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653B1 - 듀얼 절연막 체계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절연막 체계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653B1
KR100560653B1 KR1020030008200A KR20030008200A KR100560653B1 KR 100560653 B1 KR100560653 B1 KR 100560653B1 KR 1020030008200 A KR1020030008200 A KR 1020030008200A KR 20030008200 A KR20030008200 A KR 20030008200A KR 100560653 B1 KR100560653 B1 KR 100560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insulating film
gate insulating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219A (ko
Inventor
최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8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653B1/ko
Priority to US10/761,239 priority patent/US7548108B2/en
Publication of KR2004007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는 제 1 내부 회로, 제 2 내부 회로, 그리고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한다. 제 1 내부 회로는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 1 전압으로 동작하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1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제 2 내부 회로는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으로 동작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에 걸리는 전계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제 1 내부 회로에서 상기 제 2 내부 회로로 전달되는 전압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고전압에 의한 게이트 절연막의 파괴를 방지함과 아울러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턴-온 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절연막 체계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WITH DUAL INSUL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에 걸리는 전압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들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레벨 변환 블록의 일부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의 일부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읽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의 일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20, 30 :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2, 22, 32 : 제 1 내부 회로
14, 24, 34 : 제 2 내부 회로 16, 26, 36 : 인터페이스 회로
100 :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0 : 메모리 셀 어레이
120 : 행 프리-디코더 130 :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원 전압과, 전원 전압보다 높은 고전압과 같은 다른 동작 전압들을 이용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컴퓨터 또는 모바일 폰과 같은 전자 장치들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동작한다. 사용자들은 재충전 없이 보다 오랜 시간 동안 그러한 전자 장치를 사용하기를 원한다. 그러한 요구는 동작 전류 또는 전압을 낮춤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구와 더불어, 현재의 전자 장치들은 빠른 동작 속도를 요구하고 있다. 동작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을 보다 얇게 형성하여야 한다.
낮은 동작 전압에서 동작하는 전자 장치는 많은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들을 포함하며, 각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는 내부 전원 전압으로서 외부 전원 전압을 그대로 사용함과 아울러 외부 전원 전압 또는 내부 전원 전압보다 높은 고전압을 사 용한다. 고전압으로 동작하는 모오스 트랜지스터에는 고전압에 대한 내압 (withstanding voltage)를 높이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절연막이 채용된다. 반면에, 고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 동작하는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상대적으로 얇은 절연막을 사용한다. 이러한 절연막 체계는 이하 "듀얼 절연막 체계(dual insulation system)"라 칭한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절연막을 채용하는 경우,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차로 인한 게이트 절연막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은 증가된 절연막 두께에 비례하여 높아진다. 문턱 전압의 증가는 곧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턴-온 속도의 저하를 초래하며, 그 결과 전반적인 동작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듀얼 절연막 체계를 이용한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에서 앞서 설명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제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 절연막 체계에서 생기는 동작 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듀얼 절연막 체계에서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에 걸리는 전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제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 1 전압으로 동작하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1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1 내부 회로와;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으로 동작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2 내부 회로와; 그리고 상기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에 걸리는 전계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제 1 내부 회로에서 상기 제 2 내부 회로로 전달되는 전압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압은 외부 전원 전압, 상기 전원 전압, 상기 전원 전압보다 낮은 전압, 그리고 상기 전원 전압보다 높고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전압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한 수단은 상기 제 2 전압으로 동작하고 상기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3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내부 회로로부터의 전압은 상기 제 3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통해 상기 제 2 내부 회로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는 전원 전압보다 높은 고전압을 공급받는 전원 단자와; 상기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제 1 전류 전극,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제 2 전류 전극, 그리고 제 1 입력 신호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제 1 전류 전극, 제 2 전류 전극, 그리고 상기 고전압보다 낮은 저 전압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 제 2 트랜지스터와; 그리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2 전류 전극과 연결된 제 1 전류 전극, 접지 전압에 연결된 제 2 전류 전극, 그리고 제 2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게이 트를 갖는 제 3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고, 상기 제 2 및 제 3 트랜지스터들 각각은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 전압은 외부 전원 전압, 상기 전원 전압, 상기 전원 전압보다 낮은 전압, 그리고 상기 전원 전압보다 높고 상기 고전압보다 낮은 전압 중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상기 제 1 전압의 하이 레벨과 상기 접지 전압의 로우 레벨을 선택적으로 갖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상기 저 전압의 하이 레벨과 상기 접지 전압의 로우 레벨을 선택적으로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행 어드레스 신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연결 노드에 연결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 라인을 구동한다. 상기 인버터는 상기 고전압으로 동작하며 상기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 4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트랜지스터는 상기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다. 상기 제 4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블록 선택 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는 전원 전압보다 높은 고전압을 공급받는 전원 단자와; 상기 전원 단자와 제 1 내부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1 모오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전원 단자와 제 2 내부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내부 노드의 전압에 의해서 제어되고, 상기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내부 노드의 전압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제 1 내부 노드와 제 3 내부 노드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 2 내부 노드와 제 4 내부 노드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3 및 4 모오스 트랜지스터들과; 그리고 상기 제 3 내부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 4 내부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 상기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5 및 제 6 모오스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및 제 4 모오스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들은 상기 고전압보다 낮은 저 전압에 연결되며; 상기 제 5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제 1 입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고 제 6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 및 상기 반전된 신호 각각은 상기 저 전압의 하이 레벨과 상기 접지 전압의 로우 레벨을 선택적으로 갖고, 상기 저 전압은 외부 전원 전압, 상기 전원 전압, 상기 전원 전압보다 낮은 전압, 그리고 상기 전원 전압보다 높고 상기 고전압보다 낮은 전압 중 어느 하나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행 어드레스 신호 및 블록 선택 신호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노드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은 행 어드레스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은 워드 라인들에 각각 대응하는 행 디코더 및 구동 회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행 디코더 및 구동 회로는 상기 고전압에 연결된 소오스, 제 5 내부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그리고 제 2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 제 7 모오스 트랜지스터와; 그리고 상기 제 5 내부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8 및 제 9 모오스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7 및 제 8 모오스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고, 상기 제 9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가지며, 상기 제 8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내부 노드의 전압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참조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0)는 입력 신호들 (IN1, IN2)에 응답하여 출력 신호 (OUT)를 출력하며, 제 1 내부 회로 (12), 제 2 내부 회로 (14), 그리고 인터페이스 회로 (16)를 포함한다. 제 1 내부 회로 (12)는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보다 높은 고전압 (VPP)으로 동 작하는 반면에, 제 2 내부 회로 (14) 및 인터페이스 회로 (16)는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으로 동작한다. 여기서, 내부 전원 전압 (IVC)은 외부 전원 전압 (EVC)과 동일한 전압 레벨을 갖는다. 또는, 내부 전원 전압 (IVC)은 외부 전원 전압 (EVC)보다 낮은 전압 레벨을 갖는다. 인터페이스 회로 (16)는 제 1 내부 회로 (12)에서 제 2 내부 회로 (14)로의 또는 출력 단자 (OUT)에서 제 2 내부 회로 (14)로의 전압을 제한한다. 인터페이스 회로 (16)는 전압 제한 수단으로 동작한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내부 회로 (12)는 고전압 (VPP)에 대한 충분한 내압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PMOS 트랜지스터 (MP1)를 포함한다. 게이트가 입력 신호 (IN1)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 (MP1)은 고전압 (VPP)을 공급받는 전원 단자에 연결된 소오스와 출력 단자 (OUT)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다. 인터페이스 회로 (16)는 IVC/EVC 전압에 대한 내압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 (MN1)를 포함한다. NMOS 트랜지스터 (MN1)는 IVC/EVC 전압에 연결된 게이트, 출력 단자 (OUT)에 연결된 드레인, 그리고 소오스를 갖는다. 제 2 내부 회로 (14)는 IVC/EVC 전압에 대한 내압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 (MN2)를 포함한다. 게이트가 입력 신호 (IN2)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 (MN2)는 NMOS 트랜지스터 (MN1)의 소오스에 연결된 드레인과 접지 전압 (VSS)에 연결된 소오스를 갖는다.
여기서, 입력 신호 (IN1)는 접지 전압 (VSS)과 고전압 (VPP)을 선택적으로 갖는다. 입력 신호 (IN2)는 접지 전압 (VSS)과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을 선택적으로 갖는다.
인터페이스 회로 (16)의 NMOS 트랜지스터 (MN1)는 PMOS 트랜지스터 (MP1)를 통해 공급되는 고전압이 직접 NMOS 트랜지스터 (MN2)의 드레인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게이트가 IVC/EVC 전압에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 (MN1)를 통해 출력 단자 (OUT)의 전압이 전달되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 (MN2)의 드레인에는 고전압 (VPP) 대신에 (IVC/EVC-Vtnl)의 전압이 인가된다. Vtnl는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다. NMOS 트랜지스터 (MN1)의 게이트에는 항상 IVC/EVC가 인가되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 (MN1)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차는 (VPP-IVC/EVC)가 된다. 따라서, 비록 NMOS 트랜지스터 (MN1)가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더라도, NMOS 트랜지스터 (MN1)의 게이트 절연막은 고전압 (VPP)에 의해서 파괴되지 않는다.
만약 NMOS 트랜지스터 (MN1)가 사용되지 않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MOS 트랜지스터 (MN2)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차 (Vgd1)는 최대 VPP 전압이 된다. 이는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 (MN2)가 사용되는 경우, NMOS 트랜지스터 (MN2)의 게이트 절연막이 파괴됨을 의미한다. 그러한 까닭에, NMOS 트랜지스터 (MN2)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 NMOS 트랜지스터 (MN2)의 입력 신호 (IN2)는 액티브시 고전압 (VPP)을 가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NMOS 트랜지스터 (MN2)의 턴-온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진다. 이에 반해서, NMOS 트랜지스터 (MN1)가 사용될 때,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NMOS 트랜지스터 (MN2)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차 (Vgd2)는 최대 IVC 전압 (IVC가 EVC보다 낮을 때)가 된다. IVC가 EVC와 같을 때, NMOS 트랜지스터 (MN2)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차 (Vgd2)는 (IVC-Vtnh)이 된다. 즉, NMOS 트랜지스터 (MN2)의 게이트 절연막에 걸리는 전계가 줄어든다. 그러므로, 인터페이스용 (또는 전계 완화용) NMOS 트랜지스터 (MN1)를 내부 회로들 (12, 14) 사이에 구현함으로써, 드레인으로의 고전압 인가로 인해 NMOS 트랜지스터 (MN2)의 게이트 절연막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NMOS 트랜지스터 (MN2)의 턴-온 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20)는 제 1 내부 회로 (22), 제 2 내부 회로 (24), 인터페이스 회로 (26), 그리고 인버터 (INV1)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 (26)는 제 1 내부 회로 (22)에서 제 2 내부 회로 (24)로의 전압을 제한하며, 전압 제한 수단 (또는 전계 완화 수단)으로 동작한다. 제 1 내부 회로 (22)는 고전압 (VPP)에 대해 충분한 내압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PMOS 트랜지스터들 (MP2, MP3)을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 (MP2)는 고전압 (VPP)에 연결된 소오스, 내부 노드 (ND1)에 연결된 드레인, 그리고 입력 신호 (IN1)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다. 입력 신호 (IN1)는 고전압 (VPP)과 접지 전압 (VSS)을 선택적으로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 (MP3)는 고전압 (VPP)에 연결된 소오스, 내부 노드 (ND1)에 연결된 드레인, 그리고 출력 단자 (OUT)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회로 (26)는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에 대해 충분한 내압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 (MN3)를 포함한다. NMOS 트랜지스터 (MN3)는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에 연결된 게이트, 내부 노드 (ND1)에 연결된 드레인, 그리고 제 2 내부 회로 (24)에 연결된 소오스를 갖는다. 제 2 내부 회로 (24)는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에 대해 충분한 내압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들 (MN4, MN5, MN6, MN7)을 포함한다. NMOS 트랜지스터들 (MN4-MN7)은 인터페이스 회로 (26), 즉 NMOS 트랜지스터 (MN3)의 소오스와 접지 전압 (VSS)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대응하는 입력 신호들 (IN2, IN3, IN4, IN5)에 의해서 각각 제어된다. 입력 신호들 (IN2-IN5) 각각은 활성화시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을 그리고 비활성화시 접지 전압 (VSS)을 갖는다. 인버터 (INV1)는 내부 노드 (ND1)와 출력 단자 (OUT) 사이에 연결되며,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들 (MP4, MN8)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들 (MP4, MN8)은 고전압 (VPP)에 대해 충분한 내압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다.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들 (MP4, MN8)은 고전압 (VPP)과 접지 전압 (VSS)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그것의 게이트들은 내부 노드 (ND1)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입력 신호 (IN1)가 접지 전압 (VSS)의 로우 레벨이고 입력 신호들 (IN2-IN5) 중 적어도 하나가 접지 전압 (VSS)의 로우 레벨일 때, 내부 노드 (ND1)는 PMOS 트랜지스터 (MP2)를 통해 고전압 (VPP)으로 프리챠지된다. 이때, 출력 신호 (OUT)는 접지 전압 (VSS)의 로우 레벨이 되며, 그 결과 PMOS 트랜지스터 (MP3) 역시 턴 온된다. 게이트가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에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 (MN3)는 항상 턴 온되어 있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 (MN4)의 드레인에는 NMOS 트랜지스터 (MN3)를 통해 (IVC-Vtnl)의 전압이 인가된다. 즉, NMOS 트랜지스터 (MN4)의 드레인에 인가되는 전압이 인터페이스 회로 (26)의 NMOS 트랜지스터 (MN3)에 의해서 제한된다. 따라서, 비록 NMOS 트랜지스터 (MN4)가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더라도, 턴-온 속도의 저하 없이 NMOS 트랜지스터 (MN4)의 게이트 절연막은 고전압 (VPP)에 의해서 파괴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NMOS 트랜지스터 (MN3)의 게이트에는 항상 IVC/EVC가 인가되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차는 (VPP-IVC/EVC)이 된다. 비록 NMOS 트랜지스터 (MN3)가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더라도, NMOS 트랜지스터 (MN3)의 게이트 절연막은 고전압 (VPP)에 의해서 파괴되지 않는다. 입력 신호 (IN1)가 고전압 (VPP)의 하이 레벨을 갖고 입력 신호들 (IN2-IN5)이 모두 IVC/EVC의 하이 레벨을 가질 때, 내부 노드 (ND1)의 전압은 인터페이스 회로 (26)와 제 2 내부 회로 (24), 즉 NMOS 트랜지스터들 (MN3-MN7)을 통해 방전된다. 출력 신호 (OUT)는 인버터 (INV1)를 통해 하이 레벨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30)는 제 1 내부 회로 (32), 제 2 내부 회로 (34), 그리고 인터페이스 회로 (36)를 포함한다.
제 1 내부 회로 (32)는 고전압 (VPP)에 대해 충분한 내압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PMOS 트랜지스터들 (MP5, MP6)을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 (MP5)는 고전압 (VPP)에 연결된 소오스, 내부 노드 (ND2)에 연결된 드레인, 그리고 내부 노드 (ND3)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 (MP6)는 고전압 (VPP)에 연결된 소오스, 내부 노드 (ND3)에 연결된 드레인, 그리고 내부 노드 (ND2)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다.
제 2 내부 회로 (34)는 NMOS 트랜지스터들 (MN11, MN12)과 인버터 (INV2)를 포함하며,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으로 동작한다. NMOS 트랜지스터들 (MN11, MN12)은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에 대해 충분한 내압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 (MN11)는 내부 노드 (ND4)에 연결된 드레인, 접지 전압 (VSS)에 연결된 소오스, 그리고 입력 신호 (IN)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 (MN12)는 내부 노드 (ND5)에 연결된 드레인, 접지 전압 (VSS)에 연결된 소오스, 그리고 인버터 (INV2)를 통해 반전된 입력 신호 (INB)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다. 인버터 (INV2)는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으로 동작하며,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들 (미도시됨)로 구성될 것이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회로 (36)는 NMOS 트랜지스터들 (MN11, MN12)의 게이트 절연막에 걸리는 전계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내부 노드 (ND2 또는 ND3)에서 제 2 내부 회로 (34)로의 전압을 제한한다. 인터페이스 회로 (36)는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IVC)에 대해 충분한 내압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들 (MN9, MN10)을 포함한다. NMOS 트랜지스터 (MN9)는 내부 노드들 (ND2, ND4) 사이에 연결되고, NMOS 트랜지스터 (MN10)는 내부 노드들 (ND3, ND5) 사이에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들 (MN9, MN10)의 게이트들은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입력 신호 (IN)가 로우 레벨일 때, NMOS 트랜지스터 (MN11)는 턴 오프되고 NMOS 트랜지스터 (MN12)는 턴 온된다. ND3 노드가 NMOS 트랜지스터들 (MN10, MN12)을 통해 로우 레벨이 되기 때문에, PMOS 트랜지스터 (MP5)는 턴 온되고 출력 신호 (OUT)는 고전압 (VPP)의 하이 레벨이 된다. 입력 신호 (IN)가 하이 레벨일 때, NMOS 트랜지스터 (MN12)는 턴 오프되고 NMOS 트랜지스터 (MN11)는 턴 온된다. ND2 노드가 NMOS 트랜지스터들 (MN9, MN11)을 통해 로우 레벨이 되기 때문에, PMOS 트랜지스터 (MP6)은 턴 온되고 출력 신호 (OUT)은 접지 전압 (VSS)의 로우 레벨이 된다.
게이트가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에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들 (MN9, MN10)이 항상 턴 온되어 있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 (MN11 또는 MN12)의 드레인에는 NMOS 트랜지스터 (MN9 또는 MN10)를 통해 (IVC/EVC-Vtnl)의 전압이 인가된다. 즉, NMOS 트랜지스터 (MN11 또는 MN12)의 드레인에 인가되는 전압이 인터페이스 회로 (36)의 NMOS 트랜지스터 (MN9 또는 MN10)에 의해서 제한된다. 따라서, 비록 NMOS 트랜지스터들 (MN11, MN12)이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더라도, NMOS 트랜지스터들 (MN11, MN12)의 게이트 절연막은 고전압 (VPP)에 의해서 파괴되지 않는다. 이와 더불어, NMOS 트랜지스터들 (MN11, MN12)이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들 (MN11, MN12)의 턴-온 속도는 저하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NMOS 트랜지스터들 (MN9, MN10)의 게이트에는 항상 IVC/EVC가 인가되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들 (MN9, MN10) 각각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차는 (VPP-IVC/EVC)이 된다. 비록 NMOS 트랜지스터들 (MN9, MN10)이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더라도, NMOS 트랜지스터들 (MN9, MN10)의 게이트 절연막은 고전압 (VPP)에 의해서 파괴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메모리 셀 어레이 (110)를 포함하며, 어레이 (100)는 복수 개의 메모리 블록들 (MB0, MB1, …, MBy)로 구성된다. 메모리 블록들 (MB0-MBy) 각각은 복수의 행들 (또는 워드 라인들)과 복수의 열들 (또는 비트 라인들)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 셀들 (미도시됨)를 포함한다. 로우 프리-디코더 (row pre-decoder) (120)는 행 어드레스 (RA)에 응답하여 디코딩 신호들 (DRAi[0:m], DRAj[0:n], DRAk[0:x]) 및 블록 선택 신호들 (BLK[0:y])을 발생한다. 블록 선택 신호들 (BLK[0:y])은 메모리 블록들 (MB0-MBy)에 각각 대응한다. 디코딩 신호들 (DRAi[0:m], DRAj[0:n], DRAk[0:x])는 선택되는 메모리 블록의 워드 라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데 사 용된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메모리 블록들 (MB0-MBy)에 각각 대응하는 레벨 변환 블록들 (LSB0, LSB1, …, LSBy)을 포함한다. 레벨 변환 블록들 (LSB0-LSBy) 각각은 대응하는 블록 선택 신호와 디코딩 신호들 (DRAk[0:x])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레벨 변환 블록 (LSB0)은 블록 선택 신호 (BLK0)와 디코딩 신호들 (DRAk[0:x])를 입력하고, 레벨 변환 블록 (LSB1)은 블록 선택 신호 (BLK1)와 디코딩 신호들 (DRAk[0:x])를 입력하며, 레벨 변환 블록 (LSBy)은 블록 선택 신호 (BLKy)와 디코딩 신호들 (DRAk[0:x])를 입력한다. 레벨 변환 블록들 (LSB0-LSBy) 각각의 입력 신호들은 활성화시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을 갖는다. 레벨 변환 블록들 (LSB0-LSBy)은 입력 신호들에 응답하여 블록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디코딩 신호들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레벨 변환 블록 (LSB0)은 입력 신호들에 응답하여 디코딩 신호들 (DRA0k[0:x])를 출력하고, 레벨 변환 블록 (LSB1)은 입력 신호들에 응답하여 디코딩 신호들 (DRA1k[0:x])를 출력하고, 레벨 변환 블록 (LSBy)은 입력 신호들에 응답하여 디코딩 신호들 (DRAyk[0:x])을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0)는 메모리 블록들 (MB0, MB1, …, MBy)에 각각 대응하는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들 (130_0, 130_1, …, 130_y)을 더 포함한다.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들 (130_0, 130_1, …, 130_y)은 고전압 (VPP)으로 동작한다.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들 (130_0-130_y) 각각은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의 워드 라인들에 각각 연결된 행 디코더 및 구동 회로들 (131)을 포함한다. 각 행 디코더 및 구동 회로 (131)는 행 프리-디코더 (120)로부터의 디코딩 신호들 (DRAi[0:m], DRAj[0:n]) 중 일부와 대응하는 레벨 변환 블록 (예를 들면, LSB0)으로부터의 디코딩 신호들 (예를 들면, DRA0k[0:x]) 중 일부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워드 라인을 구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벨 변환 블록들 및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들은 도 1, 도 3, 그리고 도 4에서 설명된 듀얼 절연막 체계의 집적 회로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되며, 이는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각 레벨 변환 블록의 출력 신호들은 대응하는 메모리 블록에만 입력되기 때문에,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레벨 변환 블록의 일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레벨 변환 회로 (LS)는 디코딩 신호들 (DRAk0-DRAkx)에 각각 대응하는 레벨 변환 블록 (LSB0)의 레벨 변환 회로들 중 하나이며, 나머지 레벨 변환 회로들 역시 도 6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레벨 변환 회로 (LS)는 디코딩 신호 (DRAk0)와 블록 선택 신호 (BLK0)에 응답하여 디코딩 신호 (DRA0k0)를 출력한다. 디코딩 신호 (DRAk0)와 블록 선택 신호 (BLK0)는 활성화시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을 갖고, 디코딩 신호 (DRA0k0)는 활성화시 고전압 (VPP)을 갖는다. 본 발명의 레벨 변환 회로 (LS)는 2개의 PMOS 트랜지스터들 (MP20, MP21), 4개의 NMOS 트랜지스터들 (MN20, MN21, MN22, MN23), 인버터 (INV20), 그리고 NAND 게이트 (G20)를 포함한다.
PMOS 트랜지스터들 (MP20, MP21)은 고전압에 대해 충분한 내압을 갖도록 상 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반면에, NMOS 트랜지스터들 (MN20-MN23)은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에 대해 충분한 내압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NAND 게이트 (G20)와 인버터 (INV20)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들은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에 대해 충분한 내압을 갖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 (MP20)는 ND21에 연결된 게이트, 고전압 (VPP)에 연결된 소오스, 그리고 ND20 (즉, 출력 단자 (DRA0k0))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 (MP21)는 ND20에 연결된 게이트, 고전압 (VPP)에 연결된 소오스, 그리고 ND21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들 (MN20, MN22)은 ND20과 접지 전압 (VSS) 사이에 직렬 연결되고, NMOS 트랜지스터들 (MN21, MN23)은 ND21과 접지 전압 (VSS) 사이에 직렬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들 (MN20, MN21)의 게이트들은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에 연결된다. NMOS 트랜지스터 (MN22)는 디코딩 신호 (DRAk0)와 블록 선택 신호 (BLK0)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NAND 게이트 (G20)의 출력 신호 (NOUT)에 의해서 제어된다. 인버터 (INV20)는 NAND 게이트 (G20)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며, NMOS 트랜지스터 (MN23)는 인버터 (INV20)의 출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도 6에 도시된 레벨 변환 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디코딩 신호 (DRA0k)와 블록 선택 신호 (BLK0) 중 적어도 하나가 로우 레벨일 때, NMOS 트랜지스터 (MN22)는 턴 온되고 NMOS 트랜지스터 (MN23)는 턴 오프된 다. 이에 따라, ND20은 NMOS 트랜지스터들 (MN20, MN22)을 통해 로우 레벨을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 (MP21)가 턴 온됨에 따라, ND21은 고전압 (VPP)을 갖고 PMOS 트랜지스터 (MP20)은 턴 오프된다. ND21이 고전압 (VPP)을 갖더라도,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들 (MN21, MN23)은 고전압 (VPP)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 이유는 게이트가 IVC/EVC에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 (MN21)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차는 (VPP-IVC/EVC)이 되고, NMOS 트랜지스터 (MN23)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차는 (IVC/EVC-Vtnl)이 되기 때문이다.
디코딩 신호 (DRA0k)과 블록 선택 신호 (BLK0)이 모두 하이 레벨일 때, NMOS 트랜지스터 (MN22)는 턴 오프되고 NMOS 트랜지스터 (MN23)는 턴 온된다. 이에 따라, ND21은 NMOS 트랜지스터들 (MN21, MN23)을 통해 로우 레벨을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 (MP20)이 턴 온됨에 따라, ND20은 고전압 (VPP)을 갖고 PMOS 트랜지스터 (MP21)은 턴 오프된다. 블록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신호 (DRA0k0)은 고전압 (VPP)을 갖는다. ND20이 고전압 (VPP)을 갖더라도,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들 (MN20, MN22)은 고전압 (VPP)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앞서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로, 그 이유는 게이트가 IVC/EVC에 연결된 NMOS 트랜지스터 (MN20)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차는 (VPP-IVC/EVC)이 되고, NMOS 트랜지스터 (MN22)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차는 (IVC/EVC-Vtnl)이 되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PMOS 트랜지스터들 (MP20, MP21)은 고전압 (VPP)으로 동작하는 제 1 내부 회로를 구성하고, NAND 게이트 (G20), 인버터 (INV20), 그리고 NMOS 트랜지스터들 (MN22, MN23)은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으로 동작하는 제 2 내부 회로를 구성하며, NMOS 트랜지스터들 (MN20, MN21)은 제 1 내부 회로에서 제 2 내부 회로로 전달되는 전압을 제한하는 수단을 구성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의 일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행 디코더 및 구동 회로 (131)는 도 5에 도시된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들 (130_0-130_y) 각각에 대응하는 워드 라인들 중 하나에 연결된 것으로, 나머지 워드 라인들에 각각 연결된 행 디코더 및 구동 회로들 역시 도 7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회로 (131)은 디코딩 신호들 (예를 들면, DRA0k0, DRAi0, DRAj0)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워드 라인 (WL)을 구동한다. 디코딩 신호 (DRA0k0)는 대응하는 레벨 변환 블록으로부터 입력되며, 활성화시 고전압 (VPP)의 하이 레벨을 갖는다. 디코딩 신호들 (DRAi0, DRAj0)은 도 5에 도시된 행 프리-디코더 (120)로부터 입력되며, 활성화시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을 갖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행 디코더 및 구동 회로 (131)는 PMOS 트랜지스터들 (MP22, MP23, MP24)과 NMOS 트랜지스터들 (MN24, MN25, MN26, MN27)을 포함한다. 게이트가 제어 신호 (P_0)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PMOS 트랜지스터 (MP22)는 고전압 (VPP)에 연결된 소오스와 내부 노드 (ND22)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다. NMOS 트랜지스터들 (MN24-MN26)은 내부 노드 (ND22)와 접지 전압 (VSS) 사이에 직렬 연결되며, 디코딩 신호들 (DRA0k0, DRAi0, DRAj0)에 의해서 각각 제어된다. PMOS 트랜지스터 (MP23)는 출력 단자 (ND24)에 연결된 게이트, 고전압 (VPP)에 연 결된 소오스, 그리고 내부 노드 (ND23)에 연결된 드레인을 갖는다.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들 (MP24, MN27)는 인버터를 구성하며, 내부 노드 (ND22)와 출력 단자 (ND24) (즉, 워드 라인 (WL)) 사이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행 디코더 및 구동 회로 (131)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어 신호 (P_0)가 로우 레벨이고 디코딩 신호들 (DRA0k0, DRAi0, DRAj0) 중 적어도 하나가 로우 레벨일 때, 내부 노드 (ND22)와 접지 전압 (VSS) 사이의 전류 경로는 차단된다. PMOS 트랜지스터 (MP22)가 턴 온되기 때문에, ND22 노드는 고전압 (VPP)의 하이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워드 라인 (WL)은 로우 레벨이 된다. 디코딩 신호 (DRA0k0)가 로우 레벨을 갖더라도, NMOS 트랜지스터 (MN24)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 (MN24)의 게이트 절연막은 ND22 노드의 고전압 (VPP)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비록 디코딩 신호 (DRA0k0)가 고전압 (VPP)의 하이 레벨을 갖고 디코딩 신호 (DRAi0)가 접지 전압 (VSS)의 로우 레벨을 갖더라도, NMOS 트랜지스터 (MN25)의 게이트 절연막은 고전압 (VPP)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 이유는 내부 노드 (ND23)가 (VPP-Vtnh)의 전압이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Vtnh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을 나타내며, 예를 들면, 2Vtnl가 된다.
제어 신호 (P_0)가 고전압 (VPP)의 하이 레벨이 되고 디코딩 신호들 (DRA0k0, DRAi0, DRAj0)이 모두 하이 레벨이 될 때, 고전압 (VPP)과 내부 노드 (ND22) 사이의 전류 경로는 차단되는 반면에, 내부 노드 (ND22)와 접지 전압 (VSS) 사이에는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워드 라인 (WL)은 PMOS 트랜지스터 (MP24)를 통해 고전압 (VPP)으로 구동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ND22 노드의 고전압 (VPP)이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서 NMOS 트랜지스터 (MN24)를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 (MN25)의 게이트 절연막은 고전압 (VPP)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타이밍도이다.
제어 신호 (P_0) 및 디코딩 신호들 (DRAykx, DRAim, DRAjn)이 로우 레벨일 때, 도 7의 PMOS 트랜지스터 (MP22)는 턴 온되고 NMOS 트랜지스터들 (MN24-MN26)은 턴 오프된다. 따라서, 워드 라인들 (WL)은 로우 레벨이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 (P_0)가 고전압 (VPP)의 하이 레벨이 됨에 따라 도 7의 PMOS 트랜지스터 (MP22)는 턴 오프된다. 행 프리-디코더 (120)로부터 출력되는 블록 선택 신호들 (BLK[0:y]) 및 디코딩 신호들 (DRAk[0:x])은 대응하는 레벨 변환 블록들 (LSB0-LSBj)에 입력된다. 선택된 메모리 블록에 대응하는 레벨 변환 블록은 디코딩 신호들 중 IVC/EVC의 하이 레벨을 갖는 디코딩 신호들의 전압 레벨을 고전압 (VPP)으로 변환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 변환 블록으로부터 출력되는 하이 레벨의 디코딩 신호들은 대응하는 레벨 변환 회로들 (도 6 참조)을 통해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 대신에 고전압 (VPP)을 갖는다. 그 다음에, 선택된 메모리 블록의 행 디코더 및 구동 회로들 중 하나는 입력 신호들 (DRAykx, DRAim, DRAjn)에 응답하여 워드 라인 (WL)을 고전압 (VPP)으로 구동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듀얼 절연막 체계를 이용한 집적 회로에서 고전압에 의한 게이트 절연막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MOS 트랜지스터 (도 7의 NMOS 트랜지스터 (MN24))가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NMOS 트랜지스터 (MN24)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이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인 경우, 도 7의 ND22 노드의 고전압 (VPP)은 도 8의 점선을 따라 방전된다. 그 이유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 (MN24)이 IVC/EVC에 의해서 충분히 턴 온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워드 라인 (WL)의 활성화 속도가 느려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경우, 하지만, NMOS 트랜지스터 (MN24)의 게이트 전압을 고전압 (VPP)으로 설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 (MN24)를 충분히 빠르게 턴 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코더 및 구동 회로 (131)의 ND22 전압의 방전 속도는, 도 8에서 알 수 있듯이, tD만큼 빨라진다. 최종적으로, 워드 라인 (WL)의 활성화 속도가 tD만큼 빨라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의 일부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달리, 도 10에 도시된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들 (130'_0-130'_y)는 행 프리-디코더 (120')의 출력 신호들을 그대로 입력받는다. 도 10의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들은 고전압 (VPP)과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으로 동작하도록 듀얼 절연막 체계를 갖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을 참조하면, 임의의 워드 라인에 연결되는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 (131')은 디코딩 신호들 (DRAim, DRAjn, DRAkx, BLKy)에 응답하여 워드 라인 (WL)을 고전압 (VPP)으로 구동한다. 디코딩 신호들 (DRAim, DRAjn, DRAkx, BLKy) 각각은 활성화시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을 갖는다. 도 9에 도시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레벨 변환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도 3에 도시된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계속해서 도 10을 참조하면, 행 디코더 및 구동 회로 (131')는 PMOS 트랜지스터들 (MP25, MP26, MP27)과 NMOS 트랜지스터들 (MN28, MN29, MN30, MN31, MN32, MN33)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들 (MP25, MP26, MP27, MN33)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고, 트랜지스터들 (MN28-MN32)은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다. 여기서, PMOS 트랜지스터들 (MP25, MP26)은 고전압 (VPP)으로 동작하는 제 1 내부 회로를 구성하고, NMOS 트랜지스터들 (MN29-MN32)은 내부 전원 전압 (IVC) 또는 외부 전원 전압 (EVC)으로 동작하는 제 2 내부 회로를 구성하며, NMOS 트랜지스터 (MN28)는 제 1 내부 회로에서 제 2 내부 회로로의 전압을 제한하는 인터페이스 회로 (또는 전압 제한 수단)으로 동작한다. 도 10에 도시된 행 디코더 및 구동 회로 (131')는 도 3에 도시된 집적 회로 장치와 동일하게 동작하며, 그것에 대한 설명은 그러므로 생략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ND25 노드의 고전압 (VPP)은 NMOS 트랜지스터 (MN28)를 통해 NMOS 트랜지스터 (MN29)의 드레인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 (MN29)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차는 (IVC/EVC-Vtnl)이 된다. 따라서, 비록 NMOS 트랜지스터 (MN29)가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더라도, NMOS 트랜지스터 (MN29)의 게이트 절연막은 고전압 (VPP)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여기서, NMOS 트랜지스터 (MN28)의 게이트에는 항상 IVC/EVC가 인가되기 때문에,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드레인 전압차는 (VPP-IVC/EVC)가 된다. 비록 NMOS 트랜지스터 (MN28)가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더라도, NMOS 트랜지스터 (MN28)의 게이트 절연막은 고전압 (VPP)에 의해서 파괴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에는 IVC/EVC가 인가된다. 하지만,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성하는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은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전원 전압 (또는 외부 전원 전압)과 고전압 사이의 전압 또는 내부 전원 전압 (또는 외부 전원 전압)과 접지 전압 사이의 전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전압으로 동작하는 내부 회로와 내부 전원 전압 (또는 외부 전원 전압)으로 동작하는 내부 회로 사이에 인터페이스 회로를 구현함으로써 고전압에 의한 게이트 절연막의 파괴를 방지함과 아울러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턴-온 속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듀얼 절연막 체계를 채용한 반도체 집 적 회로 장치 및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 1 전압으로 동작하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1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1 내부 회로와;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으로 동작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2 내부 회로와; 그리고
    상기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에 걸리는 전계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제 1 내부 회로에서 상기 제 2 내부 회로로 전달되는 전압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전압은 외부 전원 전압, 상기 전원 전압, 상기 전원 전압보다 낮은 전압, 그리고 상기 전원 전압보다 높고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전압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한 수단은 상기 제 2 전압으로 동작하고 상기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3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행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접속 노드에 연결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워드 라인을 구동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제 1 전압으로 동작하며 상기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8. 전원 전압보다 높은 제 1 전압으로 동작하고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1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1 내부 회로와;
    상기 제 1 전압보다 낮은 제 2 전압으로 동작하고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2 내부 회로와;
    상기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절연막에 걸리는 전계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제 1 내부 회로에서 상기 제 2 내부 회로로 전달되는 전압을 제한하는 수단과; 그리고
    상기 제한 수단은 상기 제 1 전압으로 동작하고 상기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3 모오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행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행 어드레스 신호는 활성화시 상기 제 1 전압을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모오스 트랜지스터의 접속 노드에 연결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워드 라인을 구동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제 1 전압으로 동작하고 상기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2. 전원 전압보다 높은 고전압을 공급받는 전원 단자와;
    상기 전원 단자에 연결된 제 1 전류 전극,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제 2 전류 전극, 그리고 제 1 입력 신호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제 1 전류 전극, 제 2 전류 전극, 그리고 상기 고전압보다 낮은 저 전압에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 제 2 트랜지스터와; 그리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제 2 전류 전극과 연결된 제 1 전류 전극, 접지 전 압에 연결된 제 2 전류 전극, 그리고 제 2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 제 3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고, 상기 제 2 및 제 3 트랜지스터들 각각은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가지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 전압은 외부 전원 전압, 상기 전원 전압, 상기 전원 전압보다 낮은 전압, 그리고 상기 전원 전압보다 높고 상기 고전압보다 낮은 전압 중 어느 하나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상기 고전압의 하이 레벨과 상기 접지 전압의 로우 레벨을 선택적으로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상기 저 전압의 하이 레벨과 상기 접지 전압의 로우 레벨을 선택적으로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행 어드레스 신호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연결 노드에 연결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 라인을 구동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고전압으로 동작하며 상기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연결되는 제 4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트랜지스터는 상기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블록 선택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21. 전원 전압보다 높은 고전압을 공급받는 전원 단자와;
    상기 전원 단자와 제 1 내부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1 모오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전원 단자와 제 2 내부 노드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2 내부 노드의 전압에 의해서 제어되고, 상기 제 2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내부 노드의 전압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제 1 내부 노드와 제 3 내부 노드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 2 내부 노드와 제 4 내부 노드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3 및 4 모오스 트랜지스터들과; 그리고
    상기 제 3 내부 노드와 접지 전압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 4 내부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 상기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제 5 및 제 6 모오스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및 제 4 모오스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들은 상기 고전압보다 낮은 저 전압에 연결되며; 상기 제 5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제 1 입력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고 제 6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입력 신호의 반전된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 및 상기 반전된 신호 각각은 상기 저 전압의 하이 레벨과 상기 접지 전압의 로우 레벨을 선택적으로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저 전압은 외부 전원 전압, 상기 전원 전압, 상기 전원 전압보다 낮은 전압, 그리고 상기 전원 전압보다 높고 상기 고전압보다 낮은 전압 중 어느 하나인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행 어드레스 신호 및 블록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노드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은 행 어드레스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 라인들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행 디코더 및 구동 블록은 워드 라인들에 각각 대응하는 행 디코더 및 구동 회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각 행 디코더 및 구동 회로는
    상기 고전압에 연결된 소오스, 제 5 내부 노드에 연결된 드레인, 그리고 제 2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연결된 게이트를 갖는 제 7 모오스 트랜지스터와; 그리고
    상기 제 5 내부 노드와 상기 접지 전압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제 8 및 제 9 모오스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7 및 제 8 모오스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고, 상기 제 9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상대적으로 얇은 게이트 절연막을 가지며; 상기 제 8 모오스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 1 내부 노드의 전압에 의해서 제어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내부 노드에 연결된 인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는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 라인을 구동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는 상기 고전압으로 동작하고 상기 상대적으로 두꺼운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PMOS 및 NMOS 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KR1020030008200A 2003-02-10 2003-02-10 듀얼 절연막 체계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KR100560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200A KR100560653B1 (ko) 2003-02-10 2003-02-10 듀얼 절연막 체계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US10/761,239 US7548108B2 (en) 2003-02-10 2004-01-22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with dual insul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200A KR100560653B1 (ko) 2003-02-10 2003-02-10 듀얼 절연막 체계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219A KR20040072219A (ko) 2004-08-18
KR100560653B1 true KR100560653B1 (ko) 2006-03-16

Family

ID=3298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200A KR100560653B1 (ko) 2003-02-10 2003-02-10 듀얼 절연막 체계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48108B2 (ko)
KR (1) KR100560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3324B (zh) * 2014-05-19 2016-05-11 補丁科技股份有限公司 記憶體架構
JP6963480B2 (ja) * 2017-12-01 2021-11-1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11594271B2 (en) 2019-05-08 2023-02-28 Ferroelectric Memory Gmbh Memory cell driver, memory cell arrangement, and methods thereof
JP7222847B2 (ja) * 2019-08-26 2023-02-15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880B2 (ja) * 1988-11-21 1995-02-15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JP3223877B2 (ja) * 1998-03-27 2001-10-29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6009023A (en) 1998-05-26 1999-12-28 Etron Technology, Inc. High performance DRAM structure employing multiple thickness gate oxide
JP2000195284A (ja) * 1998-12-24 2000-07-14 Toshiba Corp ラッチ型レベルシフト回路
KR100386950B1 (ko) * 2000-07-12 2003-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워드 라인 순차적 비활성화가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디코딩 회로
US6580306B2 (en) * 2001-03-09 2003-06-17 United Memories, Inc. Switching circuit utilizing a high voltage transistor protection technique f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orporating dual supply voltage sources
KR100400307B1 (ko) * 2001-05-09 2003-10-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로오 리페어회로를 가진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510084B2 (en) * 2001-05-21 2003-01-21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Column decoder with increased immunity to high voltage breakdown
US6534806B1 (en) * 2001-12-04 2003-03-18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ystem for generating a reference voltage
US6614283B1 (en) * 2002-04-19 2003-09-02 Lsi Logic Corporation Voltage level shifter
JP3816022B2 (ja) * 2002-05-28 2006-08-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6642769B1 (en) * 2002-07-23 2003-11-04 Faraday Technology Corporation High speed voltage level shifter with a low input voltage
US6650168B1 (en) * 2002-09-30 2003-11-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High-speed level shifter using zero-threshold MOSFETS
US6774696B2 (en) * 2002-12-12 2004-08-10 Intel Corporation Level shifter and voltage trans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84338A1 (en) 2004-09-23
US7548108B2 (en) 2009-06-16
KR20040072219A (ko) 200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2550B (zh) 半導體裝置
KR102612418B1 (ko) 반도체 장치
US7049851B2 (en) Decoder circuit
US8184489B2 (en) Level shifting circuit
US5602796A (en) Word line driver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9980021468A (ko) 반도체 메모리소자
KR100200724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서브 워드라인 드라이버
US9214210B2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block decoder therefor, and decoding method thereof
KR10022093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워드라인 구동방법
EP0334550B1 (en) Nonvolatile RAM cell
KR100560653B1 (ko) 듀얼 절연막 체계를 갖는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KR910009408B1 (ko) 반도체기억장치
CN101536107B (zh) 共享存储器阵列p-阱的低电压列解码器
WO2017160414A1 (en) Reduced swing bit-line apparatus and method
US7378879B1 (en) Decoding systems and methods
JP2003016792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2005149694A (ja) データ入出力バッファ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メモリ装置
KR19980037415A (ko)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고전압 발생회로
JP6779960B2 (ja) 半導体装置
US7554863B2 (en) Voltage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e voltage control circuit
KR100313497B1 (ko) 내부전원공급기의전원전송스위치및제어회로
KR20010039060A (ko) 플래시 메모리 장치
KR20030031435A (ko) 반도체 집적 회로, 및 이것을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970023435A (ko) 이중워드라인구조를 갖는 반도체메모리장치
JPH051979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