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265B1 - 범퍼 스테이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범퍼 스테이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265B1
KR100560265B1 KR1020040040455A KR20040040455A KR100560265B1 KR 100560265 B1 KR100560265 B1 KR 100560265B1 KR 1020040040455 A KR1020040040455 A KR 1020040040455A KR 20040040455 A KR20040040455 A KR 20040040455A KR 100560265 B1 KR100560265 B1 KR 100560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bumper stay
side member
wash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5485A (ko
Inventor
배종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0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26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9/00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 F16B9/05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 F16B9/054Connections of rods or tubular parts to flat surfaces at an angle by way of an intermediate member the intermediate member being thre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86Bumper fascias and fasten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2019/247Fastening of bumpers' side 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속 충돌시 사이드 멤버의 변형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 범퍼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범퍼 빔과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범퍼 스테이 체결구조에 있어 서, 범퍼 빔 측에 연결되는 범퍼 스테이와 사이드 멤버 측에 연결되는 FEM 캐리어의 볼트 체결부위에 각각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 내에 도우넛 형상의 와셔를 구비하고, 상기 와셔는 연결부로 통공에 연결되어 범퍼 충돌시에 상기 연결부가 파손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와셔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볼트와 너트의 체결간격이 범퍼 스테이와 FEM 캐리어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범퍼 스테이 조립 구조 {Bolting structure of bumper stay}
도 1은 충돌시 범퍼 빔의 거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범퍼 빔과 사이드 멤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 조립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 조립구조에 있어서 범퍼 스테이와 FEM 캐리어의 볼팅 결합부를 나타낸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 조립구조에 있어서 범퍼 스테이와 FEM 캐리어의 볼팅 결합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 조립구조의 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범퍼 빔 C : FEM 캐리어
T : 범퍼 스테이 S : 사이드 멤버
100, 100' : 통공 105, 105' : 연결부
110, 110' : 와셔 115 : 돌출부
본 발명은 범퍼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속 충돌시 사이드 멤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범퍼 스테이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정면 충돌시 범퍼 빔의 거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빔(B)은 평상시 전방으로 돌출된 아치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양측이 사이드 멤버(S)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범퍼 빔(B)은 정면 충돌시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가 밀려들어가면서 아치가 펼쳐지게 되어 그 형태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양 끝단부에 있는 범퍼 스테이 및 사이드 멤버(S)가 충돌에너지를 받아서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변형은 저속으로 충돌시에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도 2는 범퍼 빔과 사이드 멤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빔(B)은 범퍼 스테이(T)에 연결되어 있고, 사이드 멤버(S)는 FEM 캐리어(Front End Module Carrier)(C)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범퍼 스테이(T)와 FEM 캐리어(C)가 볼팅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범퍼 빔(B)이 충돌에 의해서 펼쳐지면 양측의 사이드 멤버(S)가 벌어지게 된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돌로 인하여 범퍼 빔(B)에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이 충격이 그대로 범퍼 스테이(T)를 타고 사이드 멤버(S)에 까지 전달되어서 사이드 멤버(S)가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벌어지고, 또 FEM 캐리어의 인서트 접합부(I)가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범퍼 저속 충돌 테스트(5 마일 및 2.5마일) 법규 불만족 사항에 해당하며, 수리비용 과다 발생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범퍼 저속 충돌시 사이드 멤버와 FEM 캐리어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범퍼 스테이와 FEM 캐리어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범퍼 스테이와 FEM 캐리어 충돌시 슬라이딩 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FEM 캐리어와 사이드 멤버의 변형을 방지하는 범퍼 스테이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범퍼 빔과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범퍼 스테이 체결구조에 있어서,
범퍼 빔측에 연결되는 범퍼 스테이와 사이드 멤버에 연결되는 FEM 캐리어의 볼트 체결부위에 각각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 내에 도우넛 형상의 와셔를 구비하고, 상기 와셔는 연결부로 통공에 연결되어 범퍼 충돌시에 상기 연결부가 파손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와셔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볼트와 너트의 체결간격이 범퍼 스테이와 FEM 캐리어의 두께보다 두꺼워 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 조립 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 조립구조는 범퍼 빔(B)과 범퍼 스테이(T)가 연결되어 있고, 사이드 멤버(S)와 FEM 캐리어(C)가 연결되어 있으 며, 상기 범퍼 스테이(T)와 FEM 캐리어(C)가 볼팅으로 체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점은 종래 기술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특징은 범퍼 스테이(T)와 FEM 캐리어(C)의 볼팅부분에 있는 것으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 조립구조에 있어서 범퍼 스테이와 FEM 캐리어의 볼팅 결합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스테이(T)와 FEM 캐리어(C)가 볼팅으로 체결될 부분에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통공(100, 100')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통공(100, 100')의 내부에 도우넛 형상의 와셔(110, 110', 확대도에서 점 해칭으로 표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와셔(110, 110')는 통공(100, 100')과 폭이 좁은 연결부(105, 105')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05, 105', 확대도에서 검은색으로 해칭)는 비교적 협소한 폭을 가지고 상기 와셔(110, 110')의 상하 2개소에서 통공(100, 100') 내측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부(105, 105')는 충돌시에 발생하는 범퍼 빔(B)의 변형으로 인해서 절단될 수 있도록 약한 강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충돌 발생시에는 상기 연결부(105, 105')가 절단되어 와셔(110, 110')가 통공(100, 100')에서 이탈하게 된다.
상기 통공(100, 100')은 원형이 아닌 횡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볼팅된 부위가 좌우로 슬라이딩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부(105, 105')가 파손되어 와셔(110, 110')가 분리되면 범퍼빔(B)에서 횡방향의 하중이 작용하여도 FEM캐리어(C)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범퍼 스테이(T)의 와셔(110)에는 돌출부(115)를 구비하여 볼트(200)와 너트(205)의 체결이 범퍼 스테이(S) 및 FEM 캐리어(C)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200)와 너트(205)사이의 간격이 상기 범퍼 스테이(S) 및 FEM 캐리어(C)의 두께보다 두꺼워야 볼트(200)와 너트(205)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 조립구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으로는 볼트(200)와 너트(205)가 통공상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상하에 구비된 연결부(105, 105')로 연결되어 있고, 충돌시에 상기 연결부(105, 105')가 파손되면서 볼트(200)와 너트(205)가 상기 통공(100, 100')상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므로 범퍼 빔(B)의 변형이 사이드 멤버(S)까지 전달되지 않아서 사이드 멤버(S)의 변형을 방지한다.
따라서, 경미한 충돌시에 사이드 멤버(S)와 FEM 캐리어(C)에서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서, 경미한 충돌시에 수리비용의 절감과 충돌 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범퍼 스테이 체결구조는 범퍼 스테이와 FEM 캐리어에 와셔를 형성하고 파손시에 상기 와셔가 범퍼 스테이와 FEM 캐리어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경미한 충돌시의 사이드 멤버와 FEM 캐리어가 변형되지 않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2)

  1. 범퍼 빔과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범퍼 스테이 체결구조에 있어서,
    범퍼 빔 측에 연결되는 범퍼 스테이와 사이드 멤버 측에 연결되는 FEM 캐리어의 볼트 체결부위에 각각 좌우로 길게 형성된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 내부 일측단 또는 타측단에 도우넛 형상의 와셔를 구비하며, 상기 와셔는 폭이 좁은 연결부로 통공의 내측면에 연결되어,
    범퍼의 저속 충돌시 범퍼의 퍼짐으로 인해 범퍼 스테이가 측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상기 연결부가 파손되어 볼트와 와셔 및 너트 체결부분이 통공 내부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측방향 충격력이 범퍼빔에서 FEM 캐리어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사이드 멤버가 측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스테이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에 돌출부를 구비하여 볼트와 너트의 체결간격이 범퍼 스테이와 FEM 캐리어의 두께보다 두꺼워 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스테이 체결구조.
KR1020040040455A 2004-06-03 2004-06-03 범퍼 스테이 조립 구조 KR100560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455A KR100560265B1 (ko) 2004-06-03 2004-06-03 범퍼 스테이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455A KR100560265B1 (ko) 2004-06-03 2004-06-03 범퍼 스테이 조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485A KR20050115485A (ko) 2005-12-08
KR100560265B1 true KR100560265B1 (ko) 2006-03-10

Family

ID=3728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455A KR100560265B1 (ko) 2004-06-03 2004-06-03 범퍼 스테이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032B1 (ko) 2012-07-10 2014-12-01 (주)엘지하우시스 에너지 흡수율을 향상시킨 복합 재료 범퍼 백빔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485A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47282A (ja) 車体構造
KR20120076234A (ko) 차량용 스티프너 유닛
JPH11291948A (ja) 車両のフード用ヒンジ
KR100560265B1 (ko) 범퍼 스테이 조립 구조
JP6136845B2 (ja) 車両前部構造
JP2005145271A (ja) 車体前部構造
JP4297530B2 (ja) 車両用バンパ装置
JP2007131135A (ja) 車体前部構造
KR20160072537A (ko) 쿨링모듈 사이드마운팅 구조 및 그 작동방법
JP2000318655A (ja) 牽引フック構造
KR101114059B1 (ko) 연료전지차량의 하부 차체 구조
KR101005461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100589268B1 (ko) 충돌시 캐리어의 변위 저감구조
JP2001310754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KR100217667B1 (ko) 서브프레임의 지지구조
KR200298856Y1 (ko) 차량 조향장치의 충격흡수 구조
KR101244947B1 (ko) 캐리어의 파손방지구조
KR20100119918A (ko) 범퍼용 브래킷 유닛
KR100240027B1 (ko) 자동차용 범퍼
KR200158113Y1 (ko) 자동차의 범퍼 체결구조
KR100589267B1 (ko) 캐리어의 파손방지구조
KR100424979B1 (ko) 프레임 고정부의 체결 구조
KR200141666Y1 (ko) 차량용 범퍼의 밀착고정식 로워가드
KR100534333B1 (ko) 자동차용 서브프레임의 마운팅구조
KR20050034131A (ko) 프론트 펜더와 펜더 에이프런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