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4137B1 -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강화를 위한 사료조성물 - Google Patents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강화를 위한 사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4137B1
KR100564137B1 KR1020040075554A KR20040075554A KR100564137B1 KR 100564137 B1 KR100564137 B1 KR 100564137B1 KR 1020040075554 A KR1020040075554 A KR 1020040075554A KR 20040075554 A KR20040075554 A KR 20040075554A KR 100564137 B1 KR100564137 B1 KR 100564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gamma
poultry
feed composi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원
정재윤
심재민
최충집
오기석
박태준
강환구
한광희
오성택
Original Assignee
흥성사료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마니커
박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성사료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마니커, 박병성 filed Critical 흥성사료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강화를 위한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마지방산 공급원과 감마지방산의 산화방지 및 저장기간을 연장시키는 비타민 E 및 육용가금의 맛과 질을 향상시키는 계피를 함유하는 가금류의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조성물을 가금류에 급여할 경우, 감마지방산 함량이 높으며 맛과 질이 향상된 기능성 육용가금(肉用家禽)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육용가금 또는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정상적인 심혈관, 뇌혈관 및 면역체계를 유지하고, 여성의 생리통을 격감시키며, 피부노화, 골다공증 및 아토피성 피부병의 예방효과를 갖는 감마지방산의 1일 권장섭취량을 자연스런 식생활을 통해 섭취할 수 있다.
감마지방산, 비타민 E, 계피, 사료조성물, 가금류

Description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강화를 위한 사료조성물 {Feed Composition of Fowl for Enriching γ-Fatty Acid}
본 발명은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강화를 위한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마지방산 공급원과 감마지방산의 산화방지 및 저장기간을 연장시키는 비타민 E 및 육용가금의 맛과 질을 향상시키는 계피를 함유하는 가금류의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마지방산(γ-fatty acids)이란 n-6 계열의 지방산 대사물로서 감마-리놀렌산(GLA, γ-linolenic acid, 18:3n-6)과 디호모-감마-리놀렌산(DHGLA, dihomo-γ-linolenic acid, 20:3n-6)을 말한다. 감마지방산은 생체 내에서 합성되는 양이 매우 적고, 대사속도도 매우 빨라 인체 내에서는 극소량만이 존재한다. 이러한 감마지방산은 정상적인 심혈관, 뇌혈관 및 면역체계를 유지하고, 여성의 생리통을 격감하며, 피부노화, 골다공증 및 아토피성 피부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 건강기능식품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 특히 분유를 위주로 하여 키우는 어린이들에게서 아토피성 피부병 발생율이 높은 현재의 실정을 고려한다면, 감마지방산이 산모와 아기 의 영양에 중요한 식이성 화합물로 인식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모유 1리터에는 감마지방산이 33~64㎎ 들어 있다.
상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 감마지방산은 일주일에 수차례에 걸쳐서 달맞이꽃 종자유를 섭취하거나, 감마지방산의 영양원으로서 이용되는 달맞이꽃 종자유가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여 얻을 수 있다. 현재 건강기능식품을 통한 감마지방산의 1일 권장섭취량은 40~80㎎ 정도이다.
한편, 계피는 예로부터 일반인의 식탁에 입맛을 돋우는 수정과를 만들거나, 떡 및 과자의 재료로 널리 쓰이고 있는 한약식품 재료이다. 최근 미국에서 보고된 바에 따르면 계피는 당뇨병 예방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최신과학자료조사서, 2004년 2월).
현재 계피와 함께 사료에 이용될 수 있는 감마지방산 공급원으로는 달맞이꽃 종자유(EPO, evening primrose oil, GLA 8~9% 함유), 서양자초유(BO, borage oil, GLA 25~30% 함유), 삼씨유(HO, hemp seed oil, GLA 5~7% 함유), 까막까치밥나무유(BCO, black current oil, GLA 5~7% 함유), 스피루리나(spirulina) 및 이들의 미생물 배양체가 있다. 이들 지방산은 고도 불포화지방산으로 공기중에서 불안정하여 쉽게 산화되며, 고기에 이취와 불쾌한 냄새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방산을 안정한 형태로 사료에 첨가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써 미세캡슐화(microencapsulation) 및 초임계 유체추출법에 의해 감마지방산 공급원으로부터 감마지방산을 추출한 다음, 고도로 농축하여 사료에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은 사료에 사용되는 감마지방산의 추가적인 비용을 높여 경제적 부담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도 불포화지방산인 감마지방산을 자연스런 식생활을 통해 섭취할 수 있도록 주된 육류 섭취원인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축적효율을 경제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감마지방산 공급원과 비타민 E 및 계피를 함유하는 사료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감마지방산의 축적효율이 월등히 향상되며, 새로운 맛을 지닌 육용가금을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감마지방산 공급원, 비타민 E 및 계피를 함유하는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강화를 위한 사료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사료조성물을 가금류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지방산 함량이 강화되고 질적으로 향상된 기능성 육용가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육용가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용가금의 가공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체 사료조성물에 대하여 감마지방산 공급원 0.5~4.0중량%, 비타민 E 100~200ppm 및 계피 0.5~5.0중량%를 함유하는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강화용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감마지방산 공급원은 달맞이꽃 종자유(evening primrose oil), 서양자초유(borage oil), 까막까치밥나무유(black current oil), 삼씨유(hemp seed oil), 이의 미생물 배양체 또는 이들로부터 추출·정제된 고순도의 감마지방산 오일이거나 기타 가공 생산된 감마지방산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금류는 타조, 메추리, 꿩, 오리, 거위, 닭 또는 칠면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사료조성물을 가금류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지방산 함량이 강화되고 맛과 질이 향상된 감마지방산 강화 기능성 육용가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여는 사육후기에 15일 이상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육용가금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육용가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용가금 함유 가공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마지방산 함량이 강화되고 맛과 질이 향상된 기능성 육용가금을 생산하기 위한 사료조성물에 배합되는 감마지방산 공급원은 육용가금 내의 감마지방산이 1%이상 축적되도록, 사료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5~4.0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중량%이하 첨가시에는 육용가금 내의 감마지방산의 축적효율이 낮으며, 4.0중량%이상 첨가시에는 감마지방산 공급원의 추가공급에 따른 사료 생산비의 부담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육용가금의 품질저하, 에너지 과잉공급에 따른 육용가금의 비만, 다리이상 및 돌연사 등을 발생시킬 수 있어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상기 감마지방산 공급원으로써 달맞이꽃 종자유, 서양자초유, 까막까치밥나무유, 삼씨유 또는 이의 미생물 배양체로부터 추출·정제되는 고순도의 감마지방산 오일은 통상의 추출 및 정제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6-7, 1998).
본 발명에 따른 사료조성물에 배합되는 비타민 E의 첨가량은 사료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100~200ppm이 바람직하다. 100ppm이하 첨가시에는 감마지방산이 강화된 육용가금의 저장성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지방산의 산화에 기인한 이취(off-flavor)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비타민 E를 100~200ppm으로 첨가함으로써, 감마지방산의 산화를 방지하고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료조성물에 배합되는 계피의 첨가량은 사료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5~5.0중량%가 바람직하다. 0.5중량%이하 첨가시에는 육용 가금의 고기 내 계피 맛이 약해질 수 있으며, 5.0중량%이상 첨가시에는 육용가금의 고기 내 계피 맛을 한층 강화시킬 수는 있지만, 사료섭취량이 떨어지게 되어 목표체중( 시장출하체중)에 도달하는 일수가 지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료조성물을 가금류에 급여할 경우, 감마지방산 함량이 강화되고 맛과 질이 향상된 기능성 육용가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은 전체 사육기간(0~35일) 동안 급여하는 것보다 사육후기(22~35일) 동안에 급여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이고 저장성이 높은 기능성 육용가금을 생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는 감마지방산 공급원으로 달맞이꽃 종자유를 사용하였으나, 그 외 감마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서양자초유, 까막까치밥나무유, 삼씨유, 감마지방산의 유도체를 함유하는 상기 식물종자유의 미생물 배양체 또는 이들로부터 추출·정제된 고순도 감마지방산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는 닭을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료조성물을 적용한 결과를 예시하였으나, 타조, 메추리, 꿩, 오리, 거위 또는 칠면조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강원대학교 동물자원과학대학 양계장에서 브로일러 초생추 수컷 100수를 시장출하체중(1.5㎏) 도달시까지의 기간인 35일간 사육하였다. 감마지방산 공급원으로 달맞이꽃 종자유(GLA 8.5% 함유)를 NRC사양표준(1994)에 기초한 옥수수, 대두박 위주의 시험사료 내 0.5%, 1.5%, 3.0%, 4.0% 함유한 4개의 처리구와 대조구(우지 4.0% 첨가구) 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서 각 처리구당 20수씩 반복구를 두었다. 시험사료내 지방함량은 4.0%로 동일하게 하였으며, 달맞이꽃 종자유 0.5%, 1.5% 및 3.0% 첨가구는 우지를 각각 3.5%, 2.5% 및 1.0% 첨가하여 동일한 4.0% 지방 함유 사료를 급여하였다. 상기의 모든 시험사료의 비타민 E는 요구량수준이었으며 계피는 첨가하지 않았다. 실험 종료 후 피부, 다리살, 가슴살의 감마지방산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닭고기 부 위 일반사료를 급여한 닭 달맞이꽃 종자유 함유 사료를 급여한 닭
0.5% 1.5% 3.0% 4.0%
가슴살 - 48.5 98.4 101.5 105.1
다리살 - 43.7 68.0 85.4 103.2
피부 - 46.1 60.2 76.3 87.4
(㎎/100g 닭고기)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마지방산 공급원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닭고기 내 감마지방산 축적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브로일러 초생추 수컷 100수를 이용하여 5처리구ㅧ 20 반복으로 35일간 사육하였다. NRC사양표준(1994)에 기초한 옥수수, 대두박 위주의 시험사료는 계피 분말(20 mesh)을 0%, 2.0%, 3.0%, 4.0% 및 5.0% 수준으로 함유하였고, 공급되는 지방은 우지를 4.0%, 그리고 비타민 E는 요구수준으로 함유하였다. 35일간 시험사료를 급여한 다음, 시장 출하체중(1.5㎏)시에 도계하여 다리살과 가슴살을 조리한 후, 잘 훈련된 관능요원 10명을 대상으로 9점 평가법에 의해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2).
항목 닭고기 조리육 일반사료 닭고기 계피 첨가 닭고기
2.0% 3.0% 4.0% 5.0%
맛, 향 튀김 5.4 6.6 6.2 7.6 8.0
삶음 5.2 6.4 6.0 7.6 7.6
다즙성 튀김 5.6 6.0 6.8 7.0 7.2
삶음 5.0 5.8 5.8 6.2 6.4
조직감 튀김 5.4 6.6 6.6 7.4 7.4
삶음 6.4 6.4 6.4 7.2 7.4
전체 기호도 튀김 5.6 6.6 6.5 7.4 7.6
삶음 5.6 6.4 6.2 6.8 7.6
표 2의 관능평가에서, 관능평가 성적 점수가 1에 가까울수록 닭고기의 맛이 좋지 않은 것을, 5는 보통의 닭고기 맛을 그리고 9에 가까울수록 닭고기의 맛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닭고기의 맛에 대한 관능성적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감마지방산 공급원, 비타민 E 및 계피를 함유하는 사료조성물을 급여함으로써, 건강기능식품에서 권장되는 감마지방산의 일일섭취량(닭고기 100g당 40~80㎎에 해당) 이상을 닭고기 내에 축적시키며, 동시에 비타민 E를 강화하여 닭고기의 감마지방산 산화방지 및 저장성을 연장하고 계피 맛을 지닌 새로운 고기능성 닭고기를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NRC 사양표준(1994)에 기초한 옥수수, 대두박 위주의 시험사료는 감마지방산 공급원으로 달맞이꽃 종자유를 함유하였으며, 시험사료 내 총지방 함유량은 감마지방산 공급원을 포함하여 4.0% 수준으로 동일하게 조절해주었다. 감마지방산을 제외한 나머지 지방공급원은 우지를 첨가해주었다. 따라서 감마지방산 공급원으로서 달맞이꽃 종자유 0.5%와 혼합유 0.7% 첨가구는 각각 우지 3.5%와 3.3%가 첨가된 것이다. 부화 당일 수컷 60수를 이용하여 사육전기(0일~21일)에는 흥성육계 전기사료를 급여하였고, 사육후기(22일~35일)부터는 육계를 체중이 비슷한 것끼리 구분한 후, 세 개의 처리구(감마지방산 공급원 0.5% 처리구, 감마지방산 공급원 0.5% + 비타민 E 200ppm + 계피 5.0% 처리구, 혼합유 0.7% + 비타민 E 200ppm + 계피 5.0% 처리구)로 나눈 다음, 각각의 처리구당 20수씩 반복으로 완전 임의 배치하여 시험사료를 무제한 급여하였다. 혼합유 0.7% 처리구는 달맞이꽃 종자유 70 : 대두유 30의 비율로 혼합 공급하였다. 하기 표 3은 사육후기(22~35일) 동안 본 발명의 시험사료를 급여한 후, 닭고기 부위별 감마지방산의 강화율을 나타낸 것이다.
항 목 감마지방산 강화율(%)
가슴살 다리살 피부
달맞이꽃 종자유 0.5% 135 120 115
달맞이꽃 종자유 0.5%, 비타민 E 200ppm, 계피 5.0% 120 100 120
혼합유 0.7%, 비타민 E 200ppm, 계피 5.0% 280 176 17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타민 E와 계피를 첨가하지 않고 감마지방산 공급원만을 함유한 시험사료와, 감마지방산 공급원 및 혼합유와 동시에 비타민 E와 계피를 함유한 시험사료를 섭취한 닭고기의 부위별 감마지방산 강화율은 100%~280%로 나타났다. 이 값을 닭고기 100g당 감마지방산 ㎎ 함유량으로 환산하면, 40mg~112mg로 나타나게 되어 건강기능식품에서의 일일섭취권장량(닭고기 100g당 40~80mg) 이상 축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표 4는 사육후기(22~35일) 동안 본 발명의 시험사료를 급여한 후 얻어진 닭 다리살을 4℃에서 10일간 냉장 저장하였을 경우, 감마지방산, pH 및 TBA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고기의 저장일수가 길어지게 되면, 산화에 민감한 고도 불포화지방산인 감마지방산의 함유량이 낮아지며 pH와 TBA가 높아지게 되고 이취(off-flavor)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항 목 감마지방산(%) pH TBA
0일 5일 10일 0일 5일 10일 0일 5일 10일
달맞이꽃 종자유 0.5% 0.97 0.75 0.38 5.98 6.31 6.65 0.14 0.30 0.50
달맞이꽃 종자유 0.5%, 비타민 E 200ppm, 계피0.5% 0.97 0.91 0.85 5.92 6.02 6.37 0.10 0.18 0.30
혼합유 0.7%, 비타민 E 200ppm, 계피 5.0% 1.69 1.60 1.52 6.01 6.08 6.36 0.11 0.20 0.35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타민 E의 첨가급여 없이 오직 감마지방산 공급원만을 급여한 처리구에서는 신선육의 감마지방산 함유량이 냉장저장 일수가 5일, 10일로 길어짐에 따라 각각 22.7%, 60.8%씩 파괴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pH와 TBA 값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감마지방산과 비타민 E 및 계피를 함께 첨가하면, 저장기간 동안 감마지방산의 손실량이 월등히 감소되며, pH와 TBA 값의 급격한 증가가 방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 표 5는 사육후기(22~35일) 동안 본 발명의 시험사료를 급여한 후 얻어진 닭고기의 다리살 튀김 및 삼계탕용으로 삶은 것에 대한 관능평가 성적을 나타낸 것이다.
항목 닭고기 조리육 달맞이꽃 종자유 0.5% 달맞이꽃 종자유 0.5%, 비타민 E 200ppm, 계피 5.0% 혼합유 0.7%, 비타민 E 200ppm, 계피 5.0%
맛, 향 튀김 5.5 7.7 8.1
삶음 5.6 7.8 7.9
다즙성 튀김 5.8 7.5 7.2
삶음 5.4 7.1 7.4
조직감 튀김 5.5 7.6 7.8
삶음 6.0 7.7 7.3
전체기호도 튀김 5.8 7.6 7.7
삶음 5.7 7.5 7.5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능평가 점수는 계피 무첨가구에 비하여, 계피 첨가구의 전체기호도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로써 본 발명의 계피를 첨가한 사료로 사육하였을 시 닭고기의 맛이 월등히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 사육기간(0~35일) 동안 감마지방산 또는 계피를 공급해 주는 것보다는 사육후기(22~35일) 동안에 감마지방산, 계피 및 비타민 E를 동시에 첨가 급여함으로써, 보다 더 경제적이고 저장성이 높으며, 새로운 맛을 내는 감마지방산 강화 닭고기를 생산 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마지방산 공급원 및 비타민 E와 계피를 함유하는 가금류의 사료조성물 및 상기 사료조성물을 가금류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지방산 함량이 높으며 맛과 질이 향상된 기능성 육용가금(肉用家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생산된 육용가금 또는 이를 이용한 가공식품을 소비자가 섭취할 경우, 정상적인 심혈관, 뇌혈관 및 면역체계를 유지하고, 여성의 생리통을 격감시키며, 피부노화, 골다공증 및 아토피성 피부병의 예방효과를 갖는 감마지방산의 1일 권장섭취량을 자연스런 식생활을 통해 섭취할 수 있다.

Claims (6)

  1. 전체 사료조성물에 대하여 감마지방산 공급원 0.5~4.0중량%, 비타민 E 100~200ppm 및 계피 0.5~5.0중량%를 함유하는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강화용 사료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감마지방산 공급원은 달맞이꽃 종자유(evening primrose oil), 서양자초유(borage oil), 까막까치밥나무유(black current oil), 삼씨유(hemp seed oil), 이의 미생물 배양체 또는 이들로부터 추출·정제된 고순도의 감마지방산 오일이거나 기타 가공 생산된 감마지방산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가금류는 타조, 메추리, 꿩, 오리, 거위, 닭 또는 칠면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의 사료조성물을 가금류에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마지방산 강화 기능성 육용가금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여는 사육후기에 15일 이상일간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육용가금을 함유하는 가공식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4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육용가금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용가금 함유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KR1020040075554A 2004-09-21 2004-09-21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강화를 위한 사료조성물 KR100564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554A KR100564137B1 (ko) 2004-09-21 2004-09-21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강화를 위한 사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554A KR100564137B1 (ko) 2004-09-21 2004-09-21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강화를 위한 사료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137B1 true KR100564137B1 (ko) 2006-03-24

Family

ID=3717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554A KR100564137B1 (ko) 2004-09-21 2004-09-21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강화를 위한 사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1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908B1 (ko) 2008-03-06 2009-10-16 대한민국 감마리놀렌산 강화 계란 생산을 위한 사료 첨가물 및급여방법
KR100941492B1 (ko) * 2008-01-04 2010-02-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헴프종자가루를 함유한 초파리 배지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1163381B1 (ko) 2008-12-26 2012-07-12 주식회사 누보비앤티 양계산물 내 감마리놀렌산 축적율 향상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49054A (ja) 1984-12-21 1986-07-0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キヤツトフ−ド組成物
US4738853A (en) 1984-04-06 1988-04-19 Efamol Ltd. Food production
JPS6398355A (ja) 1986-10-16 1988-04-28 Kazumitsu Maruta 動物用飼料
JPH01215245A (ja) * 1988-02-25 1989-08-29 Suntory Ltd 高度不飽和脂肪酸添加動物飼料
JPH04360653A (ja) * 1991-06-06 1992-12-14 Tochigi Pref Gov 麻の実の多価不飽和脂肪酸高含有鶏卵の生産方法
KR19980026382A (ko) * 1996-10-09 1998-07-15 하영래 Cla 함유 사료, 기능성 달걀, 닭고기, 및 양어의 생산방법과 그들의 이용
JPH11196776A (ja) 1998-01-13 1999-07-27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養牛飼料
KR20050036012A (ko) * 2003-10-14 2005-04-20 (주) 켐포트 장쇄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인지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8853A (en) 1984-04-06 1988-04-19 Efamol Ltd. Food production
JPS61149054A (ja) 1984-12-21 1986-07-0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キヤツトフ−ド組成物
JPS6398355A (ja) 1986-10-16 1988-04-28 Kazumitsu Maruta 動物用飼料
JPH01215245A (ja) * 1988-02-25 1989-08-29 Suntory Ltd 高度不飽和脂肪酸添加動物飼料
JPH04360653A (ja) * 1991-06-06 1992-12-14 Tochigi Pref Gov 麻の実の多価不飽和脂肪酸高含有鶏卵の生産方法
KR19980026382A (ko) * 1996-10-09 1998-07-15 하영래 Cla 함유 사료, 기능성 달걀, 닭고기, 및 양어의 생산방법과 그들의 이용
JPH11196776A (ja) 1998-01-13 1999-07-27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養牛飼料
KR20050036012A (ko) * 2003-10-14 2005-04-20 (주) 켐포트 장쇄고도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인지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492B1 (ko) * 2008-01-04 2010-02-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헴프종자가루를 함유한 초파리 배지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0921908B1 (ko) 2008-03-06 2009-10-16 대한민국 감마리놀렌산 강화 계란 생산을 위한 사료 첨가물 및급여방법
KR101163381B1 (ko) 2008-12-26 2012-07-12 주식회사 누보비앤티 양계산물 내 감마리놀렌산 축적율 향상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lle Zotte et al. The role of rabbit meat as functional food
TW384210B (en) Method for increasing incorporation efficiency of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in poultry meat
WO2000049889A1 (en) Animal feed supplement for the nutritional enrichment of animal produce
KR102420269B1 (ko) 반려 동물 피부건강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US20090047378A1 (en) Non marine or non algal sourced omega 3 feed/food supplement and process for stabilizing, enhancing the conversion efficiency, and enrichment of omega 3 fatty acids in livestock/humans and products therefrom
KR101909002B1 (ko) 도토리를 포함하는 돼지 사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방법 및 이로부터 얻은 돈육
PT1662904E (pt) Composições contendo elementos da semente de salvia sclarea como ingrediente activo
KR100872457B1 (ko)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고 칼슘 함량을 증가시킨 기능성계란의 생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계란
CN106417970A (zh) 包含有益脂肪酸的家禽肉和蛋
RU2497377C1 (ru) Корм для кур
KR100564137B1 (ko) 가금류의 감마지방산 강화를 위한 사료조성물
KR100911279B1 (ko) 무항생제 사료조성물
JP6035314B2 (ja) 有益な脂肪酸を含む家禽肉および家禽卵
Cherian Omega-3 fatty acids: Studies in avians
El-Attrouny et al. Effect of different dietary copper forms and levels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traits of broilers chickens
JPS63237745A (ja) α−リノレン酸系脂肪酸の含有率が高められた動物性食品の生産方法
Wady et al. Effect of Adding Different Levels of Water Extract of the Pumpkin Leaves and Pumpkin Seeds Powder (Cucurbita moschata) in Some of The 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Broiler
Sretenović et al. Importance of utilization of omega-3 fatty acids in human and animal nutrition
KR20160106916A (ko) 어유를 포함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를 급여하여 얻어진 오메가-3 함량이 우수한 가금육과 가금란, 이를 이용한 오메가-3 강화제 및 오메가-3 강화식품
RU2790666C1 (ru) Применение мицеллированной формы куркумина в качестве кормовой добавки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KR100581076B1 (ko) Dha 함량이 높은 계육 생산을 위한 정제 어유, 육계용사료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Yeboah et al. Assessment of Growth and Carcass Parameters of Guinea Fowls (Numida meleagris) Fed Diets with Re3™ Probiotics
KR100479018B1 (ko) 엘-카르니틴고함량계란의제조방법
Buyarov et al. Productivity and quality of broiler chicken meat with the use of preparations “Apex” and “Emicidin”
JPH10155430A (ja) 高濃度ゼアキサンチン含有家禽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