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351B1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351B1
KR100561351B1 KR1020040079344A KR20040079344A KR100561351B1 KR 100561351 B1 KR100561351 B1 KR 100561351B1 KR 1020040079344 A KR1020040079344 A KR 1020040079344A KR 20040079344 A KR20040079344 A KR 20040079344A KR 100561351 B1 KR100561351 B1 KR 100561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ickup
paper
photosensitive drum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노주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9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351B1/ko
Priority to CNB2005100820586A priority patent/CN100501582C/zh
Priority to US11/242,083 priority patent/US757091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8Construction of the 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65H3/5253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the retainers positioned under articles separated from the top of the pile
    • B65H3/5261Retainers of the roller type, e.g. roll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8Driving control for rotary photosensitive medium, e.g. speed control, stop position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54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396Pick-up device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픽업롤러로부터 픽업된 용지를 감광드럼측으로 직접 진입시키되 픽업롤러의 선속도를 감광드럼의 선속도보다 느리게하고 용지가 전사닙(감광드럼과 전사롤러의 사이)에 진입되어 전사닙과 픽업지점간의 이송 속도차가 발생할 경우 픽업롤러가 그 속도차에 해당하는 양 만큼 더 빠르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는 용지를 이송하는 두 롤러와의 이송 속도차가 발생될 경우 하나의 롤러가 추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화상형성장치, 용지, 이송, 픽업롤러, 감광드럼, 선속도차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AND PAPER FEEDING APPARATUS FOR IM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전사 사진 방식 화상 형성장치의 인쇄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 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광드럼과 픽업롤러간의 속도차 제어 메커니즘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픽업롤러를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Ⅰ”표시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용지가 전사닙의 사이로 진입하기 전 픽업축과 픽업롤러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용지가 전사닙의 사이로 진입한 후 픽업롤러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예를 따른 속도차 제어 메커니즘이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것으로서, 감광드럼 및 픽업롤러간의 속도차 제어 메커니즘이 픽업기어 및 픽업축 결합부에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예를 따른 속도차 제어 메커니즘이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본체
111 : 용지공급부 135 : 픽업롤러
136 : 픽업축 136a : 모서리부
141 : 픽업기어 S : 회전공간
138,148 : 삽입부재 135d, 138d,148d : 만곡면
153 : 감광드럼 159 : 전사롤러
P1 : 전사닙 P2 : 픽업지점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공급부로부터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된 전사닙으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되 픽업롤러로부터 픽업된 용지가 전사닙측으로 균일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또한,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간의 이송 속도차 가 발생할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보상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등 전자 사진 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시키고, 그 정전 잠상을 소정 색상의 현상제로 현상하여 용지에 전사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을 수 있도록 된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사 사진 방식 화상 형성장치(1)의 인쇄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탄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전롤러( 2: Electrostatic Charge Roller)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3)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한다. 감광드럼(3)은 광주사유닛(5:Laser Scanning Unit)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주어진 패턴으로 노광되고, 이에 의해 감광드럼(3)의 표면에 원하는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된다. 그후, 감광드럼(3)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롤러(7)와 접촉하여 회전되는 동안 토너로 현상되어 가시상(Visible Image)으로 변한다.
그후, 용지급지부(9)에 적재된 용지가 픽업롤러(11: Pickup Roller )에 의해 이송롤러(13: Feeding Roller)측으로 급지된다. 이후 용지는 이송롤러(13)의 회전에 의해 전사롤러(15: Transfering Roller)측으로 이송된다. 이어서, 용지에는 전사롤러(15)의 가압작용으로 감광드럼(3)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된다. 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롤러(17)을 통해 고열로 가압되어 정착된 후 배지롤러(18: Exiting Roller)의 회전에 의해 배지대(21)쪽으로 이송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인쇄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그 급지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급지카세트를 옵션으로 추가하여 다단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구조가 제공되기도 한다. 그러한 예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 특 1998-020607호, 공개일자 : 1998년 6월 25일, 발명의 명칭 :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기록용지 급지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최근에는 상기의 일 예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기본구조에 더하여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는 추세이어서, 제품 사이즈의 축소화가 점점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픽업롤러(11)로부터 픽업된 용지를 감광드럼(3)측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별도의 이송롤러(13)가 구비되었기 때문에 용지 이송 경로(23)가 길어져서 제품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는 첫 번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이송롤러(13)를 추가로 설치함에 따라 부품수 증가에 따른 재료비가 증가하는 두 번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픽업롤러로부터 픽업된 용지가 전사닙(감광드럼 및 전사롤러의 접촉점)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여 용지의 이송경로를 줄임으로써 제품의 사이즈를 줄이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이송롤러를 삭제하여 부품수 절감에 따른 재료비 를 절감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픽업롤러로부터 픽업된 용지가 전사닙으로 직접 전달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픽업롤러 및 감광드럼간에 발생되는 속도차를 보상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용지를 이송하는 이송롤러간에 발생되는 이송 속도차를 보상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면, 감광드럼과; 상기 감광드럼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와; 상기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공급부와; 상기 용지공급부로부터 용지를 픽업하여 상기 감광드럼 및 전사롤러의 사이로 상기 용지를 직접 이송시키는 픽업롤러; 및 상기 픽업롤러에 삽입되어 상기 픽업롤러를 회전시키는 픽업축을 포함하며; 상기 픽업축의 선속도는 상기 감광드럼의 선속도보다 느리고;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전사롤러의 사이로 용지가 진입한 후 상기 픽업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추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픽업축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픽업롤러의 내주면에는 상기 픽업롤러가 소정각도 만큼 회전하도록 회전공간을 형성함이 좋다.
상기 픽업축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픽업롤러에는 상기 픽업롤러가 소정각도로 회전가능하도록 회전공간이 형성된 삽입부재를 끼울 수도 있 다.
상기 픽업롤러의 회전 각도는 상기 픽업축 및 감광드럼간의 선속도차에 해당하는 것보다 크거나 같은 것으로 함이 좋다.
상기 회전공간은 상기 픽업축의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픽업롤러의 내주면 및 삽입부재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시킨 만곡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따르면, 용지를 이송하는 제 1롤러와; 상기 제 1롤러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롤러를 통해 이송된 용지를 연속하여 이송하는 제 2롤러; 및 상기 제 1롤러에 삽입되어 상기 제 1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 2롤러의 선속도는 상기 제 1롤러의 선속도보다 빠르며, 상기 용지가 제 1롤러로부터 상기 제 2롤러로 이송되어 진입하면 상기 제 1롤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추가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축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제 1롤러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롤러가 소정각도 만큼 추가 회전하도록 회전공간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회전축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제 1롤러에는 상기 제 1롤러가 소정각도 만큼 추가 회전가능하도록 회전공간이 형성된 삽입부재를 끼울 수 있다.
상기 제 1롤러의 추가 회전 각도는 제 2롤러와의 선속도차에 해당하는 것보다 크거나 같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공간은 상기 회전축의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상기 제 2롤러의 내주면 및 상기 삽입부재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만곡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10)의 내부 바닥에는 용지공급부(111)가 마련되고, 용지공급부(111)에는 그 상면에 다수매의 용지를 적재시키는 녹업플레이트(131)가 설치된다. 녹업플레이트(131)의 상면에 적재된 용지(101)는 픽업롤러(135)가 회전하면서 마찰패드(137)와의 마찰력에 의해 낱장으로 분리되어 감광드럼(153) 및 전사롤러(159)의 사이[이하 "전사닙(P1)”이라 칭함]로 공급된다.
그와 동시에 대전롤러(155)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153)의 표면이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대전된 감광드럼(153)의 표면은 광주사유닛(170:Laser Scanning Unit)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L)에 의해 주어진 패턴으로 노광되고, 이에 의해 원하는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된다. 이후, 감광드럼(153)의 표면과 인접하고 있는 현상롤러(157)가 회전되어 정전 잠상이 형성된 부분을 통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그러면, 전사롤러(159)가 감광드럼(153)을 가압함과 아울러 회전하면서 감광드럼(153)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용지공급유닛(130)을 통해 공급된 용지에 전사시킨다.
그후, 용지(101)는 계속 이송되어 정착유닛(180)의 가열롤러(181:Heating Roller) 및 가압롤러(183: Pressing Roller)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됨과 아울러서 가압되어 분말상태의 토너 화상이 용지에 정착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배지롤러(191) 및 아이들롤러(193)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된 후 배출구(117)을 통해 배지되어 배지대(118)에 적재됨으로써 인쇄를 마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픽업롤러(135)를 통해 픽업된 용지를 전사닙(P1)으로 직접 이송시킴에 있어서, 전사닙(P1) 및 픽업롤러(135)의 픽업지점(P2) 사이에서 발생되는 선속도차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용지(101)의 이송속도를 균일하게 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픽업롤러(31)로부터 픽업된 용지가 감광드럼(33)측으로 직접 진입하도록 구성할 경우 감광드럼의 선속도와 용지의 이송속도간의 차이에 의해 화상 떨림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불량 요인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다 이상적으로 속도관계를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감광드럼과 픽업롤러간의 속도차 제어 메커니즘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픽업롤러(135)의 선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하는 감광드럼(153)이 도시된다. 또한, 픽업하우징(135a)과, 픽업러버(135c)를 포함하며, 픽업하우징(135a)의 중앙에는 픽업축(136)이 삽입된 픽업롤러(135)가 도시된다. 픽업축 (136)은 효과적인 회전력 전달을 위하여 다각형, 예컨대,사각형으로 구성된다. 픽업축(136)에는 픽업기어(141)가 연결된다. 픽업기어(141)는 구동모터(143)의 구동력을 다수의 기어열(145)을 통해 전달받아 픽업축(136)을 소정의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다수의 기어열(145)은 하나의 구동모터(143) 동력을 각각의 롤러, 즉 감광드럼(153), 전사롤러(159), 픽업롤러(135)등으로 전달한다. 이때, 각 기어의 기어비를 조절하여 각 롤러가 원하는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상기 도 3의 픽업롤러(135)를 확대해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Ⅰ”표시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픽업축(136)이 끼워지는 픽업롤러(135)의 내주면에는 다각형 구조에 의한 픽업축(136)의 각 모서리부(136a)에 간섭되지 않고 픽업롤러(135)가 소정각도 만큼 회전하도록 회전공간(S)이 형성된다.
회전공간(S)은 픽업축(136)의 각 모서리부(136a)와 대응하는 픽업하우징(135a)의 내면을 오목하게 형성시킨 만곡면(135d)에 의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속도차가 감광드럼(153)의 선속도를 픽업롤러(135)의 선속도보다 빠르게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101)는 감광드럼(153)과 전사롤러(159)의 사이인 전사닙(P1)으로 진입하고 이때부터 픽업롤러(135)의 픽업지점(P2)과 전사닙(P1)간의 선속도차가 발생한다.
그리하여 전사닙(P1)에서는 용지를 당기게 되고, 그 당김력에 의해 픽업롤러(135)는 픽업축(136)과 함께 회전되는 것에 더하여 픽업축(136)의 회전방향을 따라 추가로 회전된다. 이때, 픽업롤러(135)는 회전공간(S)를 통해 추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감광드럼(153)과 픽업롤러(135)의 선속도차가 해소되어 전사닙(P1)에서 용지의 이송 속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다음은 전사닙(P1)과 픽업지점(P2) 사이의 용지 이송 속도가 균일하게 제어되는 원리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용지가 전사닙(P1)의 사이로 진입하기 전 픽업롤러(135)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픽업초기 동작이 진행되어 용지(101)가 전사닙(P1)으로 진입하기전에는 픽업롤러(135)는 픽업축(136)과 함께 회전되어 픽업축(136)의 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라 용지가 전사닙(P1)의 사이로 진입한 후 픽업롤러(135)가 추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을 참조하면, 용지 이송 동작이 계속 진행되어 전사닙(P1)으로 용지가 진입되면 감광드럼(153)과 전사롤러(159)의 이송력에 의해 전사닙(P1)과 픽업지점(P2)간의 선속도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사닙(P1) 위치에서는 용지를 당기게 되고, 픽업롤러(135)는 그 당김력에 의하여 픽업축(136)과 함께 회전하는 것에 더하여 선속도차에 해당하는 양만큼 추가로 회전된다. 따라서, 픽업축(136)보다 빨리 회전한다. 이때, 픽업롤러(135)의 내주면의 만곡면(135d)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공 간(S)을 통해 픽업롤러(135)는 소정량 추가 회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속도차 해소 동작을 통해 용지는 균일한 속도를 유지하며 이송되어 화상 불량이 일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의 내용에 있어서, 하나의 용지가 이송되는 동안 픽업롤러(135)가 도 6b의 상태로 회전된 후 다음 용지를 이송시킬 경우에는 픽업축(136)만 픽업롤러(135)의 내부에서 소정각도 회전하여 도 6a의 상태를 이룬다. 그후 상술한 동작을 반복 실시하여 용지를 계속적으로 이송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예를 따른 선속도차 제어 메커니즘이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회전공간(S)을 픽업롤러(135)의 내주면에 직접 형성시키지 않고 별도의 삽입부재(138)를 추가하여 그 내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때, 삽입부재(138)의 내주면은 픽업롤러(135)의 내주면 구조와 동일하게 취해진 만곡면(138d)을 형성하여 회전공간(S)을 마련한다. 여기서 픽업롤러(135)의 내부는 삽입부재(138)가 끼워질 수 있도록 여유 공간(135f)이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것으로서, 감광드럼 및 픽업롤러간의 속도차 제어 메커니즘이 픽업기어 및 픽업축 결합부에 구성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그 주요 구조는 도 3 내지 도 7의 구조와 거의 유사하며, 다른 점은 픽업축(136)을 픽업하우징(135a)에 일체로 결합시키고 픽업롤러(135)와 감광드럼(153)간의 속도차 해소를 위하여 픽업기어(141)의 내면에 회전공간(S)을 형성한 것이다.
도 8의 구성에 의하면, 전사닙(P1)으로 용지가 진입되면 감광드럼(153)과 전사롤러(159)의 이송력에 의해 전사닙(P1)과 픽업지점(P2)간의 선속도차가 발생한다. 이때, 픽업축(136)이 픽업기어(141)의 선속도에 더하여 감광드럼(153)과 픽업롤러(135)간의 선속도차에 해당하는 양만큼 추가 회전된다. 이때, 픽업롤러(135)는 픽업축(136)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픽업축(136)과 함께 추가 회전된다. 이점에서 이전에 설명된 예에서 픽업롤러(135)만 추가 회전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예를 따른 속도차 제어 메커니즘이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회전공간(S)은 픽업기어(141)의 내주면에 직접 형성시키지 않고 별도의 삽입부재(148)를 추가하고 그 내면에 만곡면(148d)을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제공된다. 이때, 삽입부재(148)의 내주면은 도 8의 픽업기어(141)의 내주면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이룬다. 한편, 픽업기어(141)의 중앙부는 삽입부재(148)가 끼워질 수 있도록 여유 공간(141f)이 형성된다.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용지의 이송 속도차를 보상하는 것을 픽업롤러(135) 및 감광드럼(153)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두 롤러간에서 발생하는 이송 속도차를 해소시키기 위한 모든 용지이송장치에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감광드럼(153)및 가열롤러(181) 또는 가열롤러(181) 및 배지롤러(191)간의 이송 속도차를 보상하기 위한 것 등에 적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픽업롤러로부터 픽업된 용지가 감광드럼측으로 직접 진입되도록 하여 용지 이송경로를 줄임으로써 제품의 사이즈 및 부품수를 줄이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픽업롤러의 선속도를 감광드럼의 선속도보다 느리게 하고 용지가 전사닙에 진입되어 전사닙과 픽업지점간의 이송 속도차가 발생할 경우 픽업롤러가 그 속도차에 해당하는 양 만큼 추가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용지가 균일하게 이송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용 용지이송장치에 의하면, 두 롤러간의 이송 속도차가 발생할 경우 하나의 롤러가 추가 회전되어 그 속도차를 보상함으로써 용지를 균일하게 이송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상을 용지에 전사시키는 전사롤러;
    상기 용지를 적재하는 용지공급부;
    상기 용지공급부로부터 용지를 픽업하여 상기 감광드럼 및 전사롤러의 사이로 상기 용지를 직접 이송시키는 픽업롤러; 및
    상기 픽업롤러에 삽입되어 상기 픽업롤러를 회전시키는 픽업축을 포함하며;
    상기 픽업축의 선속도는 상기 감광드럼의 선속도보다 느리고;
    상기 픽업롤러는 상기 감광드럼과 상기 전사롤러의 사이로 용지가 진입한 후 상기 픽업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추가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축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픽업롤러의 내주면에는 상기 픽업롤러가 소정각도 만큼 추가 회전하도록 회전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축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픽업롤러에는 상기 픽업롤러가 소정각도 만큼 추가 회전가능하도록 회전공간이 형성된 삽입부재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롤러의 추가 회전 각도는 감광드럼과의 선속도차에 해당하는 것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공간은 상기 픽업축의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상기 픽업롤러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만곡면에 의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공간은 상기 픽업축의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상기 삽입부재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만곡면에 의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용지를 이송하는 제 1롤러;
    상기 제 1롤러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롤러를 통해 이송되는 용지를 연속하여 이송하는 제 2롤러; 및
    상기 제 1롤러에 삽입되어 상기 제 1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 2롤러의 선속도는 상기 제 1롤러의 선속도보다 빠르며, 상기 용지가 제 1롤러로부터 상기 제 2롤러로 진입하면 상기 제 1롤러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따라 추가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제 1롤러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롤러가 소정각도 만큼 추가 회전하도록 회전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이루고;
    상기 제 1롤러에는 상기 제 1롤러가 소정각도 만큼 추가 회전가능하도록 회전공간이 형성된 삽입부재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롤러의 추가 회전 각도는 제 2롤러와의 선속도차에 해당하는 것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공간은 상기 회전축의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상기 제 2롤러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만곡면에 의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공간은 상기 회전축의 모서리부와 대응하는 상기 삽입부재의 내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만곡면에 의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KR1020040079344A 2004-10-06 2004-10-06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KR100561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344A KR100561351B1 (ko) 2004-10-06 2004-10-06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CNB2005100820586A CN100501582C (zh) 2004-10-06 2005-07-05 成像装置及用于其的进纸装置
US11/242,083 US7570914B2 (en) 2004-10-06 2005-10-0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paper feeding apparatus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344A KR100561351B1 (ko) 2004-10-06 2004-10-06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351B1 true KR100561351B1 (ko) 2006-03-17

Family

ID=3612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344A KR100561351B1 (ko) 2004-10-06 2004-10-06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70914B2 (ko)
KR (1) KR100561351B1 (ko)
CN (1) CN10050158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9516B2 (ja) * 2005-12-22 2009-04-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063133B2 (ja) * 2007-02-16 2012-10-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91868B2 (ja) * 2007-08-27 2012-03-0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206277B2 (en) * 2008-04-30 2012-06-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dler roller assembly having a roller and a shaft the roller being formed such that it remains parallel to contacted media despite deflection of the shaft
JP5146141B2 (ja) * 2008-06-20 2013-02-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1156707A (ja) * 2010-01-29 2011-08-18 Fujifilm Corp プリント装置
CN102674063A (zh) * 2012-05-10 2012-09-19 苏州市中星工艺品有限公司 电动裁切机的支撑装置
JP6843610B2 (ja) * 2016-12-22 2021-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伝達装置、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6904A (ja) 1993-03-31 1994-10-11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の用紙搬送機構
JPH0725004A (ja) * 1993-07-14 1995-01-27 Riso Kagaku Corp 画像形成装置
CN1117296C (zh) 1996-09-26 2003-08-06 佳能株式会社 处理盒,电子照相成象装置驱动力传动部件以及电子照相感光鼓
JP3943669B2 (ja) 1997-09-25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1352750A (ja) 1998-06-04 1999-12-24 Nec Niigata Ltd 帯電ブラシ機構、電子写真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記録ユニットおよび電子写真記録装置
DE60004156T2 (de) * 1999-01-19 2004-03-11 Pfu Ltd. Papierzuführvorrichtung
JP2001051523A (ja) 1999-08-11 2001-02-23 Kyocera Mita Corp 電子写真装置用転写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70914B2 (en) 2009-08-04
US20060072951A1 (en) 2006-04-06
CN100501582C (zh) 2009-06-17
CN1758149A (zh)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7970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same
US4678178A (en) Sheet material conveying device
KR20070087712A (ko) 급지 장치와 용지 픽업방법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형성 장치
KR20050085023A (ko) 벨트 반송 장치 및 이 벨트 반송 장치를 이용한 화상 형성장치
US757091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paper feeding apparatus for the same
EP2733541B1 (en) Sheet feed apparatus, and documen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032942A (en) Secondary cassette feed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97468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038811B2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8002317A (ja) 媒体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75803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768236B2 (en)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JP7114374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819153A (en) Paper feeding unit for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gear mechanism to prevent undesirable paper skew
JP2010023956A (ja) 給紙装置
US20070071509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34312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7239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JP2001002282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625365B2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3466907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202381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기록용지 급지 장치
JP2006016176A (ja) 給紙装置
JP2003072966A (ja) シート材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05015200A (ja) シート給送装置,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