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704B1 - 컵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컵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704B1
KR100559704B1 KR1020040022965A KR20040022965A KR100559704B1 KR 100559704 B1 KR100559704 B1 KR 100559704B1 KR 1020040022965 A KR1020040022965 A KR 1020040022965A KR 20040022965 A KR20040022965 A KR 20040022965A KR 100559704 B1 KR100559704 B1 KR 100559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older member
holder
case
swit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987A (ko
Inventor
고가미미츠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5000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9/00Equipment for attack or defence by spreading flame, gas or smoke or leurres; Chemical warfare equipment
    • F41H9/04Gas-blowing apparatus, e.g. for tea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8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홀더부재가 부주의한 하향의 하중을 받더라도 위로 올려진 사용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 경우에 파손 요인을 최대한 없앤다. 케이스와 트레이 및 홀더부재의 작동연결을 연구하여 설계 자유도를 확대한다.
(해결수단) 케이스(1)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인출위치 및 압입되는 격납위치로 전환되는 트레이(2)와, 트레이(2)상에 대략 겹쳐져서 케이스(1)에 수납되는 비사용위치로부터 트레이(2)의 전방이동에 의해 위로 올려져 사용위치로 전환되는 홀더부재(3)를 구비한 컵 홀더 장치에 있어서, 트레이(2)는 인출방향인 선단부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리브(21)를 가지고 있다. 상기 지지리브(21)는 홀더부재(3)의 비사용위치에서 상기 홀더부재의 공간부(34)에 위치하고, 또한, 홀더부재(3)의 사용위치에서 당해 트레이(2)가 더욱 더 단독으로 전방이동하여 인출위치에 도달함으로써 홀더부재(3)의 대응 선단부측을 하측에서 유지한다.

Description

컵 홀더 장치{CUP HOLDER DEVICE}
도 1은 발명 형태예의 컵 홀더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외관 사시도
도 2는 상기 컵 홀더 장치의 부재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분해도
도 3은 상기 컵 홀더 장치의 케이스 및 트레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상기 컵 홀더 장치의 홀더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상기 트레이와 홀더부재측의 리브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상기 컵 홀더 장치의 요부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종래 컵 홀더 장치의 문제를 설명하는 도면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납용 케이스 2 - 얹어놓음용 트레이
3 - 주위구속용 홀더부재 13,14 - 가이드홈
21 - 지지리브 26 - 하측 공간부
27 - 릴리프홀[27a - 종공(縱孔), 27b - 횡공(橫孔)]
33 - 피지지리브 34 - 공간부
37 - 축부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승물실내에 장비되어, 용기 등을 유지해 두는 경우에 알맞는 컵 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컵 홀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앞쪽이 개구된 케이스[리테이너(50)]와, 케이스(50)에 대해 인출위치 및 격납위치로 이동전환되는 트레이(51)와, 트레이(51)상에 겹쳐져서 케이스(50)에 수납되는 비사용위치로부터 트레이(51)의 전방이동에 의해 위로 올려져 사용위치로 전환되는 홀더부재(52)를 구비하고, 홀더부재(52)를 사용위치에서 트레이(51)위에 얹을 수 있는 용기(K)의 주위를 홀더부(52a)의 구멍에 의해 구속한다. 이 중, 트레이(51)는 저면상에 돌출 형성된 쌍의 부착편부(51a)를 가지며, 양측이 케이스(50)의 양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된다. 홀더부재(52)는 홀더부(52a)에 연결된 쌍의 지지편부(52b)와, 양 지지편부(52b)에 돌출 형성된 핀(53)과, 지지편부(52b)의 기단부측에 형성된 하측의 스토퍼면(52c) 및 상측의 로크부(52d)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홀더부재(52)는 트레이(51)의 부착편부(51a)에 대해 핀(53)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고, 또 도시생략된 스프링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탄지되어 있다. 요부작동은, 홀더부재(52)가 트레이(51)를 격납위치로부터 인출위치로 인출하는 동시에 핀(53)을 중심으로 해서 탄지력에 의해 비스듬히 위로 올려진다. 그 상태에 있어서, 스토퍼면(52c)은 트레이(51)의 저판에 맞닿아서 홀더부재(52)의 과잉의 회 동을 규제한다. 로크부(52d)는 케이스(50)의 상판측에 걸어맞춰지게 되어 홀더부재(52)에 부주의한 하향의 하중(F)이 가해졌다 하더라도 홀더부재(52)의 비사용위치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한다. 또한, 부호(54)는 서브 홀더부재로서, 용기가 홀더부(52a)의 구멍보다 작을 때 용기 외주를 일방향으로 눌러서 덜거덕거림을 흡수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제2794389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은 컵 홀더 장치에서는 이하의 점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도 7의 장치에서는 홀더부재(52)가 하향의 하중(F)을 받았을 때, 로크부(52d)가 케이스(50)의 상판에 부하를 가하게 되어 걸어맞춤부분이 파손되기 쉽다. 이것은, 홀더부재(52)가 트레이(51)에 대해 핀(53)을 지점으로 해서 회동됨과 아울러, 핀(53)을 중심으로 해서 기단부측이 짧고 홀더부(52a)측이 길어져 있기 때문에, 홀더부(52a)에 물품이나 손을 위에서 부주의하게 부딪치게 되면, 지레작용에 의해 로크부(52d)와 걸어맞춤되어 있는 케이스 대응부에 과대한 부하로서 가해지기 때문이다.
둘째, 장치로서는 각 전환작동특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거나 간소화하고자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것에서 제약을 받는다. 홀더부재(52)는 핀(53)을 지점으로 해서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의해 위로 들어 올려지는 관계에 있어서, 스프링부재의 탄 지력으로서는 상당히 크게 필요로 되고 그것에 기인하여 각 전환작동특성을 손상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트레이(51)가 격납위치로 전환될 때, 홀더부재(52)가 케이스(50)측에서 받는 부하에 의해 트레이(51)상에 겹쳐지지만, 그 부하가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에 비례하여 크게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홀더부재를 상방으로 이동하게 하는 스프링부재를 생략하거나 적어도 탄지력을 약하게 하고자 한다. 또 트레이(51) 및 홀더부재(52)는 트레이(51)에 대해 핀(53)을 통해서 위치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설계 자유도가 제약되기 쉽다.
셋째, 홀더부재(52)를 위로 올려서 용기(K)를 홀더부(52a)의 구멍에 끼워넣어 주위를 구속하는 구조에서는, 안정유지나 외관특성 등의 점에서 홀더부재(52)를 트레이(51)에 대해 가능한 한 평행하게 상승 이동하게 하고자 한다. 이 경우, 트레이에 대해 홀더부재를 평행 링크에 의해 상하이동하게 하는 구조(특허문헌 1의 도 4)로 하면, 상기한 하중(F)을 받았을 때의 대책을 세우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트레이의 전체 치수가 커진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과제 중 제 1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으로서, 도면의 예로 특정하면, 앞쪽을 개구한 수납용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인출위치 및 압입되는 격납위치로 전환되는 얹어놓음용 트레이(2)와, 상기 트레이에 대해 작동 연결되고, 상기 트레이상에 대략 겹쳐져서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비사용위치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전방이동에 의해 위로 올려져 사용위치 로 전환되는 주위구속용 홀더부재(3)를 구비한 컵 홀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2)는, 인출방향인 선단부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재(3)의 비사용위치에서 상기 홀더부재에 설정된 공간부(34)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홀더부재(3)의 사용위치에서 당해 트레이(2)가 더욱 더 단독으로 전방이동되어 인출위치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홀더부재(3)의 대응 선단부측을 하측에서 유지하는 지지리브(21)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과제 중 제 2와 제 3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으로서, 도면의 예로 특정하면, 앞쪽을 개구한 수납용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인출위치 및 압입되는 격납위치로 전환되는 얹어놓음용 트레이(2)와, 상기 트레이에 대해 작동 연결되고, 상기 트레이상에 대략 겹쳐져서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비사용위치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전방이동에 의해 위로 올려져 사용위치로 전환되는 주위구속용 홀더부재(3)를 구비한 컵 홀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3)의 뒤쪽에 설치되며 전후 및 상하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의 축부(37)와, 상기 트레이(2)에 형성되며 상기 축부(37)를 관통하게 하고 또한 종공(27a) 및 횡공(27b)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홀(27)과, 상기 케이스(1)에 형성되며 앞쪽의 종단부를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지고 또한 상기 축부(37)가 상기 릴리프홀(27)을 통해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는 가이드홈(13,14)을 구비하고, 상기 릴리프홀(27) 및 가이드홈(13,14)에 대한 상기 축부(37)의 슬라이딩을 따라서, 상기 트레이(2) 및 상기 홀더부재(3)가 각각의 위치를 전환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홀더부재(3)가 사용위치로 전환된 후에 상기 트레이(2)가 단독으로 더욱 더 상기 릴리프홀의 횡공(27b)에 따른 거리(도 6의 L2-Ll)만큼 전방이동되어 인출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요부설명) 청구항 1의 장치에서는, 용기류를 유지하게 하는 경우, 트레이를 격납위치로부터 인출위치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는, 홀더부재가 트레이와 함께 케이스에서 인출되어 비사용위치로부터 위로 올려진 사용위치로 전환되고, 그 후, 홀더부재만이 더욱 더 소정 거리 전방으로 이동되어서 인출위치에 도달한다. 그리고, 트레이측의 지지리브는 홀더부재가 사용위치로 전환된 후, 트레이 단독에 의한 전방이동에 의해 홀더부재에 닿는 일 없이 상기 홀더부재의 선단부 하측에 위치하여, 당해 홀더부재의 대응 선단부측을 하측에서 받아내어 유지한다. 이에 의해 이 장치에서는, 홀더부재를 기단부측에서 지지하고 트레이로부터 위로 올려서 사용위치로 하는 구조, 바꿔 말하면, 홀더부재가 사용위치에서 캔틸레버상태가 되는 구조에 있어서, 홀더부재가 과대한 하향의 하중을 (선단부측에) 받더라도 지지리브에 의해 비사용위치로 전환되지 않고, 또한, 상기한 종래의 파손요인을 없앨 수 있다. 또 이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공간부(34)에 접근한 개소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지지리브(21)에 맞닿게 할 수 있는 피지지리브(33)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청구항 2). 이 경우는, 예를 들면, 도 6으로부터 추찰되는 바와 같이 홀더부재의 위로올림치수에 대해 지지리브의 높이를 피지지리브에 따라서 낮게 하여 부재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상기 지지리브(21) 및 피지지리브(33)는 일측이 볼록형상을 이루고, 타측 이 상기 볼록형상을 수납할 수 있는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청구항 3). 이 경우는, 볼록형상 및 오목형상의 끼워맞춤태양이 되기 때문에 홀더부재(의 선단부측)에 좌우측 내지는 횡방향으로 부주의한 하중이 가해져도 홀더부재가 트레이에 대해 위치고정되고, 이에 의해 파손요인을 보다 없앨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청구항 4의 장치에서는 트레이가 격납위치로부터 축부를 통해 케이스의 가이드홈을 따라서 최전방위치인 인출위치까지 수평이동되어 인출된다. 상기 수평이동은 축부가 트레이측 릴리프홀의 종공을 상승이동함으로써 유지되고, 또, 축부가 종공의 상단부에서 횡공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홀더부재에 대해 단독으로 더욱 더 전방이동된다. 홀더부재는 축부를 안내하는 릴리프홀 및 가이드홈의 형상에 의해 홀더 기단부측에서 위로 올려지고, 전체가 트레이에 대해 거의 평행상태로 사용위치로 전환된다. 사용위치에서는 복수의 축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트레이의 횡공에 끼워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그 상태가 유지된다. 이 위로올림치수는 가이드홈의 종단부인 상방으로 경사진 높이 및 릴리프홀의 종공 상하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트레이가 홀더부재에 대해 릴리프홀의 횡공치수에 따라 단독으로 전후 이동되기 때문에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고, 그 결과, 예를 들면, 유지특성 및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트레이 전체 치수를 억제하여 콤팩트화를 도모하거나, 홀더부재의 전체가 트레이에 대해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위로 올려지는 것을 가능하게 해서 유지특성을 향상시키거나, 홀더부재가 축부를 안내하는 릴리프홀 및 가이드홈의 형상에 의해 위로 올려지기 때문에 종래에는 불 가결하였던 위로올림용 스프링부재를 생략하거나, 또는, 스프링부재의 탄지력을 약하게 설정해서 간소화 및 작동특성을 양호하게 하거나, 청구항 1∼3의 구조를 최적의 태양으로 채용가능하게 하는 등의 이점을 구비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컵 홀더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케이스의 상면도, 도 3(b)는 트레이의 상면도, 도 3(c)는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홀더부재의 세부를 나타내며, 동(a)는 상면도, 동(b)는 측면도, 동(c)는 (a)의 A-A선 확대도이다. 도 5(a)는 지지리브 및 피지지리브의 관계를 나타내고, 동(b)는 피지지리브를 지지리브에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c)는 주된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개요, 장치구조를 기본 작동 및 조립과 함께 상술한 후, 요부작동에 대해 언급한다.
(개요) 형태예의 컵 홀더 장치는, 주부재가 앞쪽이 개구된 수납용 케이스(1)와 용기류를 얹어 놓는 트레이(2)와 용기류가 넘어지지 않도록 하는 주위구속용 홀더부재(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부재는 모두 수지 성형품이다. 부재관계는 트레이(2)가 케이스(1)에 대해 전방이동되는 인출위치(이 인출위치는 최전방위치의 의미이다) 및 후방이동 즉 압입되는 격납위치로 전환되고, 홀더부재(3)가 트레이(2)에 대해 작동연결되며, 트레이(2)상에 대략 겹쳐져서 케이스(1)에 수납되는 비사용위치로부터 트레이(2)의 전방이동에 의해 위로 올려지는 사용위치(이 사용위치는 최상방위치의 의미이다)로 전환된다. 또한, 이 컵 홀더 장치는 차실내 중,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석을 구성하고 있는 팔걸이나 계기판의 앞쪽이 개구된 오목개소(4)에 장비되는 것이지만, 설치부로서는 각 종 콘솔 등이어도 된다.
(장치구조) 상기 케이스(1)는 상하면(10,11) 및 좌우의 측면(12,12)에 의해 구획되고, 전후면이 개구된 대략 편평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면(10)에는 앞쪽에 형성된 위치결정편부(10a) 및 스프링 걸림부(10b)와, 좌우 중간보다 조금 일측에 형성되며 전후로 길게 개설되어 있는 개구(10c) 및 개구(10c)의 편단부면을 따라서 전후에 연속적으로 부설된 래치용 톱니부(10d)와, 뒤쪽에 형성되어 있는 트레이스용 부착부(10e) 및 G센서용 배치부(10f)가 형성되어 있다. 하면(11)은 뒤쪽 중간부를 크게 결여한 상태로 형성되고, 또, 앞쪽에 형성된 복수의 부착편부(11a)를 가지고 있다. 좌우의 측면(12)은 주위 리브(12a)에 의해 테두리되어 있다. 상기 리브(12a)의 내측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형상이고 또한 상하에 위치되어 있는 2개의 가이드홈(13,14)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홈(13,14)은 측면을 관통하고 있음과 아울러, 뒤쪽의 종단부로부터 앞쪽의 조금 앞까지 거의 수평홈으로서 형성되고, 또 앞쪽의 종단부를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진 경사홈을 가지고 있다. 양 가이드홈(13,14) 사이의 간격은, 뒤쪽의 종단부 사이의 거리와, 앞쪽의 종단부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측면(12)의 내측에는 하면(11)과 평행하게 전후로 연장되어 있는 돌출편(1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편(12b)은 하면(11)과의 사이에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인 안내홈(15)을 형성하고 있다.
이상의 케이스(1)에는 트레이스부재(16)가 케이스(1)내에 배치되어서 부착부(10e)를 이용하여 요동가능하게 지지되고, G센서(관성 스토퍼와 동일하다)(18)가 배치부(10f)에 짜 넣어진다. 트레이스부재(16)는 선단부에 형성된 핀(17)을 가지며, 후술하는 트레이(2)측의 하트 캠홈(29)과 함께 로크수단인 푸시·푸시걸림기구를 구성하고, 트레이(2)를 후방향으로 눌러서 격납위치로 전환하였을 때 걸림하고, 다음의 누름조작에 의해 걸림을 해제한다. G센서(18)는 스프링(19)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설치되고, 트레이(2)가 격납위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자동차의 급브레이크 시나 충돌 등에서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해 트레이(2)가 압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상태가 부주의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푸시·푸시걸림기구로서는 다른 로크기구이어도 되고, 또 일본국 특원2000-12481호 등에 예시된 G센서를 유니트화한 것이라도 된다.
상기 트레이(2)는 케이스(1)에 대해 앞쪽 개구에서 출입가능한 판상을 이루고, 전단부(선단부와 동일하다)에 형성된 커버부(20)와, 커버부(20)의 내측(뒤쪽)에 돌출 형성된 볼록형상의 지지리브(21)와, 지지리브(21)로부터 조금 뒤쪽에 형성된 좌우의 얹어놓음부(22)와, 양측에 얇게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상기한 안내홈(15)과 끼워 맞춰지는 측부 가장자리(23)를 가지고 있다. 또, 얹어놓음부(22)보다 뒤쪽을 일단 낮게 한 개소(2a)에 있어서, 후방 양측에 돌출 형성된 측벽부(24)와, 뒤쪽에서 좌우 대략 중간부에 형성된 부착대(25)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커버부(20)는 케이스(1)의 앞쪽 개구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게 하는 크기이다. 지지리브(21)는 트레이(2)의 위로올림높이에 대응되는 돌출치 수로서, 커버부(20) 내면에 대략 평행이고 또한 좌우 중간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리브(21)와 커버부(20)측 사이의 전판(前板)부분, 및 지지리브(21)의 양측에 위치하는 전판부분은 상하로 관통되고, 그 일부가 오목형상의 하측 공간부(2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하측 공간부(26)는 후술하는 피지지리브(33)의 대응 하측부분을 받는 오목형상의 공간이면 된다. 얹어놓음부(22)는 용기(K)의 저면을 받는 오목형상이고, 상기 오목형상의 좌우측의 일부가 결여되어 있어 오목형상보다 큰 용기류도 유지가능하게 되어 있다.
좌우의 측벽부(24)에는 종공(27a) 및 종공(27a)의 상단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는 횡공(27b)으로 이루어진 릴리프홀(27)이 각각 대칭으로 2개씩 형성되어 있다. 각 릴리프홀(27)은, 도 3(c)와 같이, 전후로 간격을 유지하고 또한 앞쪽의 것보다 뒤쪽의 것을 일단 높게 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종공(27a)의 길이치수(Tl)는 트레이(2)의 위로올림량에 대응하고, 또 상술한 양 가이드홈(13,14) 사이의 간격 중 종단부 사이의 거리와 거의 대응되어 있다. 횡공(27b)은 트레이(2)와 홀더부재(3)를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트레이(2)가 이 길이치수(T2)만큼 단독으로 전방이동된다.
부착대(25)는 중간부의 일부가 결여되고, 상기 결여부(25a)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 상태가 되어 있다. 결여부(25a)에는 탄지수단(6)이 짜 넣어지고, 부착대(25)의 양측에는 스프링부재(8)를 유지하는 지지축(28)이 형성되며, 일측 상면에는 하트 캠홈(29)이 형성되고, 타측의 상면에는 댐퍼수단(7)이 부착된다. 탄지수단(6)은 콘스턴트 포스 스프링(constant force spring)으로서 결여부(25a)에 부 착되고, 본체내에서 인출된 스프링 단부가 상기 케이스상면 앞쪽의 스프링 걸림부(10b)에 걸림하거나 또는 적당한 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항상 트레이(2)를 케이스(1)내에서 인출하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다. 하트 캠홈(29)은 볼록형 캠부(대략 하트형의 볼록형상의 캠부)를 가지며, 상기 트레이스부재(16)의 핀(17)과 걸림하거나 걸림해제된다. 이 작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2)가 케이스(1)에 대해 탄지수단(6)의 탄지력에 대항해서 압입조작되어 격납위치에서 누르는 힘을 해방하면 걸림상태가 되고, 다음의 누름조작에 의해 걸림이 해제된다. 걸림이 해제되면, 트레이(2)는 탄지수단(6)의 탄지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인출위치로 이동된다. 댐퍼수단(7)은, 예를 들면 공지의 회전기어(7a)를 가진 유압식으로서, 회전기어(7a)가 본체내의 작동유의 저항을 받고 있다. 이 작동은, 회전기어(7a)가 상기한 케이스측의 톱니부(10d)와 맞물림되어 있으며 상기 맞물림에 의해, 트레이(2)가 탄지수단(6)의 탄지력에 의해 이동해서 격납위치로부터 인출위치까지 움직일 때, 댐퍼수단(7)의 제동력을 받아서 대략 정속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 스프링부재(8)는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고, 양단부가 대응되는 지지축(28)을 이용해서 유지되며, 도 4(b)와 같이 홀더부재(3)를 상향으로 탄지하고 있다. 또한, 이 스프링부재(8)는 종래의 홀더부재를 위로 올리기 위한 스프링부재보다도 탄지력이 상당히 약하게 설정되어 있고, 또 구조적으로는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홀더부재(3)가 후술하는 복수의 축부(37)를 대응하는 가이드홈(13,14)의 앞쪽 종단부에 위치하게 해서 위로 올려지고, 그 상태가 각 축부(37)와 끼워 맞추어져 있는 복수의 릴리프홀(27)의 횡공(27b)에서 유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스프링 부재(8)는 보조적인 것으로서, 트레이(2)의 이동전환 시 등에 있어서 홀더부재(3)의 축부(37)에 가해지는 하중저항을 완화하여 위로 올려지기 쉽게 하거나 홀더부재(3)의 덜거덕거림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홀더부재(3)는 트레이(2)에 여유를 가지고 겹쳐지는 크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판부(30)가 후판부(31)보다도 일단 높게 형성되어 있다. 전판부(30)에는 용기류를 삽입하는 2개의 구멍(32)과 전단부측에 하방으로 형성된 피지지리브(33)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32)은 상기한 각 얹어놓음부(22)에 대응해서 형성됨과 아울러, 각 구멍(32)은 테두리되어 있는 일부가 결여되어 있어 구멍의 직경보다 큰 용기류도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전판부(30) 중, 구멍(32)이 테두리되어 있는 앞쪽부분은 도 4(c)와 같이, 단면이 하향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ㄷ자 형상의 공간부(34)에 상기 지지리브(21)가 수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지지리브(33)는 상기 공간부(34)를 구획하고 있는 ㄷ자 형상의 전측벽부분에 형성되고, 지지리브(21)상에 받아낼 수 있는 치수로 되어 있다. 또 피지지리브(33)는 지지리브(21)에 맞닿는 부분(33a)과 부분(33a)의 양측에 조금 길게 형성되어서 지지리브(21)의 대응 측면의 외측에 위치하는 횡방향 엇갈림 방지용 부분(33b)을 가지며, 전체가 대략 오목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예에서는, 부분(33b)이 부분(33a)보다 판폭이 넓고, 또, 하단부가 상기한 하측 공간부(26)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지지리브(21)와 피지지리브(33)의 형상은 반대로 해도 된다. 구멍(32)의 내주면에는 종래와 같은 서브 홀더부재가 필요에 따라서 부설된다.
후판부(31)에는 후단부 중간부에서 앞쪽을 향하여 개구된 결여부(31a)와 양 측을 일단 낮게 한 단차부(35)와 단차부(35)의 단부면에 돌출 형성된 2개의 축 장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결여부(31a)는 트레이측 부착대(25)를 받는 개소이다. 각 축 장착부(36)는 전후 및 상하로 간격을 유지하고 있고, 또 상기 간격이 상술한 양 가이드홈(13,14) 사이의 간격 중 전후의 종단부 사이의 거리와 거의 대응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축 장착부(36)가 샤프트인 축부(37)를 압입에 의해 장착가능한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37)나 축 장착부(36)의 수는 필요에 따라서 이 예보다 많이 하더라도 지장이 없다.
이상의 각 부재는 예를 들면, 홀더부재(3)가 트레이(2)상에 배치되고, 트레이(2)가 케이스측 안내홈(15)에 측부 가장자리(23)를 끼워 맞춤한 상태로 홀더부재(3)와 함께 케이스(1)내에 삽입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축부(37)가 대응되는 가이드홈(13,14)으로부터 릴리프홀(27)을 통해 축 장착부(36)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해서, 케이스(1)와 트레이(2) 및 홀더부재(3)는 축부(37)가 대응되는 가이드홈(13,14)에 대해 릴리프홀(27)을 통해 끼워 맞춰지게 됨으로써 작동연결되어 완성품의 컵 홀더 장치가 된다. 또한, 탄지수단(6)인 콘스턴트 포스 스프링의 인출단부는, 트레이(2)를 케이스(1)내에 삽입하는 초기 단계에서 스프링 걸림부(10b)에 걸리게 된다. 댐퍼수단(7)의 본체는 개구(10c)로부터 부착대(25)의 대응부에 부착된다.
(요부작동) 이상의 컵 홀더 장치에서는, 종래품과 비교해서 다음과 같은 작동이 얻어지도록 연구되어 있다.
① 도 6(a)는, 트레이(2)가 탄지수단(6)의 탄지에 대항해서 케이스(1)내에 압입된 격납위치[홀더부재(3)가 비사용위치]에 있고, 상기 푸시·푸시걸림기구[트레이스부재(16) 및 하트 캠홈(29)]에 의해 걸림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홀더부재(3)의 각 축부(37)가 트레이측 종공(27a)의 구멍하측에서 대응되는 케이스(1)측 가이드홈(13,14)의 뒤쪽 종단부에 위치해서 규제되어 있고, 또 트레이측의 지지리브(21)가 홀더부재측의 공간부(34)에 위치하며, 또한, 홀더부재측의 피지지리브(33)의 대응 하단부분이 트레이측의 하측 공간부(26)에 위치하고 있다.
② 도 6(b)는, 트레이(2)가 커버(20)를 통해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푸시·푸시걸림기구의 걸림을 해제하고, 탄지수단(6)의 탄지력에 의해 격납위치로부터 사용위치인 전방으로 이동되고 있는 도중의 상태[홀더부재(3)의 사용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즉, 트레이(2)는 홀더부재측의 각 축부(37)가 트레이측의 종공(27a)을 통해 케이스(1)의 가이드홈(13,14)을 따라서 전방으로 움직임으로써 수평이동된다. 이 때, 각 축부(37)는 가이드홈(13,14)의 앞쪽에 있는 상방으로 경사진 홈형상에 의해 비스듬히 상향으로 슬라이딩되고, 또한, 상기 상향 슬라이딩시에 있어서 트레이측 릴리프홀(27)의 종공(27a)을 따라서 움직이게 되어 종공(27a)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해서, 이 구조에서는 트레이(2)가 종공(27a)의 존재에 의해 수평이동을 유지하고, 홀더부재(3)가 최하위치인 비사용위치로부터 최상위치인 사용위치로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전환된다. 이 경우, 홀더부재(3)는 전후 및 상하로 간격을 유지한 복수의 축부(37)가 대응되는 가이드홈(13,14)을 따라서 상승됨으로써 수평상태를 항상 유지한다. 바꿔 말하면, 이 구조에서는 홀더부재(3)가 자신의 축부(37)를 케이스측의 가이드홈(13,14)의 홈형상을 따라서 슬라이딩 상승하 게 하여 사용위치로 전환되기 때문에, 스프링부재(8)의 생략을 가능하게 한다. 스프링부재(8)의 탄지작용은 주로 각 축부(37)에 가해지는 하중저항을 경감하거나, 부재사이의 덜거덕거림을 흡수하는 점에 있다.
③ 도 6(c)는 트레이(2)가 도 6(b)에서 더욱 더 단독으로 인출위치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홀더부재(3)는 축부(37)가 케이스측 가이드홈(13,14)의 앞쪽 종단부에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고정되어 있다. 트레이(2)는 각 축부(37)가 릴리프홀(27)의 종공(27a)으로부터 횡공(27b)으로 움직여지기 때문에, 탄지수단(6)의 탄지력에 의해 단독으로 최전방의 인출위치까지 이동된다. 그러면, 트레이(2)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리브(21)는 홀더부재(3)의 피지지리브(33)의 바로 아래까지 위치이동된다. 이에 의해 홀더부재(3)는 기단부측에 있어서 복수의 축부(37)가 횡공(27b)에 지지되고, 또한, 선단부측에 있어서 피지지리브(33)가 트레이측 지지리브(21)에 맞닿게 되어 지지된다. 이 때문에, 이 구조에서는 홀더부재(3)가 과대한 하향의 하중(F)을 받더라도 수평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부주의하게 하강하거나 종래와 같은 파손된다는 염려를 해소할 수 있다.
④ 이상의 리브작동은 피지지리브(33)를 생략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지만, 피지지리브(33)를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지지리브(21)의 높이를 낮게 하거나 부재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기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 이 구조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리브(21)가 피지지리브(33)의 오목형상내에 배치된 상태로 홀더부재(3)의 선단부측을 지지하기 때문에, 만일, 홀더부재(3)가 횡방향의 하중을 받더라도 트레이(2)와의 일체화를 유지하고, 이에 의해 용기류의 유지특성 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를 격납위치로 전환할 경우에는 축부(37)와 릴리프홀(27) 및 가이드홈(13,14)의 작동연결로서, 도 6(b)의 상태로부터 동(a)의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1과 4의 기술요소를 제외하고, 이 형태예를 기초로 해서 여러 가지로 변형 가능한 것이다. 그 일예로서는, 트레이측 얹어놓음부(22)나 홀더부재측 구멍(32)의 형상을 변경하거나, 구멍(32)측에 각 종의 서브 홀더부재를 부설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컵 홀더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간소화 및 콤팩트화를 희생하는 일 없이, 홀더부재가 하향의 하중을 받더라도 부주의하게 비사용위치로 전환되지 않고, 또한 종래와 같은 파손요인을 확실히 없앨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트레이가 홀더부재에 대해 소정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작동특성을 양호하게 하거나, 간소화 및 콤팩트화하기 쉽게 해서 설계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Claims (4)

  1. 앞쪽을 개구한 수납용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인출위치 및 압입되는 격납위치로 전환되는 얹어놓음용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대해 작동 연결되고, 상기 트레이상에 대략 겹쳐져서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비사용위치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전방이동에 의해 위로 올려져 사용위치로 전환되는 주위구속용 홀더부재를 구비한 컵 홀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에는 선단 하측으로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트레이는, 인출방향인 선단부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재의 비사용위치에서 상기 홀더부재에 설정된 공간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홀더부재의 사용위치에서 당해 트레이가 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홀더에 형성된 축부가 슬라이드 하며 더욱 더 단독으로 전방이동되어 인출위치에 도달함으로써 상기 홀더부재의 대응 선단부측을 하측에서 유지하는 지지리브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상기 공간부에 접근한 개소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지지리브에 맞닿게 할 수 있는 피지지리브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 및 피지지리브의 일측이 볼록형상을 이루고, 타측이 상기 볼록형상을 수납할 수 있는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장치.
  4. 앞쪽을 개구한 수납용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인출위치 및 압입되는 격납위치로 전환되는 얹어놓음용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대해 작동 연결되고, 상기 트레이상에 대략 겹쳐져서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비사용위치로부터 상기 트레이의 전방이동에 의해 위로 올려져 사용위치로 전환되는 주위구속용 홀더부재를 구비한 컵 홀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의 뒤쪽에 설치되며 전후 및 상하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복수의 축부와, 상기 트레이에 형성되며 상기 축부를 관통하게 하고 또한 종공(縱孔) 및 횡공(橫孔)으로 이루어지는 릴리프홀과,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며 앞쪽의 종단부를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지고 또한 상기 축부가 상기 릴리프홀을 통해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는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상기 릴리프홀 및 가이드홈에 대한 상기 축부의 슬라이딩을 따라서, 상기 트레이 및 상기 홀더부재가 각각의 위치를 전환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홀더부재가 사용위치로 전환된 후에 상기 트레이가 단독으로 더욱 더 상기 릴리프홀의 횡공에 따른 거리만큼 전방이동되어 인출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장치.
KR1020040022965A 2003-07-03 2004-04-02 컵 홀더 장치 KR100559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90899 2003-07-03
JP2003190899A JP4270498B2 (ja) 2003-07-03 2003-07-03 カップホル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987A KR20050003987A (ko) 2005-01-12
KR100559704B1 true KR100559704B1 (ko) 2006-03-10

Family

ID=3354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965A KR100559704B1 (ko) 2003-07-03 2004-04-02 컵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25957B2 (ko)
JP (1) JP4270498B2 (ko)
KR (1) KR1005597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9615A2 (en) * 2010-03-03 2011-09-09 Lear Corporation Armrest assembly having beverage holder
US8573552B2 (en) 2010-09-29 2013-11-05 Lear Corporation Cup holder assembly having a pair of lids and a single release button
US8708408B2 (en) 2011-10-03 2014-04-29 Lear Corporation Armrest assembly having beverage hold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8099B2 (ja) * 2004-08-04 2009-06-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装置
DE102006045228A1 (de) * 2006-09-26 2008-04-03 Fischer Automotive Systems Gmbh Halter für einen Getränkebehälter
JP4969295B2 (ja) * 2007-04-05 2012-07-04 株式会社ニフコ 蓋体開閉装置
US7708328B2 (en) * 2007-10-01 2010-05-0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Device holder and storage drawer
US20100221965A1 (en) * 2008-01-29 2010-09-02 Hitachi Maxell, Ltd. Slurry for forming insulating layer,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electrochemical device
JP2010228494A (ja) * 2009-03-26 2010-10-14 Isuzu Motors Co (Thailand) Ltd ドリンクホルダ装置
JP2012245836A (ja) * 2011-05-26 2012-12-13 Nifco Inc カップホルダー
CN104290633B (zh) * 2013-07-19 2017-02-01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杯托组件及具有其的车辆
DE102018200624A1 (de) * 2018-01-16 2019-07-18 Bos Gmbh & Co. Kg Armlehnenanordn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JP7052440B2 (ja) * 2018-03-13 2022-04-1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ドリンクホルダ構造
JP6992618B2 (ja) * 2018-03-13 2022-01-13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ドリンクホルダ構造
KR102563594B1 (ko) * 2018-08-31 2023-08-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홀더를 갖는 콘솔
US10681987B2 (en) * 2018-10-10 2020-06-16 Hhc Changzhou Corporation Console unit having a door compart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9978A (en) * 1994-02-04 1995-01-10 Manchester Plastics Vehicular convertible cupholder
JP2794389B2 (ja) 1994-06-30 1998-09-03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カップホルダ
US5628486A (en) * 1995-05-30 1997-05-13 Summit Polymers Concealable beverage container holder
JP4015501B2 (ja) * 2002-08-05 2007-11-28 株式会社ニフコ カップホルダ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9615A2 (en) * 2010-03-03 2011-09-09 Lear Corporation Armrest assembly having beverage holder
WO2011109615A3 (en) * 2010-03-03 2011-12-29 Lear Corporation Armrest assembly having beverage holder
US8911011B2 (en) 2010-03-03 2014-12-16 Lear Corporation Armrest assembly having beverage holder
US8573552B2 (en) 2010-09-29 2013-11-05 Lear Corporation Cup holder assembly having a pair of lids and a single release button
US8708408B2 (en) 2011-10-03 2014-04-29 Lear Corporation Armrest assembly having beverage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987A (ko) 2005-01-12
JP2005022540A (ja) 2005-01-27
US7225957B2 (en) 2007-06-05
JP4270498B2 (ja) 2009-06-03
US20050000991A1 (en)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9704B1 (ko) 컵 홀더 장치
JP4278099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US6702241B2 (en) Cup holder
JP3287081B2 (ja) 引き出しユニット
US20110127791A1 (en) Console assembly
JP2000052879A (ja) 自動車内へ組み込むための、抜き出し部分を備えた装置
KR100500781B1 (ko) 컵홀더 장치
US5004306A (en) Drawer device
US11225178B2 (en) Slim headrest device
KR20220128537A (ko) 글로브박스용 개폐장치
JP4592217B2 (ja) 車載用のカップホルダー
CN111251964B (zh) 汽车用杯架
JP2881691B2 (ja) 安全装置付き車輌搭載用収納装置
JP5058963B2 (ja) ロック装置
JP2008055950A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JPH068769A (ja) 乗物用カップホルダ装置
US20230311777A1 (en) Sliding transport apparatus of storage portion for vehicle
WO2023136071A1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JP2691441B2 (ja) スライダの格納装置
US7513554B2 (en) Cup holder
KR100836436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열림 방지구조
JP4513735B2 (ja) 車両荷室内の収納構造
KR0170141B1 (ko)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JP2023102569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KR200141407Y1 (ko) 자동차용 트래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