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141B1 - 용지반전장치 - Google Patents

용지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141B1
KR100562141B1 KR1020040083708A KR20040083708A KR100562141B1 KR 100562141 B1 KR100562141 B1 KR 100562141B1 KR 1020040083708 A KR1020040083708 A KR 1020040083708A KR 20040083708 A KR20040083708 A KR 20040083708A KR 100562141 B1 KR100562141 B1 KR 100562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passage
stopper
convey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관
켄지우메하라
Original Assignee
(주)케이알디씨
그라드코 제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알디씨, 그라드코 제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케이알디씨
Priority to KR1020040083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1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6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on both faces of the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의 반전 과정에서 용지의 이송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용지반전장치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용지반전장치(101)는 용지이송로 상에 구성되는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와,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일측에 용지 진입부 및 용지 배출부를 구비한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과,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타측에 그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115)를 구비하고,
상기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의 용지 진입부를 통하여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로 이송된 용지가 상기 스토퍼(115)에 의하여 걸렸을 때 상기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의 용지 배출부를 통하여 용지의 진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115)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로 이송된 용지는 그 용지의 진입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115)의 외측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용지반전장치{Sheet reversing device}
도 1은 화상처리장치에 용지반전장치가 구성되는 일반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용지반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내지 도 6은 종래 용지반전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용지반전장치의 요부 입체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용지반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용지반전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용지반전장치 2, 102 - 플랩
3, 103 -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 4, 104 - 상측 가이드
5, 105 - 하측 가이드 6, 7, 117 - 용지이송롤러
8, 108 - 용지배출롤러 9, 109, 129 - 구동 모터
11 - 화상처리장치 12, 13 - 용지후처리장치
15, 16 - 용지
17, 18, 26 116a, 116b, 118, 127 - 아이들롤러
10a, 110a - 제1분기로 10b, 110b - 제2분기로
10c, 110c - 제3분기로 106 - 패들롤러
115 - 스토퍼 130 - 스토퍼 구동기어
142, 143 - 벨트 150 - 양방향 용지이송수단
156 - 회전축 157 - 패들
158 - 패들지지체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인쇄기 등의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반전(앞면과 뒷면을 바꿈)시켜 용지후처리장치로 이송시키는 용지반전장치에 관련된 것이고, 더 상세히는 용지반전 과정에서 용지의 이송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용지반전장치를 구성하는 것에 관련된 것이다.
용지이송로 상에 구성되는 일반적인 용지반전장치의 개략적인 기술 구성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화상처리장치(11)는 그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스태플 하거나 제본하기 위한 복수의 용지후처리장치(12),(13)를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화상처리장치 및 용지후처리장치의 용지이송로 상에는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반전시켜 선택되는 용지후처리장치 쪽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용지반전장치(1)가 구성된다.
상기 종래의 용지반전장치(1)는 화상처리장치(11)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용지후처리장치(12) 또는 용지반전장치(1)로 분기시키거나, 용지반전장치(1)로부터 용지후처리장치(12)로 분기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플랩(2)과,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3)를 구성하는 상측 가이드(4) 및 하측 가이드(5)와,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 상에 구성되는 용지이송롤러(6),(7)와, 상기 각각의 용지이송롤러에 대응하여 구성되는 아이들롤러(17),(26)를 구비한다.
또, 용지반전장치의 끝 단부에는 이송되어 온 용지를 반전 시키지 않은 상태로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 다른 용지후처리장치(13) 쪽으로 이동시키는 용지배출롤러(8)와 아이들롤러(18)가 구성된다.
상기 용지이송롤러(6),(7)와 용지배출롤러(8)는 구동 모터(9)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은 플랩(2)의 회전 위치에 따라 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플랩(2)은 화상처리장치(11)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용지 후처리장치(12)로 이송시키는 제1분기로(10a)와, 화상처리 장치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3)로 이송시키는 제2분기로(10b)와,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3)로부터 용지를 용지후처리장치(12)로 이송시키는 제3분기로(10c)가 구성된 교차로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종래 용지반전장치(1)의 동작과정은 도 3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플랩(2)이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용지(15)가 화상처리장치(11) 쪽으로부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3) 즉, 상측 가이드(4)와 하측 가이드(5) 사이로 이송되어 오면 구동 모터(9)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용지 이송롤러(6),(7)에 의하여 용지(15)는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끝 부분까지 이동하게 된다.
도 3의 상태에서 용지를 반전시키지 않고 용지배출롤러(8) 쪽으로 이송시킬 경우에는 구동 모터(9)를 계속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면 되고, 용지를 반전시키는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용지의 후단부가 플랩(2)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플랩(2)의 회전에 의하여 제2분기로(10b)가 차단되도록 하고, 제3분기로(10c)가 개방되도록 함과 동시에 구동 모터(9)의 회전 방향이 바뀌도록 한다.
상기 구동 모터(9)의 회전 방향은 플랩(2) 회전 방향(분기로(10a)(10b)의 개폐 형태)에 따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플랩(2)에 의하여 제2분기로(10b)가 차단되고, 제3분기(10c)가 개방된 상태에서 구동 모터(9)의 회전 방향이 바뀌면 도 5와 같이 용지이송롤러(6),(7)에 의하여 용지(15)가 역방향인 제3분기로(10c)로 이송되고, 결국 용지(15)는 반전이 이루어진다. 물론, 화상처리장치(11)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후속 용지(16)는 플랩(2)에 걸려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화상처리장치(11)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반전시키지 않고, 용지 후처리장치(12) 쪽으로 이송시킬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플랩(2)을 회전시켜 제2분기로(10b)가 차단되고 제1분기로(10a)가 개방되도록 하면 된다.
그러나, 종래의 용지반전장치(1)는 용지(15)를 반전 시키는 동안에 후속 용지(16)가 일정 시간 대기하여야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동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용지반전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지이송로의 중간에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를 설치하고, 그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일측에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을 설치하고, 타측에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개폐가 가능한 스토퍼(115)를 설치한다.
상기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은 가이드통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패들롤러(106)와, 상기 패들롤러의 상,하부에 각각 종동하도록 설치되는 아이들롤러(116a),(116b)로 구성한다.
또, 상기 패들롤러(106)는 상측 아이들롤러(116a) 사이를 통하여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 쪽으로 용지를 이송시킬 수 있고 또, 하측 아이들롤러(116b) 사이를 통하여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 쪽으로 이송된 용지를 반대 방향으로 이송할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용지의 내측 끝 단부가 패들롤러(106)와 상부 아이들롤러(116a) 사이를 통과하는 순간에 맞추어 스토퍼(115)가 용지의 이송을 멈추도록 하면 패들롤러(106)의 외면에 구성된 다수의 패들(157)에 의하여 패들롤러(106)와 하측 아이들롤러(116b) 사이로 용지의 내측 끝 단부가 유도되어 말려들어가므로 용지가 반전되어 반대방향으로 이송되게 된다.
물론, 용지가 반전되어 패들롤러(106)와 하측 아이들롤러(116b) 사이로 빠져나가는 동안에도 패들롤러(106)와 상측 아이들롤러(116a) 사이로 후속 용지가 진입하여 들어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의 반전 과정에서도 용지의 이송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 용지반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지의 이송 능률이 크게 향상된 용지반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용지이송로 상에 구성되는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와,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일측에 구성되는 용지 진입부 및 용지 배출부를 구비한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과,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타측에 그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115)를 구비하고,
상기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의 용지 진입부를 통하여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로 이송된 용지가 상기 스토퍼(115)에 의하여 걸렸을 때 상기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의 용지 배출부를 통하여 용지의 진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115)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로 이송된 용지는 그 용지의 진입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115)의 외측으 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은 패들롤러(106) 및 상기 패들롤러의 상,하측에 접촉되어 종동하는 아이들롤러(116a),(116b)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지 진입부는 상기 패들롤러(106)와 그 패들롤러의 상측에 접촉되어 종동하는 아이들롤러(116a)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용지 배출부는 상기 패들롤러(106)와 그 패들롤러의 하측에 접촉되어 종동하는 아이들롤러(116b)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스토퍼(115)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로 이송된 용지는 상기 스토퍼(115)의 외측에 설치된 용지배출롤러(108)를 통하여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스토퍼(115)와 상기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송되는 용지의 사이즈에 따라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7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지반전장치(101)는 용지이송로 상에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를 구성하는 상측 가이드(104) 및 하측 가이드(105)가 설치된다.
또,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의 일측에는 양방향 용지 이송수단(150)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스토퍼(115)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115)와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 사이의 간격 즉,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의 길이는 진입되어 오는 용지의 길이보다 약간 작은 사이즈로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은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의 중앙에 설치되는 패들롤러(106)와, 상기 패들롤러의 상측 면과 접촉되어 그 패들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종동 하도록 설치되는 아이들롤러(116a)와, 상기 패들롤러의 하측 면과 접촉되어 그 패들롤러의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종동 하도록 설치되는 아이들롤러(116b)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들롤러(106)의 회전축(156)에는 패들롤러 면 보다 더 외측으로 돌설되도록 다수의 패들(157)이 형성된 패들지지체(158)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패들(157)은 실리콘이나 고무의 부드러운 탄성재로 구성된다.
한편,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의 타측에 설치되는 스토퍼(115)는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를 개폐할 수 있도록 스토퍼 구동기어(130)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 구동기어는 구동 모터(129)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 방향이 컨트롤되도록 설치된다.
또, 스토퍼(115)의 외측으로 연결되는 용지이송로 상에는 용지배출롤러(108)와 그 용지배출롤러에 종동하는 아이들롤러(118)가 설치되고, 용지배출롤러(108)는 구동 모터(109)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은 용지분기로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분기로는 화상처리장치(11)와 용지반전장치(103) 사이에 형성되는 제1분기로(110a), 화상처리장치(11)와 용지반전장치(103) 사이에 형성되는 제2분기로(110b), 용지반 전장치(103)와 용지후처리장치(112) 사이에 형성되는 제3분기로(110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분기로(110a)와 제2분기로(110b)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플랩(102)이 설치되어 화상처리장치(11)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용지반전장치(103) 또는 용지후처리장치(12) 쪽으로 선택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분기로(110b)와 제3분기로(110c)가 교차하는 부분에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 제2분기로(110b)에는 용지이송롤러(117)와 그 용지이송롤러에 종동하는 아이들롤러(127)가 구성되고, 상기 용지이송롤러(117)의 구동축에 결합된 기어(140),(141) 및 벨트(142)를 이용하여 패들롤러의 회전축(156)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용지반전장치(101)의 동작과정은 도 9내지 도 14를 참고 설명한다.
먼저, 도 9와 같이 스토퍼(115)에 의하여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가 차단되고, 플랩(102)에 의하여 제2분기로(110b)가 개방된 상태(제2분기로가 개방되면 제1분기로(110a)는 자동으로 차단 됨)에서 용지(15)가 화상처리장치(11) 쪽으로부터 이송되어 들어오면 패들롤러(106)와 상측 아이들롤러(116a)의 사이(용지 진입부)를 거쳐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로 이송된다.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로 이송된 용지(15)의 선단이 스토퍼(115)에 걸리면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길이가 그 이송되어온 용지의 길이보다 약간 작기 때문에 도 10과 같이 패들(157)에 의하여 용지(15)의 후단부가 패들롤러(106) 및 하측 아이들롤러(116b)의 사이(용지 배출부)로 쉽게 유도된다.
상기와 같이 패들롤러(106) 및 하측 아이들롤러(116b)의 사이로 유도된 용지의 후단부는 도 11과 같이 패들롤러(106) 및 하측 아이들롤러(116b) 사이에 끼여 제3분기로(110c)로 이송되기 시작하고 결국, 용지의 반전이 이루어져 용지후처리장치(12) 쪽으로 이송된다.
한편, 도 12와 같이 후속 용지(16)는 선행 용지(15)가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에서 완전히 배출 될 때 까지 대기할 필요 없이 패들롤러(106)와 상측 아이들롤러(116a) 사이를 통하여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 쪽으로 이동된다. 즉,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에서 반전용지(15)가 배출되는 동안에 그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 내로 후속 용지(16)가 이송된다.
만일, 화상처리장치(11)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15)를 반전시키지 않고, 용지 후처리장치(12) 쪽으로 이송시킬 경우에는 도 13과 같이 플랩(102)을 회전시켜 제1분기로(110a)가 개방되고, 제2분기로(110b)가 차단되도록 하면 된다.
또, 화상처리장치(11)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용지를 반전시키지 않고, 용지배출롤러(108) 쪽으로 이송시킬 경우에는 도 14와 같이 플랩(102)을 회전시켜 제2분기로(110b)가 개방되고, 스토퍼(115)가 오픈 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기 오픈 된 스토퍼(115)를 통과하는 용지는 용지배출롤러(108)와 아이들롤러(118)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다른 용지후처리장치(13) 쪽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용지반전장치(101)는 용지이송로 상에 구성되는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와,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일측에 구성되는 용지 진입부 및 용지 배출부를 구비한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과,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타측에 그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115)를 구비함으로써, 용지의 반전 과정에서도 용지의 이송 지체가 최소화 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용지반전에 따른 용지의 이송 능률이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용지이송로 상에 구성되는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와,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일측에 용지 진입부 및 용지 배출부를 구비한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과,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타측에 그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115)를 구비하고,
    상기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의 용지 진입부를 통하여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로 이송된 용지가 상기 스토퍼(115)에 의하여 걸렸을 때 상기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의 용지 배출부를 통하여 용지의 진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토퍼(115)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로 이송된 용지는 그 용지의 진입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115)의 외측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반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은 패들롤러(106) 및 상기 패들롤러의 상,하측에 접촉되어 종동하는 아이들롤러(116a),(116b)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지 진입부는 상기 패들롤러(106)와 그 패들롤러의 상측에 접촉되어 종동하는 아이들롤러(116a)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용지 배출부는 상기 패들롤러(106)와 그 패들롤러의 하측에 접촉되어 종동하는 아이들롤러(116b)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반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15)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용지반전용 가이드통로(103)로 이송된 용지는 상기 스토퍼(115)의 외측에 설치된 용지배출롤러(108)를 통하여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반전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15)와 상기 양방향 용지이송수단(150)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송되는 용지의 사이즈에 따라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반전장치.
KR1020040083708A 2004-10-19 2004-10-19 용지반전장치 KR100562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708A KR100562141B1 (ko) 2004-10-19 2004-10-19 용지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708A KR100562141B1 (ko) 2004-10-19 2004-10-19 용지반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2141B1 true KR100562141B1 (ko) 2006-03-21

Family

ID=3717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708A KR100562141B1 (ko) 2004-10-19 2004-10-19 용지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14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5655B2 (ja) 記録装置
JP3547937B2 (ja) 画像形成装置
TW200817197A (en) Dual-surface paper feeding device
KR100562141B1 (ko) 용지반전장치
US5449160A (en) Gateless rocker inverter
JP3116317U (ja) 用紙反転装置
JP2007119236A5 (ko)
JP3649269B2 (ja) シート材積載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724221B2 (ja) 排紙装置
JP2004250146A (ja) 用紙反転装置
JP3782474B2 (ja) 画像形成装置の原稿送り装置
JPS60258038A (ja) 用紙回転搬送装置
JPS63143162A (ja) 用紙搬送方向切換え装置
JPH10203692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3807067B2 (ja) ソート装置
JP2005035718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搬送装置の反転部
JP2907649B2 (ja) 用紙反転装置
JP2021017307A (ja) 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1547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83258A (ja) 表裏反転装置
JPS61141462A (ja) 両面複写装置
JPH0266052A (ja) 用紙反転装置
JPH07149461A (ja) シート反転搬送装置
JP2005001872A (ja) シート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S61229765A (ja) シ−ト材案内部材を備える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