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896B1 - 고휘도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용 청색 형광체 및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휘도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용 청색 형광체 및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896B1
KR100562896B1 KR1020030064934A KR20030064934A KR100562896B1 KR 100562896 B1 KR100562896 B1 KR 100562896B1 KR 1020030064934 A KR1020030064934 A KR 1020030064934A KR 20030064934 A KR20030064934 A KR 20030064934A KR 100562896 B1 KR100562896 B1 KR 100562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acpel
blue phosphor
chloride
f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8261A (ko
Inventor
전애경
이명진
여창호
이지영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진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진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진화학
Priority to KR1020030064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896B1/ko
Publication of KR2005002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copper, silver or gold
    • C09K11/582Chalcogenides
    • C09K11/584Chalcogenides with zinc or cad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61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fluorine, chlorine, bromine, iodine or unspecified halogen elements
    • C09K11/611Chalcogenides
    • C09K11/612Chalcogenides with zinc or cad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는 황화아연을 모제로 하고 구리와 염소를 공부활제로 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청색 형광체로서, 황화아연 1몰에 대한 구리 이온의 함량이 0.0001 내지 0.001몰이고 색좌표 값이 x=0.15±0.02, y=0.18±0.0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ZnS : Cu, Cl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는 교류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전계 하에서 발광 휘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색감이 천연색과 유사한 고품위의 진청색을 나타낸다.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 청색 형광체, 황화아연, 구리, 염소, 진청색

Description

고휘도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용 청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A blue phosphor having characteristics of high brightness for ACP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교류 분산 전계 방출 소자의 통상적인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용 청색 형광체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은 황화 아연(ZnS)을 모제로 한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용 청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화아연을 모제로 하고 구리와 염소를 공부활제로 하여, 발광 휘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색감이 천연색과 유사한 고품위의 진청색을 나타내는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lternating Current Powder Electroluminescence, 이하, ACPEL이라 한다)용 청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ACPEL은 유전층 사이의 교류를 인가하여 발생하는 전계에 의해 형광체가 발광하는 소자로써,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의 성형이 가능하고, 효율이 우수하며 경량화 및 제작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이러한 ACPEL 소자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 및 항공기, 자동차의 계기판, DVD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표시창의 백 라이트로 사용되고 있어 사용량 및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도 1은 교류 분산 전계 방출 소자의 통상적인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류 분산 전계 방출 소자는 유리기판(1) 상에 ITO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전극(2)이 형성되어 있고, 투명전극(2) 위에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발광층(4)이 형성되어 있다. 발광층(4) 상에는 순차적으로 유전층(5)과 금속전극(6)이 형성되어 있어, 금속전극(6)과 투명전극(2)으로 교류전압이 인가되면 유리기판(1)을 통해 빛이 방출된다.
이러한 ACPEL 소자는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기능이 강화되면서 소자의 대부분의 기능을 수행하는 형광체의 특성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즉, 기존 형광체의 발광 휘도를 향상시키고, 천연색과 유사한 색감을 갖는 형광체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특히 종래의 ACPEL용 청색 형광체는 발광 휘도가 낮고, 녹색을 많이 포함하여 색감이 청록색과 유사하므로 자연스러운 색감을 나타낼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공부활제로서 구리와 염소를 사용함과 동시에 구리 이온의 농도를 최적화하므로서, 발광 휘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천연색과 유사한 진청색의 색좌표를 갖는 황화아연계 ACPEL용 청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발광 휘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색감이 천연색과 유사한 고품위의 진청색을 나타내는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lternating Current Powder Electroluminescence, 이하, ACPEL이라 한다)용 청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화아연을 모제로 하고 구리와 염소를 공부활제로 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청색 형광체로서, 황화아연 1몰에 대한 구리 이온의 함량이 0.0001 내지 0.001몰이고 색좌표 값이 x=0.15±0.02, y=0.18±0.04 인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ZnS : Cu, Cl
또한, 본 발명은 (S1) 황화아연, 구리이온 함유 화합물 및 염소이온 함유 화합물을 혼합하고 400∼800℃에서 예비소성하는 단계; (S2) 상기 예비소성의 결과물을 950∼1200℃에서 1차 소성하는 단계; (S3) 상기 1차 소성의 결과물에 황산구리 및 산화아연을 첨가하여 500 ~ 1000℃에서 2차 소성하는 단계; (S4) 상기 2차 소성의 결과물을 세정, 건조 및 분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한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구리이온 함유 화합물로는 제1염화구리, 산화구리, 황화구리, 질산구리, 초산구리, 염화구리 등의 염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염소이온 함유 화합물로는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바륨, 염화칼륨 등의 이루어진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염화물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차 소성의 결과물에 황산구리 및 산화아연을 첨가한 혼합물을 3차 소성전에 볼밀하여 표면 에너지를 활성화시켜 발광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황화아연을 모제로 하고 구리와 염소를 공부활제로 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청색 형광체로서, 황화아연 1몰에 대한 구리 이온의 함량이 0.0001 내지 0.001몰이고 색좌표 값이 x=0.15±0.02, y=0.18±0.04 인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ZnS : Cu, Cl
이와 같은 구조의 청색 형광체는 전계에 의해 충분히 여기되어 발광강도가 우수하며, 종래의 녹색을 많이 포함한 청색 형광체와는 달리 천연색과 유사한 진청색을 나타내므로 고품위 ACPEL용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에 있어서, 황화아연 1몰에 대한 구리 이온의 함량이 0.0001몰 미만이면 발광휘도가 낮아지고, 0.001몰을 초과하면 청색발광을 구현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모제로서 황화아연, 활성화제로서 구리이온을 함유하는 화합물, 융제로서 염소이온 함유 화합물을 혼합하여 400∼800℃에서 예비소성한다(S1).
형광체의 원료인 황화아연은 불순물, 특히 철, 니켈, 납 등과 같은 형광체 휘도를 저하시키는 금속 물질의 함량을 10ppm 이하로 제어하여 순도가 99.9%이상이며, 입자의 평균크기가 3∼5um 정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제로 사용되는 구리이온 함유 화합물은 제1염화구리, 산화구리, 황화구리, 질산구리, 초산구리, 염화구리와 같이 구리를 포함하는 염 형태의 화합물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융제로서 사용되는 염소이온 함 유 화합물로는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바륨, 염화칼슘, 염화칼륨 등 알카리금속 및 알카리토금속의 염화물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융제는 황화아연 대비 15%를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선택적으로 황분말을 예를 들어 5% 정도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소성과정에서 황성분의 증발에 따른 보충제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황화아연, 구리이온 함유 화합물, 염소이온 함유 화합물을 잘 혼합하여 석영도가니에 넣어 잘 충진한 후, 석영 디스크을 혼합물 상부에 넣고 활성탄을 붓은 다음, 석영 뚜껑을 닫는다.
잘 충진된 혼합물을 전기로에 넣고 400∼800℃에서 예비소성을 실시한다. 예비소성시 적합한 승온속도 및 소성시간은 각각 5℃/분 및 1∼5시간이다. 예비소성 단계에 있어서, 소성온도를 400∼800℃에서 유지하는 것은 융제의 윤활력으로 황화아연과 구리이온이 원활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하여 결정 성장에 필요한 반응 시간을 줌과 동시에, 반응시 발생하는 기체가 충분히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일 400℃ 미만에서 소성하는 경우에는 융제의 역할이 미비하여 황화아연과 구리이온의 반응성이 떨어져 결정 성장이 일어나기 어려우며, 800℃ 이상에서는 융제가 녹으므로 황화아연과 구리이온의 계면에 존재하지 않고 이상으로 분리되어 불균일한 결정 성장이 발생하여 적정한 예비 소성물을 얻기 힘들다.
이렇게 얻은 예비소성의 결과물은 950∼1200℃에서 1차 소성을 실시한다(S2). 1차 소성은 예비소성단계를 마친 후 연속적으로 실시되는데, 적합한 승온속도 및 소성시간은 5℃/분 및 2∼10시간이다.
ACPEL용 형광체는 고온상인 육방정계(hexagonal) 황화아연과 구리이온이 반응하여 구리이온이 도핑된 육방정계(hexagonal) 황화아연이 된 다음, 저온 소성에서 입방상(cubic)의 황화아연으로 전이되면서 표면에 CuxS가 침전되면서 생기는 발광센터에 의해 발광한다. 950∼1200℃에서의 1차 소성단계는 황화아연과 구리이온의 반응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황화아연의 상이 입방상에서 육방정계 상으로 충분히 전이가 일어나도록 한다. 만일 950℃미만에서 반응하면 구리이온과 반응이 원활하지 못함은 물론 상전이도 충분히 일어나지 못하고, 1200℃를 초과하면 결정 성장이 가속하되어 입자의 크기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므로 발광 품위 및 휘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얻어진 1차 소성의 결과물은 예를 들어 10℃/분으로 로냉한 후, 불순물을 제거한다. 1차 소성의 결과물에는 융제 성분인 염소이온 및 알카리/알카리토 금속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불순물들은 형광체의 휘도를 감소시킴은 물론 전계하에서 피래침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켜 수명 신뢰성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불순물 제거는 예를 들어 염산 5% 용액을 사용하여 2∼3회 세정한 다음, 1㏁ 이상의 순수로 다시 2∼3회 세정하여 염소 이온 및 금속 이온을 제거한다. 염소 이온의 검출은 0.1노르말 농도의 질산은 수용액을 세정 여액에 한 두 방울 떨어뜨려 흰색 침전이 생기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불순물이 제거된 형광체는 여과하여 12시간 이상 진공 건조한다.
이어서, 2차 소성의 결과물에 상전이 조제인 황산구리 및 산화아연을 첨가하여 500 ~ 1000℃에서 3차 소성을 실시한다(S3).
상전이 조제는 1차 소성에 첨가된 구리이온의 함량이 미량이므로 상전이 표 면에 CuxS를 원활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 황화아연이 소성되는 과정에서 휘발되는 아연이온을 보존하기 위해 첨가하여 사용한다. 황산구리와 산화아연의 첨가량은 건조된 1차 소성의 결과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3∼3중량%, 10∼2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황산구리 양이 0.3중량% 미만이면 표면에 CuxS의 형성이 미미할 수 있고, 3중량%를 초과하면 잉여 구리이온의 함량이 많아져 전계 발광시 후 통전이나 스파크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산화아연의 첨가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상전이가 진행되는 동안 증발되는 아연이온을 충분히 보존하지 못할 수 있고, 20중량%를 초과하면 최종 형광체의 휘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소결 조제와 형광체를 혼합함과 동시에 저온에서 상전이가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형광체 표면에 인위적으로 충격을 주어 활성화에너지가 증가시키기 위하여 1차 소성의 결과물, 황산구리 및 산화아연의 혼합물을 볼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형광체 제조 공정에 있어서는 몰딩 분쇄 및 롤밀 등을 사용하였는데, 충격에 따른 활성화에너지가 적고, 혼합물 전체에 고루게 분산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고 혼합물 전체에 충격을 주기 위해 볼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볼 밀의 속도는 20∼100rpm으로 1∼10시간 진행할 수 있다. 즉, 볼밀의 속도 및 시간이 각각 20rpm~100rpm 및 1~10시간인 범위에서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면서도 형광체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입자의 분쇄를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전이 조제와 1차 형광체를 충분히 혼합한 후 도가니에 넣고, 예들 들어 500∼1000℃에서 2차 소성한다. 승온속도 및 소성시간은 각각 5℃/분 1~5 시간이 적합하다. 2차 소성온도가 500℃ 미만이면 첨가한 상전이 조제들의 반응성이 떨어져 육방정계(hexagonal) 상에서 입방상으로 상전이 충분히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발광 휘도가 낮아지게 되고, 1000℃를 초과하면 육방정계 상이 유지되어 전계하에서 발광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2차 소성의 결과물은 세정, 건조 및 분급한다(S4).
2차 소성에서 사용한 소결 조제인 황산구리 및 산화아연은 형광체 표면에 잔존하게 되면 ACPEL 제작시 스파크와 같은 방전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세정하여 제거할 필요가 있다. 형광체의 세정은 예를 들어, 2차 소성의 결과물을 순수(1㏁ 이상)에 넣고 자석 교반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교반/세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과정을 3회 이상 반복한 다음, 5% 아세트산으로 2회 이상 교반 세정한다. 아세트산 제거를 위해 다시 순수로 3회 세정한 다음, 3% KCN 용액으로 세정한다. KCN은 형광체 표면에 잔존하는 잉여 구리이온을 제거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KCN으로 세정한 다음, 다시 10% 암모니아수로 세정한다. 만일 구리이온이 충분히 세정되지 않았으면 암모니아 수 세정시 여액이 청색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암모니아수로 여액의 색상이 무색이 되도록 충분히 세정하고, 다시 순수를 이용하여 pH가 7이 되도록 세정한다.
세정이 완료되면 80℃에서 24시간 이상 진공 건조하고, 얻은 최종 형광체를 분쇄/ 분급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형광체는 전계하에서 발광 휘도가 우수하고, x=0.15±0.02, y=0.18±0.04의 자연스러운 색감이 갖는 진청색 형광체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3L 헨셀믹서에 황화아연 930g, 황화구리 1.084g을 넣고 충분히 혼합한 후, 황 분말 50g, 염화마그네슘 29g, 염화바륨 29g, 염화나트륨 18g을 재 투입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석영도가니에 넣어 충진한 다음, 석영디스크를 얹고 활성탄을 충분히 부어 전기로에 넣고 5℃씩 승온하여 600℃에서 3시간 예비 소성하고, 다시 5℃씩 승온하여 1100℃에서 7시간 소성한 후 로냉하여 1차 소성물을 얻었다. 얻은 소성물을 디스크밀(Disk mill)로 분쇄한 후, 5% 염산으로 2회, 순수로 3회 세정하여 pH를 8로 만든 다음, 여과하고 80℃에서 진공 건조하였다. 이것을 '수득물'이라 한다.
이어서, '수득물'에 수득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황화구리 2.8중량%, 산화아연 20중량%를 넣어 잘 혼합한 후, 3L 알루미나 포트에 충진하고, 알루미나 볼을 900g 넣어 80rpm으로 6시간 볼밀하였다. 볼밀 혼합된 혼합물을 고순도 지르코니아 도가니에 충분히 충진하고 뚜껑을 닫아 전기로에 투입하였다. 이어서, 5℃씩 승온하여 800℃에서 4시간 2차 소성하고, 로냉시켰다. 2차 소성된 결과물을 순수로 3 회, 5% 아세트산으로 3회, 3% KCN 용액, 10% 암모니아수로 세정한 후, 순수로 충분히 세정하여 pH가 8이 되도록 하였다. 세정된 형광체를 여과하여 8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하여 실시예 1의 형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형광체의 황화아연 1몰에 대한 구리 이온의 함량은 5×10-3몰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은 '수득물'에 황화구리와 산화아연의 첨가량을 각각 0.5중량% 및 10중량%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얻어진 형광체의 황화아연 1몰에 대한 구리 이온의 함량은 4.6×10-3몰이었다.
실시예 3
볼 밀 대신 헨셀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얻어진 형광체의 황화아연 1몰에 대한 구리 이온의 함량은 5×10-3몰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예비소성을 실시하지 아니하고, 1100℃에서 10시간 소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얻어진 형광체의 황화아연 1몰에 대한 구리 이온의 함량은 5×10-3몰이었다.
전술한 방법으로 얻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형광체에 대하여 도 1(실시예 1의 형광체 사용)과 같이 교류 분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하였고, 휘도계(BM7, Topcon사, 일본)를 사용하여 휘도 및 색좌표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형광체 색좌표 휘도(cd/㎡)
x y
실시예 1 0.1557 0.1884 58
실시예 2 0.1560 0.1930 42
실시예 3 0.1634 0.1845 35
비교예 1 0.1721 0.2048 28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는 교류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전계 하에서 발광 휘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색좌표 값이 x=0.15±0.02, y=0.18±0.04인 범위로서 색감이 천연색과 유사한 진청색을 나타낸다. 다만, 볼밀 대신 헨셀 믹서를 사용하여 혼합하여 제조한 실시예 3의 형광체는 볼밀을 사용한 실시예 1 및 2의 형광체보다 휘도가 낮게 된다. 한편, 예비소성 단계를 거치지 않은 비교예 1의 형광체는 휘도도 낮으며 색감도 청록색을 띄어 자연스러운 진청색을 나타내지 못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는 교류 전원에 의해 발생하는 전계 하에서 발광 휘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색감이 천연색과 유사한 고품위의 진청색을 나타낸다.

Claims (6)

  1. 황화아연을 모제로 하고 구리와 염소를 공부활제로 하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청색 형광체로서, 황화아연 1몰에 대한 구리 이온의 함량이 0.0001 내지 0.001몰이고 색좌표 값이 x=0.15±0.02, y=0.18±0.04인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
    <화학식 1>
    ZnS : Cu, Cl
  2. (S1) 황화아연, 구리이온 함유 화합물 및 염소이온 함유 화합물을 혼합하고 400∼800℃에서 예비소성 단계;
    (S2) 상기 예비소성의 결과물을 950∼1200℃에서 1차 소성하는 단계;
    (S3) 상기 1차 소성의 결과물에 황산구리 및 산화아연을 첨가하여 500 ~ 1000℃에서 2차 소성하는 단계;
    (S4) 상기 2차 소성의 결과물을 세정, 건조 및 분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이온 함유 화합물은 제1염화구리, 산화구리, 황화구리, 질산구리, 초산구리, 염화구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염이고, 상기 염소이온 함유 화합물은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염화바륨, 염화칼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의 염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의 혼합물에 황분말을 더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구리 및 산화아연의 첨가량은 1차 소성 결과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각각 0.3 내지 3중량% 및 10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의 제조방법.
  6. 제2항의 (S3)단계에 있어서, 1차 소성의 결과물에 황산구리 및 산화아연을 첨가한 혼합물을 2차 소성전에 볼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ACPEL)용 청색 형광체의 제조방법.
KR1020030064934A 2003-09-18 2003-09-18 고휘도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용 청색 형광체 및그 제조방법 KR100562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934A KR100562896B1 (ko) 2003-09-18 2003-09-18 고휘도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용 청색 형광체 및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934A KR100562896B1 (ko) 2003-09-18 2003-09-18 고휘도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용 청색 형광체 및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261A KR20050028261A (ko) 2005-03-22
KR100562896B1 true KR100562896B1 (ko) 2006-03-22

Family

ID=37385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934A KR100562896B1 (ko) 2003-09-18 2003-09-18 고휘도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용 청색 형광체 및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520B1 (ko) 2010-11-17 2012-08-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구리 및 염소 첨가된 황화아연 결정질 나노 형광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120B1 (ko) * 2005-12-20 2007-06-12 (주)엔피케미칼 고휘도, 장수명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용 청록색형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083377A (ko) 2009-01-13 201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형광체 및 이를 포함한 무기 전계 발광 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520B1 (ko) 2010-11-17 2012-08-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구리 및 염소 첨가된 황화아연 결정질 나노 형광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261A (ko) 2005-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02044A (ja) 深赤色蛍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89518A1 (en) Method of producing a fluorescent particle
JP4194079B2 (ja) 電場発光蛍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46117B2 (ko)
US20100193740A1 (en) Method of producing an electroluminescence phosphor
KR100562896B1 (ko) 고휘도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용 청색 형광체 및그 제조방법
EP1006171B1 (en) Alkali iodide doped zinc sulphide electroluminescent phosphor
JPH08183954A (ja) El蛍光体粉末
JP2005197234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1676899B1 (en) Electroluminescent phosphor
US20050122034A1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JP3904897B2 (ja) 高輝度電場発光蛍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場発光素子
JP2006097028A (ja) 単一成分黄色発光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蛍光体
JP2006120555A (ja) 分散型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812212B1 (ko) 전계발광소자용 청색 무기형광체 분말 합성방법
JP2019099617A (ja) 緑色蛍光体、発光素子及び発光装置
JP3726134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発光層薄膜、無機薄膜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発光層薄膜の製造方法
KR101129442B1 (ko) 황색 발광 형광체의 제조방법
KR101044974B1 (ko) 발광 특성이 향상된 무기형광체 분말 합성방법
JP2005206821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蛍光体の製造方法
EP1059347B1 (en) Electroluminescent phosphor with high brightness
KR850000900B1 (ko) 음극선관
JP2005281380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蛍光体の製造方法
JP2586147B2 (ja) ZnS:Cu系蛍光体の製造方法
KR100726120B1 (ko) 고휘도, 장수명의 교류 분산형 전계 발광 소자용 청록색형광체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