y2 (ko)
KR960007010Y1 (ko) 수몰식 로프 견인형 오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1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