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612B1 - 전자기 클러치 - Google Patents

전자기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612B1
KR100560612B1 KR1020030099685A KR20030099685A KR100560612B1 KR 100560612 B1 KR100560612 B1 KR 100560612B1 KR 1020030099685 A KR1020030099685 A KR 1020030099685A KR 20030099685 A KR20030099685 A KR 20030099685A KR 100560612 B1 KR100560612 B1 KR 100560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hub
plate
electromagnetic clutch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496A (ko
Inventor
고니시도시히로
하야시도시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40086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0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 F16D27/112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axially movable clutching members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027/007Bias of an armature of an electromagnetic clutch by flexing of substantially flat springs, e.g. 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전자기 클러치에 있어서, 플레이트(15)의 만곡부(bent portion)(15a)는 소정의 가동범위를 초과해서 이동하려는 전기자(armature)(6)와 접촉하고, 그에 의해 전기자(6)의 이동을 제한한다. 결과적으로, 탄성부재(elastic memeber)(14)가 용해되는 경우에, 소정의 가동범위를 초과하는 부지지(不支持) 상태의 전기자(now-unsupported armature)의 이동에 의해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방지한다.
전자기 클러치, 전기자, 플레이트, 탄성부재, 판스프링, 플랜지, 허브

Description

전자기 클러치{ELECTROMAGNETIC CLUTCH}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 클러치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부재(12)를 구비한 허브(7), 플레이트(15), 탄성부재(14) 및 전기자(6)의 결합상태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부재(12)를 구비한 허브(7), 플레이트(15), 탄성부재(14) 및 전기자(6)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부재(12)를 구비한 허브(7), 플레이트(15), 탄성부재(14) 및 전기자(6)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부재(12)를 구비한 허브(7), 플레이트(15), 탄성부재(14) 및 전기자(6)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flange portion)(7a)의 외경(outer diameter)(φA), 플레이트 만곡부(15a)의 내경(inner diameter)(φB) 및 전기자의 내경부(6a)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1의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7a)의 외경(φA)과 전기자의 내경부(6a)의 내경(φC)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확대도.
도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판스프링부재(12)를 구비한 허브(7), 플레이트(15), 탄성부재(14) 및 전기자(6)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9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기 클러치(101)의 단면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 전자기 클러치 6: 전기자
6a: 전기자 내경부 7: 허브
7a: 플랜지부 15: 플레이트
15a: 플레이트 만곡부 15b: 플레이트 외경부
18: 내부 리벳 20: 제한부
본 발명은 회전구동력의 전달 및 차단을 위한, 차량 등의 공조장치의 압축기의 동작을 적합하게 차단하기 위해 이용되는 전자기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 클러치에 대한 종래의 주지된 기술은 일본 특허공보 제2000-161389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9는 그러한 전자기 클러치(101)의 단면도이다. 도9에서, 도면 좌측은 전자기 클러치(101)의 전방측(front side), 도면 우측은 전자기 클러치(101)의 후방측(rear side)으로 지칭한다.
환형 지지부재(annular support member)(109)를 통해 압축기(compressor) (110)에 장착된 전자기 클러치(101)는, 고정자(stator)(102)에 내장된 전자기 코일(electromagnetic coil)(103), 전자기 코일(103) 주위를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회전자(rotor)(104), 도시하지 않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회전자(104)와 일체적으로 회전되는 풀리(pulley)(114), 전자기 코일(103)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자(104)에 흡인되도록 적응된 전기자(armature)(105) 및 전기자(105)와 회전하도록 적응된 원통형 허브(hub)(106)를 포함한다.
허브(106)는 리벳(rivet)(113)에 의해 판스프링부재(leaf spring member)(111)에 결합된다. 판스프링부재(111)의 후방측은 베이킹(baking)에 의해 탄성부재(elastic member)(107)의 전방측에 접착된다. 다른 한편, 탄성부재(107)의 후방측은 베이킹에 의해 전기자(105)의 전방측에 접착된다. 허브(106)는 압축기의 회전축(108)의 회전방향으로 볼트(bolt)(112)에 의해 일체적으로 끼워 맞추어 진다.
회전자(104)의 마찰면에 소정의 미소 간격(minuscule gap)을 두고 대향 배치된 전기자(105)는 철(iron)과 같은 자성체로 환형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107)의 후방측은 베이킹에 의해 전기자(105)의 전방측에 접착된다. 탄성부재(107)의 전방측에 베이킹에 의해 접착된 판스프링부재(111)의 탄성변형에 의해, 전기자(105) 및 탄성부재(107)는 회전축(108)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자기 코일(103)에 전류가 흐르면, 전기자(105)는 전자기 코일(103)의 자기력에 의해 회전자(104)에 흡인된다. 이 때 발생된 전기자(105)의 마찰면과 회전자(104) 사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음(impact sound)은 탄성부재(107)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이물질 등에 의해 압축기(110)가 "로킹"되면(locked), 압축기(110)의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허브(106)에 결합된 전기자(105)도 회전을 중지하고, 여전히 회전을 계속하는 회전자(104)와의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 이 열은 전기자(105)를 통해 탄성부재(107)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탄성부재(107)는 용해되고(fused), 압축기(110)가 로킹되어서 정지된 판스프링부재(111), 허브(106) 및 회전축(108)과 같은 압축기(110)의 부재들로부터 전기자(105)가 분리된다. 이 방식에서, 장시간의 과부하 상태로 인한 벨트(belt)의 파손 또는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과 같은 문제점들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기 클러치(101)는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로서의 기능 또한 가진다.
이물질 등으로 인해 압축기(110)가 로킹된 경우, 전자기 클러치의 토크 리미터 메커니즘은 회전축(108)으로부터 전기자(105)를 분리하는 동작을 한다. 이 과정에서, 지금까지 전기자(105)를 지지해온 탄성부재(107)가 용해된다. 그러므로, 전기자(105)는 전자기 코일(103)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에 의해 회전자(104)에 흡인되면서 부지지(不支持) 상태가 된다(left supported). 결과적으로, 전기자(105)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방향(radial direction)으로 이동하고, 이것은 내부 허브(115)와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비정상음(abnormal noise)을 초래할 수 있다.
압축기(110)가 로킹되어서 탄성부재(107)가 용해되기전에 전자기 클러치(101)에 부과된 과부하 토크에 의해 리벳(113)이 파손된 경우에, 전기자(105)는 전자기 클러치(101)의 전방측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이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되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고장 시에 전기자(105)가 소정의 가동범위를 초과해서 반경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초래될 수 있는 비정상음 또는 다른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기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 전기자(6)가 허브(7)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전기자(6)의 반경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수단(restricting means)(15a,20,18,15b,7d)을 포함하는 전자기 클러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반경방향으로의 전기자(6)의 이동은 플레이트(plate)(15)의 일부(15a,15b)를 전기자(6)와 접촉시킴으로써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반경방향으로의 전기자(6)의 이동은 장착수단(mounting means)(18)의 일부를 전기자(6)와 접촉시킴으로써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는, 반경방향으로의 전기자(6)의 이동은 허브(7)의 일부(7d)를 전기자(6)와 접촉시킴으로써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전기자(6)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수단(15a,20,18,15b,7d)의 제공은, 전기자(6)가 허브(7)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소정의 가동범위를 초과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라, 전기자(6)가 허브(7)와 분리되는 경우에, 허브(7)의 축을 따르는 전기자(6)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수단(15a,6a,7a)를 포함하는 전자기 클러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는, 허브(7)는 플레이트(15)의 일부(15a)의 내경(inner diameter)보다 큰 외경(outer diameter)을 가지는 플랜지부(flange portion)(7a)를 포함하고, 허브(7)의 축을 따르는 전기자(6)의 이동은 플레이트(15)의 일부(15a)를 플랜지부(7a)와 접촉시킴으로써 제한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는, 플랜지부(7a)의 외경은 전기자(6)의 내경부(6a) 보다 크고, 허브(7)의 축을 따르는 전기자(6)의 이동은 플랜지부(7a)를 전기자(6)의 내경부(6a)와 접촉시킴으로써 제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허브(7)의 축을 따르는 전기자(6)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수단(15a)의 제공은, 전기자(6)가 허브(7)와 분리되는 경우에 소정의 가동범위를 초과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구성부분에 부여된 괄호 안의 참조번호는 후술하는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되는 특정수단에 대응하는 예들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1 및 도2는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1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동 사이클을 위한 냉매 압축기(이후 압축기라 지칭함)에 장착되어, 구동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자기 클러치의 일부 단면도이다. 후술함에 있어서, 도1의 좌측으로부터 바라본 면을 전자기 클러치(1)의 전방측, 도1의 우측으로부터 바라본 면을 전자기 클러치(1)의 후방측이라 지칭한다.
전자기 클러치(1)는 전자기 코일(3), 회전자(4), 전기자(6) 및 허브(7)를 위주로 구성된다.
전자기 코일(3)은 환형 지지부재(10)를 통해 압축기(8)에 고정되며, 철과 같은 자성체로 형성되며 V자형 단면을 가지는 고정자(2) 내에 수용된다. 또한, 전자기 코일(3)은 합성수지 보빈(resin bobbin)(3a) 주위에 감겨지고, 고정적으로 몰딩되고 에폭시 수지(epoxy resin)와 같은 절연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회전자(4)는 그 내주부(inner peripheral portion)에 베어링(bearing)(21)을 가지고, 베어링(21)에 의해 압축기(8) 하우징(housing)의 원통형 보스(boss)(8a)의 외주면(outer peripheral surface)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자(4)는 구동원을 제공하는 차량 엔진(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회전구동력을 받기 위한 구동측 회전부재(drive-side rotary member)를 구성한다. 회전자(4)는 그 외주부에 매달린 V-벨트(V-belt)(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풀리(5)를 가지고, V-벨트를 통해 전달되는 엔진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또한, 회전자(4)는 철과 같은 자성체로 형성되고, 고정자(2)와 미소 간격을 두고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전기자(6)는 철과 같은 자성체로 원판형(disk)으로 형성된다. 전자기 코일(3)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전기자(6)의 후방측 단면은 회전자(4)의 마찰면(4a)에 미소 간격(예를 들어, 0.5mm 정도)를 두고 대향배치되고, 회전자(4)에 수용되는 전자기 코일(3)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자(4)의 마찰면(4a)에 흡인된다. 탄성부재(14)의 후방측은 전기자(6)의 전방측에 베이킹에 의해 접착되고, 또한, 탄성부재(14)의 전방측에 베이킹에 의해 접착되는 플레이트(15)(후술할 것임)를 통해 판스프링부재(12)에 결합된다. 판스프링부재(12)의 스프링부(12a)의 기능은, 전기자(6)가 회전축(9)의 축을 따라 탄성부재(14) 및 플레이트(15)와 일체적으로 단지 소정량에서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허브(7)는 철 계열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원통형 내부 허브(inner hub)(7b)를 가진다. 내부 허브(7b)의 원통형 부분의 내주면에는 스플라인 맞물림부(spline fitting portion)(7c)가 형성되고, 허브(7)는 스플라인 맞물림부(7c)에 의해 회전축(9)과 일체적으로 맞물린다. 허브(7)는, 내부 허브(7b)의 원통형 부분의 축을 따르는 단면의 외부를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 플랜지부(7a)와 일체적으로 몰딩된다. 허브(7)는 피구동기기(driven unit)를 제공하는 냉매 압축기(8)의 회전축(9)에 결합되고, 전기자(6)가 회전자(4)의 마찰면(4a)에 흡인되는 경우에 회전자(4) 및 회전하는 전기자(6)의 회전구동력을 압축기(8)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탄성부재(14)는 그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구멍을 가지는 원판이고, 베이킹에 의해 접착되어, 그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구멍을 가지는 원판형 플레이트(15)의 후방측과 전기자(6)의 전방측 사이에서 유지된다. 탄성부재(14)용으로 이용되는 고무재료는, 바람직하게, 차량 동작환경의 광범위한 온도변화(-30°~120°)에 있어서 우수한 토크 전달 및 토크 변동흡수(진동감쇠) 특성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염화 부틸 고무(butyl rubber chloride),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등을 권장한다.
플레이트 만곡부(bent plate portion)(15a)는 플레이트(15)의 내경측에 배치되고, 도6은 그 확대도이다. 플레이트 만곡부(15a)는 전기자(6)의 내경부(6a) 아래로 후방측으로 만곡된다. 즉, 플레이트 만곡부(15a)가 형성되어 전기자(6)의 내주부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연장된다.
허브(7)의 원판형 장착 플랜지부(7a)의 외경(φA)은 플레이트 만곡부(15a)의 내경(φB) 보다 크다.
판스프링부재(12)의 외주부는 외부 리벳(outer rivet)(19)에 의해 플레이트(15)에 고정되고, 그 내주부는 내부 리벳(inner rivet)(18)에 의해 허브(7)에 고정된다. 도2는 전방측으로부터 바라본 판스프링부재(12)를 구비한 허브(7) 및 플레이트(15)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판스프링부재(12)는 대략 삼각형 형태이고, 삼각형의 정점과 정점을 연결한 중간부분에서 형성되는 스프링부(spring portion)(12a)를 구비한 천공부(punched portion)(16)를 가진다.
플레이트(15)는 탄성부재(14)의 일부가 스토퍼(stopper)(17)를 형성하기 위해 돌출하는 플레이트 구멍부(15c)를 가지고 형성된다. 스프링부(12a)의 초기 변위(initial displacement)는 스토퍼(17) 및 외부 리벳(19)을 소정의 상대적 위치에 유지시키면서 스프링부(12a)를 구부림으로써 고정된다(secured). 그러므로, 전 자기 코일(3)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판스프링부재(12)에 결합되는 탄성부재(14) 및 전기자(6)는 스프링부(12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자(4)로부터 미소 간격을 둔 위치에서 지지된다.
<제1 실시예의 동작>
전자기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전기자(6)는 미소 간격을 두고 회전자(4)의 마찰면(4a)에 대향배치된다. 그러므로, 회전자(4)가 엔진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에도, 전기자(6)는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허브(7) 및 회전축(9)도 회전하지 않고, 압축기(8)는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자기 코일(3)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기자(6)는 전자기 코일(3)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회전자(4)를 향하여 흡인되고, 판스프링부재(12)의 스프링부(12a)는 쉽게 변형된다. 전기자(6)는 회전자(4)의 마찰면(4a)에 흡착되어 회전자(4)와 일체적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전기자(6)와 플레이트(15) 사이에서 유지되는 탄성부재(14)는, 전기자(6)가 회전자(4)의 마찰면(4a)에 흡착함으로써 발생되는 충격음을 완화하는 기능을 한다.
이물질 등의 혼입에 의해 압축기(8)가 로킹된 경우에, V-벨트(도시하지 않음) 및 다른 엔진 보조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압축기(8)로부터의 과부하 토크의 전달을 차단하는 토크 리미터 기능을 설명할 것이다. 압축기(8)가 로킹됨으로 인해 회전축(9)이 회전을 중지하는 경우에, 한편으로 허브(7) 및 판스프링부재(12)를 통해 회전축(9)에 결합되어 회전을 중지한 전기자(6)와, 다른 한편으로 엔진으로부터 의 회전구동력을 수용해서 여전히 회전을 계속하는 회전자(4)의 마찰면(4a) 사이에서 마찰열이 발생된다.
이 열은 전기자(6)를 통해 탄성부재(14)로 전달되고 탄성부재(14)를 용해시킨다. 따라서, 플레이트(15)로부터 전기자(6)로의 토크 전달은 차단되고 압축기(8)의 회전축(9)으로부터 전기자(6)가 해제된다(released). 결과적으로, 지금까지 전자기 클러치(1)에 부과되었던 과부하가 소멸된다.
<제1 실시예의 효과>
전술한 토크 리미터 메커니즘의 동작에 의해 탄성부재(14)가 용해되면, 지금까지 전기자(6)를 지지해온 탄성부재(14)가 사라지고, 전기자(6)는 전자기 코일(3)에서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자(4)의 마찰면(4a)에 흡착된 채로 남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기자(6)는 원심력 등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만곡부(15a)는 전기자의 내경부(6a)와 접촉되어 있고, 그러므로, 전기자(6)가 반경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토크 리미터 메커니즘의 동작 후, 전기자(6)가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되어 회전하는 내부 허브(7b)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초래되는 비정상음 또는 다른 문제점들이 방지된다.
다른 한편, 판스프링부재(12) 또는 내부 리벳(18)이 과부하 토크를 받아서 파손되는 경우, 상호 결합된 플레이트(15), 탄성부재(14) 및 전기자(6)는 전방측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탈될 수 있다. 그러나, 허브(7)의 플랜지부(7a)의 외경(φA)이 플레이트 만곡부(15a)의 내경(φB) 보다 크기 때문에, 플레이트(15)가 전방측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려 하면 플레이트 만곡부(15a)는 플랜지부(7a)와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방측을 향한 축방향으로의 플레이트(15)의 이동 또한 제한된다.
또한, 스토퍼(17)를 스프링부(12a)의 중심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스프링부(12a)에 초기변위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스프링부(12a)의 변위는 각 스토퍼(17)에 대하여 균등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부(12a)의 탄성동작은 최대한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허브(7), 판스프링부재(12), 플레이트(15), 탄성부재(14) 및 전기자(6)의 단면도이다. 플레이트(15)에 만곡부(15a)가 제공되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허브(7)의 플랜지부(7a)의 후방측과 내부 리벳(18) 사이에 독립적인 제한부(20)가 고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토크 리미터 메커니즘의 동작 후에, 반경방향으로의 전기자(6)의 이동이 제한된다. 원판형이고 그 중심부에서 형성되는 구멍을 가지는 이러한 독립적인 제한부(20)는, 전기자(6)의 내경부(6a)와 접촉하기 위해 만곡되는 외경부를 가진다.
<제3 실시예>
도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허브(7), 판스프링부재(12), 플레이트(15), 탄성부재(14) 및 전기자(6)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달리, 제3 실시예 에 따르면, 각 내부 리벳(18)의 후방측은, 전기자(6)가 반경방향으로 이동하려 하면 전기자(6)의 내경부(6a)와 접촉하게 되는 위치까지 연장되게 형성되고, 그에 의해 반경방향으로의 전기자(6)의 이동을 제한한다.
<제4 실시예>
도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허브(7), 판스프링부재(12), 플레이트(15), 탄성부재(14) 및 전기자(6)의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15)의 외경부(15b)는 전기자(6)를 향하여 구부려지고, 따라서, 반경방향으로의 전기자(6)의 이동을 외측으로부터 제한한다.
전술한 제2, 제3 및 제4 실시예에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7)의 플랜지부(7a)의 외경(φA)은 전기자(6)의 내경부(6a)의 내경(φC) 보다 크다.
판스프링부재(12) 또는 내부 리벳(18)이 과부하 토크를 받아서 파손되는 경우, 상호 결합된 플레이트(15), 탄성부재(14) 및 전기자(6)는 전방측을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이탈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허브(7)의 플랜지부(7a)의 외경(φA)이 전기자(6)의 내경부(6a)의 내경(φC) 보다 크기 때문에, 플레이트(15)가 전방측을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려 하면 전기자(6)의 내경부(6a)가 플랜지부(7a)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측을 향한 축방향으로의 전기자(6)의 이동 또한 제한된다.
<제5 실시예>
도8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허브(7), 판스프링부재(12), 플레이트(15), 탄성부재(14) 및 전기자(6)의 단면도이다. 제5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부(7a)는 플랜지 만곡부(7d)를 형성하기 위해 만곡되고 그에 의해 반경방향으로의 전기자(6)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은 예시된 목적을 위해 선택된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 클러치에 있어서, 플레이트(15a)의 만곡부(15a)는 소정의 가동범위를 초과해서 이동하려는 전기자(6)와 접촉하고, 그에 의해 전기자(6)의 이동이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탄성부재(14)가 용해되는 경우에, 소정의 가동범위를 초과하는 부지지 상태의 전기자의 이동에 의해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적응된 전자기 코일;
    구동원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회전구동력을 받기 위해, 상기 전자기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회전자에 흡착되도록 적응된 전기자;
    피구동기기에 결합되는 허브;
    상기 허브에 결합되는 스프링수단;
    상기 스프링수단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기 전기자 및 상기 플레이트에 접착되어 상기 전기자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전기자가 상기 허브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반경방향으로의 상기 전기자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수단
    을 포함하는 전자기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와 상기 전기자와의 접촉을 유지시킴으로써 제한되는
    전자기 클러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단은 장착수단에 의해 상기 허브에 결합되고,
    상기 전기자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장착수단의 일부와 상기 전기자와의 접촉을 유지시킴으로써 제한되는
    전자기 클러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의 반경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허브의 일부와 상기 전기자와의 접촉을 유지시킴으로써 제한되는
    전자기 클러치.
  5.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전자기 코일;
    구동원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의 회전구동력을 받기 위해, 상기 전자기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회전자에 흡착되도록 적응된 전기자;
    피구동기기에 결합되는 허브;
    상기 허브에 결합되는 스프링수단;
    상기 허브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상기 전기자 및 상기 플레이트에 접착되어 상기 전기자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전기자가 상기 허브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축방향으로의 상기 전기자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수단
    을 포함하는 전자기 클러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의 내경(inner diameter)보다 큰 외경(outer diameter)을 가지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자의 상기 허브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플레이트의 일부와 상기 플랜지부와의 접촉을 유지시킴으로써 제한되는
    전자기 클러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외경은 상기 전기자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전기자의 상기 허브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전기자의 내경부와의 접촉을 유지시킴으로써 제한되는
    전자기 클러치.
KR1020030099685A 2003-03-24 2003-12-30 전자기 클러치 KR1005606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81487 2003-03-24
JP2003081487A JP3985705B2 (ja) 2003-03-24 2003-03-24 電磁クラ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496A KR20040086496A (ko) 2004-10-11
KR100560612B1 true KR100560612B1 (ko) 2006-03-16

Family

ID=3295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685A KR100560612B1 (ko) 2003-03-24 2003-12-30 전자기 클러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17726B2 (ko)
JP (1) JP3985705B2 (ko)
KR (1) KR100560612B1 (ko)
FR (1) FR28530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647A3 (ko) * 2017-06-28 2019-02-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CN110691920A (zh) * 2017-06-28 2020-01-14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离合器及包括此的压缩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3338A (ja) 2004-02-20 2005-09-02 Denso Corp 電磁クラッチ
JP2005344876A (ja) * 2004-06-04 2005-12-15 Denso Corp 電磁クラッチ
JP2006200570A (ja) * 2005-01-18 2006-08-03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
US20060178241A1 (en) * 2005-02-04 2006-08-10 Denso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R2882117B1 (fr) * 2005-02-16 2007-05-04 Denso Corp Embrayage electromagnetique
JP2007078102A (ja) * 2005-09-15 2007-03-29 Sanden Corp 電磁クラッチ
JP2010281392A (ja) * 2009-06-04 2010-12-16 Toyota Industries Corp 電磁クラッチ
JP5445178B2 (ja) * 2010-01-29 2014-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クラッチ
JP5451578B2 (ja) * 2010-11-05 2014-03-26 小倉クラッチ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
WO2014183061A1 (en) * 2013-05-09 2014-11-13 Eato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lutch assembly
KR102436354B1 (ko) * 2017-02-27 2022-08-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5989A (en) * 1961-05-19 1965-09-14 Gen Motors Corp Electromagnetic clutch having a shock absorbing elastomeric ring
US3774739A (en) * 1971-04-09 1973-11-27 Nippon Denso Co Magnetic clutch
US4445606A (en) * 1981-12-14 1984-05-01 Warner Electric Brake & Clutch Company Armature assembly for electromagnetic coupling
US4493407A (en) * 1981-12-14 1985-01-15 Warner Electric Brake & Clutch Company Armature assembly for an electromagnetic clutch
JP3596072B2 (ja) 1994-09-16 2004-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クラッチ
JP3330283B2 (ja) * 1996-06-24 2002-09-3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電磁クラッチ
JPH10115333A (ja) * 1996-10-11 1998-05-06 Zexel Corp 電磁クラッチ
JP4174896B2 (ja) 1998-09-22 2008-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クラッ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647A3 (ko) * 2017-06-28 2019-02-1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클러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
CN110691920A (zh) * 2017-06-28 2020-01-14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离合器及包括此的压缩机
US11441619B2 (en) 2017-06-28 2022-09-13 Hanon Systems Clutch and compressor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496A (ko) 2004-10-11
US20040188217A1 (en) 2004-09-30
FR2853029A1 (fr) 2004-10-01
US7017726B2 (en) 2006-03-28
JP2004286173A (ja) 2004-10-14
JP3985705B2 (ja) 2007-10-03
FR2853029B1 (fr) 200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4896B2 (ja) 電磁クラッチ
US20100259121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0560612B1 (ko) 전자기 클러치
JPH07174167A (ja) 電磁連結装置
KR100635117B1 (ko) 전자기 클러치
JP3605876B2 (ja) 動力断続機
JP5913889B2 (ja) 電磁クラッチ及び電磁クラッチを備えた圧縮機
JP5879972B2 (ja) 電磁クラッチ用カップリング
JP4524668B2 (ja) 電磁クラッチ用カップリング
JP4639993B2 (ja) 電磁クラッチ
JP4569719B2 (ja) 電磁クラッチ用カップリング
JP4556304B2 (ja) 電磁クラッチ
KR100728709B1 (ko) 전자클러치
JP3838312B2 (ja) 電磁クラッチ用ダンパ装置
JPH11325120A (ja) 電磁クラッチ
KR100500578B1 (ko) 전자클러치
KR100658989B1 (ko) 압축기의전자클러치
JPWO2005010392A1 (ja) 電磁クラッチ
JP2006177502A (ja) 電磁クラッチ
KR20040106070A (ko) 전자 클러치
JP2002227880A (ja) 動力伝達装置
JP2001241508A (ja) 電磁クラッチ用カップリング
JPH0432503Y2 (ko)
KR101901686B1 (ko) 압축기용 전자클러치의 디스크 허브 조립체
JP2006312971A (ja) 電磁ク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