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437B1 -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437B1
KR100558437B1 KR1020030040961A KR20030040961A KR100558437B1 KR 100558437 B1 KR100558437 B1 KR 100558437B1 KR 1020030040961 A KR1020030040961 A KR 1020030040961A KR 20030040961 A KR20030040961 A KR 20030040961A KR 100558437 B1 KR100558437 B1 KR 100558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urrent blocking
blocking layer
ridg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0458A (ko
Inventor
김동준
문병득
한상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0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437B1/ko
Priority to JP2003345509A priority patent/JP2005019934A/ja
Priority to US10/689,629 priority patent/US7192884B2/en
Publication of KR20050000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2Constructional details
    • H01S3/03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laser discharge tubes
    • H01S3/038Electrodes, e.g. special shape, configuration or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e.g. by electron beams
    • H01S5/042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 H01S5/0421Electrical excitation ; Circui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ing contac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20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 H01S5/22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 H01S5/223Buried stripe structure
    • H01S5/2231Buried stripe structure with inner confining structure only between the active layer and the upper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2304/00Special growth methods for semiconductor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20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 H01S5/2054Methods of obtaining the confinement
    • H01S5/2081Methods of obtaining the confinement using special etch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20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 H01S5/22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 H01S5/2205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comprising special burying or current confinement layers
    • H01S5/2206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comprising special burying or current confinement layers based on III-V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클래드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클래드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도전형 클래드층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리지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리지구조 주위에 전류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 - 이로써 상기 전류차단층 상면은 융기부를 형성하며, 그 일부영역에는 비정질 및/또는 다결정층이 형성됨-와, 상기 전류차단층로부터 적어도 비정질 및/또는 다결정층이 제거되고 상기 융기부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상기 전류차단층 상면을 습식에칭하는 단계와, 상기 전류차단층 상면에 제2 도전형 콘택층을 형성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반도체 레이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지구조로 인한 전류차단층의 불량한 표면상태를 개선함으로써 제2 도전형 캡층의 결정성 및 표면상태를 향상시키고, 전극접합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반도체 레이저(semiconductor laser), 리지(ridge), 비결정질층(amorphous layer), 다결정층(polycrystral layer)

Description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METHOD OF PRODUCING A SEMICONDUCTOR LASER DEVICE}
도1a은 종래의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b는 종래의 반도체 레이저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2a 내지 2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이다.
도3a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b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도체 레이저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1: 제1 도전형 기판 42: 제1 도전형 클래드층
43: MQW 활성층 44: 제2 도전형 클래드층
45: 제2 도전형 캡층 47: 유전체 마스크
48: 제1 도전형 전류차단층 49: 제2 도전형 콘택층
본 발명은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차단층 상부의 융기부와 그 표면 일부에 형성된 비정질 또는 다결정층에 의해 후속공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불량을 예방할 수 있는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는 CD나 DVD 등의 광디스크시스템의 광픽업장치를 위한 광원으로 뿐만 아니라, 광통신, 다중통신, 우주통신 등의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을 받는 이유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진되는 레이저광이 좁은 주파수폭(단파장특성)과, 높은 지향성을 가지며, 고출력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레이저 소자는 전류주입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선택적 매립형 리지(Selectively Buried Ridge: SBR) 구조를 갖는 p형 클래드층을 채용한다. 도1a 및 도1b는 종래의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구조를 예시되어 있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 레이저 소자(20)는, 하면에 제1 전극(21)이 형성된 기판(11) 상에 제1 도전형 클래드층(12), 다중 양자우물구조(Multi-Quantum Well)를 갖는 활성층(13), 리지구조가 형성된 제2 도 전형 클래드층(14), 리지 상면에 형성된 캡층(15)을 포함한다.
또한, 리지 주위의 제2 도전형 클래드층(20) 상면에는 제1 도전형 물질로 이루어진 전류차단층(Current Blocking Layer: 18)이 형성되고, 상기 캡층(15)과 상기 전류차단층(18) 상에는 콘택층(19)과 제2 전극(22)이 차례로 형성된다. 이러한 결정구조 중 일부층(예를 들어, 기판(11)과 제1 도전형 클래드층(12))사이에는 격자정합을 위해 적절한 버퍼층(미도시)을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DVD 재생 등에 주로 사용되는 650㎚파장의 레이저광을 발진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경우에는, 기판(11)으로는 n형 GaAs기판이 사용되며, 제1 도전형 클래드층(12) 및 제2 도전형 클래드층(14)은 각각 n형 AlGaInP층과 p형 AlGaInP층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활성층(13)은 발진파장 650㎚의 다중양자우물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캡층(15)은 p형 GaAs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층(15)의 전류주입영역에 SiO2 등과 같은 물질의 마스크(미도시)를 형성한 후에, 캡층(15)과 제2 도전형 클래드층(14)에 대해 습식에칭공정을 실시하여 도1a과 같은 리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습식에칭공정에서 활성층(1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도전형 클래드층(14)의 소정 깊이에 에칭정지층(미도시)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어, 마스크를 제거한 후에, 전류차단층(18)으로 제2 도전형 클래드층(14) 과 다른 도전형의 불순물로 도핑된 n형 GaAs층을 형성하고, p형 GaAs 콘택층(19)과 제2 전극(22)을 차례로 형성하여 도1a와 같은 반도체 레이저 소자를 완성할 수 있다.
하지만, 전류차단층 형성공정에서, 전류차단층(18)은 제2 도전형 클래드층의 리지측벽을 따라 형성되므로, 그 상면은 그 전체면을 따라 소정의 경사를 갖는 융기부(A)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전류차단층(18)의 융기부(A)는 거의 전면적에 걸쳐 형성되어 그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유전체 마스크 상과 유전체 마스크 및 전류차단층(18)의 계면에 비결정질 또는 다결정층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류차단층(18)의 융기부(A)와 그 일부 영역에 형성된 비결정질 또는 다결정층으로 인해 그 상부에 형성될 p형 GaAs 콘택층(19)의 결정성장에 원하지 않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 영향으로 인해, p형 GaAs 콘택층(19) 상부에 V자 홈(B)이 형성된다.
도1b는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차단층 상의 일부영역에 형성된 비결정질 또는 다결정층과 융기부(A)는 p형 GaAs콘택층의 불량한 표면상태(B)를 발생시키고, 그 상면에 형성된 전극도 굴곡된 형상을 갖게 되어 접합이 불량해지거나 심각한 경우에는 절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류차단층의 표면상태와 그 상면에 형성된 비결정질 또는 다결 정층에 의해 형성되는 V자 홈(B)은 후속가공공정에서 심각한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믹콘택을 위한 전극형성공정에서는 금속물질이 표면전체에 형성되지 못하여 원하는 전극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칩 클리빙(chip cleaving)공정에서 칩 상면에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리지구조로 인해 형성된 전류차단층의 융기부와 그 융기부의 일부영역에 형성된 비정질 및/또는 다결정층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고, 이로써 콘택층의 결정성 및 표면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클래드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클래드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도전형 클래드층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리지구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리지구조 주위에 전류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전류차단층 상면은 융기부를 형성하며, 그 일부영역에는 비정질 및/또는 다결정층이 형성됨 - 와, 상기 전류차단층로부터 적어도 비정질 및/또는 다결정층이 제거되고 상기 융기부가 감소되도록 상기 전류차단층 상면을 습식에칭하는 단계와, 상기 전류차단층 상면에 제2 도전형 콘택층을 형성하는 단계을 포함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습식에칭단계를 실시할 때에 비정질 및/또는 다결정층이 제거되고 융기부가 감소되는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 도전형 클래드층의 상면은 {100}면이며, 상기 융기부의 경사면은 거의 {111}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지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도전형 클래드층의 상면 일부에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가 형성된 부분에 리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 도전형 클래드층을 에칭하는 단계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전류차단층 상면을 습식에칭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크를 제거한 후에 상기 전류차단층 상면을 습식에칭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류차단층은 제1 도전형 AlGaAs/GaAs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류차단층 상면을 습식에칭하는 단계는, EG계 에천트를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은 3차에 걸친 성장공정으로 이루어진다. 1차 성장공정에서는 제1 도전형 클래드층,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클래드층을 순차적으로 성장하는 공정을 실시하다. 1차 성장공정 후에 리지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유전체 마스크를 이용하여 제2 도전형 클래드층을 선택적 에칭을 실시한다. 이어 2 차 성장공정으로서, 제1 도전형 반도체 물질로 전류차단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하고, 유전체 마스크를 제거한 후에 다시 제2 도전형 콘택층을 형성하는 3차 성장공정을 실시한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차 성장공정 때에 형성되는 전류차단층의 상면은 리지구조의 측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경사진 융기부가 형성되며, 그 융기부d의 일부영역, 즉 마스크와의 계면에는 비정질 또는 다결정층이 형성되므로, 상기 융기부는 3차 성장공정에서 형성되는 제2 도전형 콘택층의 결정성장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결국, 이러한 문제는 후속공정에서 형성되는 전극접속 불량 및 칩 클리빙공정에서 소자의 파손을 야기하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차성장공정과 3차공성장공정 사이에 전류차단층 표면에 대한 습식에칭공정을 도입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습칙에칭공정에 따르면, 후속 결정성장에 악영향을 주는 비정질 및 다결정층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융기부의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양호한 결정성 및 표면상태를 갖는 제2 도전형 콘택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a 내지 도2e는 본 발명의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이다.
우선, 도2a와 같이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41) 상에 제1 도전형 클래드층(42), 활성층(43) 및, 제2 도전형 클래드층(4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 도전형 클래드층(44) 상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추가적으로 제2 도전형 캡층(45)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80㎚ 발진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41)은 n형 GaAs기판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도전형 클래드층(42) 및 상기 제2 도전형 클래드층(44)은 각각 n형 AlGaAs층과 p형 AlGaAs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층(43)은 다중양자우물구조(Multi-Quantum Well)를 갖는 언도프 AlGaAs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캡층(45)은 p형 GaAs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 도2b와 같이 상기 제2 도전형 클래드층(44)과 캡층(45)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리지구조를 형성한다. 도2b에 도시된 리지구조는 SiO2 또는 SiN과 같은 유전체물질로 이루어진 마스크(47)를 상기 캡층(45)의 리지형성영역에 배치하고, 에칭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지형성을 위한 에칭공정에서 활성층(43)을 보호하기 위해서 도2a에 공정에서 에칭정지층(미도시)을 제2 도전형 클래드층(44)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2c와 같이 상기 리지구조 주위의 상기 제2 도전형 클래드층(44) 상면에 전류차단층(47)을 형성한다. 상기 전류차단층(47)은 제1 도전형 반도체 물질로서, n형 AlGaAs/GaAs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GaAs,AlGaAs,AlInP물질 단독 또는 그 조합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류차단층(47)은 리지구조의 측벽에 따라 형성되므로 리지와 인접한 부분이 돌출된 융기부(A)를 형성한다.
하지만, 상기 리지형상과 유전체 마스크에 의한 영향으로 그 융기부(A)의 일부영역(특히, 마스크와의 계면부근)에는 비정질 및/또는 다결정층이 발생된다. 이러한 융기부, 특히 비정질 및/또는 다결정층이 형성된 부분은 그 위에 성장될 제2 도전형 콘택층의 특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전류차단층형성공정에 이어서 상기 비정질 또는 다결정층이 형성된 융기부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을 요구된다.
도2d에는 습식에칭공정을 통해 비정질 및/또는 다결정층이 제거되고 상기 융기부가 감소된 상기 전류차단층(48')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류차단층(48) 상면에 습식에칭공정을 적용함으로써 에칭적용 전 상태(점선으로 표시됨)에 비해 우수한 표면상태와 결정성을 갖는 제2 도전형 콘택층을 형성하기 위한 표면조건을 형성한다. 이러한 에칭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에천트로서는, AlGaAs/GaAs계 반도체물질일 때에는 EG계(H2SO4 : H2O2 : 에틸렌 글리콜) 에천트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에천트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AlGaAs/GaAs반도체물질을 산화시킨 후에 이를 식각할 수 있는 메카니즘으로 작용하 는 공지의 에천트도 본 발명에 적절하게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에칭공정에서 전류차단층으로부터 비결정질 및 다결정층이 제거되는 동시에, 융기부(A)가 감소되므로, 잔류차단층의 평탄한 표면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에칭효과는 전류차단층(48)의 결정방향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전류차단층을 형성하는 AlGaAs/GaAs와 같은 반도체결정은 일반적으로 {100}면에 비해 {111}면이 에칭속도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에칭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전류차단층을 그 상면이 {100}면이 되고 경사면이 거의 {111}면을 갖도록 성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전류차단층(48)에칭에 의해, {111}면에 가까운 경사진 부분은 보다 빠른 속도로 에칭되고, {100}면인 평탄한 상면은 느린 속도로 에칭되어, 융기부의 크기는 감소되고, 상기 전류차단층(48) 상면이 비교적 평탄화되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2e와 같이, 상기 표면상태가 개선된 전류차단층(48') 상면에 제2 도전형 콘택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도전형 콘택층(49)은 p형 GaAs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형 콘택층(49)은 우수한 결정성을 가지며 비교적 평탄해진 전류 차단층 상에 형성되므로, 종래의 방법에 비해 훨씬 우수한 결정과 표면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2d의 에칭공정에서 비정질 및 다결정층이 제거되므로, 제2 도전형 콘택층(49)이 결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잔류차단층(48)의 불량한 결정성과 융기된 형상으로 인해 제2 도전형 콘택층(49)의 표면에 V자 홈이 발생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2a 및 도2e에 예시된 제조공정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일부 단계를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2d에서는 유전체 마스크(47)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류차단층(48)에 대한 습식에칭공정을 실시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전류차단층에 대한 습식에칭공정을 유전체마스크를 제거한 후에 실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도전형 콘택층은 V자홈이 없는 비교적 평탄한 표면을 가질 수 있으므로, 후속공정에서 그 상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에, 불량한 접합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칩 클리빙(chip cleaving)공정에서 소자 상면에 발생될 수 있는 크랙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3a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도체 레이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a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레이저 소자(70)는, 하면에 제1 전극(71)이 형성된 기판(61) 상에 제1 도전형 클래드층(62), 다중 양자우물구조(MQW)를 갖는 활성층(63), 리지구조가 형성된 제2 도전형 클래드층(64), 리지 상면에 형성된 캡층(65)을 포함한다. 또한, 리지 주위의 제2 도전형 클래드층(64) 상면에는 제1 도전형 물질로 이루어진 전류차단층(68)이 형성되고, 상기 캡층(65)과 상기 전류차단층(68) 상에는 제2 도전형 콘택층(69)과 제2 전극(72)이 차례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반도체 레이저 소자(70)는 상기 제2 도전형 캡층(65)과 제2 도전형 클래드층(64)의 리지구조의 측면에 따라 형성된 전류차단층(68)의 상면에 습식에칭을 실시함으로써 그 상면을 비교적 평탄하게 구현할 뿐만 아니라, 원하지 않는 비정질 및 다결정층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전류차단층(68)의 상면에 형성된 제2 도전형 콘택층(69)도 결정성이 향상되고, 나아가 평탄한 표면상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1a에 예시된 종래의 방법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2 도전형 콘택층(19)과 같이 상면에 V자홈 같은 표면상태의 결함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그 위에 형성되는 전극도 제2 도전형 콘택층(69)에 보다 견고하게 접합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단절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3b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실제 제조된 반도체 레이저의 단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3b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는 전류차단층을 형성 한 2차 성장공정 후에 전류차단층 표면에 대한 습식에칭공정을 통해서 비교적 평탄한 전극형성면을 가질 수 있다. 리지부 주위에 작은 융기부가 잔류하기는 하지만, 도1b와 비교할 때에, 그 크기가 대폭 감소되었을 뿐아니라, 그 융기부를 제외한 전체 평면이 평탄해진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전류차단층에 대한 에칭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융기부보다 작은 크기로 감소되는 과정에서, 그 표면에서 존재하던 비정질 또는 다결정층이 제거되므로, 제2 도전형 콘택층의 결정성이 되면서 그 위에 형성된 전극도 양호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지구조로 인한 전류차단층의 불량한 표면에 습식에칭공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전류차단층 상부의 융기부와 그 표면 일부영역에 형성된 비결정질 또는 다결정층으로 비롯되는 오믹전극형성공정 및 클리빙공정시의 불량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Claims (6)

  1. 제1 도전형 반도체 기판 상에 제1 도전형 AlGaAs 클래드층, AlGaAs/GaAs 활성층 및, 제2 도전형 AlGaAs 클래드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도전형 AlGaAs 클래드층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리지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리지구조 주위에 제1 도전형 AlGaAs/GaAs 전류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전류차단층의 {100}면인 상면에는 융기부가 형성되며, 그 일부영역에는 비정질 및/또는 다결정층이 형성됨 - ;
    상기 전류차단층으로부터 비정질 및/또는 다결정층이 제거되도록 상기 전류차단층 상면을 EG계 에천트를 이용한 습식에칭하는 단계 - 이로써, 상기 융기부의 크기는 감소되며, 거의 {111}면인 경사면을 가짐 - ; 및
    상기 전류차단층 상면에 제2 도전형 콘택층을 형성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지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도전형 AlGaAs 클래드층의 상면 일부에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가 형성된 부분에 리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2 도전형 AlGaAs 클래드층을 에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차단층 상면을 습식에칭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크를 제거한 후에 상기 전류차단층 상면을 습식에칭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30040961A 2003-06-24 2003-06-24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 KR100558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961A KR100558437B1 (ko) 2003-06-24 2003-06-24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
JP2003345509A JP2005019934A (ja) 2003-06-24 2003-10-03 半導体レーザー素子の製造方法
US10/689,629 US7192884B2 (en) 2003-06-24 2003-10-22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as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961A KR100558437B1 (ko) 2003-06-24 2003-06-24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458A KR20050000458A (ko) 2005-01-05
KR100558437B1 true KR100558437B1 (ko) 2006-03-10

Family

ID=3353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961A KR100558437B1 (ko) 2003-06-24 2003-06-24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92884B2 (ko)
JP (1) JP2005019934A (ko)
KR (1) KR1005584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7992B2 (en) 2002-07-11 2006-07-18 Molecular Imprints, Inc. Step and repeat imprint lithography processes
US11329454B2 (en) * 2018-03-26 2022-05-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32784A (ja) 1988-03-14 1989-09-18 Hitachi Ltd 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H02260485A (ja) * 1989-03-31 1990-10-23 Toshiba Corp 半導体レーザ装置の製造方法
JPH0482291A (ja) 1990-07-25 1992-03-16 Victor Co Of Japan Ltd 半導体レーザ装置
KR970001896B1 (ko) 1992-05-27 1997-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2822868B2 (ja) * 1993-12-10 1998-11-1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の製造方法
JP3762640B2 (ja) 2000-12-25 2006-04-05 ユーディナデバイ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光導波路の製造方法、多層光導波路の製造方法
JP3765987B2 (ja) 2001-02-15 2006-04-12 ユーディナデバイ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388531B1 (ko) * 2001-07-25 2003-06-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아이형 리지를 가지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458A (ko) 2005-01-05
US7192884B2 (en) 2007-03-20
US20040262259A1 (en) 2004-12-30
JP2005019934A (ja)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0733B2 (ja) エピタキシャル層を1つの基板から分離して他の基板に移し替えるための方法
US750129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structure and surface qualities of a thin film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KR100387242B1 (ko) 반도체 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0624598B1 (ko)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401586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4731790A (en) Semiconductor laser chip having a layer structure to reduce the probability of an ungrown region
US20020055198A1 (en)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18358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KR100818522B1 (ko)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US2006017244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laser diode
JP2009004645A (ja) 窒化物系半導体レー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58437B1 (ko)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
KR101136239B1 (ko)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EP0982819B1 (en) Epitaxial facet formation for laser diodes based on III-V material systems
JP3424634B2 (ja) 窒化物半導体レーザ素子
JP5367637B2 (ja) 半導体素子
KR100550923B1 (ko) GaAs계 반도체 레이저 및 제조방법
US20040264534A1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0021863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EP1026799B1 (en) Semiconductor lase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for
JP4606809B2 (ja) 半導体レーザ
KR100647293B1 (ko) 굴절률 도파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JP4964026B2 (ja) 窒化物系半導体レーザ素子の作製方法
KR100293476B1 (ko) 질화갈륨 반도체 레이저의 제조방법
KR20050087025A (ko)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