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276B1 -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 Google Patents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276B1
KR101683276B1 KR1020160123788A KR20160123788A KR101683276B1 KR 101683276 B1 KR101683276 B1 KR 101683276B1 KR 1020160123788 A KR1020160123788 A KR 1020160123788A KR 20160123788 A KR20160123788 A KR 20160123788A KR 101683276 B1 KR101683276 B1 KR 101683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nveyor
storage device
oil remov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웅
박세리
박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엔텍
Priority to KR102016012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2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 제 1 전처리조(110)에 유입된 우수의 수면 위에 떠 있는 유분을 퍼서 유분 저장장치(20)의 유분 받이 트레이(21)에 담는 다수의 유분 제거버켓(11)이 콘베어 벨트에 형성되는 유분 제거 콘베어(10)와;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의 유분 제거버켓(11)에서 유분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다수의 유분 받이 트레이(21)로 구성되는 유분 저장장치(20)와; 상기 유분 저장장치(20)의 유분 받이 트레이(21)를 회전시키는 트레이 회전장치(30)와;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의 유분 제거버켓(11)이 수면의 유분을 퍼서 유분 받이 트레이(21)에 담도록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와 유분 저장장치(20)를 수면을 따라 승강하게 하는 유분 제거 승강장치(40)와;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와 유분 저장장치(2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장치(50)와; 제 1 전처리조(10)의 수면을 감지하여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와 유분 저장장치(20)를 수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제어하는 유분 제거 제어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우수관로에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 강우에서 수면 위에 부유하는 유분을 유분 제거 장치를 사용하여 제거함으로써 다양한 오염원이 다량 함유된 초기 우수의 유분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정화할 수 있고, 우수에 포함된 비점 오염원을 처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non-point pollution decrease facilities comprising oil removal system for non-point pollution}
본 발명은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계곡수 등과 같은 불명수가 유입되는 우수관로에서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에서 유분을 따로 분리하여 제거함에 의해 부상된 협잡물이나 유분 등의 비점 오염원을 수거하는 회전식 유분 수거 콘베어를 포함하여 우수관로에서 비점 오염 유분을 제거하여 정화할 수 있는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에 관한 것이다.
비점오염원(Non-point pollution source)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이 배출되는 배출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
비점오염물질은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식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동물 및 식물의 잔여물,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오염물질 등을 말한다.
따라서, 모든 오염물질을 포함한 채 배출되는 빗물이 실제로 주된 비점오염원이 된다. 비점오염물질은 대개 많은 비가 와야 유출되기 때문에 일간, 계절간 배출량의 차이가 크고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우며,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기상조건, 지질, 지형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을 지니고 있고,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초기 강우에는 비점오염원의 농도가 높아 환경 파괴가 빈번히 일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어 별도로 분리하여 정화 후 방류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강우시 빗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구 및 배수관이 마련되어야 하며, 배수관으로 흘러들어온 물은 하천으로 방류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초기에 떨어진 빗물은 도로나 교량 또는 지붕 등의 오염물질과 섞여 배수관으로 유입되게 되어, 초기의 우수를 정화하기 위한 비점오염저감장치로 보내야 한다.
따라서, 배수관으로 유입된 초기우수를 비점오염저감장치로 보내기 위한 초기우수 분리장치가 배수관 내에 설치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의 대표적인 예로서 비점오염물질에 함유된 기름을 흡착하도록 유분 흡착 스크린이 전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유분 흡착 스크린 내부에 유분 흡착제를 포함하고, 유분 흡착제를 교체하기 위한 뚜껑이 상기 유분 흡착 스크린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분 흡착 스크린이 적용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 시설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공개특허 제 10-2015-0070996호에 개시된다.
도 1 에 종래의 기술에 의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전체 정면 단면도가 도시된다 .
종래의 기술에 의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강우유출수의 비점 오염물질을 전처리하기 위한 전처리조(400)와;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되는 여과조(200)와; 강우유출수가 단계별 여재층(310A)을 통과하면서 배출되는 여재조(300)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철도역 주변과 철로 및 철도 교각 주변의 우수통로에 콘크리트 블록(500)으로 매설되는 것으로, 상기 우수통로는 통상적으로 20m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블록(500)의 길이는 상기 우수통로의 간격의 1/2에 상당하는 10m 정도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블록(500)은 바닥면(511)과 좌우 측벽(512)(513) 및 상기 전처리조(400), 여과조(200) 및 여재조(300)를 구분하는 칸막이 벽(514)(515)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500)은 상기 좌측 측벽(512) 상단에 관통되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유입공(516)이 형성되고, 상기 우측 측벽(513) 하단에 관통되어 강우유출수가 배출되는 유출공(51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처리조(400)와 여과조(200)의 칸막이 벽(514)의 하단에는 상기 전처리조(400)를 통과하는 강우유출수가 여과조(200)로 통과하기 위한 스크린 막(518)과, 유통공(519)이 더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블록(500)의 상면은 개방되며, 그 상면에는 비교적 큰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틸 그레이팅(520)이 설치된다.
상기 전처리조(400)는 상기 유입공(516)을 통해 강우유출수가 유입되어 비점오염물질이 전처리 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처리조(400)의 내측에는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에 함유된 기름을 흡착하는 유분 흡착 스크린(410)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분 흡착 스크린(410)은 강우유출수의 유속을 조절함과 아울러, 비점오염물질에 함유된 기름을 단계별로 흡착하도록 어긋나도록 배치되는 다단층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분 흡착 스크린(410)은 2개 이상이며, 상기 전처리조(400)의 마주보는 내측벽에 일측면이 번갈아 가며 고정되고, 상기 유분 흡착 스크린(410)의 평면적은 상기 전처리조(400)의 내부 평면적보다 좁아 유입수가 아래로 통과할 수 있는 유입수 통과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분 흡착 스크린(4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수가 상기 유입수 통과 공간과 상기 유분 흡착 스크린(4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흐르면서, 상기 전처리조(400)의 내측벽과 상기 유분 흡착 스크린(410)에 의하여 유속이 저감되면서 유분이 흡착된다.
종래 기술의 유분 흡착 스크린은 전처리조(400)의 마주보는 내측벽에 일측면이 번갈아 가며 상하로 고정되어 유분 흡착 스크린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유입수 통과 공간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수가 흐르면서 유분 흡착 스크린에 흡착되기 때문에 강우 유출수에 떠 있는 유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고 유분 제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0996호(2015.06.25, 공개)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9325호(2010.03.17, 등록) [특허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34464호(2006.10.09,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를 타고 유입되는 초기 우수에서 유분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기우수에서 수면위로 부유하는 유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빗물에 씻겨 내려오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초기우수에서 비점오염원을 포함하는 유분을 분리하여 비점오염원 저감시설로 보낼수 있도록 하여 비점오염원을 용이하게 정화시킬 수 있는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관로(111)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서 기름성분과 물위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전처리조(110)와; 상기 제1 전처리조(110)에서 부유물질이 제거된 후 격벽(112)의 하부 통로(112a)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서 비중이 1보다 큰 물질을 가라앉히고 상부에 형성된 여과조 연결관(121)을 통해 여과조(130)로 배출하는 제 2 전처리조(120)와; 상기 제 2 전처리조(120)에서 여과조 연결관(121)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상하로 다수의 단계로 설치되는 여과재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여과조(130)와; 상기 여과조(13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미생물이 서식하는 여재에 의해 정화하는 여재조(140)와; 상기 제 1,2 전처리조(110, 120)와 여과조(130)에 장치된 기계를 구동하는 기계장치실(150)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전처리조(110)는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는, 우수의 수면 위에 떠 있는 유분을 퍼서 유분 저장장치의 유분 받이 트레이에 담는 다수의 유분 제거버켓이 콘베어 벨트에 형성되는 유분 제거 콘베어와;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의 유분 제거버켓에서 유분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다수의 유분 받이 트레이로 구성되는 유분 저장장치와; 상기 유분 저장장치의 유분 받이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트레이 회전장치와;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의 유분 제거버켓이 수면의 유분을 퍼서 유분 받이 트레이에 담도록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와 유분 저장장치를 수면을 따라 승강하게 하는 유분 제거 승강장치와;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와 유분 저장장치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장치와; 제 1 전처리조의 수면을 감지하여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와 유분 저장장치를 수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제어하는 유분 제거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분 저장장치는 다수개의 유분 받이 트레이가 원을 이루고 있으며, 다수개의 유분 받이 트레이의 바닥은 납작한 도넛 형태의 트레이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지지판의 내부 원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회전장치의 수평 회전기어와 맞물려 상기 수평 회전기어의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수관로에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초기 강우에서 수면 위에 부유하는 유분을 유분 제거 장치를 사용하여 제거함으로써 다양한 오염원이 다량 함유된 초기 우수의 유분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정화할 수 있고, 우수에 포함된 비점 오염원을 처리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철도시설물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전체 정면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가 적용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가 제 1 전처리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유분 제거 콘베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가 제 1 전처리조에 설치된 상태를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유분 제거 콘베어가 수면위의 유분을 제거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에 본 발명에 의한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가 적용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 에 본 발명에 의한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가 제 1 전처리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 에 본 발명에 의한 유분 제거 콘베어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100)가 적용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관로(111)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서 기름성분과 조대 물질 등 물위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전처리조(110)와; 상기 제1 전처리조(110)에서 부유물질이 제거된 후 격벽(112)의 하부 통로(112a)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서 비중이 1보다 큰 물질을 가라앉히고 상부에 형성된 여과조 연결관(121)을 통해 여과조(130)로 배출하는 제 2 전처리조(120)와; 상기 제 2 전처리조(120)에서 여과조 연결관(121)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상하로 다수의 단계로 설치되는 여과재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여과조(130)와; 상기 여과조(13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미생물이 서식하는 여재에 의해 정화하는 여재조(140)와; 상기 제 1,2 전처리조(110, 120)와 여과조(130)에 장치된 기계를 구동하는 기계장치실(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100)는 제 1 전처리조(110)에 유입된 우수의 수면 위에 떠 있는 유분을 퍼서 유분 저장장치(20)의 유분 받이 트레이(21)에 담는 다수의 유분 제거버켓(11)이 콘베어 벨트에 형성되는 유분 제거 콘베어(10)와;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의 유분 제거버켓(11)에서 유분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다수의 유분 받이 트레이(21)로 구성되는 유분 저장장치(20)와; 상기 유분 저장장치(20)의 유분 받이 트레이(21)를 회전시키는 트레이 회전장치(30)와;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의 유분 제거버켓(11)이 수면의 유분을 퍼서 유분 받이 트레이(21)에 담도록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와 유분 저장장치(20)를 수면을 따라 승강하게 하는 유분 제거 승강장치(40)와;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와 유분 저장장치(2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장치(50)와; 제 1 전처리조(10)의 수면을 감지하여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와 유분 저장장치(20)를 수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제어하는 유분 제거 제어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분 제거 콘베어(10)는 수면 위에 떠 있는 유분을 퍼서 유분 받이 트레이(21)에 담기 위해 다수의 유분 제거 버켓(11)이 콘베어 벨트(12)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콘베어 벨트(12)는 고무, 합성수지 등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제조되며, 콘베어 벨트(12)의 모서리를 제외한 부분은 메쉬 망으로 형성되어 유분 제거 버켓(11)에 의해 퍼 올려진 유분이 통과하여 유분 받이 트레이(21)에 담겨지도록 형성딘다.
콘베어 벨트(12)의 내면에 톱니(12a)가 형성되어 구동롤러(13)와 피동롤러(14)에 형성된 톱니에 맞물려 있어서 구동롤러(13)와 피동롤러(14)의 회전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함께 회전한다.
구동롤러(13)의 회전축은 콘베어 구동모터(15)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어서 콘베어 구동모터(1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구동롤러(13)와 피동롤러(14) 사이에 다수의 유분 받이 트레이(21)가 통과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콘베어 벨트(12)에 부착되어 있는 다수의 유분 제거 버켓(11)이 콘베어 벨트(12)를 따라 수면 아래로 진행하면서 예를 들면 구동롤러(13)에서 피동롤러(14)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수면에 떠 있는 유분을 퍼 담게 되고, 수면 위로 올라와 피동롤러(14)에서 구동롤러(13)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분 제거 버켓(11)에 담겨 있는 유분을 유분 받이 트레이(21)에 쏟아 붓게 된다.
이때 콘베어 벨트(12)에 형성된 메쉬 망을 통해 유분 제거 버켓(11)에 의해 퍼 올려진 유분이 유분 받이 트레이(21)에 담겨지게 된다.
유분 저장장치(20)는 다수개의 유분 받이 트레이(21)가 원을 이루고 있으며, 다수개의 유분 받이 트레이(21)의 바닥은 납작한 도넛 형태의 트레이 지지판(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트레이 지지판(22)의 내부 원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트레이 회전장치(30)의 수평 회전기어(31)와 맞물려 상기 수평 회전기어(31)의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트레이 지지판(22)은 부력을 갖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속이 빈 구조로할 수 있다.
트레이 회전장치(30)는 트레이 지지판(22)의 톱니에 맞물려 회전하는 다수의 수평 회전기어(31)와; 상기 다수의 수평 회전기어(31)를 각각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수평회전모터(32)와; 상기 다수의 수평회전모터(32)를 지지하는 다수의 회전모터 지지대(33)와; 상기 다수의 회전모터 지지대(33)가 부착되는 중심지지봉(34)과; 상기 중심지지봉(34)을 지지하며 승강장치(40)에 부착되는 수평 지지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의 수평 회전기어(31)는 트레이 지지판(22)의 톱니(22a)에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트레이 지지판(22)을 회전시켜 다수개의 유분 받이 트레이(21)가 순차로 유분 제거 콘베어(10)의 콘베어 벨트(12) 사이로 들어가서 유분 제거 버켓(11)에서 떨어지는 유분을 받아 저장하게 한다.
다수의 수평회전모터(32)는 다수의 수평 회전기어(31)의 중심축에 각각 설치되어 수평 회전기어(31)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트레이 지지판(22)을 회전시켜 다수개의 유분 받이 트레이(21)가 유분 제거 버켓(11)에서 유분을 받게 한다.
회전모터 지지대(33)는 중심지지봉(34)에서 사방으로 연장되어 수평회전모터(32)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다수의 수평회전모터(32)를 지지한다.
중심지지봉(34)은 원형 트레이 지지판(22)의 중심에 설치되며 수평 지지대(35)에 부착되어 지지된다.
수평 지지대(35)는 일단부가 승강 피니언 기어(41)의 회전축에 부착되어 지지되며, 타단부는 중심지지봉(34)에 부착되어 트레이 회전장치(30)를 지지한다. 또한, 유분제거 승강장치(40)와 가까운 부근에서 구동롤러(13)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구동롤러 지지대(35a)가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유분 제거 승강장치(40)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랙기어(42)와; 상기 랙기어(42)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피니언 기어(41)와; 상기 승강피니언 기어(4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승강모터(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랙기어(42)는 제 1 전처리조(110)의 측면 벽에 지지 브라켓(도시생략) 등에 의해 지지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전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승강피니언 기어(41)의 톱니와 맞물려 있어서 승강피니언 기어(4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와 유분 저장장치(20)를 승강시킨다.
승강피니언 기어(41)는 랙기어(42)에 맞물려서 승강모터(43)의 회전력에 의해 랙기어(42)를 따라 승강하게 된다.
수평이동장치(50)는 제 1 전처리조(110)의 바닥에 수평으로 qker의 중심으로 향해 설치되는 수평 랙기어(51)와; 상기 수평 랙기어(51)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수평피니언 기어(52)와; 상기 수평피니언 기어(5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수평모터(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 랙기어(51)는 제 1 전처리조(110)의 바닥에 지지되도록 수평으로 바닥 중심을 향해 설치되며, 윗면에 톱니가 형성되어 수평피니언 기어(52)의 톱니와 맞물려 있어서 수평피니언 기어(5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와 유분 저장장치(20)를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수평피니언 기어(52)는 유분 제거 승강장치(40)의 랙기어(42)의 하단부에 수평 랙기어(51)의 톱니와 맞물려 설치되며 그 회전축이 수평모터(53)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어서 수평모터(53)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수평 랙기어(51)의 윗면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와 유분 저장장치(20)를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유분제거 제어장치(60)는 제 1 전처리조(110)에 유입되는 물의 수면을 감지하는 수면 감지센서(도시생략)을 포함하고, 감지된 수면의 높이에 따라 유분 제거 승강장치(40)를 승강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10)와 유분 저장장치(20)를 수면으로 이동시킨다.
우수관로(111)를 통해 유입되는 초기 우수는 제1 전처리조(110)에 모이게 되고, 비점오염원이 포함된 유분(20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위에 떠 있게 된다.
이때 유분제거 제어장치(60)는 수면감지센서(도시생략)에서 감지된 수면의 높이에 맞게 유분 제거 승강장치(40)의 승강모터(43)를 구동하여 유분 제거 콘베어(10)를 수면 위로 상승시키고, 유분 제거 콘베어(10)를 동작사키면 콘베어 벨트(12)의 밑면에 위치하는 유분 제거 버켓(11)이 콘베어 벨트(1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수면 위로 이동하면서 수면 위의 유분(201)을 퍼서 콘베어 벨트(12)의 윗면에 위치하게 되면서 유분 제거 버켓(11)에 담겨진 유분(201)이 유분 받이 트레이(21)에 담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유분받이 트레이(21)에 채워진 유분(201)은 별도로 다른 곳으로 이동되어 폐기처리되게 된다.
이와 같은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100)는 제 1 전처리조(110)에 유입된 우수의 수면 위에 떠 있는 유분 및 부유물질을 퍼서 유분 제거작업을 초기에 하여 다음 전처리조에서 오염물질을 처리하는데 유분과 다른 오염물질이 섞이지 않고 오염물 처리 및 정화과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체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관로(111)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서 상기한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100)가 구비되어 기름성분과 조대 물질 등 물위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100)에 의해 제거하는 제 1 전처리조(110)와; 상기 제1 전처리조(110)에서 부유물질이 제거된 후 격벽(112)의 하부 통로(112a)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서 비중이 1보다 큰 물질을 가라앉히고 상부에 형성된 여과조 연결관(121)을 통해 여과조(130)로 배출하는 제 2 전처리조(120)와; 상기 제 2 전처리조(120)에서 여과조 연결관(121)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상하로 다수의 단계로 설치되는 여과재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여과조(130)와; 상기 여과조(13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미생물이 서식하는 여재에 의해 정화하는 여재조(140)와; 상기 제 1,2 전처리조(110, 120)와 여과조(130)에 장치된 기계를 구동하는 기계장치실(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전체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통해 비점오염원 중 유분 및 부유물질을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100)에 의해 초기에 제거하여 다른 오염원과 혼합되지 않도록 하여 전체적인 오염원 저감 및 정화 처리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유분 제거 콘베어 11: 유분 제거버켓
12: 콘베어 벨트 13: 구동롤러
14: 피동롤러 15: 콘베어 구동모터
20: 유분 저장장치 21: 유분 받이 트레이
22: 트레이 지지판 30: 트레이 회전장치
31: 수평 회전기어 32: 수평회전모터
33: 회전모터 지지대 34: 중심지지봉
35: 수평 지지대 40: 유분 제거 승강장치
41: 승강피니언 기어 42: 랙기어
43: 승강모터 50: 수평이동장치
51: 수평 랙기어 52: 수평피니언 기어
53: 수평모터 60: 유분제거 제어장치
100: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

Claims (1)

  1. 관로(111)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서 기름성분과 물위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 1 전처리조(110)와;
    상기 제1 전처리조(110)에서 부유물질이 제거된 후 격벽(112)의 하부 통로(112a)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서 비중이 1보다 큰 물질을 가라앉히고 상부에 형성된 여과조 연결관(121)을 통해 여과조(130)로 배출하는 제 2 전처리조(120)와;
    상기 제 2 전처리조(120)에서 여과조 연결관(121)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상하로 다수의 단계로 설치되는 여과재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여과조(130)와;
    상기 여과조(130)에서 배출되는 우수를 미생물이 서식하는 여재에 의해 정화하는 여재조(140)와;
    상기 제 1,2 전처리조(110, 120)와 여과조(130)에 장치된 기계를 구동하는 기계장치실(150)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전처리조(110)는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는
    우수의 수면 위에 떠 있는 유분을 퍼서 유분 저장장치의 유분 받이 트레이에 담는 다수의 유분 제거버켓이 콘베어 벨트에 형성되는 유분 제거 콘베어와;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의 유분 제거버켓에서 유분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다수의 유분 받이 트레이로 구성되는 유분 저장장치와;
    상기 유분 저장장치의 유분 받이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트레이 회전장치와;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의 유분 제거버켓이 수면의 유분을 퍼서 유분 받이 트레이에 담도록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와 유분 저장장치를 수면을 따라 승강하게 하는 유분 제거 승강장치와;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와 유분 저장장치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장치와;
    제 1 전처리조의 수면을 감지하여 상기 유분 제거 콘베어와 유분 저장장치를 수면을 따라 승강하도록 제어하는 유분 제거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분 저장장치는 다수개의 유분 받이 트레이가 원을 이루고 있으며, 다수개의 유분 받이 트레이의 바닥은 납작한 도넛 형태의 트레이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지지판의 내부 원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 회전장치의 수평 회전기어와 맞물려 상기 수평 회전기어의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20160123788A 2016-09-27 2016-09-27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683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788A KR101683276B1 (ko) 2016-09-27 2016-09-27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788A KR101683276B1 (ko) 2016-09-27 2016-09-27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326A Division KR101691221B1 (ko) 2016-05-30 2016-05-30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3276B1 true KR101683276B1 (ko) 2016-12-06

Family

ID=5757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788A KR101683276B1 (ko) 2016-09-27 2016-09-27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2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9276A (ja) * 2001-07-25 2003-02-12 Makoto:Kk 浮上油回収装置
JP2004141818A (ja) * 2002-10-28 2004-05-20 Asahi Tec Corp 沈砂池からの固形物の流体移送装置
KR100634464B1 (ko) 2005-05-31 2006-10-16 녹스 코리아(주) 초기 강우 정화처리 장치
KR100949325B1 (ko) 2009-04-17 2010-03-23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486040B1 (ko) * 2014-05-09 2015-01-26 박만헌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KR20150070996A (ko) 2015-05-29 2015-06-2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점오염 저감 시설용 유분 흡착 스크린
KR101548007B1 (ko) * 2015-04-21 2015-08-28 (주)유림산업기계 비점오염원저감에 의한 빗물이용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9276A (ja) * 2001-07-25 2003-02-12 Makoto:Kk 浮上油回収装置
JP2004141818A (ja) * 2002-10-28 2004-05-20 Asahi Tec Corp 沈砂池からの固形物の流体移送装置
KR100634464B1 (ko) 2005-05-31 2006-10-16 녹스 코리아(주) 초기 강우 정화처리 장치
KR100949325B1 (ko) 2009-04-17 2010-03-23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486040B1 (ko) * 2014-05-09 2015-01-26 박만헌 차집관거 내 부유물 이동식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거공법
KR101548007B1 (ko) * 2015-04-21 2015-08-28 (주)유림산업기계 비점오염원저감에 의한 빗물이용장치
KR20150070996A (ko) 2015-05-29 2015-06-2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점오염 저감 시설용 유분 흡착 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984676B1 (ko) 배수 처리용 초기우수 처리 장치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EP2929942B1 (en) Apparatus for removal of floatables and scum in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0891656B1 (ko)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US20150182881A1 (en) Floatables amd scum removal apparatus for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0562168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KR100577535B1 (ko) 초기우수분리장치를 구비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
KR100904081B1 (ko)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912708B1 (ko)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KR101754123B1 (ko) 오일성분의 포집이 가능한 교량용 다단계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1715585B1 (ko) 초기우수처리시설을 이용한 교량에서의 우수 차집 및 처리시스템
KR100741409B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0814790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638526B1 (ko) 교량용 초기우수 정수장치
KR100850162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KR10154916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US20080260465A1 (en) Filer for the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water
KR101691221B1 (ko)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040102432A (ko)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101683276B1 (ko) 비점 오염 유분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