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040B1 -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 Google Patents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040B1
KR101486040B1 KR1020140055521A KR20140055521A KR101486040B1 KR 101486040 B1 KR101486040 B1 KR 101486040B1 KR 1020140055521 A KR1020140055521 A KR 1020140055521A KR 20140055521 A KR20140055521 A KR 20140055521A KR 101486040 B1 KR101486040 B1 KR 10148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or
main body
pulley
pane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헌
윤현주
손희묵
Original Assignee
박만헌
윤현주
주식회사 제일토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헌, 윤현주, 주식회사 제일토목 filed Critical 박만헌
Priority to KR1020140055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설치되고 부유물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차집관거 내부로 삽입되는 벨트컨베이어; 및 차집관거 내부의 부유물을 수거하여 상기 수납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되는 버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CARAVAN DISPOSAL EQUIPMENT FOR FLOATING MATTER IN GATHERING DRAINAGE BOX AND DISPOSAL METHOD USING THAT}
본 발명은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가 통과되는 차집관거 내부에 부유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차집관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제거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집관거는 평상시 가정에서 나오는 하수와 우천으로 인한 우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흘려 보내는 관로를 말하는 것이다.
또한, 합류식 하수관로(Combined Sewer Overflow)는 우수와 하수가 합류하여 흐르는 하수관로를 말하며, 평상시 합류식 하수관거에 유입된 하수는 차집관거를 통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분리되어 처리되나, 우천 시에는 우수가 유입되어 기존 하수와 함께 희석된 오염물질이 하천으로 흐르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종래에 알려진 합류식 하수관로는, 내부에 구비되어 하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배출하게 되는 차집관거를 포함하며, 일측 벽에는 우수가 유입되도록 유입부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 벽에는 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우수를 하천으로 방류할 수 있도록 수문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유입부는 합류식 하수관로의 일측 벽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로 구성되며, 각각의 홀에는 평상시 가정에서 나오는 하수가 차집관거로 유입되도록 차집관거와 연결되는 하수관이 구비되며, 나머지 홀에는 우천으로 인한 우수가 합류식 하수관로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도어를 포함한 우수관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비가 내릴 경우에는, 우수관을 통해 합류식 하수관로로 초기우수가 유입되어 월류하면서 타측 벽에 구비된 수문을 열고 하천으로 유입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1790호(2007년 12월 4일 공고, 발명의 명칭 : 하수 배출장치가 구비된 합류식 하수관로)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차집관거에는 하수의 수면에 부유되는 이물질이 체류하게 되는데, 차집관거로부터 부유물을 제거하는 방법은 작업자가 차집관거 내부로 투입되어 직접 부유물을 제거하므로 차집관거 내부의 부유물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렵고,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하수가 통과되는 차집관거 내부에 부유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차집관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제거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설치되고 부유물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차집관거 내부로 삽입되는 벨트컨베이어; 및 차집관거 내부의 부유물을 수거하여 상기 수납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되는 버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는, 차집관거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가 통과되는 홀부를 이루는 지지프레임; 상기 벨트컨베이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을 통하여 차집관거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가이드패널;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도어; 상기 벨트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부유물을 상기 도어 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도어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수분은 통과시키는 통과홀부가 구비되는 제1경사패널; 상기 제1경사패널로부터 떨어지는 수분을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배수관 측으로 안내하는 제2경사패널; 및 상기 본체가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에 설치되고 지면 측으로 로드가 출몰되어 상기 바퀴가 지면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본체를 상승시키는 고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벨트컨베이어는,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축에 의해 차집관거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주동풀리; 상기 지지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주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감기고 복수 개의 상기 버킷이 연속되게 설치되는 체인; 및 상기 주동풀리에 동력을 제공하는 수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거구동부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벨트에 의해 상기 주동풀리에 전달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작동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차집관거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차집관거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가이드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차집관거 측으로 가압하는 승강실린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승강드럼; 및 상기 승강드럼에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설치되고 부유물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차집관거 내부로 삽입되는 회수관; 및 차집관거 내부의 부유물을 수거하여 상기 수납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회수관에 설치되는 스크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수관에는 상기 회수관을 관통하는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상기 스크루가 설치되며, 상기 회수관에는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는 주동풀리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주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종동풀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배수홀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버킷이 순환되도록 설치되는 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된 본체를 차집관거에 대향되게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이동시켜 차집관거 내부로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구동시켜 순환되는 상기 버킷에 의해 차집관거 내부의 부유물을 상기 본체의 수납부에 수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은, 작업자가 차집관거 내부에 들어가지 않고 벨트컨베이어의 구동에 의해 부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차집관거 내의 부유물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자가 차집관거 내부로 떨어지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은, 제거장치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하나의 제거장치를 활용하여 다양한 지역에 위치하는 차집관거로부터 부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차집관거 내 부유물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의 버킷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의 회수관 및 구동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의 버킷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는,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18)가 설치되고 부유물이 수납되는 수납부(12)가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 설치되고 차집관거 내부로 삽입되는 벨트컨베이어(30)와, 차집관거 내부의 부유물을 수거하여 수납부(12)로 배출시키도록 벨트컨베이어(30)에 설치되는 버킷(36)을 포함한다.
차집관거의 내부에는 하수의 수면에 부유되는 이물질, 즉 부유물이 다량 존재하게 되는데, 작업자는 본체(10)를 이동시켜 벨트컨베이어(30)가 차집관로에 대향되게 배치시킨 후에 벨트컨베이어(30)를 구동시켜 다수 개의 버킷(36)이 차수관거 내부 및 외부를 순환하게 한다.
따라서 차집관거 내부의 부유물은 순환하는 버킷(36)에 의해 수거되어 본체(10)의 수납부(12)에 수납되면서 차집관거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작업자가 직접 차집관거 내부로 들어가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다수 개의 버킷(36)이 연속적으로 순환하면서 부유물을 제거하므로 부유물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체(10)는, 차집관거 측으로 연장되고 벨트컨베이어(30)가 통과되는 홀부를 이루는 지지프레임(17)과, 벨트컨베이어(30)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지지프레임(17)을 통하여 차집관거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부(15a)가 형성되는 가이드패널(15)과, 수납부(12)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구비되는 도어(12a)와, 벨트컨베이어(30)에서 떨어지는 부유물을 도어(12a) 측으로 안내하도록 도어(12a)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수분은 통과시키는 통과홀부(14a)가 구비되는 제1경사패널(14)과, 제1경사패널(14)로부터 떨어지는 수분을 본체(10)에 구비되는 배수관(16a) 측으로 안내하는 제2경사패널(16)과, 본체(10)가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9)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의 박스 모양으로 형성되고, 지지프레임(17)이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홀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본체(10)의 상단으로부터 양측 단부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가이드패널(15)을 이루게 된다.
한 쌍의 가이드패널(15) 내벽에는 서로 대향되게 가이드홈부(15a)가 형성되며, 가이드홈부(15a)는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회전축(32c) 및 지지축(3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홈부(15a)의 전방 측 단부는 차집관거 측으로, 즉 하측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며 굴곡되므로 회전축(32c) 및 지지축(33)이 가이드홈부(15a)를 따라 본체(10)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벨트컨베이어(30)의 전단부가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벨트컨베이어(30)가 차집관거 내부로 삽입되는 작동을 행하게 된다.
제1경사패널(14)은 본체(10)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다수 개의 통과홀부(14a)가 형성되므로 버킷(36)에 의해 수납부(12) 내부로 떨어지는 부유물은 제1경사패널(14)을 따라 도어(12a)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부유물 중에 포함되는 수분은 통과홀부(14a)를 따라 제2경사패널(16) 측으로 떨어지게 된다.
제2경사패널(16)은 본체(10)의 전방, 즉 배수관(16a) 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제1경사패널(14)을 통과하여 떨어지는 수분은 제2경사패널(16)을 따라 배수관(16a) 측으로 이동된 후에 배수관(16a)을 따라 본체(10) 외측으로 배출되어 다시 차집관거 측으로 유입된다.
가이드홈부(15a)와 회전축(32c) 및 지지축(33) 사이의 착탈구조 또는 연결구조는, 벨트컨베이어(30)의 전방 측 단부에 설치되는 지지축(33) 및 회전축(32c)이 가이드홈부(15a)로부터 이탈된 후에 다시 가이드홈부(15a) 내부로 복귀될 수 있도록 별도의 가이드부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19)는,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널(19a)과, 고정패널(19a)에 설치되고 지면 측으로 로드가 출몰되어 바퀴(18)가 지면으로 떨어지도록 본체(10)를 상승시키는 고정실린더(19b)를 포함한다.
고정패널(19a)은 본체(10)의 양측면 모서리 측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4개의 고정패널(19a)이 형성되고, 고정패널(19a)에 고정실린더(19b)가 설치되며, 고정실린더(19b)로부터 돌출되는 로드는 지면으로 연장되고, 로드의 단부에는 지면에 밀착되는 밀착플레이트가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실린더(19b)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면 밀착플레이트가 지면을 가압하면서 본체(10)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바퀴(18)와 지면 사이에 간격이 생성되면서 본체(10)가 이동되지 않는 상태로 고정되어 안정적인 부유물 제거작동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벨트컨베이어(30)는, 가이드홈부(15a)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축(33)에 의해 차집관거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32)와, 지지대(32)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32c)에 설치되는 주동풀리(32a)와, 지지대(32)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32c)에 설치되는 종동풀리(32b)와, 주동풀리(32a)와 종동풀리(32b)에 감기고 복수 개의 버킷(36)이 연속되게 설치되는 체인(34)과, 주동풀리(32a)에 동력을 제공하는 수거구동부(38)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대(32)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지지대(32)의 전방측 단부 및 후방측 단부를 연결하도록 회전축(32c) 및 지지축(33)이 설치되어 가이드홈부(15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32c)에는 주동풀리(32a) 및 종동풀리(32b)가 설치되고, 주동풀리(32a)와 종동풀리(32b)를 감싸도록 체인(34)이 설치되며, 체인(34)에는 다수 개의 버킷(36)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수거구동부(38)는, 지지대(32)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8a)와, 구동모터(38a)의 동력을 벨트에 의해 주동풀리(32a)에 전달하도록 회전축(32c)에 설치되는 작동풀리(38b)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8a)의 동력이 벨트에 의해 작동풀리(38b)에 전달되면 회전축(32c)을 따라 동력이 주동풀리(32a)에 전달되고, 주동풀리(32a)가 회전되면 체인(34)이 주동풀리(32a)와 종동풀리(32b) 사이를 순환하면서 다수 개의 버킷(36)을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차집관거 내부로 삽입된 벨트컨베이어(30)로부터 부유물을 수거하여 수납부(12)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벨트컨베이어(30)를 차집관거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벨트컨베이어(30)를 차집관거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50)를 더 포함하므로 와이어(58)를 당겨 벨트컨베이어(30)를 본체(10) 상부로 이동시킨 후에 고정실린더(19b) 내부로 로드를 삽입하여 바퀴(18)의 구동으로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승강구동부(50)는, 가이드패널(15)에 설치되고 회전축(32c)을 차집관거 측으로 가압하는 승강실린더(52)와, 회전축(32c)에 연결되는 와이어(58)와, 와이어(58)가 권취되도록 본체(10)에 설치되는 승강드럼(56)과, 승강드럼(56)에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54)를 포함한다.
벨트컨베이어(30)의 후방측 단부에 구비되는 회전축(32c)에는 와이어(58)가 연결되는 롤러가 설치되고, 승강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58)가 당겨지면 벨트컨베이어(30)가 가이드패널(15)과 수평을 이루도록 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벨트컨베이어(30)를 차집관거 측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승강모터(54)에 전원을 차단하여 회전축(32c) 및 지지축(33)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변환시킨 후에 승강실린더(52)로부터 로드를 돌출시키면 회전축(32c)이 로드에 의해 가압되면서 가이드홈부(15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후에, 벨트컨베이어(30)의 전방측 단부가 지지플레이트를 지나 하측으로 배치되면 벨트컨베이어(30)의 자중에 의해 차집관거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벨트컨베이어(30)의 후방측 단부에 배치되는 회전축(32c) 및 지지축(33)이 가이드홈부(15a)를 따라 계속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차집관거 내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벨트컨베이어(30)는 와이어(58)의 장력에 의해 지지되고, 부유물의 제거작동이 완료되면 승강모터(54)에 전원을 인가하여 승강드럼(56)에 와이어(58)를 권취시키므로 회전축(32c)이 당겨지면서 벨트컨베이어(30)가 본체(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게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은, 배수홀부(36a)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버킷(36)이 순환되도록 설치되는 벨트컨베이어(30)가 설치된 본체(10)를 차집관거에 대향되게 배치시키는 단계와, 벨트컨베이어(30)를 이동시켜 차집관거 내부로 벨트컨베이어(30)를 삽입하는 단계와, 벨트컨베이어(30)를 구동시켜 순환되는 버킷(36)에 의해 차집관거 내부의 부유물을 본체(10)의 수납부(12)에 수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작업자는 본체(10)를 차량에 안착시켜 차집관거가 위치하는 장소로 이동한 후에 차량으로부터 지면까지 경사면을 설치하여 본체(10)를 바퀴(18)의 구동으로 이동시키고, 차집관거에 대향되게 본체(10)를 이동시켜 지지프레임(17)이 차집관거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에, 고정실린더(19b)로부터 로드를 돌출시켜 본체(10)와 지면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므로 바퀴(18)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면서 본체(10)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승강모터(54)에 전원을 차단하고 승강실린더(52)로부터 로드를 돌출시키면 회전축(32c) 및 지지축(33)이 가이드홈부(15a)를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고, 벨트컨베이어(30)의 전방측 단부가 차집관거 내측으로 삽입되어 버킷(36)이 하수에 잠기게 된다.
구동모터(38a)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모터(38a)의 동력이 작동풀리(38b) 및 주동풀리(32a)를 따라 전달되어 체인(34)이 주동풀리(32a)와 종동풀리(32b) 사이를 순환하게 되므로 체인(34)이 설치되는 다수 개의 버킷(36)이 순환되면서 하수의 수면에 부유된 이물질을 수거하여 본체(10)의 상면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버킷(36)이 본체(10)의 상부 측으로 이동되면 부유물이 하측으로 떨어지면서 본체(10) 내부의 수납부(12)로 떨어지게 되고, 제1경사패널(14)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도어(12a)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경사패널(14)을 통과하는 부유물에서는 수문이 분리되어 통과홀부(14a)를 통해 제2경사패널(16)로 떨어지게 되고, 제2경사패널(16)을 따라 배수관(16a) 측으로 이동되는 수분은 배수관(16a)을 따라 다시 차집관거 내부로 회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부유물 제거작동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구동모터(38a)에 전원을 차단하고, 승강모터(54)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축(32c) 및 지지축(33)을 가이드홈부(15a)를 따라 원위치로 복귀시키므로 벨트컨베이어(30)가 본체(1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이후에, 고정실린더(19b) 내부로 로드를 삽입시켜 본체(10)를 하강시키므로 바퀴(18)가 지면에 닿으면서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체(10)를 차량에 다시 안착시켜 다른 지역의 차집관거 측으로 이동하면서 부유물 제거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로써, 하수가 통과되는 차집관거 내부에 부유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차집관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작업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제거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수납부
12a : 도어 14 : 제1경사패널
14a : 통과홀부 15 : 가이드패널
15a : 가이드홈부 16 : 제2경사패널
16a : 배수관 17 : 지지프레임
18 : 바퀴 19 : 고정부
19a : 고정패널 19b : 고정실린더
30 : 벨트컨베이어 32 : 지지대
32a : 주동풀리 32b : 종동풀리
32c : 회전축 33 : 지지축
34 : 체인 36 : 버킷
36a : 배수홀부 38 : 수거구동부
38a : 구동모터 38b : 작동풀리
50 : 승강구동부 52 : 승강실린더
54 : 승강모터 56 : 승강드럼
58 : 와이어

Claims (10)

  1. 이동 가능하도록 바퀴가 설치되고 부유물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차집관거 내부로 삽입되는 벨트컨베이어; 및 차집관거 내부의 부유물을 수거하여 상기 수납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되는 버킷을 포함하는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차집관거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가 통과되는 홀부를 이루는 지지프레임;
    상기 벨트컨베이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을 통하여 차집관거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가이드패널;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도어;
    상기 벨트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부유물을 상기 도어 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도어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수분은 통과시키는 통과홀부가 구비되는 제1경사패널;
    상기 제1경사패널로부터 떨어지는 수분을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배수관 측으로 안내하는 제2경사패널; 및
    상기 본체가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에 설치되고 지면 측으로 로드가 출몰되어 상기 바퀴가 지면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본체를 상승시키는 고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는,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축에 의해 차집관거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주동풀리;
    상기 지지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종동풀리;
    상기 주동풀리와 상기 종동풀리에 감기고 복수 개의 상기 버킷이 연속되게 설치되는 체인; 및
    상기 주동풀리에 동력을 제공하는 수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 내 부유물 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구동부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벨트에 의해 상기 주동풀리에 전달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는 작동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차집관거 내측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차집관거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가이드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을 차집관거 측으로 가압하는 승강실린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승강드럼; 및
    상기 승강드럼에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8. 삭제
  9. 삭제
  10. (a) 배수홀부를 구비하는 복수 개의 버킷이 순환되도록 설치되는 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된 본체를 차집관거에 대향되게 배치시키는 단계; (b)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이동시켜 차집관거 내부로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벨트컨베이어를 구동시켜 순환되는 상기 버킷에 의해 차집관거 내부의 부유물을 상기 본체의 수납부에 수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제거공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차집관거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가 통과되는 홀부를 이루는 지지프레임;
    상기 벨트컨베이어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을 통하여 차집관거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되는 가이드패널;
    상기 수납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도어;
    상기 벨트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부유물을 상기 도어 측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도어 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수분은 통과시키는 통과홀부가 구비되는 제1경사패널;
    상기 제1경사패널로부터 떨어지는 수분을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배수관 측으로 안내하는 제2경사패널; 및
    상기 본체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상기 본체에, 차집관거 내 부유물을 투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KR1020140055521A 2014-05-09 2014-05-09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KR10148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521A KR101486040B1 (ko) 2014-05-09 2014-05-09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521A KR101486040B1 (ko) 2014-05-09 2014-05-09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040B1 true KR101486040B1 (ko) 2015-01-26

Family

ID=5259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521A KR101486040B1 (ko) 2014-05-09 2014-05-09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0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276B1 (ko) * 2016-09-27 2016-12-06 주식회사 코엔텍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691221B1 (ko) * 2016-05-30 2016-12-29 주식회사 코엔텍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WO2020242186A1 (ko) * 2019-05-27 2020-12-03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계단식 리프트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CN115419031A (zh) * 2022-08-12 2022-12-02 四川华能嘉陵江水电有限责任公司 一种水电站漂浮物收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896U (ja) * 1992-12-01 1994-06-21 財団法人ダム水源地環境整備センター 流木回収船
JP2832274B2 (ja) * 1996-09-11 1998-12-09 矢野口自工株式会社 グリーンカット作業車
KR200380470Y1 (ko) * 2004-12-23 2005-03-30 신재식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896U (ja) * 1992-12-01 1994-06-21 財団法人ダム水源地環境整備センター 流木回収船
JP2832274B2 (ja) * 1996-09-11 1998-12-09 矢野口自工株式会社 グリーンカット作業車
KR200380470Y1 (ko) * 2004-12-23 2005-03-30 신재식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221B1 (ko) * 2016-05-30 2016-12-29 주식회사 코엔텍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683276B1 (ko) * 2016-09-27 2016-12-06 주식회사 코엔텍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WO2020242186A1 (ko) * 2019-05-27 2020-12-03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계단식 리프트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KR20200136543A (ko) * 2019-05-27 2020-12-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계단식 리프트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KR102303354B1 (ko) * 2019-05-27 2021-09-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계단식 리프트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CN115419031A (zh) * 2022-08-12 2022-12-02 四川华能嘉陵江水电有限责任公司 一种水电站漂浮物收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040B1 (ko)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CN106968325A (zh) 一种城市下水道垃圾自动收集器
CN104746638A (zh) 强力吸污渣液分离车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CN108691305B (zh) 一种生态环保用水下垃圾打捞装置
CN212689161U (zh) 一种污水截流井
CN212896792U (zh) 一种建筑排水用疏通设备
CN211646673U (zh) 一种市政道路下水结构
KR101403502B1 (ko) 스크린 일체형 펌프 게이트 장치
CN212388578U (zh) 一种土建施工用抽水装置
KR101539754B1 (ko)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회수관형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KR101902615B1 (ko) 하수관로의 협잡물처리 스크린장치
CN206722055U (zh) 一种城市下水道垃圾自动收集器
KR101727855B1 (ko) 스컴제거장치
CN210482517U (zh) 一种具有清淤装置的一体化污水提升泵站
JP2007055712A (ja) 生ごみ分別回収補助装置
CN210482542U (zh) 一种地埋式污水泵站
CN214497829U (zh) 一种道路排水沟清淤装置
KR920008890B1 (ko) 배수로의 오물자동수거장치
CN111549895A (zh) 一种双重过滤的雨水泵站截油截污结构
CN215290206U (zh) 一种深基坑防堵效果好的排水结构
CN208667203U (zh) 一种化肥废水处理装置
CN219964038U (zh) 一种贵金属加工碎屑回收装置
CN219527856U (zh) 一种利用凸轮泵的可移动型排涝设备
CN117101841B (zh) 一种桥梁隧道施工用石块破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