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346B1 -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 수있게 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 수있게 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346B1
KR100557346B1 KR1020040062681A KR20040062681A KR100557346B1 KR 100557346 B1 KR100557346 B1 KR 100557346B1 KR 1020040062681 A KR1020040062681 A KR 1020040062681A KR 20040062681 A KR20040062681 A KR 20040062681A KR 100557346 B1 KR100557346 B1 KR 100557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vacuum
liquid
air inle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4101A (ko
Inventor
김상범
Original Assignee
김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231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5734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범 filed Critical 김상범
Priority to KR1020040062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346B1/ko
Publication of KR2006001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4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8Arrangements of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6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78Arrangements of storage tanks, reservoirs or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 1탱크(10); 제 2탱크(20); 진공펌프(30); 주진공라인(40); 일단이 주진공라인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제 1탱크의 상단에 접속되며 도중에 제 1진공조절밸브(V1)가 개재된 제 1부진공라인(41)과 타단이 제 2탱크의 상단에 접속되며 도중에 제 2진공조절밸브(V4)가 개재된 제 2부진공라인(42); 일단이 제 1탱크의 밑면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2탱크의 상단에 접속되며, 도중에 제 1액이송밸브(V3)가 개재되어 제 1탱크에서 제 2탱크로 액체를 이송시키는 제 1이송연결관(50); 일단이 제 2탱크의 밑면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 1탱크의 상단에 접속되며, 도중에 제 2액이송밸브(V6)가 개재되어 제 2탱크에서 제 1탱크로 액체를 이송시키는 제 2이송연결관(51); 제 1탱크의 상단에 접속되고, 제 1대기도입밸브(V2)가 도중에 개재되어 제 1탱크의 내부에 대기를 도입하는 제 1대기도입라인(60); 제 2탱크의 상단에 접속되고, 제 2대기도입밸브(V5)가 도중에 개재되어 제 2탱크의 내부에 대기를 도입하는 제 2대기도입라인(61); 제 1탱크 및 제 2탱크의 내부의 진공도를 검출하는 진공센서(S1, S2); 그리고 공지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탱크, 진공펌프, 진공라인, 진공조절밸브, 대기도입라인, 대기도입밸브

Description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장치{apparatus for receiving and feeding liquid between one tank and the other thank with using a vacuum pum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개념도.
본 발명은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탱크 대 탱크의 액 이송은 액을 이송하는 일반 펌프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 펌프는 동등한 높이의 지면에 설치된 제 1탱크 및 제 2탱크에 유통가능하게 양단이 접속된 연결관의 도중에 개재되어, 제 1탱크에 있는 액체를 제 2탱크로 이송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연결관은 일단이 통상적으로 배출측 제 1탱크의 저부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흡입측 제 2탱크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일반 펌프는 제 1탱크에 있는 액을 모두 제 2탱크로 이송시키게 되면, 제 1탱크에 액잔유량이 미량으로 되면서 마지막에는 이 미량의 액잔유량과 함께 제 1탱크에 존재하는 공기가 흡입되게 되어 이 일반 펌프의 시일이 손상되게 되어, 제 1탱크의 액은 모두 제 2탱크로 이송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탱크 및 상기 제 2탱크가 높은 높이를 가진 탱크라고 하면, 그 만큼 펌프의 수두가 커서 큰 용량의 일반 펌프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탱크의 설치높이 보다 낮은 설치높이로 제 2탱크를 설치하면, 일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배출이 가능하겠지만, 제 1탱크의 설치위치를 지면에서 일정 높이 이상 높게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 2탱크는 지면을 파서 형성된 지면 아래의 구덩이에 설치되어야 하는 관계로, 설치비가 상승되고, 또한, 이송액체가 약품이나 용제류인 경우에는 그 약품이나 용제류의 누수로 인한 토양오염 및 안전문제를 야기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지 방법으로서, 제 1탱크의 설치높이와 제 2탱크의 설치높이를 동일하게 하고, 상기 일반 펌프가 도중에 개재된 상기 연결관의 양단을 제 1탱크의 하단과 제 2탱크의 하단에 접속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상기 제 1탱크에서 액체를 받아 들이는 상기 제 2탱크는 액체를 받아 들이는 만큼, 수위가 높아져 상기 제 2탱크에 유입된 액체로 인한 비중에 영향을 받아, 어느 한도까지의 수위 만큼만 제 1탱크에서 액체를 받아 들일 수 있어, 상기 제 1탱크에 항상 이송될 액체의 잔유량이 존재하게 된다.
또 다른 방지 방법으로서, 제 1탱크의 설치높이와 제 2탱크의 설치높이를 동일하게 하고, 연결관의 양단을 제 1탱크의 하단과 제 2탱크의 하단에 접속시키고, 상기 제 1탱크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제 1탱크에 있는 액체를 제 2탱크로 이송 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상기 제 1탱크에 고압의 압축공기가 공급되는 관계로, 이송될 액체가 위험물인 경우에는 제 1탱크에서 누수가 발생될 수 있어, 안전에 문제가 있고, 또한, 압축공기에 이송될 액체가 동반되어 있어, 이 압축공기를 회수할 시 이 압축공기와 이송될 액체를 분리할 별도의 설비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척건조공정, 약품처리공정 등에서 필요하게 되는 탱크들 간의 액체 주고 받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탱크와 탱크를 연결하는 별도의 두개의 연결관과 이 별도의 두개의 연결관 도중에 개재된 별도의 두개의 일반펌프가 필요하게 되어, 설치비가 많이 소요된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수두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고, 액체가 저장된 제 1탱크에서 비워진 제 2탱크로 액체를 이송시킬 시 제 1탱크에 있는 모든 액체를 제 2탱크로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탱크에서 제 2탱크로 그리고 제 2탱크에서 제 1탱크로 액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하나의 진공펌프만 필요하게 되는 탱크들 간의 액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탱크; 제 2탱크;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에 일단이 접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탱크에 있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흡입하여 상기 제 1 및 제 2탱크의 내부를 소정 압력으로 진공화시키는 주진공라인; 일단이 상기 주진공라인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1탱크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중에 제 1진공조절밸브가 개재되어 있는 제 1부진공라인; 일단이 상기 주진공라인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2탱크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중에 제 2진공조절밸브가 개재되어 있는 제 2부진공라인; 일단이 상기 제 1탱크의 밑면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2탱크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중에 제 1액이송밸브가 개재되어서 선택적으로 제 1탱크에서 제 2탱크로 액체를 이송시키는 제 1이송연결관; 일단이 상기 제 2탱크의 밑면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1탱크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중에 제 2액이송밸브가 개재되어서 선택적으로 제 2탱크에서 제 1탱크로 액체를 이송시키는 제 2이송연결관; 상기 제 1탱크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 1대기도입밸브가 도중에 개재되어 상기 제 1탱크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대기를 도입하는 제 1대기도입라인; 상기 제 2탱크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 2대기도입밸브가 도중에 개재되어 상기 제 2탱크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대기를 가압하는 제 2대기도입라인; 상기 제 1탱크의 내부의 진공도를 검출하는 제 1진공센서; 상기 제 2탱크의 내부의 진공도를 검출하는 제 2진공센서;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진공센서에서 검출된 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종 밸브 및 상기 진공펌프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지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탱크들 간의 액이송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탱크들 간의 액이송장치는 전체적으로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이 액이송장치(100)는 제 1탱크(10); 제 2탱크(20); 진공펌프(30); 상기 진 공펌프(30)에 일단이 접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탱크에 있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흡입하여 상기 제 1 및 제 2탱크(10, 20)의 내부를 소정 압력으로 진공화시키는 주진공라인(40); 일단이 상기 주진공라인(40)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1탱크(1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중에 제 1진공조절밸브(V1)가 개재되어 있는 제 1부진공라인(41); 일단이 상기 주진공라인(40)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2탱크(2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중에 제 2진공조절밸브(V4)가 개재되어 있는 제 2부진공라인(42); 일단이 상기 제 1탱크(10)의 밑면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2탱크(2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중에 제 1액이송밸브(V3)가 개재되어서 선택적으로 제 1탱크(10)에서 제 2탱크(20)로 액체를 이송시키는 제 1이송연결관(50); 일단이 상기 제 2탱크(20)의 밑면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1탱크(1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중에 제 2액이송밸브(V6)가 개재되어서 선택적으로 제 2탱크(20)에서 제 1탱크(10)로 액체를 이송시키는 제 2이송연결관(51); 상기 제 1탱크(1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 1대기도입밸브(V2)가 도중에 개재되어 상기 제 1탱크(1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대기를 도입하는 제 1대기도입라안(60); 상기 제 2탱크(2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 2대기도입밸브(V5)가 도중에 개재되어 상기 제 2탱크(2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대기를 도입하는 제 2대기도입라인(61); 상기 제 1탱크(10)의 내부의 진공도를 검출하는 제 1진공센서(S1); 상기 제 2탱크(20)의 내부의 진공도를 검출하는 제 2진공센서(S2);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진공센서(S1, S2)에서 검출된 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종 밸브 및 상기 진공펌프(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시되지 않은 공지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각종 밸브 및 센서와 상기 진공펌프에 접속된 인터페이스, 각종 정보 및 소정된 설정치를 입력하는 입력부, 각종 정보 및 소정된 설정치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종 정보 및 소정된 설정치를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에 전달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각종 밸브의 개폐 및 진공펌프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지의 제어장치이다.
또한, 액이송량을 파악하기 위해서, 각 탱크에 액레벨센서나, 이송연결관에 유량계가 설치되어 공지의 제어장치에 접속될 수도 있는 것은 당해 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이송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1. 제 1탱크에서 제 2탱크로의 액체 이송시
먼저 제어장치는 진공펌프(30)를 가동하고, 제 2진공조절밸브(V4)를 개방시켜, 상기 제 2탱크(20)의 내부의 진공도를 높힌다. 그 다음, 상기 제 2탱크(20)의 내부의 진공도가 소정의 진공도에 도달되는 것을 제어장치가 상기 제 2진공센서(S2)에 의해 검출된 신호로부터 판단하여 확인한 후 진공펌프(30)를 가동중지시키고 제 2진공조절밸브(V4)를 닫어 상기 제 2탱크의 진공도를 유지하고, 제 1액이송밸브(V3) 및 제 1대기도입밸브(V2)를 개방하면, 상기 제 1탱크(10)의 내부압력보다 상기 제 2탱크(20)의 내부압력이 낮게 되어, 상기 제 1탱크(10) 및 상기 제 2탱크(20) 간의 압력차로 인한 제 1탱크에서 제 2탱크로의 액체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제 1탱크에서 계속적으로 제 2탱크로 액체가 빠져나가게 되면, 제 1탱크는 원래의 소정된 진공도보다 더 높아 지지만,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를 받는 제 1대기도입밸브(V2)가 소정된 진공도보다 높으면 개방되어 대기의 공기가 상기 제 1탱크 내부로 소정된 진공도가 될때까지 유입되어 항상, 제 1탱크는 소정된 진공도를 유지되게 된다.
여기에서, 제 1탱크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탱크 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제 2탱크에 대한 제 1탱크의 배출량이 제 1탱크의 용량에 비해 작은 양인 경우에는 제 1대기도입밸브(V2)를 통하여 대기의 공기가 제 1탱크 내부로 유입될 필요가 없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1탱크에서 제 2탱크로의 액이송이 완료될 때면, 진공도가 낮은 제 1탱크 측의 공기가 진공도가 높은 제 2탱크 측으로 이동되어 제 1 및 제 2탱크의 진공도가 서로 엇비슷하게 되어, 다음의 이송준비 상태를 유지한다.
2. 제 2탱크에서 제 1탱크로의 액체 이송시
먼저 제어장치는 진공펌프(30)를 가동하고, 제 1진공조절밸브(V1)를 개방시켜, 상기 제 1탱크(10)의 내부의 진공도를 높힌다. 그 다음, 상기 제 1탱크(10)의 내부의 진공도가 소정의 진공도에 도달되는 것을 제어장치가 상기 제 1진공센서(S1)에 의해 검출된 신호로부터 판단하여 확인한 후 진공펌프(30)를 가동중지시키고 제 1진공조절밸브(V1)를 닫어 상기 제 1탱크의 진공도를 유지하고, 제 2액이송밸브(V6) 및 제 2대기도입밸브(V5)를 개방하면, 상기 제 2탱크(20)의 내부압력보다 상기 제 1탱크(10)의 내부압력이 낮게 되어, 상기 제 2탱크(20) 및 상기 제 1탱크(10) 간의 압력차로 인한 제 2탱크에서 제 1탱크로의 액체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제 2탱크에서 계속적으로 제 1탱크로 액체가 빠져나가게 되면, 제 2 탱크는 원래의 소정된 진공도보다 더 높아 지지만,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를 받는 제 2대기도입밸브(V5)가 소정된 진공도보다 높으면 개방되어 대기의 공기가 상기 제 2탱크 내부로 소정된 진공도가 될때까지 유입되어 항상, 제 2탱크는 소정된 진공도를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제 2탱크에서 제 1탱크로의 액이송이 완료될 때면, 진공도가 낮은 제 2탱크 측의 공기가 진공도가 높은 제 1탱크 측으로 이동되어 제 1 및 제 2탱크의 진공도가 서로 엇비슷하게 되어, 다음의 이송준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에 의하면, 수두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고, 액체가 저장된 제 1탱크에서 비워진 제 2탱크로 액체를 이송시킬 시 제 1탱크에 있는 모든 액체를 제 2탱크로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탱크에서 제 2탱크로 그리고 제 2탱크에서 제 1탱크로 액체를 이송시키기 위해 하나의 진공펌프만 필요하게 되어, 설치비가 저렴하고, 액이송 전이나 액이송 후에도 항상 탱크들의 내부공간이 진공이어서 탱크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위험물인 경우에는 안정적으로 외부에 누출없이 탱크에 저장할 수 있고, 탱크가 대용량인 경우에는 액이송에 보다 더 효율적이다.

Claims (2)

  1. 제 1탱크(10); 제 2탱크(20); 진공펌프(30); 상기 진공펌프(30)에 일단이 접속되어 상기 제 1 및 제 2탱크에 있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흡입하여 상기 제 1 및 제 2탱크(10, 20)의 내부를 소정 압력으로 진공화시키는 주진공라인(40); 일단이 상기 주진공라인(40)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1탱크(1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중에 제 1진공조절밸브(V1)가 개재되어 있는 제 1부진공라인(41); 일단이 상기 주진공라인(40)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2탱크(2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중에 제 2진공조절밸브(V4)가 개재되어 있는 제 2부진공라인(42); 일단이 상기 제 1탱크(10)의 밑면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2탱크(2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중에 제 1액이송밸브(V3)가 개재되어서 선택적으로 제 1탱크(10)에서 제 2탱크(20)로 액체를 이송시키는 제 1이송연결관(50); 일단이 상기 제 2탱크(20)의 밑면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1탱크(1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도중에 제 2액이송밸브(V6)가 개재되어서 선택적으로 제 2탱크(20)에서 제 1탱크(10)로 액체를 이송시키는 제 2이송연결관(51); 상기 제 1탱크(1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 1대기도입밸브(V2)가 도중에 개재되어 상기 제 1탱크(1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대기를 도입하는 제 1대기도입라인(60); 상기 제 2탱크(2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제 2대기도입밸브(V5)가 도중에 개재되어 상기 제 2탱크(20)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대기를 도입하는 제 2대기도입라인(61); 상기 제 1탱크(10)의 내부의 진공도를 검출하는 제 1진공센서(S1); 상기 제 2탱크(20)의 내부의 진공도를 검출하는 제 2진공센서(S2);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진공센서(S1, S2)에서 검출된 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종 밸브 및 상기 진공펌프(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지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각종 밸브 및 센서와 상기 진공펌프에 접속된 인터페이스, 각종 정보 및 소정된 설정치를 입력하는 입력부, 각종 정보 및 소정된 설정치를 표시하는 출력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종 정보 및 소정된 설정치를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에 전달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각종 밸브의 개폐 및 진공펌프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장치.
KR1020040062681A 2004-08-10 2004-08-10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 수있게 하는 장치 KR100557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681A KR100557346B1 (ko) 2004-08-10 2004-08-10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 수있게 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681A KR100557346B1 (ko) 2004-08-10 2004-08-10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 수있게 하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747U Division KR200366720Y1 (ko) 2004-08-10 2004-08-10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수 있게 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101A KR20060014101A (ko) 2006-02-15
KR100557346B1 true KR100557346B1 (ko) 2006-03-10

Family

ID=3712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681A KR100557346B1 (ko) 2004-08-10 2004-08-10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 수있게 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666B1 (ko) * 2016-09-06 2018-06-05 김근식 공기압을 이용한 이동식 슬러리 이송 장치
KR102006845B1 (ko) * 2019-04-18 2019-08-05 주식회사 스틸티앤씨 산화방지용 전극봉 코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4101A (ko)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55335A1 (en) Drain liquid relief system for a subsea compressor and a method for draining the subsea compressor
CN105229777A (zh) 供液装置以及基板处理装置
JP3628895B2 (ja) 処理液供給装置
KR100557346B1 (ko)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 수있게 하는 장치
KR200366720Y1 (ko)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탱크들 간에 액을 서로 주고 받을수 있게 하는 장치
US5548944A (en) Vacuum operated processing station having a liquid separating system
US6009892A (en) Device for disposal of liquid media
KR100258443B1 (ko) 슬러리 자동공급 시스템
EP0162074A1 (en) LIQUID RECOVERY UNIT.
TW202011495A (zh) 基板處理裝置
JP3362878B2 (ja) 液状流体搬送装置
US34657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transfer
CN110875212B (zh) 基板处理装置
KR100940753B1 (ko) 케미컬 공급장치
JP4138440B2 (ja) 薬液供給装置
KR101335094B1 (ko) 케미컬 공급장치
KR20040025415A (ko) 액체주입장치
JPH0663260B2 (ja) 泥土圧送装置におけるタンク切換方法
KR100472567B1 (ko) 듀얼진공 하수수집 시스템
JP3586807B2 (ja) 掘削土砂の搬出制御装置
CN219489595U (zh) 一种卸油泵房自动排气系统
CN211624874U (zh) 一种多流体传输装置
KR100588689B1 (ko) 화학기계적 연마장치
KR20160003432A (ko) 빌지 탱크 유수 자동 분리 시스템
KR101083802B1 (ko) 용액 공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0620

Effective date: 2013032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5